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3281Y1 -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 - Google Patents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281Y1
KR200443281Y1 KR2020080008084U KR20080008084U KR200443281Y1 KR 200443281 Y1 KR200443281 Y1 KR 200443281Y1 KR 2020080008084 U KR2020080008084 U KR 2020080008084U KR 20080008084 U KR20080008084 U KR 20080008084U KR 200443281 Y1 KR200443281 Y1 KR 200443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bead
water
toy
endothel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김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성 filed Critical 김진성
Priority to KR2020080008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2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281Y1/ko
Priority to PCT/KR2009/001228 priority patent/WO2009154342A1/en
Priority to JP2009003901U priority patent/JP3153003U/ja
Priority to CN2009201564487U priority patent/CN201578852U/zh
Priority to US12/456,589 priority patent/US8241086B2/en
Priority to EP09007919A priority patent/EP2135654A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2Dolls made of fabrics or stuff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8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air treating g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8Mounting of parts within dolls, e.g. automatic eyes or parts for ani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단(천)을 재봉하여 내부공간에 충전물을 채워 각종 인형이나 동물 모양을 입체적으로 형성하는 봉제완구에 관련하여, 충전물로서 솜이나 패킹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고흡수성 수지의 누출 없이 고흡수성 주시의 수분 흡수량에 따라 봉제완구의 수축 및 팽창 상태가 가변되는,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봉제완구(1)는, 통상의 봉제완구의 외피로 사용되는 물이 투과되는 투수성 외피원단(10)의 내면에 물이 투과되는 투수성 내피원단(20)을 적층하여 완구의 형상에 맞게 바느질하고, 바느질된 상기 외피원단(10)과 상기 내피원단(20)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S)에, 물을 흡수하였을 때 비드(31)의 형상으로 팽창하는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를 상기 내부공간(S)의 체적에 대응하는 양으로 충전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피원단(10)과 상기 내피원단(20)이 투수성이면서 적어도 상기 내피원단(20)은 상기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의 상기 비드(31)가 투과되지 않게 직조된 비드-불투과성 원단이고, 상기 바느질은 상기 비드(31)가 누출되지 않는 조밀한 땀(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Stuffed Toy Filled with Super Absorbent Polymer}
본 고안은 봉제완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천)을 재봉하여 내부공간에 충전물을 채워 각종 인형이나 동물 모양을 입체적으로 형성하는 봉제완구에 관련하여, 충전물로서 솜이나 패킹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고흡수성 수지의 누출 없이 고흡수성 주시의 수분 흡수량에 따라 봉제완구의 수축 및 팽창 상태가 가변되는,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에 관한 것이다.
원단(천)의 둘레를 일정한 형상으로 재봉하고 그 내부공간에 적당한 충전물을 채워 각종 인형이나 동물 모양을 입체적으로 만드는 봉제완구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일정 본에 따라 재단한 후에 창구멍을 남기고 겹쳐 박아 뒤집은 다음에 내부공간에 솜 따위를 충전하여 창구멍을 감쳐서 마무리 하는 방법으로 제작된다.
봉제완구는 천의 부드러운 감촉을 느낄 수 있고 깨지거나 부상의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자투리 천과 패킹(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등의 여러 장점으로 인해 전통적으로 사랑받아온 대표적인 완구의 하나이다.
봉제완구의 단점이라고 하다면, 만들어진 형상만을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매우 정적이고 변화가 없어 호기심을 자극하는 기능이 미약하다는 것이다. 이런 봉제완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센서나 음향장치 등의 전자장치를 내장하여 음향이나 동적인 변화를 부여하는 봉제완구도 널리 출시되고 있다.
봉제완구의 또 다른 한계라고 한다면, 외피는 물론 충전물까지 그 전체의 소재가 천과 솜 등의 섬유이기 때문에 물을 흡수하면 축축해지고 잘 건조되지 아니하여 물에서 가지고 놀기에 적합하지 아니하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천을 재봉하여 밀폐된 공간을 만들고 내부에 솜이나 패킹을 채워 각종 인형이나 동물 모양을 입체적으로 형성하는 봉제완구에 관련하여, 충전물로서 솜이나 패킹 대신에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를 충전함으로써, 고흡수성 수지의 누출 없이 고흡수성 수지의 수분 흡수량(흡수 및 증발)에 따라 봉제완구의 수축 및 팽창 상태가 가변되는 봉제완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는, 통상의 봉제완구의 외피로 사용되는 물이 투과되는 투수성 외피원단의 내면에 물이 투과되는 투수성 내피원단을 적층하여 완구의 형상에 맞게 바느질하고, 바느질된 상기 외피원단과 상기 내피원단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에, 물을 흡수하였을 때 비드의 형상으로 팽창 하는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를 상기 내부공간의 체적에 대응하는 양으로 충전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외피원단과 상기 내피원단이 투수성이면서 적어도 상기 내피원단은 상기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의 상기 비드가 투과되지 않게 직조된 비드-불투과성 원단이고, 상기 바느질은 상기 비드가 누출되지 않는 조밀한 땀으로 이루어진 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피원단은 경사 및 위사의 굵기가 최소 20수×20수에서 최대 60수×60수이고 경사 및 위사의 밀도가 인치당 최소 108×58에서 최대 140×120인 고밀도 원단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느질은 인치당 7~20 땀의 조밀한 바느질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는 팽창전 상기 비드의 직경이 평균 0.1~1mm 인 수지로서 상기 내부공간이 수용할 수 있는 물의 중량의 1.2% 내지 10%로 충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공간에는 방향제와 항균제 중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가 투입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는 물에 쉽게 용해되거나 용이하게 파손되는 캡슐에 투입되어 충전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의 봉제완구는, 충전물로서 솜이나 패킹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의 수분 흡수량에 따라 완구의 수축 및 팽창 상태가 가변되어 여러 가지 자세를 표출할 수 있으므로, 팽창과 수축현상 및 형상의 변화에 의한 재미를 향유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의 봉제완구에 의하면, 봉제완구로 널리 사용되는 통상의 투수성 봉제원단을 외피원단으로 하고 외피원단의 내면에 투수성이면서 비드-불투과성인 내피원단을 적층시킴과 아울러 충전물로서 선별된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를 적용하여, 외피 및 내피 원단을 통한 물의 투과는 자유롭게 하면서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는 내피원단에 의해 누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적용이 불가능하였던 고흡수성 수지를 봉제완구의 충전물로 적용할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셋째, 본 고안의 봉제완구는 외피 및 내피 원단이 천으로 되어 있고 물과 함께 사용하는 완구이지만,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에 의한 물의 흡수로 원단 표면이 불쾌감을 줄 정도로 축축하지 아니하며, 아울러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에 흡수되어 있던 물이 주변 온도에 따라 서서히 증발하는 과정에서 흡열이 일어나므로 시원한 느낌을 가지게 하므로, 물에서 가지고 놀기 적합하지 아니하였던 봉제완구를 물에서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넷째, 본 고안의 봉제완구는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와 함께 적당량의 방향제 및/또는 항균제를 투입함으로써 물의 사용에 따른 세균번식 및 냄새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차량이나 실내 등에 비치하여 방향 완구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다섯째, 본 고안의 봉제완구를 냉동시킨 후 상온에서 해동시킬 경우에, 외피 원단 및 내피원단의 작용으로 결로가 발생하지 아니하면서 천천히 해동되므로, 봉제완구의 접촉시 축축하지 않으면서 지나치게 차지 않은 시원한 상태를 오래 동안 지속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고안의 봉제완구는 간단하게 더위를 시킬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찜질이나 체온강하를 위한 용도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봉제완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봉제완구들의 사시도 사진도면으로서, 강아지, 물개 및 돌고래 봉제완구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봉제완구의 팽창 전후의 종단면 사진도면으로서, 도2의 우측그림은 고흡수성 수지가 팽창전 상태(30)를 나타내는 단면이고, 도2의 좌측그림은 고흡수성 수지가 팽창후 상태(31)를 나타내는 단면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봉제완구의 단계적인 팽창 수축 과정의 사진도면으로서, 완전 팽창상태(A)로부터 시간이 지나면서 물이 증발하면서 수축되는 과정을 보여주며, 특히 도3의 (C)의 돌고래는 완전 수축상태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봉제완구의 팽창 전후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봉제완구에 적합한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A)와 일반 고흡수성 수지(B)의 입자사진도면이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1)는 종래의 일반적인 봉제완구와 마찬가지로, 원단(천)을 재봉하여 밀폐 된 내부공간을 만들고 여기에 충전물을 채워 각종 인형이나 동물 모양으로 형성한 봉제완구의 일종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원단은 종래와 같이 단일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일정 조건에 맞게 선택된 외피원단(10)과 내피원단(20)의 이중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피원단(10)은 필수적으로 물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수성 원단으로서, 봉제완구의 원단으로 널리 사용되는 통상의 원단들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봉제완구의 원단으로 널리 사용되는 벨보아(Velboa) 원단이 바람직하고, 원사로서 극세사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촉감이 매우 좋은 EF 벨보아 원단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내피원단(20)은 외부원단(10)의 내면에 적층되며, 물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수성인 것과 함께, 후술하는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의 비드(31)가 쉽게 투과할 수 없게 직조된 고밀도 원단을 사용한다.
내피원단(20)으로서는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의 비드(31)가 쉽게 투과되지 않는 원단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각종 피복의 안감으로 널리 사용되는 고밀도 T/C(POLYESTER/RAYON) 원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피원단(20)으로서는 경사와 위사의 굵기가 최소 20수×20수에서 최대 60수×60수이고 경사와 위사의 밀도가 인치당 최소 108×58에서 최대 140×120인 T/C 원단 등 고밀도 원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실의 굵기가 상기 범위를 넘어 지나치게 굵거나 밀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물의 투수에 지나치게 시간이 많이 걸려 바람직하지 않고, 밀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비드(31)의 누출이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고안의 봉제완구(1)에 사용되는 원단을 외피원단(10)과 내피원단(20)의 이중 구조로 하고, 외피원단(10)을 투수성 원단으로 하는 한편, 내피원단(20)은 투수성이면서 비드-불투과성인 원단으로 하는 것은, 외피원단(10)에 의해 봉제완구가 가지는 부드러운 표면 감촉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물은 외피원단(10)과 내피원단(20)을 통해 내부공간(S)으로 입출(투수)하지만,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의 비드(31)는 내피원단(20)의 미세한 고밀도 직조를 통해 투과(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외피원단(10)과 내피원단(20)을 목적하는 형상으로 바느질(재봉) 할 때에는, 일반적인 봉제완구의 바느질보다 조밀하게 바느질함으로써 바느질의 땀(2)과 땀 사이의 틈새로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바느질은 1인치의 길이에 7~20 땀이면 바람직하고, 대략 15땀 정도면 가장 바람직하다. 재봉기의 성능이 지원할 경우에 20 땀 이상까지 조밀하게 바느질 할 수도 있으나, 봉제용 재봉기의 성능에 한계가 있고 지나치게 많은 땀은 누출 방지에 오히려 부정적일 수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준에서 바느질하면 족하다.
본 고안의 봉제완구(1)의 내부공간(S)에는 예를 들어 소듐 아크릴레이트 폴리머(sodium acrylate polymer)와 같은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가 충전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492917호(2005년06월01일 공고)의 '비드상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등 다수의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흡수성 수지는 자체중량의 수십 내지 수백 배의 물을 흡수한 후 어느 정도의 압력을 가해도 물을 쉽게 방출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기능성 고분자의 일종으로, 물의 흡수를 필요로 하는 종이기저귀, 생리대, 모유패드 등의 위생용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흡수성 수지는 -OH, -NH2, -COOH, -SO3H 등의 친수성기를 갖는 단량체를 가교제와 같이 중합하여 3차원의 망상 구조를 갖도록 만들어진 합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친수성 단량체로는 부분 중화된 아크릴산을 이용하고 있으며, 합성법으로는 괴상중합, 용액중합, 역상 현탁중합법, 역상 유화중합법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정한 입자 모양을 가지는 고흡수성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역상 현탁중합법 또는 역상 유화중합법이 적용되고, 특히 수용성 단량체를 용매상에 분산시켜 중합시키는 역상 현탁중합법은 비드상의 고흡수성 수지를 제조하는데 바람직한 방법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한 고흡수성 수지의 입자형상은 매우 다양한 바, 팽창되었을 때 무정형을 가지는 고흡수성 수지(도5의 B 참조)는 내부공간(S)으로부터 내피원단(20) 및 외피원단(10)과 바느질의 땀(2) 사이 틈새를 통해 누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봉제완구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봉제완구(1)에는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였을 때 비드형(구술형, 구형, 타원형 등)의 형상을 가지게 되는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가 사용된다(도5와 특허등록 제0492917호의 도면 참조).
도5는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와 일반 고흡수성 수지의 입자사진도면인바, 도5 A에 예시된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만이 본 고안에 적용할 수 있고, 도5의 B의 무정형(일반) 고흡수성 수지는 누출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본 고안에 적용된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는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였을 때 비드 형상이 되어서 내피원단(20)과 땀(2) 사이의 틈새를 투과할 수 없고, 설령 투과한다고 하더라도 극소량에 불과하게 된다.
물론, 물을 흡수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수지(30)는 일종의 분말 상태(비드형이라고 하더라도 비드의 직경이 매우 작은 상태)이고, 불충분하게 물을 흡수한 상태의 수지(30)는 직경이 작은 상태의 비드이므로, 내피원단(20)과 땀 사이의 틈새를 투과하여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분말 또는 작은 직경 상태의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는 내부공간(S)의 체적에 대비하여 적은 체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내피원단(20)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현실적으로는 분말 또는 작인 직경 상태의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가 내부공간(S)으로부터 누출되지 아니한다.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의 팽창된 비드(31)의 직경은, 적용된 내피원단(20)의 직조 밀도의 정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내피원단(20)이 고밀도일수록 비드(31)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작아도 되고, 내피원단(20)의 밀도가 낮으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비드(31)가 사용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자가 테스트한 바에 의하면 전술한 내피원단(20)의 조건에서 팽창전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의 직경은 어느 정도까지 클수록 좋지만, 평균적으로 0.1~1 mm이면 그 누출을 피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는 물을 흡수하였을 때 수십-수백 배로 팽창하게 되는 바, 내부공간(S)에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를 지나치게 많이 충전하면 최대한 물을 흡수하였을 때 과도한 팽창을 유발하여 원단(10, 20)에 가해지는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함으로써 비드(31)의 누출이나 바느질의 터짐이 일어날 가능성을 높여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수지(30)를 지나치게 적게 충전하면 최대로 팽창되었을 때 봉제완구(1)가 원래의 모양을 형성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고안자의 실험에 의하면,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의 흡수율(팽창률)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내부공간(S)에 흡수되는 물 중량의 1.2% 내지 10% 정도의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를 충전할 때 적합하였다. 그러나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의 충전량은, 사용되는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의 흡수율의 크기에 따라, 최대한 팽창되었을 때 본 고안의 봉제완구(1)가 지나치게 팽창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는 전술한 특허등록 제0492917호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시중에서 구입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고안자가 입수하여 사용한 여러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들 중에 소듐아크릴레이트 폴리머((C3H4O2)x·yNA)의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는, 그 벌크 밀도 0.9±0.1(g/ml)이고, 불수용성의 섭취와 피부접촉 등에 있어서 인체에 무해한 무취의 백색 수지로서, 대략 84배 정도의 물을 흡수하여 비드 형상으로 팽창하는 수지로서 특히 바람직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봉제완구(1)는 그 사용과정에서 물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균의 증식 등에 의해 냄새가 날 수 있는 바, 냄새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공간(S)에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와 함께 적당량(일반적으로 극소량임)의 방향제와 항균제 중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40)를 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첨가제(40)는 통상적으로 방향제나 항균제로 널리 사용되면서 인체에 무해한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물론 상기 냄새는 비누 등을 이용한 간단한 세척으로도 쉽게 제거된다.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는 원단(10, 20)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공간(S)에 직접 투입할 수도 있고, 별도로 만든 캡슐(32)에 넣어 충전할 수 있으며, 캡슐(32)은 물에 쉽게 녹는 수용성 캡슐이나 누르면 파손되는 캡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캡슐(32)을 적용하면, 캡슐(32)의 용량을 정량의 고흡수성 수지(30)의 량에 맞출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봉제완구(1)의 크기에 따라 그에 투입되는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의 량을 일정량으로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또한 본 고안의 봉제완구(1)가 유통되는 과정에서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가 내부공간(S) 내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일단 본 고안의 봉제완구(1)에 물을 투입한 후에 캡슐(32)은 녹거나 파손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봉제완구(1)는, 물을 흡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분말 상태이고 물을 흡수한 상태에서는 페이스트(또는 겔) 상태로서, 봉제완구의 충전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상상할 수 없었던 고흡수성 수지를, 봉제완구의 원단으로 투수성의 외피원단(10)과 투수성/비드-불투과성의 내피원단(20)의 이중 구조로 구성하는 한편 고흡수성 수지로서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를 적용함 으로써, 봉제완구의 충전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봉제완구(1)는 충전된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20)의 수분 흡수량 및 증발량에 따라 수축 및 팽창 상태가 가변되고 여러 가지 자세를 표출할 수 있게 되므로, 팽창/수축 현상 자체에 대한 재미는 물론 하나의 봉제완구에 대해 다양한 형상을 표출할 수 있다는 재미가 있으며, 아울러 물에서 놀기 적합하지 아니하였던 봉제완구를 물에서도 가지고 놀 수 있다.
본 고안자가 실험한 바에 의하면 도1에 예시된 본 고안의 봉제완구(1)의 경우, 고흡수성 수지(30)가 수분을 거의 흡수하지 않은 완전 수축상태의 봉제완구(1)를 물에 침지시켰을 때 수분을 최대한 흡수한 완전 팽창상태에 이르기까지 약 1-3분이 소요되었고, 완전 팽창상태의 봉제완구(1)에서 물이 증발되어 다시 완전 수축상태로 되기까지는 증발조건에 따라 몇시간에서 1주일 이상까지 소요되었다.
본 고안의 봉제완구(1)는 천으로 이루어진 원단(10, 20)에 물을 적용하는 것이므로 물이 묻은 원단으로 인하여 손에 불쾌감을 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지만, 고흡수성 수지(30)가 원단의 물을 최대한 흡수하게 되므로 실제에 있어서는 불쾌할 정도의 축축함이 없으며, 고흡수성 수지(30)에 흡수되어 있던 물이 서서히 증발하는 과정에서 흡열이 일어나 접촉하였을 때 시원한 느낌을 가지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봉제완구(1)에 물을 흡수시켜 팽창시킨 후에 이를 냉동시켜 상온에서 해동하게 될 경우에, 외피원단(10)과 내피원단(20)의 보온 작용으로 결로가 발생하지 아니하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천천히 해동되므로, 봉제완구(1)를 접촉할 때 축축하지 않으면서 지나치게 차지 않은 시원한 상태를 오래 동안 지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봉제완구(1)를 냉동시켜 사용하면, 간단하게 더위를 시킬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찜질이나 체온강하를 위한 용도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봉제완구(1)의 충전물로서 고흡수성 수지(30)와 함께 적당량의 방향제 및/또는 항균제의 첨가제(40)를 투입하면, 물의 사용에 따른 세균번식 및 냄새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차량이나 실내에 배치하여 방향 완구로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봉제완구(1)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에는, 그 포장지 등에 해당 봉제완구(1)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수분의 양(최대 흡수량, 중간 흡수량 등)을 다양하게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참조하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봉제완구들의 사시도 사진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봉제완구의 팽창 전후의 종단면 사진도면,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봉제완구의 단계적인 팽창 수축 과정의 사진도면,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봉제완구의 팽창 전후의 개략 종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봉제완구에 적합한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와 일반 고흡수성 수지의 입자사진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봉제완구
2: 바느질 땀
10: 투수성 외피원단
20: 투수성/비드-불투과성 내피원단
30: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
31: 비드
32: 캡슐
40: 첨가제
S: 내부공간

Claims (4)

  1. 통상의 봉제완구의 외피로 사용되는 물이 투과되는 투수성 외피원단(10)의 내면에 물이 투과되는 투수성 내피원단(20)을 적층하여 완구의 형상에 맞게 바느질하고, 바느질된 상기 외피원단(10)과 상기 내피원단(20)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S)에, 물을 흡수하였을 때 비드(31)의 형상으로 팽창하는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를 상기 내부공간(S)의 체적에 대응하는 양으로 충전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피원단(10)과 상기 내피원단(20)이 투수성이면서 적어도 상기 내피원단(20)은 팽창전 직경이 0.1~1 mm인 상기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가 투과되지 않게 직조된 비드-불투과성 원단이고, 상기 내피원단(20)의 바느질은 상기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가 누출되지 않는 인치당 7~20 땀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는 상기 내부공간(S)이 수용할 수 있는 물의 중량의 1.2% 내지 10%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S)에는 방향제와 항균제 중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40)가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30)는 물에 쉽게 용해되거나 용이하게 파손되는 캡슐(32)에 투입되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
KR2020080008084U 2008-06-17 2008-06-17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443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084U KR200443281Y1 (ko) 2008-06-17 2008-06-17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
PCT/KR2009/001228 WO2009154342A1 (en) 2008-06-17 2009-03-12 Stuffed toy filled with super absorbent polymer
JP2009003901U JP3153003U (ja) 2008-06-17 2009-06-10 高吸収性樹脂が充填された縫製玩具
CN2009201564487U CN201578852U (zh) 2008-06-17 2009-06-15 填充有高吸水性树脂的缝制玩具
US12/456,589 US8241086B2 (en) 2008-06-17 2009-06-16 Stuffed toy filled with super absorbent polymer
EP09007919A EP2135654A1 (en) 2008-06-17 2009-06-17 Stuffed toy filled with super absorbent poly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084U KR200443281Y1 (ko) 2008-06-17 2008-06-17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281Y1 true KR200443281Y1 (ko) 2009-02-05

Family

ID=4122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08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3281Y1 (ko) 2008-06-17 2008-06-17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41086B2 (ko)
EP (1) EP2135654A1 (ko)
JP (1) JP3153003U (ko)
KR (1) KR200443281Y1 (ko)
CN (1) CN201578852U (ko)
WO (1) WO200915434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936B1 (ko) 2011-01-31 2013-04-23 국방과학연구소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고무타일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운동체
KR102005353B1 (ko) * 2018-06-29 2019-07-30 이지수 헤드 분리형 봉제인형
KR102005678B1 (ko) * 2018-06-15 2019-07-31 이지수 헤드의 분리가 가능한 항균 방향성 봉제인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8475B2 (en) * 2010-01-04 2013-03-05 Timothy Leefeldt Water skipping game bag
USD703770S1 (en) * 2013-07-12 2014-04-29 IdeaVillage Products, Inc Toy
USD707308S1 (en) * 2013-07-12 2014-06-17 Idea Village Products Corp Toy
BR112017002888A2 (pt) 2014-08-12 2017-12-05 Nextgen Jane Inc sistema e método para monitoramento de saúde em fluido corpóreo coletado
EP3442706B1 (en) 2016-04-13 2025-07-23 NextGen Jane, Inc. Sampl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methods
US10541633B2 (en) * 2017-03-24 2020-01-21 Husky Oil Operations Limited Loa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ydrocarbon pump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779A (en) * 1896-03-24 Gold-separating machine
GB211602A (en) * 1922-12-01 1924-02-28 Mally Peabody Beach Utilitarian toys and dolls
DE3613207A1 (de) * 1986-04-18 1987-10-22 Akzo Gmbh Mit wasser quellbare zusammensetzung,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S6371096U (ko) * 1986-10-27 1988-05-12
DE4406951A1 (de) 1994-03-03 1995-09-07 Bayer Ag Superabsorbierende Polymerisate
DE4426008A1 (de) * 1994-07-22 1996-01-25 Cassella Ag Hydrophile, hochquellfähige Hydrogele
US6503582B1 (en) * 1997-08-19 2003-01-07 Mattel, Inc. Fluid-swellable composition,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EP0970731A1 (en) * 1997-10-31 2000-01-12 Hiroaki Suzuki Stuffed doll
BR0114730A (pt) * 2000-10-19 2004-07-06 Basf Ag Polìmero intumescìvel em água reticulado, e, processo para preparar o mesmo
US6409569B1 (en) * 2001-04-03 2002-06-25 Stephen D. Boone Container for liquid dissolvable capsules containing compressed, expandable toy figures
EP1427452A1 (de) * 2001-09-07 2004-06-16 Basf Aktiengesellschaft Super-absorbierende hydrogele bestimmter teilchengroessenverteilung
CA2461573A1 (en) * 2001-10-01 2003-04-10 Basf Aktiengesellschaft Polymer mixture of hydrogels with different ph value
JP2003135860A (ja) * 2001-11-07 2003-05-13 Mitsumi Electric Co Ltd 成長型人形
US7347988B2 (en) * 2001-11-15 2008-03-25 University Of North Texas Synthesis, uses and compositions of crystal hydrogels
WO2004092917A2 (en) 2003-04-11 2004-10-28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n alternative delivery point code
KR100492917B1 (ko) 2003-08-30 2005-06-01 애경정밀화학 주식회사 비드상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US20080125004A1 (en) * 2003-10-16 2008-05-29 Ching-Chun Tsai Inflating toy
KR20050010997A (ko) * 2005-01-10 2005-01-28 (주)버팔로 환경친화적 다기능 고흡수성 패드
PT1879670E (pt) * 2005-05-12 2010-06-28 Waboba Ab Bola adequada para jogos aquáticos
US7422507B2 (en) * 2005-09-29 2008-09-09 Chernick Mark J Toy figure that combines plush construction with elastomeric gel
KR200416184Y1 (ko) * 2006-02-28 2006-05-15 황혜성 팽창 완구
US20070254555A1 (en) * 2006-04-28 2007-11-01 Johnson Jason R Stuffed toy with embedded magnets and related method
US20080009220A1 (en) * 2006-05-22 2008-01-10 Mike Simpson Test Tube Alien Toy
US7815878B1 (en) * 2006-08-29 2010-10-19 American Covers, Inc. Aromatherapy puffer bal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936B1 (ko) 2011-01-31 2013-04-23 국방과학연구소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고무타일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운동체
KR102005678B1 (ko) * 2018-06-15 2019-07-31 이지수 헤드의 분리가 가능한 항균 방향성 봉제인형
KR102005353B1 (ko) * 2018-06-29 2019-07-30 이지수 헤드 분리형 봉제인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53003U (ja) 2009-08-20
US8241086B2 (en) 2012-08-14
EP2135654A1 (en) 2009-12-23
US20100003890A1 (en) 2010-01-07
WO2009154342A1 (en) 2009-12-23
CN201578852U (zh)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281Y1 (ko) 고흡수성 수지가 충전된 봉제완구
JP3164974U (ja) 内側ラップ及び外側ラップを含む変形可能なタンポン
ES2156919T5 (es) Hoja absorbente y procedimiento de producción de la misma.
ES2382750T3 (es) Núcleo absorbente que tiene una estructura mejorada
KR20200138195A (ko) 흡수성 물품
ES2560890T3 (es) Textil no tejido de nanofibras con polvo superabsorbente incorporado
JPS6094601A (ja) 使い捨て尿用パツド
BRPI0809883A2 (pt) Produto absorvente para prevenção de vazamento
BRPI0520364B1 (pt) tampão compreendendo fibras de viscose multi-ramificadas
US7048976B2 (en) Cooling article involving evaporation of water from a polymer absorbent
JP6441629B2 (ja) 吸収性物品
JP3725388B2 (ja) 繊維塊を有する生理用タンポン
BR112016001652B1 (pt) Artigo absorvente
ES2200915T3 (es) Estructura absorbente en un articulo absorbente y su metodo de produccion.
JP6523398B2 (ja) 吸収性物品
KR102722131B1 (ko) 흡수성 물품
JP3807834B2 (ja) 吸収体
AU2002364670B2 (en) Article with cooling effect by evaporation of water from a polymer adsorbent
BR112019009491A2 (pt) estrutura funcional, e, artigo absorvente descartável.
US20020095128A1 (en) Withdrawal String for a tampon
JP2020151352A5 (ko)
ES2299463T3 (es) Articulo absorbente con proteccion contra los fluidos.
CN214361139U (zh) 一种祛味吸汗贴
TWI837420B (zh) 機能性片及具備該機能性片之吸收性物品、以及該等的製造方法
GB2383539A (en) Cooling Article Involving Evaporation of Water from a Polymer Absorb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6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7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916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121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01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711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