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701B1 - Hot water regulating valve for heating - Google Patents
Hot water regulating valve for heat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3701B1 KR100953701B1 KR1020080010126A KR20080010126A KR100953701B1 KR 100953701 B1 KR100953701 B1 KR 100953701B1 KR 1020080010126 A KR1020080010126 A KR 1020080010126A KR 20080010126 A KR20080010126 A KR 20080010126A KR 100953701 B1 KR100953701 B1 KR 1009537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closing shaft
- support
- hot water
- clo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50—Hydropower in dwel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축과 밀착되는 부분이 합성수지 재질이어서 온수에 의한 녹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개폐축이 부드럽게 승강할 수 있고 장시간 불사용 후에도 정상적인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water regulating valve for heating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is made of synthetic resin so that no rust caused by hot water can be raised and lowered smoothly and exhibits a normal operating state even after long periods of inactivity.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통과공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에 체결되고,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삽입되고, 외면에 스프링이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통과공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과 상부에 설치되는 조절구에 의해 승강하는 개폐축; 상기 개폐축에 끼워져 상기 지지체에 체결되는 제한부; 및 상기 지지체와 개폐축의 사이에 삽입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방지구를 포함한다.The hot water control valve for he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and outlet is formed, the upper portion is open, the body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erein; A support fastened to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penetrated vertically; An opening and closing shaft inserted into the support and provided with a spring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n opening and closing shaft lifted by an adjustment hole installed at the spring and the upper portion; A restricting portion fit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and fastened to the support; And a prevention tool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몸체, 지지체, 개폐축, 제한부, 방지구, 조절구 Body, Support, Opening and Closing Shaft, Restriction, Preventer, Adjus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난방용 온수를 여러 방향으로 분배,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온수 분배기에 적용되어 전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축과 지지체 사이에 합성수지 재질의 방지구를 삽입하여 지지체에 녹이 발생하더라도 개폐축이 부드럽게 승강할 수 있는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valve which is applied to a hot water distributor for distributing, supplying and recovering hot water for heating in various directions, and which can be controlled electrically or manually, by inserting a protective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and the support. Even if the rust occurs, the open and close shaft relates to a heating hot water control valve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smoothly.
온수 분배기는 주택의 각 방에 매설된 난방관으로 온수의 공급여부 및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인 온도 조절밸브와 유량 조절밸브를 포함하게 되는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수관(3)에 온도 조절밸브(1)를 설치하고, 취합관(4)에 유량 조절밸브(2)를 각각 별개로 설치하여 난방용 온수의 공급량을 조절하였으며, 설정된 온도에 따라 온도 조절밸브(1)가 그 내부에서 개폐기능을 수행하여 온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The hot water distributor is a heating tube embedded in each room of the house, and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 valve and a flow control valve, which are heating hot water control valves for controlling the supply and flow rate of hot water, as shown in FIG. 3) the temperature control valve (1) was installed, the flow control valve (2) is installed separately in the collecting pipe (4) to control the supply amount of hot water for heating, the temperature control valve (1)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in the inside to control the temperature is made.
이때, 각 방의 크기와 난방관의 배관구조 등을 고려하여 각 방의 난방관마다 흐르게 되는 유량을 유량 조절밸브(2)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조절하여야 하고, 이러 한 유량 조절밸브(2)의 초기 설정은 주로 온수 분배기 제조공급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유량 조절밸브(2)와 온도 조절밸브(1)를 합쳐서 온수의 공급량을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하나의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로 대체할 수도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6은 스톱밸브, 7은 자동에어벤트, 8은 퇴수밸브이다.At this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each room and the piping structure of the heating tube, the flow rate flowing for each heating tube should be appropriately adjusted using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온수 분배기에 설치되는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에서는 개폐축과 밀착되는 부분이 온수로 인해 부식되어 녹이 생성되고, 특히 개폐축과 밀착되는 부분의 재질이 황동인 경우에는 보일러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여름 동안에 쉽게 청색의 녹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녹으로 인해 개폐축이 조절밸브 내에서 부드럽게 승강하지 못하여 난방용 온수 조절 기능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전혀 개폐축이 움직이지 않게 되어 개폐축을 승강시키는 조절구에 과부하가 걸려 조절구인 전동식 조절장치가 파손되며, 생성된 녹이 난방관으로 침투할 경우에는 난방 효율도 급격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hot water control valve for heating installed in the hot water dispenser as described above, the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is corroded by hot water, and rust is generated. In particular, when the material of the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is brass, the boiler is rarely used. Blue rust easily occurs during summer months. Due to the rust generated,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does not move up and down smoothly in the control valve, so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perform the function of heating hot water for heating. When the electric control device, which is a control device, is broken, and the generated rust penetrates into the heating tube, the heating efficiency also drops sharply.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축과 밀착되는 부분이 합성수지 재질이어서 온수에 의한 녹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개폐축이 부드럽게 승강할 수 있고 장시간 불사용 후에도 정상적인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is a synthetic resin material does not generate any rust due to hot water can open and close the shaft smoothly and heating for a normal operating state even after long periods of inactivit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hot water control valve.
또한, 개폐축과 지지체 사이에 합성수지 재질의 방지구를 삽입하고 제한부를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여 지지체에 녹이 발생하더라도 생성된 녹이 승강하는 개폐축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최적 상태에서의 난방 작동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조립 구조를 단순화시켜 생산원가 및 고장률이 감소하는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inserting the protective material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and the support, and the restriction part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even if rust occurs in the support, the generated rus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that rises and maintains the heating operation efficiency at the optimum stat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hot water control valve for heating which simplifies the assembly structure and reduces production cost and failure r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통과공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에 체결되고,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삽입되고, 외면에 스프링이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통과공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과 상부에 설치되는 조절구에 의해 승강하는 개폐축; 상기 개폐축에 끼워져 상기 지지체에 체결되는 제한부; 및 상기 지지체와 개폐축의 사이에 삽입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방지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ot water control valve for hea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and an outlet formed therein, the top of which is open, and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 support fastened to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penetrated vertically; An opening and closing shaft inserted into the support and provided with a spring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n opening and closing shaft lifted by an adjustment hole installed at the spring and the upper portion; A restricting portion fit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and fastened to the support; And a prevention tool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 내에서 개폐축과 밀착되는 부분이 합성수지 재질이어서 온수에 의한 녹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개폐축이 부드럽게 승강할 수 있고 장시간 불사용 후에도 정상적인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ing / closing shaft in the hot water control valve for heating is made of synthetic resin, the rust caused by the hot water does not occur at all, so the opening / closing shaft can be smoothly lifted and lowered.
또한,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개폐축과 밀착되는 부분에 녹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생성된 녹이 난방관으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최적 상태에서의 난방 효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생산원가 및 고장률이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t simplifies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hot water control valve for heating, and since no rust is generated on the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ing / closing shaft, the generated rust does not flow into the heating tube, thereby maintaining the optimum heating efficiency, and the production cost and failure rate There is also a decreasing effe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는, 도 2a 내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 지지체(20), 개폐축(30), 제한부(40), 및 방지구(5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건물 등에 설치되는 다수의 난방관(미도시)에 보일러 등의 온수 발생기(미도시)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분배기 상에 설치된다. 온수 발생기(보일러)는 가구당 또는 사무실당 하나씩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온수 발생기에 연결되는 각각의 난방관은 건물의 각 방이나 사무실에 매설되어 난방을 수행한다. 이때, 각각의 난방관은 각 방의 크기 또는 온수 분배기로부터의 거리 등에 따라 상호 상이한 길이를 가지므로 유량 또는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Hot water control valve for heat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a to 5b,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는 유량 조절밸브(2) 및/또는 온도 조절밸브(1)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hot water control valve for hea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fficiently perform the role as the flow
몸체(10)에는 유입구(11)와 유출구(12)가 형성되고, 상부(13)가 개방되어 있으며, 유입구(11)와 유출구(12)는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통과공(15)에 의하여 서로 통하게 된다. 몸체(10)의 유입구(11)와 유출구(12)에는 배관과 결합할 수 있는 체결수단이 형성되고, 체결수단은 여러 형태가 있을 수 있으나, 암나사와 수나사를 형성하여 나사 끼움 구조로 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몸체(10)의 개방된 상부(13)에 나사 끼움 구조로 체결되는 지지체(20)는 후술하는 개폐축(30), 제한부(40) 및 방지구(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되어 있고, 몸체(10)의 상부(13)와 지지체(2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체(20)의 외주연에 오링(29)이 삽입될 수 있다.The
또한, 지지체(20)의 상부 외주연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조절구가 나사 끼움 구조로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개폐축(30)은 지지체(20)의 관통된 내주면으로 삽입되고, 외면에 스프링(31)이 설치되며, 하부에 통과공(15)을 개폐하는 개폐부(61)가 형성된다. 이때, 스프링(31)과 상부에 설치되는 조절구에 의해 개폐축(30)이 상승 하강하게 되고, 지지체(20)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오링(39)은 개폐축(30)에 밀착되어 누설을 방지하며, 조절구는 캠축을 구비한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공지된 전동식 조절장치(M)이거나 지지체(20)에 나사 끼움 구조로 체결되어 수동으로 회전시켜 개폐축(30)을 하강시키는 공지된 수동식 조절장치(S)일 수 있으므로 상기 조절구는 개폐축(30)을 상승 하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라도 무방하다.Opening and
개폐축(30)의 외주연에 걸림홈(33)이 형성되고, 걸림홈(33)에 체결와셔(35)가 개방된 일측을 통해 체결되며, 체결와셔(35)에 의해 스프링(31)의 상단이 지지되므로 개폐축(30)이 상기 조절구에 의해 하강하면서 스프링(31)을 압축하게 되고 스프링(31)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축(30)이 다시 상승하게 된다. 걸림홈(33)에 체결와셔(35)를 간편하게 장탈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체결와셔(35)의 내주연의 적어도 한 부분에 체결용 홈(34)을 형성할 수 있다.A
또한, 개폐축(30)의 하부에 형성된 개폐부(61)는 개폐축(30)의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홈(63)에 삽입되어 고정와셔(62)에 의해 체결되고, 개폐축(30)에서 개폐부(61)를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와셔(62)의 중앙에는 관통공(64)을 형성하고 관통공(64)의 원주에는 원주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절개선(65)을 형성한다. 개폐축(30)의 하단에 삽입되는 고정와셔(62)의 관통공(64)의 직경은 다수의 절개선(65)을 따라 조금 확대된 후에 어느 정도 복원되므로 고정와셔(62)가 개폐축(30)에서 개폐부(61)가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고 마모된 개폐부(61)를 교환할 때 고정와셔(62)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개폐축의 하단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개폐부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나사 끼움 구조로 개폐축의 하단에 개폐부를 결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개폐축(30)에 끼워져 지지체(20)에 체결되는 제한부(4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고정부(41) 및 삽입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41)는 나사 끼움 구조로 지지체(20)에 체결되고, 외주연에 오링(49a)이 형성되어 지지체(20)와 고정부(41)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부(41)의 하부에 삽입되는 삽입부(45)의 상단과 고정부(41)의 사이에도 오링(49b)이 형성되어 제한부(40)와 개폐축(3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도 방지할 수 있다.The limiting
방지구(50)는 지지체(20)의 하부와 개폐축(30)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단 외면에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지지체(20)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방지구(5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어 녹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개폐축(30)은 항상 부드럽게 미끄러져 승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의 조립상태, 기능 및 작용을 도 2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2a to 5b assembled state, function and action of the hot water control valve for heat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개폐축(30)의 고정홈(63)에 개폐부(61)를 삽입하고 고정와셔(62)를 삽입하여 개폐부(61)를 개폐축(30)에 체결한다. 지지체(20)에 합성수지 재질의 방지구(50)를 삽입하고, 방지구(50)가 형성된 지지체(20)에 개폐축(30)의 상단을 삽입하여 관통시키며, 개폐축(30)의 상단으로 오링(39), 지지와셔(32) 및 스프링(31)을 차례로 삽입하고, 개폐축(30)의 걸림홈(33)에 스프링(31)의 상단을 지지하는 체결와셔(35)를 결합한다. 개폐축(30)의 상단으로 제한부(40)를 삽입하여 지지체(20)에 체결하고, 제한부(40)가 고정부(41) 및 삽입부(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에 는 외주연에 오링(49a)이 형성된 고정부(41)의 하단으로 오링(49b)을 삽입한 후에 삽입부(45)를 끼우게 된다.First, the opening and
상기와 같이 개폐축(30), 제한부(40) 및 방지구(50)가 모두 결합된 지지체(20)를 상부(13)를 통해 몸체(10)에 체결하면 조립이 완성되고, 분해는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Assembling the
환수관(3) 또는 취합관(4)에 결합되는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가 도 3a 및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개방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온도를 낮추거나 유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절구를 작동시키면, 조절구에 의해 개폐축(30) 및 개폐부(61)가 하강하면서 지지와셔(32)는 스프링(31)을 압축하고 통과공(15) 상부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게 되어 유입구(11)로부터 통과공(15)을 거쳐 유출구(12)로 흐르는 온수의 유량이 감소하게 된다.When the hot water control valve for heating coupled to the
반대로 사용자가 온도를 높이거나 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도 3b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조절구를 작동시키면, 조절구가 개폐축(30)에 가하고 있는 외력이 해제되면서 지지와셔(32)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31)의 복원력으로 개폐축(30) 및 개폐부(61)는 상승하게 되고 통과공(15) 상부의 유로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유입구(11)로부터 통과공(15)을 거쳐 유출구(12)로 흐르는 유체의 유량이 증가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ntrol in a state in which the hot water control valve for heating is clos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r increase the flow rat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ning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 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조절밸브가 구비된 온수 분배기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t water distributor having a control valve.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ing water control valve for heat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를 나타낸 일부 결합 사시도.Figure 2b is a partially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t water control valve for heat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가 개방된 경우의 단면도.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heating hot water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가 밀폐된 경우의 단면도.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hot water control valve for heat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ing water control valve for hea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를 나타낸 일부 결합 사시도.Figure 4b is a partially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t water control valve for hea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가 개방된 경우의 단면도.Figure 5a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heating hot water control valve is op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가 밀폐된 경우의 단면도.Figure 5b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heating hot water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l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몸체 11: 유입구10: Body 11: Inlet
12: 유출구 13: 상부12: outlet 13: upper part
15: 통과공 20: 지지체15: through hole 20: support
29, 39, 49a, 49b: 오링 30: 개폐축29, 39, 49a, 49b: O-ring 30: opening and closing shaft
31: 스프링 32: 지지와셔31: spring 32: support washer
33: 걸림홈 34: 체결용 홈33: locking groove 34: fastening groove
35: 체결와셔 40: 제한부35: tightening washer 40: limited part
41: 고정부 45: 삽입부41: fixed part 45: insertion part
50: 방지구 53: 키홈50: guard 53: keyway
61: 개폐부 62: 고정와셔61: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2: fixed washer
63: 고정홈 64: 관통공63: fixing groove 64: through hol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0126A KR100953701B1 (en) | 2008-01-31 | 2008-01-31 | Hot water regulating valve for heat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0126A KR100953701B1 (en) | 2008-01-31 | 2008-01-31 | Hot water regulating valve for heat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4129A KR20090084129A (en) | 2009-08-05 |
KR100953701B1 true KR100953701B1 (en) | 2010-04-19 |
Family
ID=4120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0126A Active KR100953701B1 (en) | 2008-01-31 | 2008-01-31 | Hot water regulating valve for heat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370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UA20162802A1 (en) * | 2016-04-21 | 2017-10-21 | De Longhi Appliances Srl | BOILER |
ITUA20162817A1 (en) * | 2016-04-22 | 2017-10-22 | De Longhi Appliances Srl | BOIL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1927Y1 (en) * | 1993-03-29 | 1996-03-04 | 어후경 | Room temperature automatic control device |
KR200303599Y1 (en) * | 2002-10-30 | 2003-02-11 | 한국에이오씨(주) | Valve apparatus of hot-water distributor |
KR200357844Y1 (en) | 2004-05-18 | 2004-07-31 | (주)쎈스텍 | Heat control device running value |
KR200416061Y1 (en) * | 2006-02-09 | 2006-05-10 | (주)영동에이스 | Hot water distributor with adjustable flow |
-
2008
- 2008-01-31 KR KR1020080010126A patent/KR1009537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1927Y1 (en) * | 1993-03-29 | 1996-03-04 | 어후경 | Room temperature automatic control device |
KR200303599Y1 (en) * | 2002-10-30 | 2003-02-11 | 한국에이오씨(주) | Valve apparatus of hot-water distributor |
KR200357844Y1 (en) | 2004-05-18 | 2004-07-31 | (주)쎈스텍 | Heat control device running value |
KR200416061Y1 (en) * | 2006-02-09 | 2006-05-10 | (주)영동에이스 | Hot water distributor with adjustable flow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4129A (en) | 2009-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03061B2 (en) | Fluid regulator with field convertible slam-shut device | |
GB2454065A (en) | Valve assembly for water heaters | |
KR101020872B1 (en) | Thermostatic valve | |
KR100953701B1 (en) | Hot water regulating valve for heating | |
KR20100040135A (en) |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valve | |
KR100876120B1 (en) | Hot water dispenser | |
KR100835707B1 (en) |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system of hot water distributor for heating | |
KR20170037803A (en) | Heating water distributor having delicate flow control valve | |
KR20090035056A (en) | Automatic Flow Control Valve Using Shape Memory Alloy | |
KR200464589Y1 (en) | The Pressure Reducing Valve having ball type angle valve | |
KR102529601B1 (en) | Flow control valve and heating water distributor having the same | |
CN101776179A (en) | Temperature control valve capable of being cleaned and maintained on line | |
ZA200708742B (en) | Safety Valve | |
KR200416061Y1 (en) | Hot water distributor with adjustable flow | |
US11054129B2 (en) | Boiler fill valve with regulated fast-fill | |
KR100835726B1 (en) | Differential pressure regulating system of proportional control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valve and hot water distributor for heating | |
KR101568286B1 (en) | Valve | |
KR100742656B1 (en) | Thermostatic valve | |
KR200400828Y1 (en) | Automatic valve for adjustale temperature | |
JP6833934B2 (en) | Supply of a certain amount of liquefied petroleum gas and automatic shutoff valve at the time of overflow | |
KR100675730B1 (en) | Thermostatic valve assembly for hot water distributor | |
KR200407000Y1 (en) | Thermostatic valve assembly for hot water distributor | |
KR200448694Y1 (en) | Compound Constant Flow Valve | |
CN210252746U (en) | Novel special shower nozzle of glassware | |
KR20110092726A (en) | Valve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