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36258Y1 -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 Google Patents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258Y1
KR200436258Y1 KR2020070006520U KR20070006520U KR200436258Y1 KR 200436258 Y1 KR200436258 Y1 KR 200436258Y1 KR 2020070006520 U KR2020070006520 U KR 2020070006520U KR 20070006520 U KR20070006520 U KR 20070006520U KR 200436258 Y1 KR200436258 Y1 KR 200436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hanger
ceiling panel
anchor bolt
coup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성
Original Assignee
문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성 filed Critical 문재성
Priority to KR2020070006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2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25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앙카볼트와 지지부재의 결합이 간이신속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저렴한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앙카볼트;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양측에서 각각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두 수직부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내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상기 앙카볼트의 나사산과 상기 지지부재 결합부의 돌기가 맞물려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표면을 조이는 조임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의 수직부 내면 소정부위에는 상기 수평부와 함께 결합된 채널부재를 잡아주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두 결합부는 그 길이를 달리하며, 지지부재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천장패널, 행거, 나사산, 조임구

Description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FIXING HANGER FOR CEILING PANEL}
도 1 은 본 고안의 행거를 이용하여 설치된 천장패널의 설치 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앵커볼트 11 : 나사산
20 : 지지부재 21 : 수평부
23 : 수직부 23a : 돌출부
25 : 결합부 25a : 돌기
30 : 조임구
본 고안은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앙카볼 트와 지지부재의 결합이 간이신속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저렴한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건물 실내의 천장은 천장패널에 의해서 마감 처리된다. 그리고 천장패널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행하게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두 레일부재(1)에 결합되고, 상기 두 레일부재(1)는 채널부재(2)로 연결지지 된다.
그리고 상기 채널부재는(2) 행거에 연결되어 천장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된다.
이와 같이 채널부재에 연결되어 천장패널이 천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는 통상 채널부재가 안치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재와, 하단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되고 상단은 천장에 고정되는 앵커볼트로 이루어진다.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에 관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2007-16916호 '천장패널 고정행거', 등록특허 제538280호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공지되었다.
위에서 언급한 공개특허 및 등록특허는 지지부재와 앵커볼트의 결합을 두개의 너트를 이용하고 있다. 앵커볼트에 나사결합된 두 너트 사이에 지지부재를 개재시킨 후에 두 나사를 조임으로서 앵커볼트에 지지부재를 결합시키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앵커볼트에 너트, 지지부재, 또 다른 너트를 차례로 삽입 한 후에, 지지부재를 예상설치위치에 배치한 후에 두 너트를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조이는 방식으로서, 지지부재와 앵커볼트를 결합시키기 위해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며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번거롭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635933호 '천정패널 고정해거'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635933호는 지지부재의 상단에 조임수단을 구비하여 앵커볼트와 지지부재를 결합시키고 있으며, 상기 조임수단은 앵커볼트가 삽입되며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갖는 몸체와, 핸들에 의해 회전되어 앵커를 통공의 나사산에 면접촉되도록 미는 조임축으로 구성된다.
상기 등록특허 제635933호는 작업자가 핸들을 돌리는 것만으로 지지부재와 앵커볼트를 결합시킬 수 있어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의 설치작업이 간단히 수행되는 장점을 갖지만,
조임수단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되어 경제성이 떨어진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앵커볼트와 지지부재의 결합이 용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지지부재의 높이조절도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무엇보다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여 경제성이 탁월한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앙카볼트;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양측에서 각각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두 수직부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내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상기 앙카볼트의 나사산과 상기 지지부재 결합부의 돌기가 맞물려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표면을 조이는 조임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의 수직부 내면 소정부위에는 상기 수평부와 함께 결합된 채널부재를 잡아주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두 결합부는 그 길이를 달리하며, 지지부재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행거를 이용하여 천장패널을 천장에서 소정거리 이격시켜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여 천장패널을 설치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우선, 천장에 행거를 설치한다. 즉, 앵커볼트(10)의 일단을 천장에 고정하 고, 앵커볼트(10)의 타단에 지지부재(20)를 결합시킨다.
그 다음에 지지부재(20)에 채널부재(2)를 안치시켜 지지하고, 지지부재(20)의 설치높이를 조절하여 채널부재(2)들의 수평을 맞춘다. 물론, 지지부재(20)의 설치높이를 먼저 조절한 후에 채널부재(2)들을 지지부재(20)에 안치시켜 채널부재(2)들의 수평을 맞추는 것을 포함한다.
그 다음에는 채널부재(2)에 레일부재(1)를 결합시킨 후에 천장패널(P)들을 상기 레일부재(1)에 차례로 결합시킴으로서 천장을 마감처리 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패널지지용 행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채널부재가 안치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앵커볼트(10), 지지부재(20) 그리고 조임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앵커볼트(10)의 표면에는 상기 지지부재(20) 결합부(25)의 돌기(25a)와 맞물려 결합되는 나사산(11)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은 천장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지지부재(20)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안치된 채널부재(2)를 받쳐주는 수평부(21)와, 상기 수평부(21) 양측에서 각각 수직으로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직부(23)와, 상기 수직부(23)와 일체를 이루며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25)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25)의 내면에는 상기 앵커볼트(10)의 나사산에 맞물려 결합되는 돌기(2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25a)는 상기 나사산(11)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5) 내면의 횡방향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대응나사산(25a)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두 수직부(23)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두 결합부(25)는 그 길이를 달리한다. 두 결합부(25)의 길이를 달리하는 것은 지지부재(20)에 채널부재(2)를 안치시키기 전에 지지부재(20)의 설치높이 조절을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지지부재(20)의 설치높이에 맞게 결합부(25)를 앵커볼트(10)에 배치시킨 후에 앵커볼트(10) 상부에 삽입되어 있는 조임구(30)를 하강시켜 조임구(30)가 길이가 더긴 결합부(25)의 단부 일부를 조여 지지부재(20)와 앵커볼트(10)가 1차적으로 결합시킴으로서, 사후 재조정이 없으면 지지부재(20)의 설치높이 조절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조임구(30)로 지지부재(20)와 앵커볼트(10)를 1차적으로 결합시킨 후에 아직 조여지지 않는 결합부(25)를 벌리고 채널부재(2)를 아래로 내려 수평부(21)와 두 수직부(23) 사이에 안치시키고, 조여지지 않는 결합부(25)를 다시 오므려 앵커볼트(10)에 밀착시킨 후에 조임구(30)를 내려 조임구(30)가 두 결합부(25)를 조임으로서 지지부재(20)와 앵커볼트(10)의 결합이 최종적으로 완료된다.
여기서, 지지부재(20)는 수직부(23)재 및 결합부(25)가 벌어졌다 오므려지는 과정에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부(23)의 내면 소정부위에는 돌출부(23a)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3a)는 안치된 채널부재(2)의 상단을 잡아줌으로서 지지부재(20)에 안치된 채널부재(2)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임구(30)는 지지부재(20) 결합부(25)의 돌기(25a)(대응나사산)가 앵커볼트(10)의 나사산(11)에 밀착되어 맞물리도록 결합부(25)를 조여 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임구(30)의 내경은 앵커볼트(10)의 직경(나사산(11)의 돌출길이 포함)과 두 결합부(25)의 두께를 합한 길이 보다 크고, 이 길이에 두 결합부(25) 돌기(25a)의 돌출길이를 합한 길이보다는 작아야 한다.
그리고 조임구(30)가 지지부재(20)와 앵커볼트(10)를 1차적으로 결합시킨 상태(즉, 길이가 더긴 결합부(25)의 단부 일부만을 조임구(30)가 조이는 상태)에서 앵커볼트(10)의 나사산과 결합부(25)의 돌기(25a)의 맞물림이 쉽게 해지되지 않도록
돌기(25a)의 돌출길이는 결합부(25)의 두께보다 길고, 조임구(30)의 내경은 앵커볼트(10)의 직경에 하나의 결합부(25)의 두께 및 하나의 돌기(25a)의 돌출길이를 합한 것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부(25)가 삽입되기 시작하는 조임구(30)의 입구측 내경은 확장되어 결합부(25)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임구(30)가 두 결합부(25)를 조이는 상태에서는 결합부(25)의 돌기(25a)와 앵커볼트(10)의 나사산(11)이 서로 맞물려 있고, 조임구(30)는 자중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됨으로 작업자가 조임구(30)를 승강시키지 않는 한 지지부재(20)와 앵커볼트(10)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획기적으로 절감됨으로 경제성이 탁월하고,
앵커볼트와 지지부재의 결합 및 해체가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이 작업자가 손으로 조임구를 잡고 앵커볼트를 따라 하강 또는 승강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간이 신속하게 수행되고, 지지부재의 설치높이 조절과 채널부재의 지지부재에의 안치 역시 쉽게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작업의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증대된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앙카볼트;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양측에서 각각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두 수직부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내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상기 앙카볼트의 나사산과 상기 지지부재 결합부의 돌기가 맞물려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표면을 조이는 조임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수직부 내면 소정부위에는 상기 수평부와 함께 결합된 채널부재를 잡아주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두 결합부는 그 길이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결합부의 돌기는 상기 결합부 내면에 횡방향을 길게 형성된 대응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구의 입구측 내경은 상기 지지부재 결합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KR2020070006520U 2007-04-19 2007-04-19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Expired - Lifetime KR200436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520U KR200436258Y1 (ko) 2007-04-19 2007-04-19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520U KR200436258Y1 (ko) 2007-04-19 2007-04-19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258Y1 true KR200436258Y1 (ko) 2007-07-11

Family

ID=4163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520U Expired - Lifetime KR200436258Y1 (ko) 2007-04-19 2007-04-19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2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169A (ko) * 2015-04-15 2016-10-25 주식회사 조은데코 높이 조절 가능한 행거
KR20190014329A (ko)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한솔클래스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169A (ko) * 2015-04-15 2016-10-25 주식회사 조은데코 높이 조절 가능한 행거
KR101697726B1 (ko) * 2015-04-15 2017-01-18 주식회사 조은데코 높이 조절 가능한 행거
KR20190014329A (ko)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한솔클래스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950B1 (ko) 나사산이 형성된 슬라이더 장착 시스템
US7217058B2 (en)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mounting rails
WO2010082818A1 (en) Improved pipe-suspension bracket
KR101360371B1 (ko)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KR200423791Y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436258Y1 (ko)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US20150137058A1 (en) Post mounting assembly for post and rail constructions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200420002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60066705A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BR112019015035A2 (pt) Console para a fixação de elementos de fachada
KR102203309B1 (ko)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JP5500560B2 (ja) 転倒防止治具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KR200423900Y1 (ko) 아파트의 천장판 시공 장치
KR20200095776A (ko) 파이프 행거용 클램프
KR20100010826U (ko) 배관용 파이프 고정장치
RU92496U1 (ru) Крепежный узел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конструкт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KR20070072839A (ko) 실내 다용도걸이. 길이조절 봉 설치.
KR100886970B1 (ko) 고정클램프
KR20090129301A (ko)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50428Y1 (ko) 설치각이 가변되는 배관지지용 행거
KR101662780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53064Y1 (ko) 건물의 파이프용 행거
KR950008895Y1 (ko) 배관파이프의 행거 고정장치
CN216813407U (zh) 一种抗震力可调节的抗震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4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0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9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707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7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