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305Y1 - Combined valves to control temperature and flow - Google Patents
Combined valves to control temperature and flo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0305Y1 KR200440305Y1 KR2020080002467U KR20080002467U KR200440305Y1 KR 200440305 Y1 KR200440305 Y1 KR 200440305Y1 KR 2020080002467 U KR2020080002467 U KR 2020080002467U KR 20080002467 U KR20080002467 U KR 20080002467U KR 200440305 Y1 KR200440305 Y1 KR 20044030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coupled
- valve
- valve body
- motor box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밸브몸체와, 유량조절콘이 결합된 피스톤작동부와, 리미트핀과, 리미트플러그와, 피스톤작동스프링과, 유량조절소켓과, 락브라켓과, 모터박스부와, 동력공급부와, 키블럭부와, 피스톤작동캠과, 핸들플러그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합밸브를 제공하며, 하나의 밸브에 유량조절과 온도에 따른 개폐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작원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밸브의 균형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어 난방면적에 따른 적정량의 유량의 조절할 수 있음 물론, 난방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valve body, a piston operating part combined with a flow control cone, a limit pin, a limit plug, a piston operating spring, a flow adjusting socket, a lock bracket, a motor box part, a power supply part, a key Provides a composite valve that controls the temperature and flow rate,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block portion, a piston operation cam, and a handle plug, and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configuring a single valve to have a flow control and temperature-opening func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balance the valve can be adjusted to the appropriate amount of flow rate according to the heating area, of course, there is an advantage to keep the heating temperature constant.
또한, 본 고안의 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합밸브는 환수헤더 측에 설치되어 있어 복합밸브를 통과하는 온수에 의한 포화증기압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포발생률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된 기포가 방바닥에 매설된 급수라인을 거치지 않고 환수헤더와 환수관을 통해 실외로 바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어 실내에서의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e valv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flow 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eturn header side to reduce the saturated steam pressure due to hot water passing through the composite valve, thereby not only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bubble generation rate In addition, the generated bubbles are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turn header and the return pipe without going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embedded in the floor, which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noise in the room.
온도조절, 유량조절, 복합밸브, 포화증기, 기포, 소음방지 Temperature control, flow control, combined valve, saturated steam, bubble, noise prevent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합밸브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밸브에 유량조절과 온도에 따른 개폐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작원가를 줄일 수 있고, 밸브의 균형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어 난방면적에 따른 적정량의 유량의 조절할 수 있음 물론, 난방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복합밸브를 환수헤더 측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복합밸브를 통과하는 온수에 의한 포화증기압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기포발생률을 줄일 수 있으며, 발생된 기포를 방바닥에 매설된 급수라인을 거치지 않고 환수헤더와 환수관을 통해 실외로 바로 배출할 수 있어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합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valv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flow rate, and can be manufactured 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by easily adjusting the flow ra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 one valve, it is possible to easily balance the valve to the heating area The flow rate can be adjusted accordingly. Of course, the heating temperature can be kept constant, and the combined valve is installed on the return header side to reduce the saturated steam pressure caused by the hot water passing through the combined valve. Of course, the bubble generation rate can be reduced accordingly, and the generated bubbles can be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turn header and the return pipe without going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buried in the floor, so that the temperature and flow rate can be prevented. It relates to a combined valve to control.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난방용 온수분배기에는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밸브와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며, 상기와 같이 유량조절밸브와 온도조절밸브가 설치된 통상적인 난방용 온수분배기는 유체가 유량조절밸브를 통과할 때 생기는 기포가 뭉치거나 쪼개지면서 폭발음이 발생한다.In general, the hot water distributor for heating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a flow control valv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As described above, in a typical heating hot water dispenser installed with a flow control valve and a temperature control valve, the fluid is a flow control valve. Explosion sounds occur when bubbles are generated when they pass through them.
그리고, 상기와 같은 폭발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은, 유량조절밸브의 관로가 꺽이는 부위나 유속이 빠른 부위 즉, 유량조절콘이 구성된 유입구 측에서 크게 발생하는데, 이는 유체가 빠른 속도로 꺽여 흐르면서 생기는 다수의 기포에 의한 것이며, 이와 같은 기포는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통과하는 유체의 온도가 고온일수록 증대된 포화증기압에 의해 더욱 가중되게 된다.In addition, the noise generated by the explosion sound is largely generated at a portion where the pipe of the flow control valve is bent or at a high flow rate, that is, at the inlet side at which the flow control cone is configured. This bubble is caused by the saturated steam pressur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low control valve is high.
도 1은 종래의 온도조절밸브와 유량조절밸브가 구성된 종래의 난방용 온수분배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hot water distributor for heating is configured with a conventional temperature control valve and a flow control valve.
종래의 난방용 온수분배기에는 유량조절밸브(210)와 온도조절밸브(220)가 설치되어 지는데, 상기 유량조절밸브(210)와 온도조절밸브(220)는 통상적으로 급수헤더(202)와 환수헤더(204)를 연결하는 급수라인(203)에 각각 설치되어 별개로 작동되어 진다.The conventional heating hot water distributor is provided with a
이때에, 상기 유량조절밸브(210)는 급수헤더(202) 측에 설치되어 난방면적에 따른 유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온도조절밸브(220)는 환수헤더(204) 측에 설치되어 각각의 사용면적에서 설정된 온도조절장치(205)의 제어에 의해 밸브를 개폐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2중 구조로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별도 작동하는 유량조절밸브(210)와 온도조절밸브(220)를 사용하게 되면, 각각의 기능과 설치 위치가 분리되어 있어 상호의 균형이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중복된 제작에 의하여 제작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유량조절밸브(210)가 급수헤더(202)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급수헤더(202)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온수(약 75℃)에 의해 유량조절밸브(210) 내부의 포화증기압의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른 기포의 발생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렇게 발생된 기포가 급수헤더(202)와 환수헤더(204)를 연결하는 급수라인(203)을 통과할 시 파괴(미세기포로 분할)되면서 폭발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급수라인(203)이 매설된 방바닥(미도시)을 통해 입주자가 소음을 감지하게 되어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온도조절밸브와 유량조절밸브의 위치를 바꾸어 온도조절밸브를 급수헤더 측에 설치하고, 유량조절밸브를 환수헤더 측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상기 온도조절밸브는 전동밸브로써 제어기판이 일체로 된 구조이기 때문에 열에 취약하여 실질적인 사용이 불가능하였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mperature control valve and the position of the flow control valve were changed to install the temperature control valve on the water supply header side, and the flow control valve was installed on the return header side. Since the temperature control valve is a motorized valve, the control plate is integrated, and thus, the temperature control valve is vulnerable to heat and thus practical use thereof is impossible.
상기와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합밸브는 하측에 유입구를 구성하고, 상기 유입구의 상측으로는 양측이 관통된 개구부를 구성하며, 상부 내측으로는 플러그결합부와 피스톤회전방지키홈을 구성한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의 내측에 상, 하로 이동되도록 끼워지되, 중앙으로 관통된 핀결합부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유량조절콘이 결합되는 콘결합부를 형성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위치되며 롤러가 결합되는 롤러결합부를 형성한 피스톤로드로 구성된 피스톤작동부와, 상기 피스톤의 핀결합부에 결합되되, 일측이 타측보다 길게 형성되어 밸브몸체에 구성된 피스톤회전방지키홈에 상, 하로 이동되도록 끼워지며, 상측으로는 풀림방지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프링홈을 구성한 리미트핀과, 상기 리미프핀에 밀착되도록 상기 밸브몸체의 플러그결합부에 결합되되, 상측으로 조절용핀홀을 구성하고, 중앙으로는 상기 피스톤을 끼울 수 있도록 관통홀을 구성하며, 상기 관통홀의 양측으로는 상기 리미트핀에 끼워진 풀림방지스프링이 삽입되어 걸리는 스프링턱이 구성된 리미트플러그와, 상기 밸브몸체와 피스톤에 결합된 리미트핀의 하측에 구성되어 탄성 작용을 하는 피스톤작동스프링과, 상기 밸브몸체에 구성된 개구부가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는 유량조절콘에 의해 개폐되도록 밸브몸체의 유입구 내측에 결합되어 지되, 내부에는 유체통로를 구성하고, 하측으로는 결합을 위한 소켓결합부를 구성한 유량조절소켓과, 락너트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의 상측에 결합되되, 내부에는 피스톤이 끼워지도록 중공부를 형성한 락브라켓과,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락브라켓에 결합되되, 내부에 브라켓홀과 회전축을 형성한 모터박스밑판과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모터박스밑판에 결합되 며 상측에는 블럭홈을 형성한 모터박스윗판으로 구성된 모터박스부와, 상기 모터박스부에 설치되는 모터기어를 형성한 개폐모터와 상기 모터기어에 물려 회전하며 내부 양측에는 기어키홈을 형성한 피스톤기어로 구성된 동력공급부와, 상측이 상기 모터박스부에 구성된 블럭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지되, 하부 양측으로는 상기 동력공급부의 기어키홈에 결합되는 블럭키를 구성하고, 내측으로는 리턴스프링이 삽입되는 리턴스프링홈을 구성한 키블럭부와,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는 롤러에 맞닿도록 모터박스부에 구성된 회전축에 끼워지되, 하부로는 상기 롤러에 결합된 피스톤이 작동되도록 양측을 다른 높이로 형성하여 경사부를 구성하고, 내부 양측으로는 상기 키블럭부의 블럭키가 결합되는 작동키홈을 구성하며, 외부 양측으로는 센서에 의해 작동하는 위치감지부를 구성한 피스톤작동캠과, 상기 모터박스부의 외부로 돌출형성된 키블럭부에 결합되는 핸들플러그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The composite valv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flow 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problem to be solved as described above constitutes an inlet on the lower side, the opening on both sides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inlet, the plug inside the upper A valve body constituting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piston anti-rotation key groove, and inserted into the valve body to move up and down, form a pin coupling portion penetrated to the center, and the cone coupling portion to the flow control cone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A piston operating part comprising a piston and a piston rod formed on the top of the piston and forming a roller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roller is coupled, and a piston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pin coupling portion of the piston, one side of which is formed longer than the other side of the piston body. It is fitted to be moved up and down in the rotation preventing key groove, and the upper part of the limit constitutes a spring groove into which the release prevention spring is fitted A pin and coupled to the plug coupling portion of the valve bod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imit pin, constituting an adjusting pin hole at an upper side, and forming a through hole at which the piston can be inserted at the center, and at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A limit plug composed of a spring chuck to which the release preventing spring inserted into the limit pin is inserted, a piston actuating spring configured to be elastic under the limit pin coupled to the valve body and the piston, and an opening formed in the valve body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let of the valve body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flow control cone coupled to the piston, the inside of the fluid passage, and the lower side of the flow control socket constituting the socket coupling for coupling, and the valve by the lock nut It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and the inside of the lock bracket to form a hollow so that the piston is fitted, The motor box portion is coupled to the lock bracket by means, the motor box bottom plate formed in the bracket hole and the rotating shaft therein and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motor box by the coupling means, and the upper side of the motor box formed block groove on the upper side And a power supply unit comprising an opening / closing motor having a motor gear installed at the motor box part and a piston gear which is rotated by the motor gear and has gear key grooves at both sides thereof, and a block groove formed at the upper side of the motor box part. Is protruded through the outside, the lower both sides constitute a block key coupled to the gear key groove of the power supply, the inner side of the key block portion constituting a return spring groove is inserted into the return spring, and is coupled to the piston It is fitted to the rotating shaft configured in the motor box portion to abut the roller, the lower side of the other to operate the piston coupled to the roller Formed by this to form an inclined portion, the inner both sides constitute an operation key groove to which the block key of the key block is coupled, the outer both sides constitute a piston operation cam comprising a position sensing unit operated by a sensor, the outside of the motor box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handle plug coupled to the key block portion protruded to.
본 고안에 따른 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합밸브는 하나의 밸브에 유량조절과 온도에 따른 개폐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작원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밸브의 균형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어 난방면적에 따른 적정량의 유량의 조절할 수 있음 물론, 난방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mposite valv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flow 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single valve to control the flow ra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not only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ut also to easily balance the valve, Can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appropriate amount Of course, there is an advantage to keep the heating temperature constant.
또한, 본 고안의 복합밸브를 환수헤더 측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복합밸브를 통과하는 온수에 의한 포화증기압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포발생률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된 기포가 방바닥에 매설된 급수라 인을 거치지 않고 환수헤더와 환수관을 통해 실외로 바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어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In addition, the composit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eturn header side to reduce the saturated steam pressure due to hot water passing through the composite valve, thereby reducing the incidence of bubbles, as well as the generated bubbles It is a useful design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because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turn header and the return pipe without going through the water line embedded in the floo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re as follows.
본 고안에 따른 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합밸브(150)는 본 출원인이 동일자로 출원한 무 소음 분배시스템에 적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용 온수분배기(9)에 장착하여 사용되며, 밸브몸체(10)와, 피스톤작동부(20)와, 유량조절콘(30)와, 리미트핀(40)과, 리미트플러그(50)와, 피스톤작동스프링(60)과, 유량조절소켓(70)과, 락브라켓(80)과, 모터박스부(90)와, 동력공급부(100)와, 키블럭부(110)와, 피스톤작동캠(120)과, 핸들플러그(130)로 구성된다.The
먼저, 상기 밸브몸체(10)는 난방용 온수분배기(9)의 환수헤더(4)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측에 유입구(11)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유입구(11)의 상측으로는 양측이 관통된 개구부(12)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부 내측으로는 플러그결합부(13)와 피스톤회전방지키홈(14)을 구성하고 있다.First, the
여기서, 상기 밸브몸체(10)의 유입구(11)와 개구부(12)가 형성된 하측 부위는 환수헤더(4)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해야 하며, 상기 밸브몸체(10)가 결합되는 환수헤더(4)의 상부에는 오링(O)을 끼움으로써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Here, the lower portion where the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10)의 상부에는 락브라켓(80)을 결합고정시키는 모터박스고정키홈(15)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피스톤작동부(20)는 피스톤(23)과 피스톤로드(25)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피스톤(23)은 상기 밸브몸체(10)의 내측에 상, 하로 이동되도록 끼워지는 것으로, 중앙으로는 관통된 핀결합부(21)를 형성하고 있고, 하측으로는 유량조절콘(30)이 결합되는 콘결합부(22)를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피스톤(20)의 콘결합부(22)에 결합되는 유량조절콘(30)은 공지된 바와 같이 상측에 개폐용패킹(31)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개폐용패킹(31)이 구성된 유량조절콘(30)의 상, 하측에 끼워지는 와셔(32)와 스냅링(33)에 의해 피스톤(20)의 콘결합부(22)에 고정결합되어 진다.Here, the
아울러, 상기 피스톤로드(25)는 상기 피스톤(23)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측으로는 롤러조립핀(P)에 의해 롤러(R)가 결합되는 롤러결합부(24)를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리미트핀(40)은 상기 피스톤작동부(20)의 핀결합부(21)에 결합되어 피스톤작동부(20)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작동되는 것으로, 일측이 타측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밸브몸체(10)에 구성된 피스톤회전방지키홈(14)에 상, 하로 이동되도록 끼워지며, 상측으로는 풀림방지스프링(41)이 끼워지는 스프링홈(42)을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리미트플러그(50)는 상기 리미프핀(40)에 밀착되도록 상기 밸브 몸체(10)의 플러그결합부(13)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측에는 조절용핀홀(51)을 구성하고 있어 밸브몸체(10)에 상부 내측에 구성된 플러그결합부(13)에 결합되어 지고, 중앙으로는 상기 피스톤작동부(20)가 끼워지는 관통홀(52)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관통홀(52)의 양측으로는 상기 리미트핀(40)에 끼워진 풀림방지스프링(41)이 삽입되어 걸리는 스프링턱(53)을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리미트플러그(50)의 스프팅턱(53)과 리미트핀(40)의 스프링홈(42) 사이에 끼워지는 풀림방지스프링(41)은 탄성력에 의해 리미트플러그(50)를 누르는 작용을 하고 있고, 상기 리미트핀(40)이 밸브몸체(10)에 구성된 피스톤회전방지키홈(14)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피스톤작동부(20)의 작동시 리미트플러그(50)가 회전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리미트플러그(50)가 자동으로 풀리는 현상이 방지된다.Here, the
아울러, 상기 리미트플러그(50)의 상측으로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용핀홀(51)을 통해 회전 이송된 리미트플러그(50)의 이송에 따른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다이얼눈금(54a)이 표시된 다이얼플레이트(5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피스톤작동스프링(60)은 도 3 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몸체(10)의 내부에 끼워지는 것으로, 밸브몸체(10)와 피스톤(20)에 끼워진 리미트핀(40)의 하측에 걸려 탄성 작용을 함으로서, 피스톤작동부(20)의 상, 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piston actuated
또한, 상기 유량조절소켓(70)은 상기 환수헤더(4)의 하측에 결합됨과 동시 에, 상기 밸브몸체(10)에 구성된 개구부(12)가 상기 피스톤(20)에 결합되는 유량조절콘(30)에 의해 개폐되도록 밸브몸체(10)의 유입구(11) 내측에 결합되어 지는 것으로, 내부에는 급수헤더(2)와 환수헤더(4)를 연결하는 급수라인(3)을 통해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통로(71)를 구성하고 있고, 하측으로는 급수라인조립소켓(73)에 의해 급수라인(3)에 결합되는 소켓결합부(72)를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유량조절소켓(70)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작동부(20)가 최하단으로 하강하였을 시에 유량조절콘(30)의 상측에 형성된 개폐용패킹(31)이 유량조절소켓(70)의 상부에 맞닿아 밸브몸체(10)에 구성된 개구부(12)가 폐쇄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야 하며, 상기 유량조절소켓(70)이 결합되는 환수헤더(4)의 하측에는 오링(O)을 끼움으로써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다.Here, the
또한, 상기 락브라켓(80)은 도 3 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락너트(81)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10)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피스톤작동부(20)가 끼워지도록 중공부(82)를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락브라켓(80)의 하측으로는 상기 밸브몸체(10)에 구성된 모터박스고정키홈(15)에 결합되는 모터박스고정키(8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락브라켓(80)을 밸브몸체(10)에 흔들림 없이 고정결합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모터박스부(90)는 모터박스밑판(93)과 모터박스윗판(95)으로 분리 구성되어 상기 락브라켓(8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박스밑판(93)은 볼트와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락브라켓(80)의 상부가 내부로 돌출결합되도록 하측에 브라켓홀(91)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브라켓홀(91)의 일측으로는 회전턱(92a)이 형 성된 회전축(92)을 구성하고 있으며, 내부 일측으로는 위치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모터박스윗판(95)은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모터박스밑판(93)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92)에 대향되는 상측면에 블럭홈(94)을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motor box
또한, 상기 동력공급부(100)는 상기 모터박스부(90)에 설치되는 것으로, 모터기어(101)를 형성한 개폐모터(102)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모터기어(101)에 물려 회전되며 내부 양측으로는 기어키홈(103)을 형성한 피스톤기어(104)를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키블럭부(110)는 상측이 상기 모터박스부(90)에 구성된 블럭홈(9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모터박스부(90)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 양측으로는 상기 동력공급부(100)의 피스톤기어(104) 구성된 기어키홈(103)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블럭키(111)를 구성하고 있으며, 내측으로는 리턴스프링(112)이 삽입되는 리턴스프링홈(113)을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피스톤작동캠(120)은 상기 피스톤작동부(20)에 구성된 피스톤로드(25)의 상측에 결합된 롤러(R)에 맞닿도록 모터박스부(90)에 구성된 회전축(92)에 끼워지는 것으로, 하부로는 상기 롤러(R)에 결합된 피스톤작동부(20)가 작동되도록 양측을 다른 높이로 형성하여 경사부(121)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경사부(121)가 상기 회전축(92)에 형성된 회전턱(92a)에 맞닿도록 되어 있어 피스톤작동캠(120)의 하강이 방지되게 된다.In addition, the piston actuating
그리고, 피스톤작동캠(120)의 내부 양측으로는 상기 키블럭부(110)의 블럭키(111)가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작동키홈(122)을 구성하고 있으며, 외부 양측으로는 모터박스부(90)에 구성된 센서에 의해 작동하는 위치감지부(123)를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ide of the
또한, 상기 핸들플러그(130)는 상기 모터박스부(90)의 외부로 돌출형성된 키블럭부(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키블럭부(110)의 상부가 결합되는 블럭삽입홀(131)을 내부에 구성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고안의 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합밸브(150)를 모터박스부(90)에 설치된 동력공급부(100)의 작동에 따라 피스톤작동부(20)가 상, 하로 이동하여 밸브몸체(10)에 구성된 개구부(12)가 개폐될 수 있도록 밸브몸체(10)에 결합된 리미트플러그(50)를 적정한 높이로 위치시킨 상태로 환수헤더(4)에 결합시킨 다음, 공지된 온도조절장치(6)를 본 고안의 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합밸브(150)에 연결시킨다.Firs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여기서, 상기 리미트플러그(50)의 높이 조절은 본 고안의 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합밸브(150)의 락너트(81)를 풀러 밸브몸체(10)에서 락브라켓(80)을 탈착시킨 후, 상기 리미트플러그(50)의 상측에 형성된 조절용핀홀(51)에 임의의 핀(미도시)을 꽂은 다음, 다이얼플레이트(54)를 확인하면서 돌림으로써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리미트플러그(50)의 높이 조절을 완료한 후에는, 락브라켓(80)에 구성된 모터박스고정키(83)를 밸브몸체(10)에 구성된 모터박스고정키홈(15)에 삽입시킨 후, 락너트(81)를 조임으로써 본 고안의 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합밸브(150)의 결합을 완료할 수 있다.Here,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합밸브(150)를 난방용 온수분배기(9)에 구성된 환수헤더(4)에 결합시킨 후, 본 출원인이 동일자로 출원한 무 소음 분배시스템에 적용하여 동작을 시키면, 온도조절장치(6)에 의해 모터박스부(90)에 설치된 동력공급부(100)의 개폐모터(102)가 작동한다.After combining the combined
이처럼 개폐모터(102)가 작동하게 되면, 개폐모터(102)에 형성된 모터기어(10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모터기어(101)의 회전에 따라 모터기어(101)에 맞물려 있는 피스톤기어(104)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피스톤기어(104)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기어(104)의 기어키홈(103)에 결합된 키블럭부(110)가 회전하게 된다.When the opening and
그리고, 상기 피스톤기어(104)의 기어키홈(103)에 블럭키(111)의 상부가 결합되어 키블럭부(110)가 회전하게 되면, 키블럭부(110)의 블럭키(111) 하부에 결합된 피스톤작동캠(120)이 회전하여 피스톤작동부(2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이와 같은 작용은 피스톤작동캠(120)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부(121)에 맞닿아 회전하는 롤러(R) 및 상기 밸브몸체(10) 내부에 구성된 피스톤작동스프링(60)에 의해 발생되며, 이때 상기 경사부(121)가 형성된 피스톤작동캠(120)의 양측으로는 모터박스부(90)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감지부(123)를 구성하고 있어 센서의 감지에 따라 동력공급부(100)의 개폐모터(102)의 작동을 정지시켜 피스톤작동부(20)를 상측 또는 하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아울러, 상기와 같이 피스톤작동부(20)가 상측 또는 하측에 고정되게 되면, 피스톤(20)의 콘결합부(22)에 결합된 유량조절콘(30)이 상기 피스톤작동부(20)와 같이 움직이게 되어 밸브몸체(10)에 구성된 개구부(12)를 개폐하는 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피스톤작동부(20)와 같이 움직이는 유량조절콘(30)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플러그(50)의 높이 조절에 따라 달라지는 리미트핀(40)의 변위만큼만 상측으로 올라가 개구부(12)를 개방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개구부(12)를 통해 흐르는 유량이 유량조절콘(30)의 형상에 따라 조절되어 진다.In addition, when the
상기와 같이 유량조절콘(30)에 의해 밸브몸체(10)에 구성된 개구부(12)가 개방되게 되면, 보일러(미도시)에서 온수가 급수관(1)을 통해 유입되게 되며, 상기 급수관(1)을 통해 유입되는 온수는 급수관(1)에 연결된 급수헤더(2)를 거친 후, 급수헤더(2)에 구성된 다수의 급수라인(3)을 통해 방바닥(미도시)을 지난 다음, 환수헤더(4)로 이동되어 지는데, 상기 급수라인(3)을 통해 이동되는 온수는 급수라인조립소켓(73)에 의해 급수라인(3)과 연결된 유량조절소켓(70)을 통하여 밸브몸체(10)의 유입구(11)로 유입되어 개방된 개구부(12)를 통해 환수헤더(4)로 흐르게 되며, 상기 환수헤더(4)로 흐른 온수는 환수헤더(4)에 연결된 환수관(5)을 통해 배출되어 진다.When the
아울러, 장시간 사용하지 않거나, 점검 등으로 인하여 환수헤더(4) 내부로 유량을 유입시키지 않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몸체(10)에 구성된 개구부(12)가 유량조절콘(30)에 의해 폐쇄되도록 밸브몸체(10)에 결합된 리미트플러그(50)를 전술한 방법으로 회전시켜 높이를 최대한 낮춤으로써 피스톤작동부(20)에 결합된 리미트핀(40)이 상측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로써 유량조절콘(30)이 개구부(12)를 완전폐쇄하여 환수헤더(4) 내부로 유량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not using for a long time, or if you do not want to flow the flow into the return header (4) due to the inspection, etc., as shown in Figure 3, the
그리고, 환수헤더(4)로 유입되는 유량의 흐름을 수동으로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구성된 핸들플러그(130)를 눌러 키블럭부(110)의 블럭키(111)를 피스톤작동캠(120)의 작동키홈(122)에서 탈착시킴으로써 동력공급부(100)에 구성된 모터기어(101)와 무관하게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And, if you want to manually operate the flow of the flow flowing into the return header (4), as shown in Figure 8 by pressing the
이하에서는 온수의 흐름에 따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hot wa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와 같이 보일러에서 급수관(1)을 통해 급수헤더(2)로 유입되는 온수는 약 75℃정도로 고온의 온수가 유입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고온의 온수는 방바닥을 지나는 다수의 급수라인(3)을 거치면서 식혀지게 되어 환수헤더(4)로 유입될 시에는 약 40℃정도의 저온의 온수로 바뀌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ot water introduced into the
이처럼, 본 고안에서는 환수헤더(4)에 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합밸브(150)가 결합되어 지기 때문에 유량조절콘(30)과 개구부(12)를 통과하는 온수가 저온의 온수이며, 이에 따라 포화증기압이 낮아져 상기 유량조절콘(30)과 개구부(12)를 통과할 때 기포의 발생이 적게 일어난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bined
아울러, 상기 밸브몸체(10)에 구성된 개구부(12)를 통과하면서 생기는 기포의 발생이 환수헤더(4) 내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기포가 바로 파괴되어 소음이 발생하여도 환수헤더(4) 자체에서 방음이 될 뿐만 아니라, 소음이 환수관(5)을 통해 바로 배출되기 때문에서 소음이 사용자가 거주하는 실내로 확산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generation of bubbles gener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또한, 상기 환수헤더(4)에 결합된 하나의 밸브로 유량조절기능과 개폐기능을 하기 때문에 난방면적에 따른 유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난방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one of the valves coupled to the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도 1은 종래의 온도조절밸브와 유량조절밸브가 구성된 종래의 난방용 온수분배기를 도시한 개략도.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hot water distributor for heating is configured with a conventional temperature control valve and a flow control valve.
도 2는 본 고안의 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합밸브가 설치된 난방용 온수분배기를 도시한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ot water distributor for heating is installed a composite valve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flow 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합밸브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valv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flow rate of the subject innovation.
도 4는 본 고안의 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합밸브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Figure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valv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flow 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리미트플러그와 리미트핀이 설치된 밸브몸체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valve body provided with a limit plug and a limit pi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피스톤작동부가 하강하여 유량조절콘에 의해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is closed by the flow control cone descending the piston op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피스톤작동부가 상승하여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is opened by the piston opera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핸들플러그를 눌러 개구부의 개폐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manually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the pressing of the handle plu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O : 오링 P : 롤러조립핀O: O-ring P: Roller Assembly Pin
R : 롤러 1 : 급수관R: roller 1: water pipe
2 : 급수헤더 3 : 급수라인2: water supply header 3: water supply line
4 : 환수헤더 5 : 환수관4: return header 5: return pipe
6 : 온도조절장치 9 : 난방용 온수분배기6: temperature controller 9: hot water distributor for heating
10 : 밸브몸체 11 : 유입구10: valve body 11: inlet
12 : 개구부 13 : 플러그결합부12: opening 13: plug coupling portion
14 : 피스톤화전방지키홈 15 : 모터박스고정키홈14: Piston fire prevention key groove 15: Motor box fixing key groove
20 : 피스톤작동부 21 : 핀결합부20: piston operating portion 21: pin coupling portion
22 : 콘결합부 23 : 피스톤22: cone coupling portion 23: piston
24 : 롤러결합부 25 : 피스톤로드24: roller coupling portion 25: piston rod
30 : 유량조절콘 31 : 개폐용패킹30: flow control cone 31: opening and closing packing
32 : 와셔 33 : 스냅링32: washer 33: snap ring
40 : 리미트핀 41 : 풀림방지스프링40: limit pin 41: loosening spring
42 : 스피링홈 50 : 리미트플러그42: spring 50: limit plug
51 : 조절용핀홀 52 : 관통홀51: adjustment pin hole 52: through hole
53 : 스프링턱 54 : 다이얼플레이트53: spring jaw 54: dial plate
54a : 다이얼눈금 60 : 피스톤작동스프링54a: Dial scale 60: Piston actuated spring
70 : 유량조절소켓 71 : 유체통로70: flow control socket 71: fluid passage
72 : 소켓결합부 73 : 급수라인조립소켓72: socket coupling portion 73: water supply line assembly socket
80 : 락브라켓 81 : 락너트80: lock bracket 81: lock nut
82 : 중공부 90 : 모터박스부82: hollow part 90: motor box part
91 : 브라켓홀 92 : 회전축91: bracket hole 92: rotation axis
92a : 회전턱 93 : 모터박스밑판92a: Rotary jaw 93: Motor box bottom plate
94 : 블럭홈 95 : 모터박스윗판94: block groove 95: motor box top plate
100 : 동력공급부 101 : 모터기어100: power supply 101: motor gear
102 : 개폐모터 103 : 기어키홈102: open and close motor 103: gear key groove
104 : 피스톤기어 110 : 키블럭부104: piston gear 110: key block portion
111 : 블럭키 112 : 리턴스프링111: block key 112: return spring
120 : 피스톤작동캠 121 : 경사부120: piston operation cam 121: inclined portion
122 : 작동키홈 123 : 위치감지부122: operation key groove 123: position detection unit
130 : 핸들플러그 131 : 블럭삽입홀130: handle plug 131: block insertion hole
150 : 온도 및 유량을 조절하는 복합밸브150: combined valve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flow rat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2467U KR200440305Y1 (en) | 2008-02-25 | 2008-02-25 | Combined valves to control temperature and flo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2467U KR200440305Y1 (en) | 2008-02-25 | 2008-02-25 | Combined valves to control temperature and flow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0305Y1 true KR200440305Y1 (en) | 2008-06-05 |
Family
ID=4163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246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0305Y1 (en) | 2008-02-25 | 2008-02-25 | Combined valves to control temperature and flow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0305Y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1795Y1 (en) | 2009-11-23 | 2012-08-07 | 홍석기 | A hot water distributer |
CN104482592A (en) * | 2014-12-17 | 2015-04-01 | 大连热易达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 Temperature control and hydraulic balance device for heating metering system |
CN106969409A (en) * | 2015-11-16 | 2017-07-21 | 丹佛斯有限公司 | Heat load balance |
KR102112948B1 (en) | 2019-01-30 | 2020-06-04 | 김민서 | Flow rate self control valve device of temperature sensitive type and heating fluid operation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
-
2008
- 2008-02-25 KR KR2020080002467U patent/KR200440305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1795Y1 (en) | 2009-11-23 | 2012-08-07 | 홍석기 | A hot water distributer |
CN104482592A (en) * | 2014-12-17 | 2015-04-01 | 大连热易达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 Temperature control and hydraulic balance device for heating metering system |
CN106969409A (en) * | 2015-11-16 | 2017-07-21 | 丹佛斯有限公司 | Heat load balance |
CN106969409B (en) * | 2015-11-16 | 2020-01-10 | 丹佛斯有限公司 | Thermal load balancing |
KR102112948B1 (en) | 2019-01-30 | 2020-06-04 | 김민서 | Flow rate self control valve device of temperature sensitive type and heating fluid operation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81418B1 (en) | Water flow control device | |
KR200440305Y1 (en) | Combined valves to control temperature and flow | |
KR100938588B1 (en) | Apparatus for automatic control of constant flow | |
KR20100040135A (en) |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valve | |
KR100835712B1 (en) | Noiseless Distribution System | |
US2929405A (en) | Pedal actuated mixing valve | |
US580208A (en) | Patkick j | |
US1160441A (en) | Flushing-tank valve mechanism. | |
KR101090374B1 (en) | Thermostatic valve | |
JP2544204Y2 (en) | Hot water mixer tap | |
KR100545037B1 (en) | Shut-off valve | |
KR200280557Y1 (en) | An automatic valve for the automatic supply system of a hot water boiler | |
KR100953701B1 (en) | Hot water regulating valve for heating | |
KR20090002301U (en) | Flow control valve | |
JP3528060B2 (en) | valve | |
KR20120105275A (en) | Automatic water-supply device for mixing faucet | |
KR20060062807A (en) | Automatic Flow Control Valve | |
US1040306A (en) | Hot-water-heater valve. | |
US2396634A (en) | Water heating installation | |
KR200448694Y1 (en) | Compound Constant Flow Valve | |
RU2301933C1 (en) | Safety valve for water heat supply system | |
JP3111366B2 (en) | Metered stopcock | |
US6675827B2 (en) | Control stop cap friction ring | |
US2229926A (en) | Automatic fuel control for water heaters | |
US2632460A (en) | Thermal regulator for flush tan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22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03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5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805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53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23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404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