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017A - A vacuum pump for an airtight container - Google Patents
A vacuum pump for an airtight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24017A KR20100024017A KR1020080082668A KR20080082668A KR20100024017A KR 20100024017 A KR20100024017 A KR 20100024017A KR 1020080082668 A KR1020080082668 A KR 1020080082668A KR 20080082668 A KR20080082668 A KR 20080082668A KR 20100024017 A KR20100024017 A KR 201000240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cuum pump
- cylinder
- end portion
- hole
- power transmis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 용기용 진공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pump for a sealed container,
하단부가 개방된 원통형 공간이 그 내측 중앙 상단부에 형성된 통체(10)와, 이 통체(10) 내 원통형 공간의 하단부에 상대 운동 가능 상태로 결합된 하단 가동체(20)와, 이 하단 가동체(20)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그 상단부가 상기 통체(10)와 결합된 흡기관(30)과, 상기 통체(1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단 가동체(20)와 접촉하는 누름 동력 전달체(40)와, 흡기관(30)의 하단부 및 통체(10)의 하단부와 결합된 하단 지지체(50)와, 상기 하단 가동체(20)와 하단 지지체(50)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open lower end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body 10 formed at an inner central upper end portion thereof, a lower movable body 20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space in the cylindrical body 10 in a relative movable state, and the lower movable element ( 20 that penetrates the center portion and has an upper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cylinder body 10 and penetrates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ylinder body 10 and extends vertically downward to contact the lower movable body 20. Press power transmission 40, a lower support 5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take pipe 30 and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10, and a spring located between the lower movable body 20 and the lower support 50 ( By including 60),
내부 구조가 단순하고 합리적이어서 적은 힘으로 신속하게 높은 진공도 확보가 가능한 바람직한 형태의 밀폐 용기용 진공 펌프를 얻을 수 있다.Since the internal structure is simple and reasonable, it is possible to obtain a vacuum pump for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in which a high degree of vacuum can be secured quickly with little fo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밀폐 용기용 진공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높은 진공도 확보가 가능한 매우 바람직한 형태의 진공 펌프에 관한 발명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pump for a closed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pump of a very preferred form capable of ensuring a high degree of vacuum while having a simple internal structure.
식품류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고에 넣어두는 것이 보통인데, 근래에는, 냉장고에 넣기에 앞서 진공 펌프로써 밀폐 용기 내부를 우선 진공 상태로 만들기도 한다. In order to prevent corruption of foods, it is common to put them in a sealed container and put them in a refrigerator. Recently, the inside of the sealed container is first vacuumed with a vacuum pump before being put into the refrigerator.
과일이나 야채 등을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하는 경우라도 상당 기간 경과 후 이들의 부패 사실을 흔히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패 과정은 결국 밀폐 용기 내부 공기의 존재 및 미생물 번식으로 인한 것임을 고려할 때, 상기와 같은 진공 상태 보관은 부패 억제 차원에서 상당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 하겠다.Even in the case of storing fruits or vegetables in an airtight container in a refrigerator, it is common to confirm their decay afte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and the process of decay is due to the presence of air inside the airtight container and the propagation of microorganisms. Vacuum state storage such as this is said to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terms of suppressing corruption.
이러한 차원에서, 근래에는 몇 종류의 밀폐 용기용 진공 펌프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In view of this, in recent years, several types of vacuum pumps for hermetic containers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그런데, 밀폐 용기로부터 진공 펌프로의 흡기와 진공 펌프로부터 대기 중으로의 배기 동작이 동시 수행되는 등의 구조적 불합리성으로 인하여 진공화를 위한 펌핑(pumping) 작업에 힘이 들고, 또한 배기 통로 구조를 포함한 전체적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However, due to structural irrationality such as the intake from the sealed container to the vacuum pump and the evacuation operation from the vacuum pump to the atmosphere at the same time, it is difficult to pump the pumping operation for the vacuumization, and also includes the exhaust passage structure as a whole. There is a complicated structure.
더욱이, 통상의 기밀 유지용 오-링(O-ring)을 밸브(valve)로 이용하는 일종의 이례적인 구조인 관계로, 상기 배기 통로 상의 대기 혼입이 불가피함은 물론 수차례의 펌핑에도 불구하고 높은 진공도 확보가 사실상 어렵다고 하는 본질적 문제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Furthermore, since it is a kind of unusual structure that uses a conventional airtight O-ring as a valve, it is inevitable that air is mixed on the exhaust passage and high vacuum is maintained despite several pumpings. It is inevitable to point out the intrinsic problem that is actually difficult.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내부 구조가 단순하고 합리적이어서 적은 힘으로 신속하게 높은 진공도 확보가 가능한 바람직한 형태의 밀폐 용기용 진공 펌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vacuum pump for a closed container of a preferred form, which is capable of ensuring a high degree of vacuum quickly with low force due to a simple and reasonable internal structur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 중으로 통하는 통공 및 밸브 판을 구비한 원통형 공간 내로 진공화 대상 밀폐 용기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동시에 이를 바로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방식의 공기 배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chieved by adopting an air releasing structure in which the air inside the vacuum container to be evacuated is sucked into the cylindrical space having the through hole and the valve plate leading to the atmosphere,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is discharged directly to the atmosphere.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 펌프로부터 대기 중으로의 공기 배출 구조를 포함한 전체적 구조가 단순함은 물론 높은 진공도 확보가 가능하고 작업 효율이 높은 매우 바람직한 형태의 밀폐 용기용 진공 펌프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vacuum pump for an airtight container of a very preferable form, in which the overall structure including the air discharge structure from the vacuum pump to the atmosphere is simple as well as high vacuum can be secured and work efficiency is high.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밀폐 용기용 진공 펌프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vacuum pump for sealed containers of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도 1 의 정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용 진공 펌프는, 하단부가 개방된 원통형 공간이 그 내측 중앙 상단부에 형성된 통체(10)와, 이 통체(10) 내측 중앙 상단부의 원통형 공간 하단부에 상대 운동 가능 상태로 결합된 하단 가동체(20)와, 이 하단 가동체(20)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그 상단부가 상기 통체(10)와 결합된 흡기관(30)과, 상기 통체(1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단 가동체(20)와 접촉하는 누름 동력 전달체(40)와, 흡기관(30)의 하단부 및 통체(10)의 하단부와 결합된 하단 지지체(50)와, 상기 하단 가동체(20)와 하단 지지체(50)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front sectional view of FIG. 1, the vacuum pump for sealed containers which concerns on the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the
상기 하단 가동체(20)는 중앙 통공을 구비한 원판형 상단면과(21), 이 상단면(21)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그 하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측벽(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단면(21) 상의 중앙 통공 가장자리부에는 내경 밀봉재(S1) 삽입을 위한 홈이, 상단면(21)의 외측단부에는 외경 밀봉재(S2)을 위한 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측벽(22)의 외측단에는 상기 누름 동력 전달체(40)의 하단부가 맞물리는 원환형 홈이 형성되어 있다. The lower
상기 하단 지지체(50)는 중앙 통공을 갖는 원판체로서의 지지판(51)과, 이 지지판(51) 상의 중앙 통공 내에 상기 흡기관(30)의 하단부와 접촉 상태로 함께 삽입되는 밀봉관(5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지지판(51)의 외측단부에는 상기 통 체(1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The
밀봉관(52)은 연질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서 진공화 작업 대상 밀폐 용기 측 배출구에 밀착되는 부위이다. The
또한, 지지판(51) 상에는 상기 스프링(60)의 하단부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환형의 위치 고정 턱(5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n
도면 부호 "33"은 진공 펌프로부터 밀폐 용기로의 기체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밸브체를 나타내며, 이 밸브체(30)의 형상 및 관련부 구조는 유체 제어 관련 분야에서 보편화된 통상의 체크 밸브(check valve) 구조와 동일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Reference numeral “33” denotes a valve body for preventing gas backflow from the vacuum pump to the sealed container, and the shape and associated structure of the
한편, 도시한 바의 진공 펌프는 상기 누름 동력 전달체(40)가 완전히 눌려진 다음 좌우 어느 한쪽으로 약간 돌려진 보관 상태로서, 이 상태에 있어서는, 후술하게 될 걸림 턱을 매개로 상기 누름 동력 전달체(40)가 통체(10)의 상단면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vacuum pump as shown is a storage state in which the press
도 2 는 본 발명 실시예의 진공 펌프의 정면도로서, 누름 동력 전달체(40)가 수직 하강 및 상승을 반복하게 되는 진공화 작업중 상태를 나타낸다.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vacuum pump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the state during the vacuuming operation in which the press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면(41) 및 측벽(42)을 포함하는 구성의 누름 동력 전달체(40) 상에 있어 측벽(42) 상단부에는 통체(10)의 상단면 두께에 상응하는 폭의 홈, 즉 걸림 턱(C)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the top of the
도 3 과 도 4 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진공 펌프를 구성하는 누름 동력 전달체의 정면도와 그 A-A선 단면도이다. 3 and 4 are front and 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the push power transmission body constituting the vacuum pu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따르면, 누름 동력 전달체(40)는, 원판체로서의 상단면(41)과, 이 상단면(41)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측벽(4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측벽(42)은 다수의 개구부(H)를 경계로 다수(도면상으로는 네 개)의 구역으로 구분된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the figure, the press
측벽(42)의 각 구역별 중앙부에는 힘살, 즉 리브(rib)(4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구부(H)의 존재로 인한 측벽 전체의 강성 저하를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rigidity of the entire side wall due to the presence of the opening H by forming a force, ie, a
한편, 도면 부호 "w1" 은 상기 리브(43)의 폭을, 도면 부호 "w2" 는 측벽(42) 상의 각 구역별 폭을, 도면 부호 "d"는 개구부(H) 양쪽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걸림 턱(C)의 깊이를 각각 나타낸다. 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numeral "w1" denotes the width of the
도 5 와 도 6 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진공 펌프를 구성하는 통체의 평면도와 그 B-B선 단면도이다. 5 and 6 are plan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B-B of the cylinder constituting the vacuum pu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따르면, 통체(10)는, 그 내측 중앙 상단부의 원통형 공간을 형성하는 내통(11)과, 이 내통(11)과 상단면을 공유하고 내통(11)을 둘러싸는 형상의 외통(12)과, 내통(11)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기공(h1) 측방에 부착되어(빗금친 부분) 이를 개폐하는 밸브 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내통(11)과 외통(12) 사이의 상단면에는 상기 도 4 상의 누름 동력 전달체(40)의 수직 측벽(42)이 삽입되는 다수의 통공(h3)이 형성된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the figure, the
상기 밸브 판(13)의 형상 및 부착 방법을 포함한 밸브 관련부 구조로서는 도시한 바 이외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a valve related part structure including the shape of the
통공(h3)은 상기 누름 동력 전달체(40) 상의 각 구역별 측벽(42)이 삽입되는 구멍으로서 그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은 물론이며, 통공 전체 폭(W2) 또한 상기 측벽(42) 상의 구역별 폭(w2)에 상응하는 치수를 갖는다. The through hole h3 is a hole into which the
그러한 반면, 도 4 상의 리브(43)가 삽입되는 홈 부분의 폭(W1)은 리브(43)의 폭(w1) 보다 큰 치수를 갖는 특징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idth W1 of the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이는 상기 누름 동력 전달체(40) 상의 각 구역별 측벽(42)이 상대 통공(h3) 내에서 약간 회전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이며, 폭(W1)은 폭(w1)의 세 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그 선택에 따라 누름 동력 전달체(4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폭(w1)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록) This is for the
여기서, 도 3, 도 4 및 도 5 를 참조로 하여, 앞서 언급한 바의 걸림 턱(C)을 매개로 하여 통체(10)와 누름 동력 전달체(40) 사이에 걸림, 즉 상호 맞물림이 이루어지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 4 and 5, the principle that the engaging, that is, interlocking between the
진공화 작업 완료 후 본 발명 실시예의 진공 펌프를 보관 상태로 하고자 할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It is assumed that the vacuum pump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stor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vacuuming operation.
누름 동력 전달체(40)를 완전히 아래로 눌러줌에 따라 도 3 상의 걸림 턱(C)은 통체(10)의 상단면과 일치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며, 이어서, 누름 동력 전달체(40)를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폭(w1)만큼 회전시키면, 통체(10) 상의 통공(h3)의 좌측(또는 우측) 선단부가 걸림 턱(C) 속으로 들어가 걸리게 되는 것이다. As the pressing
상기와 같은 상호 맞물림 과정을 고려할 때, 걸림 턱(C)의 깊이(d)는 리 브(43)의 폭(w1)과 동일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In consideration of such a mutual engagement process,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depth d of the locking jaw C is equal to the width w1 of the
누름 동력 전달체(40)을 그 반대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앞서 설명한 바의 스프링(60)의 탄발력에 의해 누름 동력 전달체(40)가 수직 상승하게 됨은 물론이다. When the push
도 7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진공 펌프를 구성하는 하단 가동체(20)의 배면도이다. 7 is a rear view of the lower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22)의 하단부는 수평으로 연장된 형상을 이루며, 해당 연장부 하단면 상에는 강성 보강을 위한 다수의 리브(23)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the lower end of the
도면 부호 "24"는 도 1 상의 스프링(60)의 상단부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환형의 위치 고정 턱(53)을 나타낸다.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진공 펌프를 구성하는 흡기관(30)은, 그 상단부 가장자리에 다수의 통공(h4)이 형성된 통로관(31)과, 이 통로관(31)의 내경부와 그 외경부가 밀착되고 중앙부에 통공(h5)이 형성된 차단관(3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차단관(32) 상의 통공(h5)에는 앞서 언급한 바의 밸브체가 안치된다. As shown in Fig. 8, the
상기 통공(h4)의 경우, 그 상단부가 개방된 구조, 일종의 홈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통로관(31)의 강도 보완 차원에서 이를 원형 구멍으로 해도 무방하다. In the case of the through hole (h4), but the upper end portion is shown in an open structure, a kind of groove shape, it may be a circular hole in order to supplement the strength of the passage pipe (31).
한편, 밀폐 용기로부터 빠져나온 내부 공기는 상기 통공(h5) 및 통공(h4)을 거쳐 앞서 설명한 통체 상의 원통형 공간 내로 유입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l air discharged from the sealed container is introduced into the cylindrical space on the cylinder described above through the through hole (h5) and the through hole (h4).
도 9 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진공 펌프를 이용한 실질적 진공화 작업 과정, 즉 밀폐 용기 측 내부 공기를 빼내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9, a process of substantially evacuating a vacuum using a vacuum pum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process of extracting air inside the sealed container side will be described.
우선, 진공 펌프의 최하단을 구성하는 밀봉관(52)을 진공화 작업 대상 밀폐 용기 측 배기구(도시하지 않음)에 갖다댄 다음, 누름 동력 전달체(40)를 눌러준다. (화살표 참조) First, the
누름 동력 전달체(40) 및 이와 접촉 상태의 하단 가동체(20)가 동시 하강함에 따라 통체(10) 상의 내통(11) 내에 있어 하단 가동체(20) 상방의 원통형 공간이 확장되면서 해당 공간 내에 부압이 형성된다. As the push
기체는 고압 공간으로부터 저압 공간으로 유동한다는 원리에 따라, 고압 공간, 즉 진공화 작업 대상 밀폐 용기 측 내부 공기가 밸브체(33)를 들어올리면서 저압 공간, 즉 하단 가동체(20) 상방의 원통형 공간 내로 유입된다. (화살표 참조)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the gas flows from the high pressure space to the low pressure space, the low pressure space, that is, the cylindrical space above the lower
하단 가동체(20)의 하강이 진행되는 동안, 밸브 판(13)은 대기압에 의해 눌려져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While the lowering of the lower
도 10 을 참조로 하여,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한 원상 복귀 과정, 즉 진공 펌프로부터 대기 중으로 최종 배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10, a process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that is, the process of finally evacuating the air from the vacuum pump to the air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누름 동력 전달체(40)에 대한 누르는 힘을 빼면, 압축 상태인 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함에 따라, 하단 가동체(20) 및 누름 동력 전달체(40)가 상승하면서 하단 가동체(20) 상방의 원통형 공간이 축소되는 동시에 그 내부 압력이 밀폐 용기 측 내부 압력보다 높아진다. (화살표 참조)When the user removes the pressing force against the pressing
그 결과, 밸브체(33)는 상기 하단 가동체(20) 상방의 원통형 공간으로부터의 높은 압력과 자중에 의해 통공(h5)을 폐쇄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스프링(6)의 탄발력이 계속 작용함에 따라 하단 가동체(20) 상방의 원통형 공간이 어느 정도 이하로 축소되면, 그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짐과 동시에 통체(10) 상단부의 밸브 판(13)이 대기 중을 향하여 개방, 내부 공기의 최종 배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화살표 참조) A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 continues to act, if the cylindrical space above the lower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함에 따라 진공화 작업 대상 밀폐 용기 측 내부 공기는 대기 중으로 빠져나오게 되어 진공 상태를 이루게 된다. By repeatedly performing this process, the air inside the sealed container to be evacuated is taken out into the atmosphere to achieve a vacuum state.
도 11 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밀폐 용기용 진공 펌프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스프링(60')의 길이를 단축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스프링 작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스프링 받침(54)을 추가한 특징이 있다.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vacuum pump for the hermetic container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도시한 바의 진공 펌프 작동 상태는 상기 도 10 의 경우와 동일하며, 스프링 받침(54) 이외의 다른 구성상의 특징은 없는 점을 고려하여, 이 실시예에 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The vacuum pump operating state as shown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FIG. 10, and no further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is omitted in view of the fact that there are no structural features other than the
이상, 본 발명 실시예의 밀폐 용기용 진공 펌프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vacuum pump for airtight containers of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various design changes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are possible.
그러나, 특허청구범위 상에 명기된 구성을 특징을 하는 한의 사소한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all minor changes which characterize the construction specified in the claims ar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용 진공 펌프의 정단면도, 1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vacuum pump for a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펌프의 측면도, 2 is a side view of a vacuum pu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 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진공 펌프를 구성하는 누름 동력 전달체의 정면도, 3 is a front view of a press power transmission constituting the vacuum pump of the first embodiment;
도 4 는 상기 도 3 상의 A-A선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 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진공 펌프를 구성하는 통체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a cylinder constituting the vacuum pump of the first embodiment;
도 6 은 상기 도 5 상의 B-B선 단면도,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도 7 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진공 펌프를 구성하는 하단 가동체의 배면도, 7 is a rear view of the lower movable body constituting the vacuum pump of the first embodiment;
도 8 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진공 펌프를 구성하는 흡기관의 부분 단면도,8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an intake pipe constituting the vacuum pump of the first embodiment;
도 9 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진공 펌프에 의한 실질적 진공화 과정을 나타낸 진공 펌프 정단면도, 9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vacuum pump showing a substantial vacuuming process by the vacuum pump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0 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진공 펌프에 의한 최종 배기 과정을 나타낸 진공 펌프 정단면도,10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vacuum pump showing a final exhaust process by the vacuum pump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1 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용 진공 펌프의 정단면도이다.11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vacuum pump for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통체 11 : 내통 10: cylinder 11: inner cylinder
12 : 외통 13 : 밸브 판 12: outer cylinder 13: valve plate
20 : 하단 가동체 30 : 흡기관 20: lower movable body 30: intake pipe
31 : 통로관 33 : 밸브체 31: passage pipe 33: valve body
40 : 누름 동력 전달체 50 : 하단 지지판 40: push power transmission member 50: lower support plate
52 : 밀봉관 60 : 스프링 52: sealing tube 60: spring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2668A KR20100024017A (en) | 2008-08-25 | 2008-08-25 | A vacuum pump for an airtight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2668A KR20100024017A (en) | 2008-08-25 | 2008-08-25 | A vacuum pump for an airtight contai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4017A true KR20100024017A (en) | 2010-03-05 |
Family
ID=42175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2668A Ceased KR20100024017A (en) | 2008-08-25 | 2008-08-25 | A vacuum pump for an airtight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24017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1833B1 (en) * | 2011-01-14 | 2011-05-02 | 구정오 | Bottle and vacuum container vacuum pump |
CN106185047A (en) * | 2016-08-29 | 2016-12-07 | 珠海先河生物技术有限公司 | Vacuum freshness retaining juice glass |
CN110506007A (en) * | 2017-05-31 | 2019-11-26 | 王永铭 | Hermetic bag and its application method |
-
2008
- 2008-08-25 KR KR1020080082668A patent/KR20100024017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1833B1 (en) * | 2011-01-14 | 2011-05-02 | 구정오 | Bottle and vacuum container vacuum pump |
CN106185047A (en) * | 2016-08-29 | 2016-12-07 | 珠海先河生物技术有限公司 | Vacuum freshness retaining juice glass |
WO2018040747A1 (en) * | 2016-08-29 | 2018-03-08 | 魏宏华 | Vacuum juice freshness-preserving cup |
CN110506007A (en) * | 2017-05-31 | 2019-11-26 | 王永铭 | Hermetic bag and its applica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1367B1 (en) | Container cover with locking element for sealing container in vacuum and vacuum container employing the same | |
US6264054B1 (en) | Vacuum airtight container | |
KR200462552Y1 (en) | Vaccum container equipped with vaccum pump | |
US8590722B2 (en) | Vacuum receptacle lid for easy sealing | |
CN107640444B (en) | Vacuum cup | |
JP6290422B2 (en) | Bottle vacuum sealing device | |
JP2004244106A (en) | Food preservation vacuum container | |
ZA200409270B (en) | Hose direct canister lid | |
KR101362264B1 (en) | Vacuum pump | |
KR20100024017A (en) | A vacuum pump for an airtight container | |
US20200039724A1 (en) | Vacuum-sealed container | |
CN107878942B (en) | Cup cover and vacuum cup | |
CN107651318A (en) | Cup lid is vacuumized, vacuumize cup and vacuumizes stirring/crushing cup | |
KR20130131838A (en) | Vaccum container equipped with vaccum pump | |
CN206679593U (en) | Vacuum can | |
EP1714910A1 (en) | Container for holding food under rarefied atmosphere | |
CN207536495U (en) | Cup lid is vacuumized, vacuumize cup and vacuumizes stirring/crushing cup | |
WO2019062459A1 (en) | Vacuumizing cup lid, vacuumizing cup, and vacuumizing stirring/crushing cup | |
KR101409575B1 (en) | Airtight cover for food keeping container | |
KR100455105B1 (en) | Vacuum apparatus for forming a vacuum in a container and indicator for indicating and releasing the vacuum for the apparatus | |
KR100960306B1 (en) | Air suction and discharge structure for vacuum pump and vacuum pump using same | |
KR20110037611A (en) | Easy-to-close vacuum container lid | |
JP4538011B2 (en) | Air exhaust valve for futon compression storage case | |
KR200255232Y1 (en) | air drain valve of vacuum preservation container | |
CN207497327U (en) | Vacuum cu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9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