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978Y1 - Vacuum containers for food preservation - Google Patents
Vacuum containers for food preserv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8978Y1 KR200438978Y1 KR2020060029021U KR20060029021U KR200438978Y1 KR 200438978 Y1 KR200438978 Y1 KR 200438978Y1 KR 2020060029021 U KR2020060029021 U KR 2020060029021U KR 20060029021 U KR20060029021 U KR 20060029021U KR 200438978 Y1 KR200438978 Y1 KR 20043897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hole
- lid
- guide tube
- ca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에 밀착되면서 상부를 밀폐시키는 뚜껑(20)의 상부면 일측을 하향 요입시킨 조작홈(2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한 관형상이고, 관 내부의 바닥면 중앙에는 일정한 직경의 에어홀(31)을 형성하며, 상부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는 일정한 높이에 주면을 따라 일정한 경사각으로 핀 가이드홀(32)을 형성한 가이드 관(30)과; 상기 가이드 관(30)에 상부로부터 회전 및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뚜껑(20)의 조작홈 바닥면과는 스프링(41)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일정한 직경으로 수평 관통시킨 핀 홀(42)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관(30)의 핀 가이드 홀(32)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양측의 핀 홀(42)에 핀(43)이 결합되도록 하는 캡(40)과; 상기 가이드 관(30)의 내부에서 바닥면에 안치되면서 중앙에는 일정한 직경으로 수직 관통한 에어홀(51)을 형성한 밸브 시트(50)와; 상단부는 상기 캡(40)의 상부면 저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관형상이며, 내부에는 일정 하중을 갖는 볼(61)이 내장되고, 하단면 중앙에는 상기 볼(61)이 하향 이탈되지 않는 직경으로 안치홀(62)을 형성하며, 측면의 일정 높이에는 상기 핀(43)이 관통하도록 하는 핀 홀(63)이 형성되도록 한 서포트(60)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더욱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도록 하는 동시에 조작의 편의와 함께 구조를 대폭 간소화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ontainer for food preservation, and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bottom of the operation groove 22 concaved downwar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 to seal the top. It is tubular shape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surface to a certain heigh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inside the tube to form a certain diameter of the air hole 31, the upper side of each other facing the pin guide at a constant height along the main surface at a constant height A guide tube 30 forming a hole 32; The guide tube 30 is provided to be rotatable and slide movement from the top to the top, and the support groove bottom surface of the lid 2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41,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a constant diameter A pin hole 42 horizontally penetrated therethrough so as to simultaneously penetrate the pin guide hole 32 of the guide tube 30 so that the pin 43 is coupled to the pin holes 42 on both sides; ; A valve seat (5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guide tube (30) and having an air hole (51) vertically penetrated at a constant diameter in the center thereof; The upper end is a tubular shape tha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40, the ball 61 having a predetermined load therein is built in, the lower end in the center of the diameter of the ball 61 does not escape downward Formation hole 62 is formed, and by a combination of the support 60 to form a pin hole 63 for penetrating the pin 43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ide so that the sealing force can be further improved At the same time,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by greatly simplifying the structure with ease of operation.
진공 용기, 밀폐, 뚜껑, 조작력 Vacuum container, airtight, lid, operating force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를 도시한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vacuum container for food preser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의 용기 본체와 뚜껑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도,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tainer body and a lid of a vacuum container for food preser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의 조작 기구를 분리시켜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3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e operation mechanism of the food preservation vacuum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의 조작 기구의 분리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food preservation vacuum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관에서의 핀 가이드 홀을 형성한 형상을 도시한 요부 확대도,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the pin guide hole formed in the guide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작 기구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opera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라 뚜껑을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 뚜껑의 변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측면도,8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deformed by pressing the lid at a constant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조작 기구의 작동 상태도.9 to 10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용기 본체10: container body
20 : 뚜껑20: lid
30 : 가이드 관30: guide tube
32 : 핀 가이드 홀32: pin guide hole
40 : 캡40: cap
42 : 핀홀42: pinhole
43 : 핀43: pin
44 : 배기홀44: exhaust hole
50 : 밸브 시트50: valve seat
60 : 서포트60: Support
61 : 볼61: ball
62 : 안치홀62: anchor hole
63 : 핀홀63: pinhole
본 고안은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질의 뚜껑을 원터치 방식으로 눌러 용기 내부를 손쉽게 진공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ontainer for food preserv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ontainer for food preservation that allow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be easily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by pressing the soft lid in a one-touch manner.
일반적으로 각종 야채와 생선 등의 식품류는 외기와의 접촉 시 공기 중에 포 함되어 있는 미생물이나 산소 등과 같은 기타 유해 물질들과의 접촉으로 인해 쉽게 산화되면서 부패가 된다.In general, various kinds of foods such as vegetables and fish are easily oxidized and rot due to contact with other harmful substances such as oxygen or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air.
또한 발효식품의 경우에는 미생물의 번식이 더욱 활성화되면서 식품의 발효 및 숙성 속도가 지나치게 빨리 진행되어 보존성이 좋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ermented food, the fermentation and ripening rate of the food proceeds too fast as the propagation of microorganisms is further activated, resulting in poor preservation.
따라서 식품의 발효 및 부패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외부 공기를 차단시키는 것이 가장 큰 관건이며, 이를 위해 제안된 것이 진공 용기이다.Therefore, blocking the outside air in order to delay the fermentation and decay of food is the key, and the vacuum container is proposed for this.
진공 용기는 단순히 외부 공기를 차단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용기 내부를 대기압보다는 낮은 저압의 진공의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식품의 산폐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vacuum container not only blocks the outside air, but also put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nto a low pressure vacuum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to prevent food waste.
진공 용기는 따라서 종전에서와 같이 단순히 외기와의 접촉을 방지시키는 밀폐 용기에 비해서 식품 보존 기술이 진일보한 기술적 발전을 도모하게 되었다.Vacuum containers have thus made further technological advances in food preservation techniques, as compared to closed containers that simply prevent contact with outside air as before.
한편 진공 용기는 대부분이 용기 뚜껑에 진공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진공 발생 구조가 구비되도록 하고 있고, 이러한 용기 뚜껑에 구비되는 진공 발생 구조는 주로 펌핑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작동 구성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vacuum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vacuum generating structure that can generate a vacuum in the container lid, the vacuum generating structure provided in the container lid is generally an operation configuration consisting mainly of the pumping method.
이러한 펌핑 방식의 진공 발생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는 이미 본 출원인에 의해서도 다양하게 제안하여 실시하기도 하고 있으나 본 출원인에 의한 구성 외에도 더욱 다양한 구성으로 펌핑 방식의 진공 발생 구조를 갖거나 그 외의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가 현재에도 매우 다양하게 제안 및 실시되고 있다.The vacuum container having such a pumping vacuum generating structure has already been proposed and practiced by the present applicant in various ways, but the vacuum having a vacuum generating structure of the pumping method or other structure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by the applicant. Containers are still being proposed and implemented in a great variety.
일본특개평11-49243호(명칭:식품보존용 용기)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하여 등록된 국내특허등록 제429069호(명칭:식품 보존용 진공용기)은 펌핑 방식으로 진 공을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49243 (name: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429069 (name: food preservation vacuum container) fil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a method of forming a vacuum by a pumping method. to be.
이런 펌핑 방식의 진공 용기는 주로 용기 뚜껑에 형성되는 핌핑 구조에 의해 용기 본체와 뚜껑이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진공을 발생시켜 이 진공 상태에서 더욱 강력한 기밀력이 유지되게 함으로써 장시간동안 식품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is pumping type vacuum container is mainly produced by the pimping structure formed on the lid of the container to generate a vacuum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to maintain a stronger airtight force in this vacuum state, thereby keeping food safe for a long time. To be stored.
하지만 이러한 진공 용기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용기 뚜껑에 복잡한 펌핑 구조를 형성시켜야만 하는 매우 난해한 문제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have such a vacuum container, there is a very difficult problem in that a complex pumping structure must be formed in the container lid.
즉 용기의 내부를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펑핑 방식의 용기 뚜껑에는 피스톤 및 대단히 복잡한 밸브 구조를 구비하여야만 하며, 특히 펌핑을 하기 위한 조작력 등의 수고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make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nto a vacuum state, the container lid of the popping method must have a piston and a very complicated valve structure, and in particular, it is troublesome to require labor such as an operation force for pumping.
특히 진공 용기를 구비함에 있어 지나치게 많은 부품이 소요되면서 제작 및 구입 비용에 부담이 되는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를 갖고 있다.In particular, the vacuum container has a very uneconomical problem that is burdened with the cost of manufacturing and purchasing while taking too many parts.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히 뚜껑을 눌러 용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서 형성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손쉬운 조작의 편리함이 있는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simply presses the lid in a one-touch manner to for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s a vacuum state and at the same time can be sealed from the outside, which makes the operation easier.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vacuum container for food preserva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에 밀착되면서 상부를 밀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상부면 일측을 하향 요입시킨 조작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한 관형상이고, 관 내부의 바닥면 중앙에는 일정한 직경의 에어홀을 형성하며, 상부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는 일정한 높이에 주면을 따라 일정한 경사각으로 핀 가이드홀을 형성한 가이드 관과; 상기 가이드 관에 상부로부터 회전 및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뚜껑의 조작홈 바닥면과는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일정한 직경으로 수평 관통시킨 핀 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관의 핀 가이드 홀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양측의 핀 홀에 핀이 결합되도록 하는 캡과; 상기 가이드 관의 내부에서 바닥면에 안치되면서 중앙에는 일정한 직경으로 수직 관통한 에어홀을 형성한 밸브 시트와; 상단부는 상기 캡의 상부면 저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관형상이며, 내부에는 일정 하중을 갖는 볼이 내장되고, 하단면 중앙에는 상기 볼이 하향 이탈되지 않는 직경으로 안치홀을 형성하며, 측면의 일정 높이에는 상기 핀이 관통하도록 하는 핀 홀이 형성되도록 한 서포트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the container body; A lid to close the top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It is a tubular shape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on groove in which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downwardly concave upward, and forms an air hole of a constant diameter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inside the tube, A guide tube having a pin guide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long a main surface at a constant height; The guide tube is provided to be rotatable and rotated from the top to the upper and lower, the operation groove bottom surface of the li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is formed with a pin hole horizontally penetrating a constant diameter A cap allowing pins to be coupled to pin holes at both sides while simultaneously passing through the pin guide hole of the guide tube; A valve seat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tube and having an air hole vertically penetrated at a constant diameter in the center thereof; The upper end has a tubular shape which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and a ball having a predetermined load is embedded therein, and a center of the lower surface forms a settling hole with a diameter that does not deviate downward, At the height, the pin is formed by coupling the support to form a pin hole through which the pin passes.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vacuum container for food preser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는 하부의 용기 본체(10)와 상부의 뚜껑(20)을 결합한 구성이다.As shown, the vacuum container for food preser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mbine the
용기 본체(10)와 뚜껑(20)은 서로 마주보는 상단부와 하단부간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다.Th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의 용기 본체와 뚜껑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도이다.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of the vacuum container for food preser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용기 본체(10)와 뚜껑(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게 되는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와 뚜껑(20)의 하단부간 면간 접촉하게 되는 뚜껑(20)의 하단부에 이탈방지되게 시일 링(21)이 끼워지도록 하고, 접촉면간 시일 링(21)에 의해 긴밀하게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용기 본체(10)는 상향 개방되도록 한 식품 수용홈(11)을 갖는 구성이며, 식품 수용홈(11)은 일정량의 식품이 저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간이다.The
뚜껑(20)은 용기 본체(10)의 상부를 커버하여 외부와 차단되도록 하는 구성이며, 특히 연질의 물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즉 경질의 물성을 갖는 용기 본체(10)와는 달리 뚜껑(20)에서 특히 상부면 중앙 부위는 일정한 높이로 상향 만곡지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이 부위가 손으로 누르게 되면 하향 만곡지는 형상으로 변형이 될 수 있도록 연질의 물성을 갖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unlike the
뚜껑(20)에는 상부면 일측에 소정의 크기와 깊이로 하향 요입되게 한 조작홈(22)이 형성되도록 한다.The
이 조작홈(22)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조작홈(22)의 바닥면은 일정한 직경 이상의 평면을 이루도록 한다.The
뚜껑(20)에는 일측에 조작 기구가 구비되도록 하며, 이때의 조작 기구는 뚜껑(20)의 일측에 조작홈(22)을 형성한 경우에는 이 조작홈(22)에 구비되도록 하고, 조작홈(22)이 형성되지 않은 구성에서는 직접 뚜껑(20)의 상부면에 조작 기구가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The
이렇게 뚜껑(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조작 기구는 용기의 내부를 외기와 연통 또는 밀폐되도록 한다.In this way, the operation mechanism provided on one side of th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의 조작 기구를 분리시켜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이들 조작 기구의 분리 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vacuum container for food preser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se operation mechanism.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홈(22)의 바닥면에는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서 관형상으로 가이드 관(30)이 형성되도록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가이드 관(30)은 관형상의 내부에서 바닥면의 중앙에는 판면을 수직으로 관통시킨 에어홀(31)이 형성되도록 한다. The
또한 가이드 관(30)의 통형상인 측벽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핀 가이드 홀(32)이 형성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cylindrical side wall of the
핀 가이드 홀(32)은 주면을 따라 일정한 직경을 갖는 홀이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면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장공의 형상이며, 특히 하단부는 다시 일정한 길이만큼 수평으로 연장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가이드 관(30)은 외부를 캡(40)에 의해서 커버되도록 하며, 캡(40)은 하향 개방되도록 하는 형상이고, 측면은 가이드 관(30)의 외측을 감싸면서 가이드 관(30)의 상부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캡(40)은 외주면에 스프링(41)이 탄설되도록 하여 가이드 관(30)의 바깥측 바닥면에 스프링(41) 하단부가 안치되면서 캡(40)을 항상 상하로 탄성을 갖도록 지지한다.The
다만 캡(40)의 상측 서로 마주보는 주면에는 동일 수평선상에 핀 홀(42)을 형성하고, 이 핀 홀(42)은 가이드 관(30)에 형성한 핀 가이드 홀(32)과 동일 수평선상에 형성되도록 하며, 이들 핀 홀(42)과 핀 가이드 홀(32)에는 캡(40)의 일측으로부터 핀(43)이 관통하면서 끼워지도록 한다.However, the upper surfaces of the
다시 말해 캡(40)의 일측으로부터 일측의 핀 홀(42)을 통해 핀(43)을 끼워 양측의 핀 가이드 홀(32)을 관통시킨 다음 타측의 핀 홀(42)에 끼워지도록 하면 캡(40)을 가이드 관(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결합할 수가 있다.In other words, if the
캡(40)에 핀(43)이 끼워지도록 하는 구성에서 캡(40)의 핀 홀(42)을 형성한 부위는 일정한 높이로 주면을 요입시켜 링형상의 홈을 형성하되 이 홈에는 패킹(45)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핀 홀(42)에 끼워진 핀(43)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또한 캡(40)의 상부면에는 가이드 관(3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수직의 배기홀(44)이 형성되도록 한다.In addition, a
배기홀(44)은 복수개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배기홀(44)은 캡(40)의 상부면에서 가이드 관(30)의 내측 주연부를 따라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관(30)의 내측 바닥면에는 가이드 관(30)의 내경에 맞춤 끼워지도록 하는 일정 두께의 밸브 시트(50)가 안치되도록 하며, 이 밸브 시트(50)의 중앙에는 바닥면에 형성한 에어홀(31)보다는 크지 않은 직경으로 에어홀(51)이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도록 한다.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밸브 시트(50)에서 적어도 일측 특히 상측의 에어홀(51) 주연부는 일부 구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Most preferably, at least one side of the
한편 캡(40)의 상부면에서 저면으로는 볼(61)이 수용되도록 하는 서포트(60)의 상단부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Mean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서포트(60)는 원통형이면서 하단부 바닥면에는 중앙에 일정 직경으로 볼(61)이 일부 하향 돌출되도록 안치되게 하는 안치홀(62)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부의 주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핀(43)이 관통하도록 하는 핀 홀(63)이 형성되도록 한다.The
핀 홀(63)은 핀(43)이 관통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핀(43)이 관통할 수 있는 직경의 구멍을 상향 연장시켜 상단부로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The
서포트(60)는 캡(40)에 일체로 결합되어 캡(40)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캡(40)과 함께 일정 높이 즉 가이드 관(30)에 형성한 핀 가이드 홀(32)의 경사 높이만큼 승강하게 된다.The
서포트(60)는 내부에 볼(61)이 내장되게 한 상태에서 캡(40)의 상부면의 저면으로 초음파 용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6에서와 같이 서포트(60)의 하부가 조립식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캡(40)에 일체로 결합된 서포 트(60)의 상부에 하부로부터 볼(61)을 넣고 간단히 억지 조립에 의해 결합되게 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The
도면 중 미설명부호 70은 에어홀 커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by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작 기구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opera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우선 뚜껑(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조작 기구 중 캡(40)을 회전시켜 하강시키도록 한다.The subject innovation is to first lower the
이때 캡(40)은 최대한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캡(40)을 하강시키게 되면 캡(40)의 내부에서 서포트(60)에 내장시킨 볼(61)의 하단부가 가이드 관(30)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한 밸브 시트(50)에 밀착되면서 자중에 의해 밸브 시트(50)에 형성한 에어홀(51)을 막게 된다.When the
에어홀(51)이 막히면 용기 본체(10)에 뚜껑(20)을 얹힌 상태에서 내부는 외부와 차단된 상태가 된다.When the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와 측단면도이다.8 to 10 are side and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상태에서 뚜껑(20)의 일측을 한 손으로 누르고 도 8에서와 같이 뚜껑(20)의 가운데 부위를 누르게 되면 외부와 차단된 내부의 공기가 뚜껑(20)의 일측으로 구비한 조작 기구의 가이드 관(30)과 밸브 시트(50)의 에어홀(31)(51)을 통해 유도되면서 도 9와 같이 볼(61)을 밀어 올린다.In this state, if one side of the
이때 뚜껑(20)을 눌러 발생하게 되는 압력이 최소한 볼(61)의 중량보다는 반드시 커야 한다.At this time, the pressure generated by pressing the
그리고 뚜껑(20)은 최소한 가운데 부위가 손조작에 의해 일정량이 눌려질 수 있도록 연질의 물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뚜껑(20)을 눌려 그 압력에 의해 볼(61)이 잠시 상승하면서 내부의 공기를 가이드 관(30)과 서포트(60)의 사이로 유도하여 캡(40) 상부면에 다수 형성한 배기홀(4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Pressing the
뚜껑(20)을 누르면서 내부의 배출 압력이 볼(61)의 중량보다 작게 되면 볼(61)은 다시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도 7과 같이 밸브 시트(50)의 에어홀(51)을 막게 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외기 유입은 차단되는 상태가 된다.When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inside is lower than the weight of the
즉 내부의 공기만 배출시킬 뿐 외기의 유입을 차단시키므로써 용기의 내부가 약간의 진공 상태에서 긴밀한 밀폐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In other words, it only discharges the internal air, thereby blocking the inflow of external air, so tha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can be safely maintained in a tight vacuum in a slight vacuum.
따라서 미리 용기의 내부에 일정량의 식품이 수용되도록 하여 이와 같은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하면 외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장시간을 신선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가 있다.Therefore, if a certain amount of food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in advance, such that it is possible to keep the fresh state for a long time while the inflow of outside air is blocked.
한편 밀폐된 용기 내부로부터 식품을 꺼내고자 할 때에는 캡(40)을 도 10과 같이 진공을 형성하고자 할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Meanwhile, when the food is to be taken out from the sealed container, the
캡(40)이 회전하면 캡(40)의 내부를 관통되게 형성한 핀(43)이 도 5에서와 같이 가이드 관(30)의 핀 가이드 홀(32)을 따라 일정한 경사면을 타고 상승하게 되고, 캡(40)의 상승에 의해 캡(40)에 일체로 결합된 서포트(60)와 이 서포트(60)의 내부에서 하단부의 외주면에 의해 밸브 시트(50)의 에어홀(51)을 막고 있던 볼(61)이 동시에 상승하면서 밸브 시트(50)의 에어홀(51)을 개방시키게 된다.When the
밸브 시트(50)의 에어홀(51)이 개방되는 순간 캡(40)의 상부면의 배기홀(44)을 통해 캡(40)의 내부로 도입되어 있던 외기가 순간적으로 밸브 시트(50)의 에어홀(51)과 가이드 관(30) 내측의 에어홀(31)을 통해 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진공이 해제된다.At the moment when the
진공이 해제되면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에서 강력하게 밀착되어 있던 뚜껑(20)과의 밀착력이 제거되면서 뚜껑(20)을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vacuum is released, the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 본체(10)에 얹혀지는 뚜껑(20) 중심부를 간단히 누르는 조작에 의해서 손쉽게 용기의 내부를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하면서 외부로부터 긴밀하게 밀폐되도록 하고, 밀폐시킨 상태는 다시 간단히 캡(40)을 반대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진공이 해제되면서 뚜껑(20)을 손쉽게 개방시킬 수가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be in a vacuum state easily by simply pressing the center of the
특히 조작 구성이 매우 간소하여 제작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저렴한 제작이 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operation configuration is very simple, so that not only is very easy to manufacture but also inexpensive produ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뚜껑의 일측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조작 기구를 구비하여 이 조작 기구 중 캡의 회전과 승강작용과 더불어 보다 연질의 물성을 갖도록 형성한 뚜껑의 상부면 중앙 부위를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는 손쉬운 조작에 의해서 용기의 내부가 진공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와는 긴밀한 실링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더욱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되고, 특히 구조를 대폭 간소화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이점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mechanism with a simple configuration on one side of the lid provid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among the operation mechanisms of the lid formed to have softer physical properties along with the rotation and lifting of the cap. By the easy operation of pressing the central part of the upper surface at a certain pressure,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ecomes a vacuum and close sealing with the outside makes it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sealing force, and in particular, the structure is greatly simplifie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Provides economic benefits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9021U KR200438978Y1 (en) | 2006-11-03 | 2006-11-03 | Vacuum containers for food preserv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9021U KR200438978Y1 (en) | 2006-11-03 | 2006-11-03 | Vacuum containers for food preserv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8978Y1 true KR200438978Y1 (en) | 2008-03-14 |
Family
ID=4162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902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8978Y1 (en) | 2006-11-03 | 2006-11-03 | Vacuum containers for food preserv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8978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1198A (en) * | 2017-01-05 | 2018-07-16 | (주)포에스텍 | bottle cap for vacuum preservation |
CN110646133A (en) * | 2018-06-27 | 2020-01-03 | 张家港中集圣达因低温装备有限公司 | Vacuum degree on-line monitoring system of vacuum container |
-
2006
- 2006-11-03 KR KR2020060029021U patent/KR200438978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1198A (en) * | 2017-01-05 | 2018-07-16 | (주)포에스텍 | bottle cap for vacuum preservation |
KR101922235B1 (en) * | 2017-01-05 | 2019-02-21 | (주)포에스텍 | bottle cap for vacuum preservation |
CN110646133A (en) * | 2018-06-27 | 2020-01-03 | 张家港中集圣达因低温装备有限公司 | Vacuum degree on-line monitoring system of vacuum contai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286153B2 (en) | Container lid for vacuum hose | |
KR102096518B1 (en) | Container of vacuum blender with function of preventing overflowing | |
KR200445177Y1 (en) | Vacuum pumps for container closures | |
KR100774248B1 (en) | Sealed container with vacuum valve | |
KR101495610B1 (en) | A storing container and the storing method with cover having one-touch type vacuum press button for fermented food | |
KR100969703B1 (en) | Vaccum pump and vaccum container having the same | |
EP1996488B1 (en) | Container assembly | |
CN1409600A (en) | Respiratory vessel using elasticity of plastics for fermentation food | |
KR200438978Y1 (en) | Vacuum containers for food preservation | |
KR200424953Y1 (en) | Vacuum containers for food preservation | |
CN109311582B (en) | Vacuum sealed container | |
KR101445641B1 (en) | A cover for food container | |
CN1328128C (en) | Food preservation vacuum container | |
KR20040074663A (en) | Discharge device for container | |
KR20120032245A (en) | Vacuum pump for container | |
KR100455105B1 (en) | Vacuum apparatus for forming a vacuum in a container and indicator for indicating and releasing the vacuum for the apparatus | |
KR200351500Y1 (en) | Container for storing foods | |
KR101985200B1 (en) | Vacuum container | |
KR100920184B1 (en) | Container sealing vacuum pump | |
ES2918953T3 (en) | receptacle closure | |
KR101031833B1 (en) | Bottle and vacuum container vacuum pump | |
KR102666219B1 (en) | Vacuum sealed container that releases internal pressure | |
KR20100024017A (en) | A vacuum pump for an airtight container | |
KR100829021B1 (en) | Bottle cap to prevent carbon dioxide emission | |
KR200255232Y1 (en) | air drain valve of vacuum preservation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1103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803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31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07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50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