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1133Y1 - 캠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캠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133Y1
KR200451133Y1 KR20080006326U KR20080006326U KR200451133Y1 KR 200451133 Y1 KR200451133 Y1 KR 200451133Y1 KR 20080006326 U KR20080006326 U KR 20080006326U KR 20080006326 U KR20080006326 U KR 20080006326U KR 200451133 Y1 KR200451133 Y1 KR 200451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mounting sheet
driven member
positioning plate
annular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80006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746U (ko
Inventor
가츠미 고세키
Original Assignee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080006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133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7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7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13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2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single-thread seams
    • D05B1/04Running-stitch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with mechanisms for needle-bar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캠 전환장치는 지탱축, 캠, 구동로드, 정위치판, 작동레버 및 잠금고정기구를 포함하여, 지탱축에 중계 연결기 및 장착시트가 설치되고, 중계 연결기는 재봉침 요동기구와 연결되며, 장착시트 양측에 각각 종동부재가 설치되어, 각 종동부재가 각각 캠 양면의 고리형 홈 내부에 삽입설치되고, 각각의 고리형 홈은 각기 다른 양정으로 설계되어 있어, 작동레버를 젖혀 구동로드 및 정위치판이 요동하도록 연동시킴으로써 각기 다른 종동부재를 신속히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캠 양정을 변경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Description

캠 전환장치{CAM CONVERSION DEVICE}
본 고안은 재봉기 내부에 설치되는 캠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천조봉(千鳥縫) 재봉 시 두 가지 다른 바늘의 작동형식을 전환하기에 편리하도록 하는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흔히 볼 수 있는 치마 또는 바지의 아랫단은 「천조봉」재봉법으로 두 장의 겹쳐진 천을 재봉하여 결합시키게 되는데, 재봉선의 형태가 마치 여러 마리의 새가 날개를 펴고 날아오르는 듯하여, 이를 천조봉이라고 부르며, 천조봉은 또한 열십자뜨기라고도 부른다.
일반적으로 캠을 이용하여 종동부재를 연동시키면, 종동부재는 바늘요동기구와 연결되어, 바늘이 좌우로 움직이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일반적으로 바늘의 좌우 운동량은 캠에 설치되어 순서에 따라 동작하는 고리형 홈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현재 재봉기 업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기술은 두 조의 각기 다른 양정(揚程)이 설정된 캠을 1조의 종동부재와 결합하여 사용하며, 그 종동부재는 또한 바늘요동기구와도 연결되어, 각각 다른 캠으로 전환하여 종동부재와 결합한 후에는, 종동부재가 각기 다른 양정에 대응하여 그 요동량을 변경하도록 연동시킴으로써, 바늘 에 각각 다른 좌우 작동 형식이 발생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바늘의 작동형식을 변경할 때, 종동부재는 반드시 1조의 캠 고리형 홈으로부터 이동하는 동시에 다른 1조의 캠 고리형 홈 내부로 진입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통상적으로 2개의 다른 양정으로 설정된 캠은 동일한 반경의 교차점에 진입할 수 있는 부분이 한 곳 밖에 없으며, 두 개의 캠 사이를 전환할 때, 반드시 먼저 상기 교차점을 정확하게 전환해야만 전환이 가능하므로, 시간을 낭비할 뿐만 아니라, 전환 시의 절차가 상당히 번거롭다. 따라서 전환 시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므로 반드시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캠 전환장치를 제공하여, 조작자가 위치를 고정시켜 전환할 때 과거에 전환이 쉽지 않았던 단점을 해결하고, 전환 조작 시의 편리성을 높임으로써 재봉 시의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캠 전환장치는 지탱축, 캠, 구동로드, 정위치판, 작동레버 및 잠금고정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지탱축에 하나의 중계 연결기 및 장착시트를 설치하고, 중계 연결기를 바늘요동기구와 연결하며, 장착시트 양측에 각각 종동부재를 설치하여, 각 종동부재가 각각 캠 양면의 고리형 홈 내부에 삽입설치되도록 하고, 각 고리형 홈은 각기 다른 양정으로 설계하며, 작동레버, 구동로드 및 정위치판을 각각 장착시트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하고, 정위치판은 또한 두 종동부재와 서로 대치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전환 조정을 실행할 때, 조작자가 작동레버를 젖혀, 정위치판이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요동하도록 연동시켜, 정위치판 일단의 가장자리가 장착시트의 일측으로 돌출되면서, 일측의 종동부재 중의 삽입구멍 내부에 삽입되어 작용상태가 형성되면, 장착시트는 작용 중인 종동부재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면서 캠 양정을 변경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캠을 연속으로 작동시킬 때, 그 작용 중인 종동부재는 캠 일면에 대응되는 고리형 홈 내부를 따라 왕복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되고, 아울러 장착시트 를 왕복으로 요동시키게 되며, 중계 연결기는 바늘요동기구를 왕복 요동시키게 된다. 양측의 종동부재가 각자 각기 다른 동작 행정에 대응되기 때문에, 바늘요동기구는 자연적으로 각기 다른 요동량을 지니게 되며, 바늘의 좌우 운동량 역시 이에 따라 바뀌게 된다. 또한 또 다른 종동부재는 여전히 캠의 다른 면의 고리형 홈 내부에 삽입설치되어 있어, 정위치판과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활동 가능한 석방 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에, 캠이 회전하게 되면 자체적으로 왕복 요동하는 상태가 만들어지며, 다만 장착시트의 요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캠 전환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1. 도 1,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인 캠 전환장치는 지탱축(11)에 두 개의 종동부재(113)가 설치되고, 각 종동부재(113)는 각각 캠(12) 양면의 고리형 홈(121) 내부에 설치되며, 전환동작은 프레임(21) 표면에 위치한 작동레버(16)에 의해 구동로드(13)와 정위치판(15)을 연동시켜 그 중 하나의 종동부재(113)를 잠금 고정함으로써 캠(12)의 양정을 전환하고, 캠(12)이 장착시트(112)를 구동시키면서 각기 다른 양정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기 때문에, 조작 전환 시의 편리성이 증가되고, 재봉 효율이 향상된다.
2. 본 고안의 작동레버 일측에 잠금고정기구(17)가 설치되어, 전환 동작이 불완전할 때, 캠(12)의 동작을 자동으로 잠금 고정시키므로, 기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환 시의 안전성을 높여줄 수 있다.
3. 본 고안의 구동로드(13) 일측에 가압레버(14)가 설치되어, 구동로드(13) 가 정위치판(15)을 움직여 전환을 실시할 때의 안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캠(12)이 장착시트(112)를 구동하는 동력을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내용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2를 참조하면,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장착도 및 입체분해도로서, 본 고안인 캠 전환장치(1)는 전용재봉기(2)의 프레임(21) 내부에 설치되며, 이는 각각 바늘요동기구(22) 및 동력장치(23)와 서로 연결되어, 동력장치(23)의 동력과 맞물리면서 순차적으로 바늘요동기구(22)로 전달되며, 바늘요동기구(22)의 바늘(221)은 좌우로 작동된다. 이는 주로 다음을 포함한다.
지탱축(11)은 프레임(21) 내부에 설치되고, 지탱축(11)에 중계 연결기(111) 및 장착시트(112)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중계 연결기(111)와 장착시트(112)는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중계 연결기(111)는 또한 커넥팅로드기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상기한 바늘요동기구(22)와 연결되며, 장착시트(112) 내부에 수용공간(1121)이 구비되어, 조작 방향과 대향하는 수용공간(1121)에 장치구멍(1122)이 개설되며, 장착시트(112)의 두 상대측에 각각 장공(長孔)(1123)이 구비되고, 장착시트(112) 상부에 축로드(1124)가 관통 설치된다. 또한 장착시트(112)의 양측에 각각 L자 형태의 종동부재(113)가 축설치되고, 각 종동부재(113)의 일단에 호형구멍(1132)이 개설됨과 아울러 장착시트(112) 상부의 축로드(1124) 내부에 축설치되며, 또한 장공(1123)에 대향하는 종동부재(113)에 삽입구멍(1131)이 개설되고, 종동부재(113)의 타단에 슬라이딩축(1133)이 설치된다.
지탱축(11) 일측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캠(12)은, 상기 동력장치(23)와 동력이 연결되고, 캠(12)의 양측면에 각각 고리형 홈(121)이 설치되며, 종동부재(113) 일단의 슬라이딩축(1133)이 고리형 홈(121) 내부에 삽입설치된다. 각 고리형 홈(121)은 각기 다른 양정을 지니고 있어서, 캠(12)이 전동할 때 상기 종동부재(113)와 장착시트(112)가 왕복 요동하도록 구동시키고, 중계 연결기(111)가 상하로 요동하도록 구동시키며, 바늘요동기구는 즉 좌우 요동 동작이 발생하게 되어 바늘(221)이 좌우로 작동된다. 또한 캠(12)의 가장자리에 잠금고정구멍(122)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시트(112)의 장치구멍(1122)에 축설치되는 구동로드(13)는, 일단에 피봇축(131)이 설치되어 상기 장착시트(112)의 수용공간(1121) 내부에 삽입설치되고, 타단은 고정자(132)가 설치된다. 또한 그 구동로드(13) 외측에 가압레버(14)가 설치되어, 가압레버(14)가 구동로드(13)의 고정자(132)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이 발생하면서, 축로드(1124)가 전환 후의 위치에 가까이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구동로드(13)가 정위치판(15)이 전환되도록 구동시킬 때의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캠(12)이 장착시트(112)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확실히 전달한다.
상기 장착시트(112)의 수용공간(1121) 내부에 설치되는 정위치판(15)은, 그 저부에 구동로드(13) 일단의 피봇축(131)이 축설치되고, 정위치판(15) 상부의 양단 가장자리에 각각 장착시트(112) 양측에 대응되는 장공(1123)이 개설되며, 정위치판(15)의 상부는 부채꼴 형태로, 경사지게 요동하는 상태일 때, 그 상부의 일단 가장자리가 장착시트(112) 표면으로 돌출되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구동로드(13) 일단에 축설치되는 작동레버(16)는 상기 프레임(21) 표면에 노출된다.
작동레버(16) 하방에 설치되는 잠금고정기구(17) 역시 프레임(21) 표면에 노출되며, 잠금고정기구(17)는 잠금고정판(171), 보조판(172), 삽입핀(173), 스프링(174) 및 슬리브(175)를 포함한다. 그 중 삽입핀(173)의 일단은 보조판(172) 내부로 삽입되고, 보조판(172)은 또한 잠금고정판(171)의 일면에 고정되며, 스프링(174)과 슬리브(175)는 삽입핀(173)의 일단에 끼워지고, 또한 슬리브(175)는 프레임(21)에 고정됨으로써, 삽입핀(173)이 슬리브(175) 내부에서 왕복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삽입핀(173)은 상기 캠(12)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잠금고정구멍(122)을 지탱해 주어, 캠(12)의 회전동작을 고정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그 잠금고정판(171)이 상기 정위치판(15)에 대향하는 요동각도에 두 개의 삽입구멍(1711)이 설치되고, 잠금고정판(171)과 대향하는 작동레버(16)에 삽입로드(161)가 설치된다. 따라서 반드시 작동레버(16)를 젖혀 정위치시킬 경우에만 삽입로드(161)가 그 중 하나의 삽입구멍(1711) 내부로 삽입되어, 잠금고정판(171)이 밖으로 젖혀지면서 삽입핀(173)이 외부로 이동되어, 캠(12)이 활동 가능하도록 회전되는 상태를 회복하게 된다.
도 3, 4,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조정 설명도로서, 캠 전환장치(1)를 사용하여 전환 조정을 실행할 때, 도 2를 동시에 참조하면, 조작자가 외부에서 잠금고정판(171)을 누름과 아울러 작동레버(16)를 젖혀, 구동로드(13)가 정위치판(15)을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요동되도록 연동시키면, 정위치판(15) 상 부의 가장자리가 장착시트(112)의 일측으로 돌출되면서, 일측의 종동부재(114) 중의 삽입구멍(1131) 내부로 삽입되어 작용 상태를 형성하게 되고, 장착시트(112)가 작용 중인 종동부재(113)와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캠(12)은 작용 중인 종동부재(113)와 밀접한 고리형 홈(121)을 통하여 장착시트(112)가 왕복 회전을 하도록 연동시키고, 이로써 캠(12) 중 한 면의 양정을 사용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반대로, 만약 다른 면의 양정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조작자는 고정판(171)을 누르고 작동레버(16)를 반대 방향으로 젖혀, 정위치판(15)이 반대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하며, 다른 일측의 종동부재(113)를 작용 상태로 고정시킨다. 그러나, 사용 시 한 번에 일측의 종동부재(113)만 고정시킬 수 있고, 상대측의 종동부재(113)는 여전히 캠(12)의 다른 면의 고리형 홈(121)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면서, 정위치판(15)과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동 가능한 석방 상태를 나타내며, 캠(12)이 회전하게 되면, 종동부재(113) 상부의 호형구멍(1132)이 장착시트(112) 상부의 축로드(1124)에서 왕복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자체적으로 왕복 요동되는 상태가 되며, 다만 장착시트(112)의 요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6,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고정될 때의 동작설명도로서, 사용 시 전환이 불충분하여 기체의 손상 및 사용상의 안전성에 영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를 동시에 참조하면, 조작자가 전환 조정을 실행할 때, 반드시 작동레버(16)를 정확한 각도로 전환할 때에만, 작동레버(16) 일면의 삽입로드(161)가 잠금고정판(171)의 삽입구멍(1711) 내부로 삽입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그 잠금고정판(171)은 외부를 향해 젖혀지면서, 삽입핀(173)이 연동되 어 외부로 이동하면서, 삽입핀(173)이 캠(12) 상의 잠금고정구멍(122)으로부터 이탈되어, 캠(12)이 비로소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그 조정이 완전하지 않을 경우, 작동레버(16)의 삽입로드(161)는 잠금고정판(171)의 표면을 떠받치면서, 잠금고정판(171)이 내부로 젖혀지는 상태를 형성하며, 그 삽입핀(173) 역시 내부로 밀려들어가 캠(12) 표면의 잠금고정구멍(122)에 걸리게 되어 자동 고정의 목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환 동작이 불완전할 때, 캠(12)의 회전 동작을 자동으로 잠금 고정시키게 되며, 이는 기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환 사용 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이상에 설명한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한 것으로서, 결코 본 고안의 실시 범위를 한정짓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기타 작동레버, 종동부재, 구동로드 또는 정위치판의 형태, 또는 잠금고정기구의 변환 방식 역시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술을 숙지하여 동등한 효과 또는 간단한 변화를 주는 경우, 잠금고정기구로 캠을 고정하는 방식을 기타 종동부재 또는 구동축 등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등,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동등한 변화와 수식을 가하는 경우, 모두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고안인 캠 전환장치는 실용의 창작성 및 산업상의 이용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출원인은 실용신안법의 규정에 의거하여, 실용신안등록을 출원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장착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입체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조정 설명도(1),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조정 설명도(2),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조정 설명도(3),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 시의 동작 설명도(1) 및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 시의 동작 설명도(2)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캠 전환장치 2: 재봉기
11: 지탱축 12: 캠
13: 구동로드 14: 가압레버
15: 정위치판 16: 작동레버
17: 잠금고정기구 21: 프레임
22: 바늘요동기구 23: 동력장치
111: 중계 연결기 112: 장착시트
113: 종동부재 121: 고리형 홈
122: 잠금고정구멍 131: 피봇축
132: 고정자 161: 삽입로드
171: 잠금고정판 172: 보조판
173: 삽입핀 174: 스프링
175: 슬리브 221: 바늘
1121: 수용공간 1122: 장치구멍
1123: 장공 1124: 축로드
1131: 삽입구멍 1132: 호형구멍
1133: 슬라이딩축 1711: 삽입구멍

Claims (8)

  1. 캠 전환장치에 있어서,
    지탱축은, 중계 연결기 및 장착시트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중계 연결기와 상기 장착시트가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중계 연결기가 바늘요동기구와 서로 연결되고, 장착시트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장착시트와 대향하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면에 장치구멍이 설치되고, 장착시트의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장공이 개설되며, 상기 장착시트 양측에 각각 L자 형태의 종동부재가 축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종동부재의 일단이 상기 장착시트 상부에 축설치되며, 또한 상기 장공에 대향하는 상기 종동부재에 삽입구멍이 개설되고;
    상기 지탱축 일측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캠은, 동력장치와 동력으로 연결되고, 상기 캠의 양면에 각각 하나의 고리형 홈이 설치되며, 상기 종동부재 일단이 상기 고리형 홈 내부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장치구멍에 축설치되는 구동로드는, 일단에 피봇축이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설치되고, 타단은 고정자가 돌출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정위치판은, 그 저부에 상기 구동로드의 피봇축이 축설치되고, 상기 정위치판 상부의 양단 가장자리에 각각 상기 장착시트 양측의 장공이 대응되며;
    상기 구동로드 일단에 축설치되는 작동레버는 기체 표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전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재의 타단에 슬라이딩축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축이 상기 캠의 상기 고리형 홈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전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리형 홈은 각기 다른 양정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전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드의 일측에 가압레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전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 하방에 잠금고정판, 보조판, 삽입핀, 스프링 및 슬리브를 포함하는 잠금고정기구가 병설되고, 상기 삽입핀은 상기 슬리브에 축설치되며, 상기 보조판은 잠금고정판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과 슬리브는 상기 삽입핀의 일단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전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고정기구의 상기 삽입핀은 상기 캠 가장자리를 떠받치며, 상기 캠 가장자리에 잠금고정구멍이 개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전환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고정기구의 잠금고정판에 2개의 삽입구멍이 개설되고, 상기 잠금고정판에 대향되는 상기 작동레버에 삽입로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전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판 상부는 부채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전환장치.
KR20080006326U 2008-05-15 2008-05-15 캠 전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51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6326U KR200451133Y1 (ko) 2008-05-15 2008-05-15 캠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6326U KR200451133Y1 (ko) 2008-05-15 2008-05-15 캠 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746U KR20090011746U (ko) 2009-11-19
KR200451133Y1 true KR200451133Y1 (ko) 2010-11-25

Family

ID=4587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632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1133Y1 (ko) 2008-05-15 2008-05-15 캠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13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7254A (ja) 1997-08-22 1999-03-02 Juki Corp ミシンの針振り幅変更装置
JP2007075299A (ja) 2005-09-13 2007-03-29 Barudan Co Ltd ミシ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7254A (ja) 1997-08-22 1999-03-02 Juki Corp ミシンの針振り幅変更装置
JP2007075299A (ja) 2005-09-13 2007-03-29 Barudan Co Ltd 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746U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6561B2 (ja) 刺繍ミシンの布押え部材駆動転換構造
CN101775716B (zh) 电脑绣花机压脚辅助提升机构
JP6001341B2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
JP2004129875A (ja) 補助演出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備える遊技機
CN109371577B (zh) 送布牙架调节机构及使用该机构的包缝机
KR200451133Y1 (ko) 캠 전환장치
WO2002004731A1 (fr) Boucleur et mecanisme d'entrainement de la lame d'une machine a coudre
CN212560679U (zh) 布料切割装置和缝纫机
CN111074433B (zh) 缝纫机送料机构及具有该机构的缝纫机
JP4488584B2 (ja) 押え位置変更装置を備えたミシン
CN204343014U (zh) 一种电脑平缝机自动抬压脚结构
JP3143511U (ja) ミシン内部に組み込むカム切換装置
TWI668346B (zh) Overlock sewing machine
JP4799842B2 (ja) ミシンの中押え装置
CN209636462U (zh) 一种智能双针电脑花样缝纫机
US20060144459A1 (en) Latch needle
US20060107885A1 (en) Upper decorative stitching device
CN218774293U (zh) 电动玩具
CN115074922B (zh) 联调机构及缝纫机
KR100650441B1 (ko) 3-링크 니들용 라셀기의 니들 가이드장치
US11859324B2 (en) Driving clutch device for a sewing machine
JP2001259272A (ja) 刺繍ミシンの布押え駆動装置
CN209636463U (zh) 一种双针缝纫机的针杆离合机构
KR100650443B1 (ko) 네트용 라셀기의 3-링크 니들 구동장치
CN209636464U (zh) 一种双针缝纫机的单双针转换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51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7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11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709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