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752Y1 - Multipurpose cabinet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cabin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1752Y1 KR200431752Y1 KR2020060024599U KR20060024599U KR200431752Y1 KR 200431752 Y1 KR200431752 Y1 KR 200431752Y1 KR 2020060024599 U KR2020060024599 U KR 2020060024599U KR 20060024599 U KR20060024599 U KR 20060024599U KR 200431752 Y1 KR200431752 Y1 KR 20043175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ng rod
- protrusion
- rail
- cabinet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면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결대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각 연결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편이 형성된 틀을 포함하는 통상의 다용도 수납장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한쪽 면이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내부 양쪽으로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의 안쪽면에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의 양쪽면에는 상기 돌기와 레일이 각각 결합되기 위한 제1,2 결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tional multi-purpose cabinet including a cover formed with a connecting ro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and a frame formed with a protrusion piece detachably coupled to each connecting rod, wherein the connecting ro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cision And a protrusion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utout, and a rail is formed at an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and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to couple the protrusion and the rail, respectively. .
수납장, 연결대, 돌기, 레일, 결합홈, 절개부 Cabinet, connecting rod, protrusion, rail, coupling groove, incision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인 다용도 수납장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binet.
도 2는 본 고안인 다용도 수납장의 덮개를 분해시켜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of the multipurpose cabinet.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덮개와 틀 간의 결합구조를 일부 발취하여 도시한 사시도.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ver and the frame shown in FIG.
도 4는 도 3의 평단면도.4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다용도 수납장 12: 덮개10: multipurpose cabinet 12: cover
14: 연결대 16: 틀14: connecting rod 16: frame
18: 돌출편 20: 레일18: protrusion 20: rail
22: 돌기 24a: 제1 결합홈22:
24b: 제2 결합홈 26: 절개부24b: second coupling groove 26: incision
본 고안은 다용도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덮개와 틀 그리고 틀과 틀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다용도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abin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cabinet that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ver and the frame and the frame.
종래에도 여러가지 형태의 다용도 수납장이 시중에 나와있다.Various types of multipurpose cabinets have been commercially available.
하지만 상기 시중에 나와있는 다용도 수납장의 경우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의 연결대와 외면이 평면을 가지는 돌출편으로 구성되어있다.However, the multi-purpose cabinet in the market consists of a connecting rod having a hollow inside and a protruding piece having a flat outer surface.
상기 연결대와 돌출편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돌출편 외부에 접착제를 발라서 연결대 내부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다용도 수납장을 결합했을 경우 한번 결합하면 접착제의 접찹력으로 인해 분리 작업이 불가능 하고, 또한, 결합할 때마다 다수개의 돌출편에 접착제를 도포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couple the connecting rod and the protrusion piece,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protrusion piece so as to couple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ece. When combined with a multi-purpose cabinet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once the combined operation is impossible due to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to apply the adhesive to a plurality of protrusions each time.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대 내부로는 레일과 돌기가 형성되고, 돌출편 양쪽 외면으로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 내부에 형성된 레일과 돌기가 상기 돌출편 양쪽 외면으로 형성된 결합홈을 타고 착탈 가능하게 제작됨으로써,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다용도 수납장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a rail and a projection is formed inside the connecting rod,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protruding piece, the rail and the projection formed inside the connecting rod is projecting The removable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iece are manufactured to be detachable, thereby providing a versatile storage cabinet that is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도 1은 본 고안인 다용도 수납장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다용도 수납장의 덮개를 분해시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덮개와 틀 간의 결합구조를 일부 발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multi-purpose cabin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of the multi-purpose cabin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ver and the frame shown in FIG.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extract,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다용도 수납장(10)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서랍을 포함한다. 상기 서랍에는 각종 물품들이 담겨진다.Referring to Figure 1, the
상기 다용도 수납장(10)의 구조는 상면으로 덮개(12)를 가지고, 상기 덮개(12) 아래로 다수개의 틀(16)들이 다단식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덮개(12)와 틀(16) 사이 그리고 상기 틀(16)과 틀(16) 사이는 다수개의 연결대(14)들로 연결 구성되는 바, 하기에서는 상기 덮개(12)와 틀(16)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14)들의 조립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The structure of th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2)의 하단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연결대(14)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일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connecting tables 14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연결대(14)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한쪽 면이 절개(26)되어 있다. The connecting table 14 is empty inside, and one side is cut 26.
상기 절개부(26)의 내부 양쪽에는 돌기(2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22)는 연결대(14)와 후술하는 돌출편(18)을 결합할 시, 상기 돌출편(18)에 형성된 제1 결합홈(24a)의 양측에 걸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대(14) 내면으로는 레일(20)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20)은 상기 연결대(14)와 돌출편(18)을 결합할 시, 상기 돌출편(18)에 형성된 제2 결합홈(24b)에 걸려지게 된다.In addition, a
한편, 상기 덮개(12)의 아랫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틀(16)의 상단 둘레 면으로는 다수개의 돌출편(18)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편(18)들은 상기 연결대(14)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상기 돌출편(18)들의 외면 양쪽에는 제1 결합홈(24a)과 제2 결합홈(24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홈(24a)은 상기 연결대(14)에 형성된 절개부(26) 내부 양쪽의 돌기(22)를 걸어주고, 상기 제2 결합홈(24b)은 상기 연결대(14) 내면에 형성된 레일(20)을 걸어주는 역할을 한다.First coupling grooves 24a and
이하, 상기 구성들로 이루어진 다용도 수납장(10)의 동작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먼저, 덮개(12)에 형성된 연결대(14)를 잡고 상기 연결대(14)를 틀(16)에 형성된 돌출편(18)에 끼운다. 이때, 상기 연결대(14)에 형성된 절개부(26) 내부 양쪽의 돌기(22)는 상기 돌출편(18)의 외면에 형성된 제1 결합홈(24a)에 걸려지게 끼우고, 상기 연결대(14) 내면에 형성된 레일(20)은 상기 돌출편(18)의 외면에 형성된 제2 결합홈(24b)에 걸려지게 끼운다. First, hold the connecting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틀(16)과 틀(16)을 결합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수납공간 제작이 가능하며, 결합과 분리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By combining the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다용도 수납장은 연결대에 형성된 돌기와 레일이 돌출편 양쪽 외면으로 형성된 결합홈을 타고 착탈 가능하게 제작됨으로써,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purpose storage cabi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to be detachable from a coupling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and the rail formed on the connecting rod, and thus, the coupling and sepa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4599U KR200431752Y1 (en) | 2006-09-13 | 2006-09-13 | Multipurpose cabin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4599U KR200431752Y1 (en) | 2006-09-13 | 2006-09-13 | Multipurpose cabin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1752Y1 true KR200431752Y1 (en) | 2006-11-24 |
Family
ID=4178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4599U KR200431752Y1 (en) | 2006-09-13 | 2006-09-13 | Multipurpose cabin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1752Y1 (en) |
-
2006
- 2006-09-13 KR KR2020060024599U patent/KR200431752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29462B2 (en) | Modular drawer structure | |
US9282820B2 (en) | Modular rack assembly | |
US20090144896A1 (en) | Playpen and fabric fixture device used therefor | |
KR101155632B1 (en) | Assembling deposit box | |
KR101339341B1 (en) | Modular assembly board | |
KR101610505B1 (en) | The kitchen utensils cubbyhole for storage in the sink drawer | |
US20140270932A1 (en) | Modular Furniture Part | |
KR101527685B1 (en) | Modular kitchen utensils container | |
JP2009165592A (en) | Drawer structure and storage furniture | |
KR200431752Y1 (en) | Multipurpose cabinet | |
KR100683494B1 (en) | Knockdown furniture | |
KR20150067499A (en) | Furniture in cluding table and chairs storage structure and its application | |
KR20110009555U (en) | Assembly drawer typed bed | |
CN113167480A (en) | Multifunctional accessory supporting piece for oven | |
KR200222812Y1 (en) | Assembly decoration furniture | |
US20240041266A1 (en) | Frying basket with detachable handle and air fryer | |
KR101434655B1 (en) | A kid desk | |
CN201308277Y (en) | Detachable bamboo storage device | |
JP5896981B2 (en) | Drawers and cabinets | |
KR200427535Y1 (en) | Food tray pedestal | |
KR200394010Y1 (en) | The structure of seperate-panel of a kim-chi refrigerator's vegetable room | |
KR200486109Y1 (en) | Kitchen storage box | |
KR101635584B1 (en) | Component module for kitchen goods | |
JP3197157U (en) | Expandable storage rack structure | |
KR200312781Y1 (en) | a drawer of custod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913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11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913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0810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