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31752Y1 - 다용도 수납장 - Google Patents

다용도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752Y1
KR200431752Y1 KR2020060024599U KR20060024599U KR200431752Y1 KR 200431752 Y1 KR200431752 Y1 KR 200431752Y1 KR 2020060024599 U KR2020060024599 U KR 2020060024599U KR 20060024599 U KR20060024599 U KR 20060024599U KR 200431752 Y1 KR200431752 Y1 KR 200431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protrusion
rail
cabin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이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호 filed Critical 이광호
Priority to KR2020060024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7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면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결대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각 연결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편이 형성된 틀을 포함하는 통상의 다용도 수납장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한쪽 면이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내부 양쪽으로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의 안쪽면에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의 양쪽면에는 상기 돌기와 레일이 각각 결합되기 위한 제1,2 결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수납장, 연결대, 돌기, 레일, 결합홈, 절개부

Description

다용도 수납장{MULTIPURPOSE CONTAINER}
도 1은 본 고안인 다용도 수납장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다용도 수납장의 덮개를 분해시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덮개와 틀 간의 결합구조를 일부 발취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다용도 수납장 12: 덮개
14: 연결대 16: 틀
18: 돌출편 20: 레일
22: 돌기 24a: 제1 결합홈
24b: 제2 결합홈 26: 절개부
본 고안은 다용도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덮개와 틀 그리고 틀과 틀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다용도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가지 형태의 다용도 수납장이 시중에 나와있다.
하지만 상기 시중에 나와있는 다용도 수납장의 경우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의 연결대와 외면이 평면을 가지는 돌출편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연결대와 돌출편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돌출편 외부에 접착제를 발라서 연결대 내부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다용도 수납장을 결합했을 경우 한번 결합하면 접착제의 접찹력으로 인해 분리 작업이 불가능 하고, 또한, 결합할 때마다 다수개의 돌출편에 접착제를 도포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대 내부로는 레일과 돌기가 형성되고, 돌출편 양쪽 외면으로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 내부에 형성된 레일과 돌기가 상기 돌출편 양쪽 외면으로 형성된 결합홈을 타고 착탈 가능하게 제작됨으로써,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다용도 수납장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다용도 수납장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다용도 수납장의 덮개를 분해시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덮개와 틀 간의 결합구조를 일부 발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용도 수납장(10)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서랍을 포함한다. 상기 서랍에는 각종 물품들이 담겨진다.
상기 다용도 수납장(10)의 구조는 상면으로 덮개(12)를 가지고, 상기 덮개(12) 아래로 다수개의 틀(16)들이 다단식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덮개(12)와 틀(16) 사이 그리고 상기 틀(16)과 틀(16) 사이는 다수개의 연결대(14)들로 연결 구성되는 바, 하기에서는 상기 덮개(12)와 틀(16)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14)들의 조립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2)의 하단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연결대(14)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일체 형성된다.
상기 연결대(14)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한쪽 면이 절개(26)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26)의 내부 양쪽에는 돌기(2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22)는 연결대(14)와 후술하는 돌출편(18)을 결합할 시, 상기 돌출편(18)에 형성된 제1 결합홈(24a)의 양측에 걸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대(14) 내면으로는 레일(20)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20)은 상기 연결대(14)와 돌출편(18)을 결합할 시, 상기 돌출편(18)에 형성된 제2 결합홈(24b)에 걸려지게 된다.
한편, 상기 덮개(12)의 아랫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틀(16)의 상단 둘레 면으로는 다수개의 돌출편(18)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편(18)들은 상기 연결대(14)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편(18)들의 외면 양쪽에는 제1 결합홈(24a)과 제2 결합홈(24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홈(24a)은 상기 연결대(14)에 형성된 절개부(26) 내부 양쪽의 돌기(22)를 걸어주고, 상기 제2 결합홈(24b)은 상기 연결대(14) 내면에 형성된 레일(20)을 걸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 구성들로 이루어진 다용도 수납장(10)의 동작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덮개(12)에 형성된 연결대(14)를 잡고 상기 연결대(14)를 틀(16)에 형성된 돌출편(18)에 끼운다. 이때, 상기 연결대(14)에 형성된 절개부(26) 내부 양쪽의 돌기(22)는 상기 돌출편(18)의 외면에 형성된 제1 결합홈(24a)에 걸려지게 끼우고, 상기 연결대(14) 내면에 형성된 레일(20)은 상기 돌출편(18)의 외면에 형성된 제2 결합홈(24b)에 걸려지게 끼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틀(16)과 틀(16)을 결합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수납공간 제작이 가능하며, 결합과 분리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다용도 수납장은 연결대에 형성된 돌기와 레일이 돌출편 양쪽 외면으로 형성된 결합홈을 타고 착탈 가능하게 제작됨으로써,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저면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결대(14)가 형성된 덮개(12)와, 상기 각 연결대(1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편(18)이 형성된 틀(16)을 포함하는 통상의 다용도 수납장(10)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14)는 한쪽 면이 절개부(26)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26)의 내부 양쪽으로는 돌기(22)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14)의 안쪽면에는 레일(2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18)의 양쪽면에는 상기 돌기(22)와 레일(20)이 각각 결합되기 위한 제1,2 결합홈(24a,24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납장.
KR2020060024599U 2006-09-13 2006-09-13 다용도 수납장 KR200431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599U KR200431752Y1 (ko) 2006-09-13 2006-09-13 다용도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599U KR200431752Y1 (ko) 2006-09-13 2006-09-13 다용도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752Y1 true KR200431752Y1 (ko) 2006-11-24

Family

ID=4178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599U KR200431752Y1 (ko) 2006-09-13 2006-09-13 다용도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7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9462B2 (en) Modular drawer structure
US9282820B2 (en) Modular rack assembly
US20090144896A1 (en) Playpen and fabric fixture device used therefor
KR101155632B1 (ko) 조립식 수납박스
KR101339341B1 (ko) 모듈형 조립식 판재
KR101610505B1 (ko) 씽크대 서랍 수납용 주방용구 보관함
US20140270932A1 (en) Modular Furniture Part
KR101527685B1 (ko) 모듈화 수납기구
JP2009165592A (ja) 引出し構造および収納家具
KR200431752Y1 (ko) 다용도 수납장
KR100683494B1 (ko) 넉다운 가구
KR20150067499A (ko) 탁자와 의자를 포함한 가구와 이를 이용한 수납 구조물
KR20110009555U (ko) 조립 서랍형 침대
CN113167480A (zh) 烤箱用多功能附件支撑件
KR200222812Y1 (ko) 조립식 수납장
US20240041266A1 (en) Frying basket with detachable handle and air fryer
KR101434655B1 (ko)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어린이용 책상
CN201308277Y (zh) 可拆组式竹制收纳装置
JP5896981B2 (ja) 引き出し、及び、キャビネット
KR200427535Y1 (ko) 음식 함 받침대
KR200394010Y1 (ko) 김치냉장고 야채실의 분리 판넬 구조
KR200486109Y1 (ko) 주방용품 보관함
KR101635584B1 (ko) 주방용품용 부품 모듈
JP3197157U (ja) 拡張可能な収納ラック構造
KR200312781Y1 (ko) 손잡이가 탈부착되는 보관용 서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9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9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10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