[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6238Y1 - 폼분출용기 - Google Patents

폼분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238Y1
KR200456238Y1 KR2020090015332U KR20090015332U KR200456238Y1 KR 200456238 Y1 KR200456238 Y1 KR 200456238Y1 KR 2020090015332 U KR2020090015332 U KR 2020090015332U KR 20090015332 U KR20090015332 U KR 20090015332U KR 200456238 Y1 KR200456238 Y1 KR 200456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cylinder
air
inle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465U (ko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일 filed Critical 강성일
Priority to KR2020090015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23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4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4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3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4Foam or lather ma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포성을 갖는 액상의 제품을 폼성상으로 분출할 수 있도록 된 폼분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를 빨아올리는 동시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콤팩트하게 구성된 폼분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폼분출용기는 용기와 펌프로 이루이지며,
상기 폼펌프(100)는 상기 본체(20)의 입구(22)에 고정설치되는 캡(110)과, 상기 캡(110)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비된 헤드부(120)와, 상기 본체(20)의 입구(22)와 캡(110) 사이에 고정되고 대경실린더(132)와 소경실린더(134)로 이루어진 실린더(130)와, 상기 실린더(130)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하는 공기피스톤(140)과, 상기 공기피스톤(140)의 하부에 형성된 매개부재(150)와, 상기 소경실린더(134)의 내부에 형성되는 스프링(160)과, 상기 매개부재(150)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하는 액체피스톤(170)과, 공기피스톤(140)의 통부(142a, 142b)에 설치되어 폼을 형성하는 폼형성부재(180)와, 상기 실린더(130) 하부의 유체유입구(139)를 개폐하는 볼밸브(190)와, 실린더(130)의 내측에 설치되는 공기흡입밸브(200)를 포함한다.
실린더, 폼, 분출, 피스톤

Description

폼분출용기{container for injecting foam}
본 고안은 발포성을 갖는 액상의 제품을 폼성상으로 분출할 수 있도록 된 폼분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를 빨아올리는 동시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콤팩트하게 구성된 폼분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세정제 등의 제품은 투명해서 손에 도포된 정도를 간음할 수 없으므로 사용이 불편하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액상의 제품을 공기로 발포시켜 폼(foam)을 형성하므로 사용자가 손세정제의 도포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사용감이 우수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폼분출용기는 세제나 세정제와 같은 발포성을 갖는 액체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에 장착되는 폼분출펌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폼분출펌프는 펌프의 헤드부를 밀어내림으로써 본체 내의 액체를 빨아올리는 동시에 본체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된다.
펌프에 흡입된 액체는 공기와 혼합된 후 발포부재에서 폼(foam)으로 발포되 고 펌프 헤드의 노즐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폼분출펌프는 액체를 빨아올리는 수단과 공기를 흡입하는 수단을 별도로 구성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구성이 복잡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생산원가가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액체를 빨아올리는 동시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콤팩트하게 구성하므로 신뢰성이 향상된 폼분출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콤팩트하게 구성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폼분출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방으로 입구가 형성된 원통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에 형성되어 폼(foam)을 형성하는 폼펌프로 이루어지는 폼분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폼펌프는 상기 입구에 고정설치되고 중앙에 상방으로 수직관이 형성된 캡과; 상기 캡의 수직관을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중앙에 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관로가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캡과 상기 본체의 입구 상단 사이에 결합설치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대경실린더와, 상기 대경실린더의 원주면에 축중심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중공 테두리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소경실린더와, 상기 소경실린더의 하부에 형성된 액체유입구로 이루어지는 실린더와; 상기 헤드부에 고정설치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와, 상기 통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공기구멍이 형성된 어깨부와, 상기 어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대경실린더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실링부로 일체로 이루어지는 공기피스톤과; 상기 공기피스톤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경실린더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하는 환상의 매개부재와; 상기 소경실린더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피스톤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매개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을 포집하도록 형성된 액체피스톤과; 상기 액체유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볼밸브와; 상기 공기피스톤의 통부에 형성되는 폼형성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공기구멍을 개폐하도록 형성된 공기흡입밸브;를 포함하는 폼분출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공기흡입밸브는 상기 공기구멍을 실린더 내부의 압력에 따라 개폐하도록 형성된 제1밸브와 상기 공기피스톤 통부의 내주면을 실린더 내부의 압력에 따라 개폐하도록 형성된 제2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폼형성부재는 컵형상으로 바닥은 망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스크류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폼형성부재는 1회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폼분출용기는 액체를 빨아올리는 동시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콤팩트하게 구성하므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폼분출용기는 콤팩트하게 구성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폼분출용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폼분출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폼분출용기의 폼펌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폼분출용기 폼펌프의 헤드부가 내려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폼분출용기 폼펌프의 헤드부가 완전히 내려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폼분출용기(10)는 본체(20)와 본체(20)의 입구(22)에 형성되어 폼을 형성하는 폼펌프(100)로 이루어진다.
본체(20)는 원통상으로 이루어지면 상방으로 입구(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22)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캡(110)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0)는 낙하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폼펌프(100)는 상기 본체(20)의 입구(22)에 고정설치되는 캡(110)과, 상기 캡(110)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비된 헤드부(120)와, 상기 본체(20)의 입구(22)와 캡(110) 사이에 고정되고 대경실린더(132)와 소경실린더(134)로 이루어진 실린더(130)와, 상기 실린더(130)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하는 공기피스톤(140)과, 상기 공기피스톤(140)의 하부에 형성된 매개부재(150)와, 상기 소경실린더(134)의 내부 에 형성되는 스프링(160)과, 상기 매개부재(150)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하는 액체피스톤(170)과, 공기피스톤(140)의 통부(142a, 142b)에 설치되어 폼을 형성하는 폼형성부재(180)와, 상기 실린더(130) 하부의 유체유입구(139)를 개폐하는 볼밸브(190)와, 실린더(130)의 내측에 설치되는 공기흡입밸브(200)를 포함한다.
캡(110)은 내주면에 상기 본체(20) 입구(22)의 외주면에 치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방으로 수직관(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직관(112)의 내주면에 후술하는 공기피스톤(140)의 통부(142a, 142b)가 슬라이딩된다.
헤드부(120)는 중앙에 공기피스톤(140) 통부(142a, 142b)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로(122)가 형성되고, 상기 관로(122)와 동심원으로 외부관(12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관로(122)와 외부관(124)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캡(110)의 수직관(112)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120)는 캡(110)의 수직관(112)을 중심으로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또한 헤드부(120)는 관로(122)의 상단에 반경방향으로 배출관(126)이 형성되어 관로(122)를 통하여 빨아들여진 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실린더(130)는 캡(110)과 본체(20)의 입구(22) 상단 사이에 결합설치되는 플랜지(136)와, 플랜지(13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대경실린더(132)와, 대경실린더(132)의 원주면에 축중심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중공(137)이 형성된 바닥부(138)와, 바닥부(138)의 테두리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소경실린더(132)와, 소경실린더(132)의 하부에 형성된 액체유입구(139)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부(138)는 상기 대경실린더(132)의 하단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138a)와 경사부(138a)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부(138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평면부(138b)와 상기 소경실린더(132)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하측통부(142b)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피스톤(140)은 헤드부(120)에 고정설치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142a, 142b)와, 상기 통부(142a, 142b)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공기구멍(143)이 형성된 어깨부(144)와, 상기 어깨부(144)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대경실린더(13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실링부(146)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부(142a, 142b)는 어깨부(144)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측통부(142a)와 상기 어깨부(144)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하측통부(14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통부(142a)는 상기 헤드부(120)의 관로(122)에 결합되어 헤드부(120)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측통부(142b)는 상기 어깨부(14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매개부재(150)와 액체피스톤(170)을 순착적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하측통부(142b)에는 상단차부(148a)와 하단차부(148b)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매개부재(150)는 환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피스톤(140)의 하부에 형성되면 소경실린더(134)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한다. 상기 매개부재(150)는 중앙에 상기 하부통부(142b)를 수용하기 위한 요입부(152)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160)은 상기 소경실린더(134)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피스 톤(140)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160)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공기스프링(140)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함과 동시에 볼밸브(190)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액체피스톤(170)은 상기 매개부재(150)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160)의 상부를 포집하도록 하부에 포집부(172)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피스톤(140) 하측통부(142b)의 상단차부(148a)에는 액체피스톤(170)이 안착되고, 하단차부(148b)에는 매개부재(150)가 배치된다.
공기흡입밸브(200)는 실린더(1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공기구멍(143)을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기흡입밸브(200)는 상기 공기구멍(143)을 실린더(130) 내부의 압력에 따라 개폐하도록 형성된 제1밸브(202)와 상기 공기피스톤(140) 하측통부(148b)의 내주면을 실린더(130) 내부의 압력에 따라 개폐하도록 형성된 제2밸브(204)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피스톤(140)의 작동을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통부(142b)가 하강함에 따라 먼저 상단차부(148a)에 안착되어 있는 액체피스톤(170)이 하강하게 되어 액체피스톤(170)의 측면과 매개부재(150)의 하단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이 공간으로 소경실린더(134)의 내부에 있던 액체가 빨아올려지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통부(142b)의 하단차부(148b)가 상기 매개부재(150)의 상단에 도달하면 하부통부(142b), 매개부재(150) 및 액체피스 톤(170)이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이 때 후술하는 공기흡입밸브(200)가 완전히 개방되어 공기가 공기구멍(143)을 통하여 실린더(130)의 내부로 유입된다.
볼밸브(190)는 상기 액체유입구(139)에 형성되면 상기 스프링(16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선택적으로 액체를 흡입한다.
폼형성부재(18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피스톤(140)의 상부통부(142a)에 형성되며 컵형상으로 바닥은 망상(網狀)으로 형성되고 내주면 하부에 스크류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빨아올려진 액체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더욱 용이하게 폼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폼형성부재(180)는 바닥이 망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제작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중앙에 하나의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폼형성부재(180)는 작업성의 개선을 위하여 1회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폼분출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폼분출용기의 폼펌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폼분출용기 폼펌프의 헤드부가 내려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폼분출용기 폼펌프의 헤드부가 완전히 내려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폼분출용기의 폼형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폼분출용기의 폼형성부재를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폼분출용기의 폼형성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20 : 본체
100 : 폼펌프 110 : 캡
120 : 헤드부 130 : 실린더
140 : 공기피스톤 150 : 매개부재
160 : 스프링 170 : 액체피스톤
180 : 폼형성부재 190: 볼밸브
200 : 공기흡입밸브

Claims (4)

  1. 상방으로 입구가 형성된 원통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에 형성되어 폼(foam)을 형성하는 폼펌프로 이루어지는 폼분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폼펌프는 상기 입구에 고정설치되고 중앙에 상방으로 수직관이 형성된 캡과; 상기 캡의 수직관을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중앙에 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관로가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캡과 상기 본체의 입구 상단 사이에 결합설치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대경실린더와, 상기 대경실린더의 원주면에 축중심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중공 테두리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소경실린더와, 상기 소경실린더의 하부에 형성된 액체유입구로 이루어지는 실린더와; 상기 헤드부에 고정설치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와, 상기 통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공기구멍이 형성된 어깨부와, 상기 어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대경실린더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실링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공기피스톤과; 상기 공기피스톤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경실린더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하는 환상의 매개부재와; 상기 소경실린더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피스톤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매개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을 포집하도록 형성된 액체피스톤과; 상기 액체유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볼밸브와; 상기 공기피스톤의 통부에 형성되는 폼형성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공기구멍을 개폐하도록 형성된 공기흡입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분출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밸브는 상기 공기구멍을 실린더 내부의 압력에 따라 개폐하도록 형성된 제1밸브와 상기 공기피스톤 통부의 내주면을 실린더 내부의 압력에 따라 개폐하도록 형성된 제2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분출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폼형성부재는 컵형상으로 바닥은 망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 하부에 스크류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분출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폼형성부재는 1회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분출용기.
KR2020090015332U 2009-11-26 2009-11-26 폼분출용기 Expired - Lifetime KR200456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332U KR200456238Y1 (ko) 2009-11-26 2009-11-26 폼분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332U KR200456238Y1 (ko) 2009-11-26 2009-11-26 폼분출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465U KR20110005465U (ko) 2011-06-01
KR200456238Y1 true KR200456238Y1 (ko) 2011-10-20

Family

ID=4929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332U Expired - Lifetime KR200456238Y1 (ko) 2009-11-26 2009-11-26 폼분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38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650Y1 (ko) * 2012-04-27 2014-01-06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칫솔보관이 가능한 치약 공급장치
US10493475B1 (en) 2018-06-15 2019-12-03 Hyoung Taek Yang Pump type liquid airtight container
KR102205491B1 (ko) 2020-03-18 2021-01-20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에어 흐름이 개선된 액체 밀폐용기
KR102206987B1 (ko) 2019-11-29 2021-01-25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누액방지 기능이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20210146618A (ko) 2020-05-27 2021-12-06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감도 및 에어흐름이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20210146619A (ko) 2020-05-27 2021-12-06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감도가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 용기
US20220048682A1 (en) * 2020-08-13 2022-02-17 Mahle International Gmbh Sealing arrangement of a fragrance container and fragrance container
KR20230008426A (ko) * 2021-07-07 2023-01-16 강민구 폼 펌프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511B1 (ko) * 2013-05-01 2013-09-09 김용범 흘러내림 예방 디스펜스 펌프 장치
KR102123187B1 (ko) * 2019-09-10 2020-06-15 강민구 펌프 용기
KR102145131B1 (ko) * 2019-09-30 2020-08-14 강민구 펌프 용기
CN112208933A (zh) * 2020-04-10 2021-01-12 沈利庆 按压式泡沫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460A (ja) 1999-07-27 2001-02-13 Daiwa Can Co Ltd ポンプ式吐出容器
JP2009120245A (ja) 2007-11-16 2009-06-04 Kono Jushi Kogyo Kk 固化しやすい内容液に対する泡ポンプ
JP2009208783A (ja) 2008-02-29 2009-09-17 Yoshino Kogyosho Co Ltd フォーマーポン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460A (ja) 1999-07-27 2001-02-13 Daiwa Can Co Ltd ポンプ式吐出容器
JP2009120245A (ja) 2007-11-16 2009-06-04 Kono Jushi Kogyo Kk 固化しやすい内容液に対する泡ポンプ
JP2009208783A (ja) 2008-02-29 2009-09-17 Yoshino Kogyosho Co Ltd フォーマーポンプ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650Y1 (ko) * 2012-04-27 2014-01-06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칫솔보관이 가능한 치약 공급장치
US10493475B1 (en) 2018-06-15 2019-12-03 Hyoung Taek Yang Pump type liquid airtight container
KR102206987B1 (ko) 2019-11-29 2021-01-25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누액방지 기능이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102205491B1 (ko) 2020-03-18 2021-01-20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에어 흐름이 개선된 액체 밀폐용기
KR20210146618A (ko) 2020-05-27 2021-12-06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감도 및 에어흐름이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20210146619A (ko) 2020-05-27 2021-12-06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감도가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 용기
US20220048682A1 (en) * 2020-08-13 2022-02-17 Mahle International Gmbh Sealing arrangement of a fragrance container and fragrance container
KR20230008426A (ko) * 2021-07-07 2023-01-16 강민구 폼 펌프 용기
KR102597316B1 (ko) 2021-07-07 2023-11-01 강민구 폼 펌프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465U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238Y1 (ko) 폼분출용기
US9186689B2 (en) Cap-integrated pumping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590865B1 (ko) 디스펜서 용기
KR101107519B1 (ko) 유체 펌프디스펜서
US8561852B2 (en) Dosing head for dispensing a fluid from a container
JP6226763B2 (ja) ポンプ式吐出容器
US20160318646A1 (en) Foam jetting tube container
US20030223881A1 (en) Manual/pneumatic oil pumping device
US20030106872A1 (en) Nipple with air intake valve
JP5650027B2 (ja) 泡ポンプの空気弁構造
JP3836312B2 (ja) 液体噴出ポンプ
KR101310246B1 (ko) 노즐 출몰형 화장품 용기
JP2008189317A (ja) ポンプ容器
KR200481587Y1 (ko) 양변기용 압축기
CN202226186U (zh) 一种吸水瓶
JP4828324B2 (ja) 液体吐出装置
KR101355655B1 (ko) 잔존물 제거를 위한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JP2010042827A (ja) ポンプ式吐出容器
JP5472918B2 (ja) 正倒立噴出可能な液体噴出器
KR20230008426A (ko) 폼 펌프 용기
JP3722826B2 (ja) 吸引パイプ装置
CN113245090A (zh) 一种可倒置使用的喷雾器
JP5456435B2 (ja) 液体噴出器
CN203544649U (zh) 弹簧顶置式喷泵
CN219361909U (zh) 一种出液泵的倒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11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10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0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