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33889Y1 - 거푸집 판넬 - Google Patents

거푸집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889Y1
KR200433889Y1 KR2020060026238U KR20060026238U KR200433889Y1 KR 200433889 Y1 KR200433889 Y1 KR 200433889Y1 KR 2020060026238 U KR2020060026238 U KR 2020060026238U KR 20060026238 U KR20060026238 U KR 20060026238U KR 200433889 Y1 KR200433889 Y1 KR 200433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anel
synthetic resin
formwork
frame
me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환
Original Assignee
강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환 filed Critical 강석환
Priority to KR2020060026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8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88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면에 합성수지층이 직접 결합된 금속제 거푸집 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거푸집 판넬은, 사각틀 형상의 금속 프레임(11)과; 프레임(11)의 전면에 고정 결합된 금속판(12)과; 프레임(11)과 금속판(12)의 강성 보강을 위하여 프레임(11) 내부에 결합된 다수의 보강재(13)와; 프레임(11)을 제외한 금속판(12)의 배면 및 보강재(13)들의 외표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합성수지층(14) 등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거푸집 판넬은, 금속제 거푸집 판넬의 재활용을 위한 보수 작업 시간이 현저히 감소되는 동시에 거푸집 판넬의 유지 보수 비용도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거푸집, 거푸집 판넬, 합성수지층, 필름

Description

거푸집 판넬{The concrete form panel}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 거푸집 판넬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 거푸집 판넬의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 거푸집 판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프레임 12. 금속판
13. 보강재 14. 합성수지층
본 고안은, 금속으로 제작된 건축용 거푸집 판넬의 배면에 합성수지층이 결합됨으로써, 시공 완료 후 해체된 거푸집 판넬의 배면에 부착된 콘크리트를 합성수지층과 함께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재활용을 위한 거푸집 판넬의 유 지 보수 시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되도록 한, 거푸집 판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이나 구축물의 공사시 콘크리트 벽체는, 내부 공간이 벽체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 즉 거푸집을 먼저 만든 후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벽체의 형성은 콘크리트 양생용 주형인 거푸집을 만드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도구로서, 종래에는, 합판의 배면에 각목 프레임이 결합된 목재 거푸집 판넬이 주로 사용되어 왔는 바, 이러한 목재 거푸집 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합판 배면에 각목 프레임이 못질되어 만들어진 목재 거푸집 판넬 다수를, 벽체나 기둥의 뼈대가 되는 철근 조립부 외부에 연결 조립하여 내·외벽 또는 기둥용 등의 거푸집을 형성한 후 그 사이의 공간에 콘트리트를 채워넣어 양생시키고, 양생이 완료된 다음 거푸집을 이루고 있는 목재 거푸집 판넬들을 벽체로부터 떼어 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목재 거푸집 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시에는 거푸집 판넬들간의 연결 조립이 못질과 함께 와이어의 조임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로 되며,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철거 작업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그리고, 목재 거푸집 판넬은, 목재의 특성상 거푸집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압력으로 변형되기 쉬우며, 벽체의 규모가 클수록 그러한 경향은 더욱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벽체의 외면이 평탄면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재 거푸집 판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만든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채우기전 별도의 보강재로 상기 목재 거푸집 판넬의 배면을 보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목재 거푸집 판넬은, 거푸집의 설치 및 철거 과정에서 변형이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반복하여 재사용되는 횟수가 극히 제한된다.
또한, 파손되어 못쓰게 된 목재 거푸집 판넬은, 주로 소각을 통해서 처리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소각시 발생되는 연기가 공해 요인으로 작용하게 됨에 따라, 그 처리를 위해 별도의 비용이 추가되는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재 거푸집 판넬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재(鋼材)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금속 거푸집 판넬이 개발되어 각종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강재 거푸집 판넬의 경우에는 그 중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시 노동부하가 지나치게 상승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합금 거푸집 판넬이 개발되었다.
알루미늄 합금 거푸집 판넬은, 강재 거푸집 판넬에 비하여 무게가 매우 가벼울 뿐 아니라, 자체 강성이 크기 때문에 목재 거푸집 판넬과 비교하여 콘크리트 압 력에 의한 변형이 거의 없으며, 그에 따라, 양생된 벽체의 표면 품질이 우수하고 설치 및 철거 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여 수명이 반영구적이라는 장점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합금 거푸집 판넬의 경우, 시공시 그 배면이나 보강 프레임 등에 부착된 콘크리트가 쉽게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해체된 알루미늄 합금 거푸집 판넬을 재활용 하기 위하여 그 배면이나 보강 프레임 등에서 콘크리트를 떼어내는 작업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거푸집 판넬이 손상되기도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금속 거푸집 판넬 특히, 알루미늄 합금 거푸집 판넬의 배면에 부착된 콘크리트가 쉽게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재활용을 위한 거푸집 판넬의 보수 작업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거나, 보수 시 거푸집 판넬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금속 거푸집 판넬의 배면에 콘크리트가 직접 부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해체된 거푸집 판넬의 배면에 부착된 콘크리트를 보수 작업 시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거푸집 판넬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합성수지층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거푸집 판넬은, 시공 과정에서 거푸집 판넬의 배면에 단단히 부착 되는 콘크리트 조각들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거푸집 판넬의 배면과 콘크리트 사이에 합성수지층을 개재시킨 구조에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의 거푸집 판넬은, 그 배면에 합성수지층이 결합된 구조로서, 거푸집 판넬의 배면과 합성수지층은 서로 직접 밀착된 상태이다.
그리고, 거푸집 판넬의 배면에는, 거푸집 판넬의 강성 보강을 위하여 다수의 바형 보강재가 고정 결합된 구조인바, 상기 합성수지층은, 보강재를 포함한 거푸집 판넬의 전체 배면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거푸집 판넬은, 그 배면 즉, 합성수지층의 배면에 콘크리트가 부착되는 바, 콘크리트를 합성수지층과 분리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야만 하며, 합성수지층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금속 표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거푸집 판넬의 배면에 점착제 또는 이형제 등과 액상의 합성수지를 순차적으로 도포하는 방법, 점착제가 도포된 합성수지 필름을 밀착 결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두가지 방법 중 첫번째 방법은, 접착제나 이형제 등과 합성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장시간의 작업 시간이 필요로 되고, 두번째 방법은, 다수의 보강재가 결합되어 다수 칸으로 구획된 거푸집 판넬의 표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합성수지 시트를 균일하게 부착하는 것이 쉽지 않은 측면이 있다.
따라서, 점착제가 도포된 합성수지 필름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합성수지 필 름을 거푸집의 배면에 적층한 상태에서 필름의 배면에 열풍을 불어 줌으로써, 필름이 연질 및 연신되면서 다수 칸으로 구획된 거푸집 판넬의 배면 전체에 합성수지 필름이 비교적 균일하면서도 신속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바, 본 고안의 거푸집 판넬에 결합된 합성수지층은, 상기와 같은 열풍법에 의해 결합시키는 것이 작업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열풍법에 의해 거푸집 판넬의 배면에 합성수지층이 분리 가능토록 결합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시 넘치거나 튀어 비산하는 콘크리트 혼합물이, 거푸집 판넬의 금속 배면이 아닌 합성수지층 표면에 부착되는 바, 합성수지층과 함께 부착된 콘크리트를 손쉽게 분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고안 실시예 거푸집 판넬의 정면도를, 도 2에 배면도를, 도 3에 분해 사시도를, 도 4에 본 고안 실시예 거푸집 판넬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푸집 판넬은,
사각틀 형상의 금속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전면에 고정 결합되며 평탄한 표면을 갖는 금속판(12)과;
상기 금속판(12)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프레임(11)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금속 바형 보강재(13)와;
상기 프레임(11)을 제외한 금속판(12)의 배면 및 다수 보강재(13)의 외표면 에 밀착되는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 결합된 합성수지층(14)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1)과 금속판(12)은 강(鋼) 또는 알루미늄 합금인데, 특히, 강보다 콘크리트의 부착성이 높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거푸집 판넬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프레임(11)과 금속판(12) 및 보강재(13)로 이루어진 종래 금속재 거푸집 판넬의 경우, 금속판의 전면에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이형층이 피복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콘크리트면에 대한 거푸집 판넬의 이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층(14)은, 합성수지를 도포 및 건조하여 형성시키는 것보다는 거푸집 판넬의 배면에 합성수지 필름을 적층한 후 70℃ 이상 융점 미만의 열풍을 불어 줌으로써, 합성수지 필름이 연화에 의해 연신되면서 부착되는 바,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필름은 롤의 형태로 제조 및 판매되며, 필름의 일측 표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 필름의 점착제 도포면을 거푸집의 배면에 적층한 상태에서 필름의 배면에 열풍을 불어 합성수지 필름과 금속판 배면이 부분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도록 한 후, 합성수지 필름의 밀착 결합부에서 외측으로 즉, 프레임의 내주면 측으로 열풍을 불어 줌으로써, 합성수지 필름과 금속판 사이의 공기가 프레임 내주면과 합성수지 필름의 테두리 사이를 통하여 빠져나가면서 합성수지 필름의 점착제 도포면과 금속판 배면 및 보강재 외표면이 서로 밀착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열풍에 의해 합성수지 필름을 거푸집 판넬의 배면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열풍의 열에 의해 합성수지 필름이 연화되면서 연신되어야만 하는 바,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푸집 판넬은, 그 배면에 분리 가능한 합성수지층이 결합되기 때문에, 시공 시 거푸집 판넬의 배면에 부착된 콘크리트를 합성수지층과 손쉽게 분리 제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금속제 거푸집 판넬의 재활용을 위한 보수 작업 시간이 대폭적으로 감소할 뿐만 아니라, 보수 시 발생할 수 있는 거푸집 판넬의 손상도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사각틀 형상의 금속 프레임 전면에 평탄한 표면을 갖는 금속판이 결합되며, 금속판의 배면에 프레임 사이에 다수의 보강재가 결합된 금속재 거푸집 판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을 제외한 금속판(12)의 배면과 다수 보강재(13)의 외표면에, 70℃ 이상의 열풍에 의해 연화된 열가소성 합성수지 필름의 점착제 도포면을 밀착 상태로 부착시킨 합성수지층(14)이 피복 형성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판넬.
KR2020060026238U 2006-09-28 2006-09-28 거푸집 판넬 Expired - Fee Related KR200433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238U KR200433889Y1 (ko) 2006-09-28 2006-09-28 거푸집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238U KR200433889Y1 (ko) 2006-09-28 2006-09-28 거푸집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889Y1 true KR200433889Y1 (ko) 2006-12-13

Family

ID=4178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23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3889Y1 (ko) 2006-09-28 2006-09-28 거푸집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8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646B1 (ko) * 2022-03-08 2022-10-12 주식회사 포리폼 재활용 복합소재를 이용한 거푸집
KR102452652B1 (ko) * 2022-03-08 2022-10-12 주식회사 포리폼 재활용 복합소재를 이용한 거푸집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646B1 (ko) * 2022-03-08 2022-10-12 주식회사 포리폼 재활용 복합소재를 이용한 거푸집
KR102452652B1 (ko) * 2022-03-08 2022-10-12 주식회사 포리폼 재활용 복합소재를 이용한 거푸집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8364A (en) Reinforced form liner for surface texturing of concrete structures
US20080307729A1 (en) Structural panels
US20080088056A1 (en) Flexible release agent-free, multiple-use materials employed for concrete pouring for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18193842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におけるセパレーター無し柱型枠
KR200433889Y1 (ko) 거푸집 판넬
KR100445450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복합재료 판재 및 이를 이용한복합재료 거푸집
CN212715498U (zh) 一种剪力墙墙体
JP2010242417A (ja) 断熱型枠
US8246002B1 (en) Concrete panel mold having reinforced lower support gasket for vertically forming concrete panels
WO2002044493A1 (en) A honeycomb paenl assembly
CN212562485U (zh) 一种可拆卸式桥架预留洞模具
JP2000314198A (ja) V型リブの頂点を平らにして、セパ穴をあけたラス金網に断熱材あるいは仕上げボードを貼り付けた堰板型枠材
JPH0533483A (ja) 型 枠
KR20190020400A (ko)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
JPH08109652A (ja) 建築物の基礎における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H06254825A (ja) 透水性コンクリート型枠
JPH0874360A (ja) コンクリート打設構造部の形成方法
KR960003315Y1 (ko) 건축용 패널
KR200260691Y1 (ko)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패널
JP4028829B2 (ja) 建築用貼り合わせボード、複合建築パネルおよび壁面構造
GB2239837A (en) Reinforced articles
JPH05306556A (ja) 型枠兼用断熱ボードを用いた断熱壁の施工方法
KR20240109238A (ko) 다기능 시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기능 시트
JPH116287A (ja) 合成樹脂製コンクリート型枠
JPH04315659A (ja) 枠組付きのセキ板を使用した打ち込み型枠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9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9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1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1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