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443Y1 - Large automatic car wash and its ope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Large automatic car wash and its opera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8443Y1 KR200428443Y1 KR2020060019231U KR20060019231U KR200428443Y1 KR 200428443 Y1 KR200428443 Y1 KR 200428443Y1 KR 2020060019231 U KR2020060019231 U KR 2020060019231U KR 20060019231 U KR20060019231 U KR 20060019231U KR 200428443 Y1 KR200428443 Y1 KR 20042844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main body
- vertical
- motor
- sen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3—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vert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horizon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형 자동 세차기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large automatic car wash.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자동 세차기는, 차량이 통과 할 수 있도록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부측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량의 상면에 대해 세차를 실시하는 것으로 일측의 수평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수평세척솔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량의 양측면에 대해 세차를 실시하는 것으로 수직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좌·우 수직세척솔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 수직세척솔은 각각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전·후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수직모터의 구동력을 분배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후 브러시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차량 진입 상태를 순차적으로 감지하도록 등간격을 두고 4개소에 설치되는 감지기 및 이들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롤러모터·노즐·수평 및 수직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arge automatic car wa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air of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so that the vehicle can pass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roller moving along the rail installed on the ground under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he pair of A horizontal washing brush which is disposed on the vertical frame and washes the upper surface of the vehicle and is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horizontal motor on one side, and is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inside the main body to supply water from the outside. It receives a nozzle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left and right vertical washing brush which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 to wash the car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vertical motor, The left and right vertical washing brushes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front and rear brushes which are rotated by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four sensors at equal intervals so as to sequentially detect the vehicle entry state, and signals received from these sensors are roller motor, nozzle, It comprises a control means consisting of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oto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대형 자동 세차기는 차량의 측면에 대하여 세차를 실시하는 수직세척솔을 전·후 방향으로 한쌍씩 구성하는 것에 의해 세차효율을 높일 수 있어 세차시간을 종전에 비해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large automatic car wash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can increase the washing efficiency by constructing a pair of vertical washing brushes to wash the sides of the vehic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washing time. That provides the benefits.
세차기, 세차, 버스, 대형, 수직세척솔 Car Wash, Car Wash, Bus, Large, Vertical Wash Brush
Description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차기를 나타낸 도면,1 and 2 is a view showing a car wash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자동 세차기를 나타낸 정면도,3 is a front view showing a large automatic car wa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차기에서 수직세척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rtical washing brush in the automatic car wa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차기에서 수직세척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rtical washing brush in the automatic car wa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6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4;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감지기와 컨트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detector and 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자동 세차기의 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8 to 1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large automatic car wa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본체 2a,2b : 수직프레임1:
3 :수평프레임 4 : 레일3: horizontal frame 4: rail
5 : 롤러 5a : 롤러모터5
6 : 수평세척솔 6m : 수평모터6:
7,7' : 수직세척솔 7m : 수직모터7,7 ':
8 : 노즐(8) 10,10' : 전·후 브러시8: nozzle (8) 10,10 ': front and rear brush
12,12' : 휠 13,13' : 실채12,12 ':
15 : 연결체 21 : 제1감지기15: connector 21: first detector
22 : 제2감지기 23 : 제3감지기22: second detector 23: third detector
24 : 제4감지기 2f : 브라켓트24:
25 : 마이콤25: micom
본 고안은 대형 차량용 자동 세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양측면에 대해 세차를 실시하는 수직세척솔을 전·후 방향으로 한쌍씩 구성하여 세차성능을 높이면서 세차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대형 자동 세차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ar wash for a large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pair of vertical washing brushes that wash the car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o as to reduce the washing time while increasing the washing performance. It is about a large automatic car wash.
일반적으로 세차기는 구동장치에 의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세척솔이 회전하면서 차량의 상면 및 측면에 대하여 세차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크게 고정형과 이동형으로 대별된다.In general, a car wash is a device that performs a car wash on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a vehicle while rotating a plurality of washing brushes installed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by a driving device, and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a fixed type and a movable type.
여기서, 상기 고정형은 지면에 고정 설치된 본체를 차량이 견인장치에 의해 견인되면서 통과하는 과정에서 세차가 실시되는 장치로서, 비교적 차량의 크기가 작으면서 경량인 승용차량에 적합한 방식이다. 반면, 이동형은 견인이 어려운 버스 나 트럭 등과 같은 대형차량에 적합한 방식으로서 차량이 지정된 정차 라인에 정차된 상태에서 본체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세차를 실시하는 장치이다. Here, the fixed type is a device in which the car wash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main body fixedly fixed to the ground while the vehicle is towed by the towing device, and is a method suitable for a lightweight passenger vehicle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of the vehicle.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ype is suitable for large vehicles such as buses or trucks that are difficult to tow, and is a device in which the main body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to wash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stopped at a designated stop line.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형 세차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세차기는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종의 터널 형태의 틀을 형성하면서 각종 구성장치가 설치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에 대한 세차를 수행하는 수직세척솔(200) 및 수평세척솔(300)과, 상기 본체(100)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레일(150)로 구성된다.1 to 2 is a view showing a mobile car wash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car washes form a type of tunnel form so that the vehicle can pass through the
즉, 상기 본체(100)는 차량의 폭넓이 비례하는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110)과, 이 수직프레임(11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110)의 일측으로는 차량의 측면을 세차하는 수직세척솔(200)이 구비되고, 이 수직세척솔(200)은 일측 수평프레임(120)에 고정된 수직모터(21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하측으로는 즉, 한쌍의 수직프레임(110)의 상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개의 수평세척솔(300)이 설치되며, 이 수평세척솔(300)은 일측 수직프레임(110)에 고정된 수평모터(3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차량의 상부면을 세차하게 된다.That is, the
한편, 상기 수직 및 수평세척솔(200),(300)을 구동시키는 수직모터(210) 및 수평모터(310)는 작업자가 단속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400)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의 본체(100)는 한쌍의 수직프레임(110) 저부측으로 다수개의 롤러(130) 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 롤러(130)는 수직프레임(110) 내부에 설치된 롤러모터(14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레일(15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은 종래의 세차기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한쌍의 수직세척솔(200)이 차량 좌,우측에서 회전하면서 세차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수평세척솔(300)이 차량의 상부면을 세차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car wash, a pair of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대형 자동 세차기는 대형차량인 버스에 대하여 세차를 실시하는 경우 짧은 시간내에 세차를 완료하여야 하나 구조적으로 세차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the conventional large automatic car wash is washed with respect to a bus which is a large vehicle, it is necessary to complete the washing within a short time,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washing time is structurally shortened.
즉, 종래에는 버스 등과 같은 대형 차량에 대해 세차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버스가 정차 라인으로 진입을 완료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컨트롤러(400)를 동작시키면 본체(100)가 레일(150)을 따라 최소 2회 이상 왕복 이동하면서 장착된 수직세척솔(200)과 수평세척솔(300)을 회전시켜 차량에 대한 세차를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레일(150)을 따라 2회 이상 왕복 이동되도록 운영되는데 이는 차량의 측면 부분이 주행과정에서 도로상의 많은 오염물질에 쉽게 노출되어 고착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That is, conventionally, in order to wash a large vehicle, such as a bus, in a state in which the bus has completed entering the stop line,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대형 자동 세차기는 차량이 세차를 위한 정차라인으로 진입을 완료한 상태에서 본체(100)가 동작을 실시하게 되고, 상기 본체(100)는 차량의 측면에 묻은 오염물질 의 제거를 위해 최소 2~3회 이상 왕복 동작을 실 시해야 하므로 부득이 세차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차량의 배차시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세차를 정기적으로 실시하지 못하는 원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차량 오염으로 인한 불쾌감 유발과 도심의 미관을 저해하는 등의 폐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large sized automatic car wash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the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직세척솔을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게 한쌍으로 구성하여 차량 측면에 대한 세차성능을 높이도록 하면서 차량이 진입하는 과정에서 세차가 실시되도록 하여 세차 효율성을 높이면서 시간 단축을 가능하게 한 대형 자동 세차기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 pair of vertical washing brushes adjacent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so as to increase the car wash performance on the side of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rge automatic car wash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llowing the washing to be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washing time and reducing the time.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자동 세차기는, 차량이 통과 할 수 있도록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부측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량의 상면에 대해 세차를 실시하는 것으로 일측의 수평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수평세척솔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량의 양측면에 대해 세차를 실시하는 것으로 수직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좌·우 수직세척솔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 수직세척솔은 각각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 하여 전·후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수직모터의 구동력을 분배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후 브러시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차량 진입 상태를 순차적으로 감지하도록 등간격을 두고 4개소에 설치되는 감지기 및 이들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롤러모터·노즐·수평 및 수직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A large automatic car wa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pair of vertical frame and horizontal frame so that the vehicle can pass, and the lower side is provided with a roller moving along the rail installed on the ground under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A horizontal washing brush which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pair of vertical frames and washes the upper surface of the vehicle and is rot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a horizontal motor on one side, with equal intervals inside the main body. It is installed and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outside to spray the washing water, and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 to wash the car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from the vertical motor to rotate left and right A vertical washing brush, wherein the left and right vertical washing brushes each have a front and a re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front and rear brushes which are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vertical motor while being disposed at intervals, and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four sensors at equal intervals so as to sequentially detect the vehicle entry state and signals from these sensor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means consisting of a microcomputer to control the drive of the roller motor, nozzle, horizontal and vertical motor by receiving.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전·후 브러시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일측 끝단에 휠을 구비하여 상호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전·후 회전축과, 이들 회전축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는 실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As a preferabl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nd rear brushes, respectively installed rotatably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having a wheel at one en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hain or a belt interlocked, and these rotary shafts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thread provid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is.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차량의 진입 방향에 대하여 본체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차량 진입시 이를 감지하여 마이콤으로 전달하는 제1감지기와, 상기 제1감지기의 후방측인 본체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진입 차량을 감지하여 마이콤으로 전달하는 제2감지기와, 상기 제2감지기의 후방측인 본체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차량 감지 정보를 마이콤으로 전달하는 제3감지기와, 상기 제2감지기와 제3감지기 사이인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미 통과시 이를 감지하여 마이콤으로 전달하는 제4감지기와, 상기 제1감지기로부터 감지 정보를 인가받아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노즐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제2감지기로부터 감지 정보를 인가받아 수평 및 수직세척솔이 회전되도록 각각의 모터의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며, 제3감지기로부터 감지 정보를 인가받아 본체가 레일을 따라 차량의 진행방향측으로 이동되게 롤러 모터에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제4감지기로부터 감지정보 를 인가받으면 본체가 정지되게 롤러 모터에 구동정지 신호를 인가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As another preferabl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is install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entry of the vehicle and detects it when the vehicle enters and transfers to the microcomputer, the center of the main body which is the rear side of the first sensor A second sensor installed at a position to detect an entrance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vehicle to a microcomputer, a third sensor installed at a rear end side of the main body, which is a rear side of the second sensor, to transmit vehicle sensing information to the microcomputer, and the second sensor And a fourth sens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between the third sensor and the third sensor to detect the rear end of the vehicle and passing it to the microcomputer, and applying control information to the nozzle to receive washing information from the first sensor and spray the washing water. Receives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econd sensor and applies a drive control signal of each motor to rotat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leaning brushes. The driving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roller motor so that the main body is moved along the rail toward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When the sensing information is applied from the fourth sensor, the driving stop signal is applied to the roller motor to stop the main body. It is to be comprised including a microcomputer.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own design.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자동 세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large automatic car wa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자동 세차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차기에서 수직세척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차기에서 수직세척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large automatic car wa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vertical washing brush in an automatic car wa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ertical washing brush in an automatic car wa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rincipal part perspective view for demonstrating the structure of this.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자동 세차기는 정지된 차량을 수용한 상태에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본체(1)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1)는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차량의 폭방향 양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2a,2b)과, 이들 한쌍의 수직프레임(2a,2b)을 상부에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3)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large automatic car wa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1) for mov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in a state of receiving a stationary vehicle, the main body (1) is a vehicle so that the vehicle can pass through It comprises a pair of vertical frames (2a, 2b) arranged vertically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and a horizontal frame (3) for connecting the pair of vertical frames (2a, 2b)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2a,2b)의 하부측에는 롤러모터(5a)의 정역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개의 롤러(5)가 설치되고, 이때의 상기 롤러(5)는 지면에 설치된 한쌍의 레일(4)에 구름 접촉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본체(1)는 롤러모터(5a)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롤러(5)가 회전됨으로써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을 이룰 수 있게 된다.And,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2a, 2b)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5) for rotating by receiv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force of the roller motor (5a), wherein the roller (5) is a pair of rails installed on the ground (4) is a structur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louds. By this configuration, the main body 1 can be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y rotating the
또한, 상기 본체(1)에는 차량의 상부면과 측면을 세차하기 위한 수평세척솔(6)과 수직세척솔(7,7')이 각각의 수평모터(6m)와 수직모터(7m)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이며, 이들 수평세척솔(6)과 수직세척솔(7,7')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회전시 분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에는 차량의 외면에 세척수를 고압 분사하기 위한 노즐(8)이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1 has a
이와 같은 구성은 종전의 대형 자동 세차기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고안은 차량의 측면에 대하여 세차를 실시하는 한쌍의 좌·우 수직세척솔(7,7')을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전·후 한쌍으로 구성하여 세차성능을 높이도록 하면서 다수의 감지기를 통한 향상된 자동 세차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This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large automatic car wash.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washing brushes (7,7 ') which wash the sides of the vehicle in front and rear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o increase the precession performanc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ility to add enhanced automatic car wash.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좌·우 수직세척솔(7,7')을 차량의 진입방향에 대해 전·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구성 배치하고,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여 본 체(1)를 이동시키는 롤러모터(5a)·노즐(8)·수평모터(6m)·수직모터(7m)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제안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washing brushes (7, 7 ') at regular intervals before and after the vehicle entering direction, and detects the entry of the vehicle to move the body (1).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수직세척솔(7,7')은 좌·우 대향 배치되므로 이하에서는 공통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즉, 본 고안에서의 수직세척솔(7,7')은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진입 방향에 대해 전·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전·후 브러시(10,10')가 배치되는 구성이며, 이들 전·후 브러시(10,10')는 하나의 수직모터(7m)의 구동력을 분배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성이다.Since the vertical washing brushes 7 and 7 'are disposed to face left and right, the same element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at is, the vertical cleaning brush (7, 7 ')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front and rear brush (10,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fore and after the vehicle entry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4 and 5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ront and
먼저, 상기 전 브러시(10)는 본체(1)의 일측에 용접 등으로 결합된 브라켓트(2f)에 베어링(미부호)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11)의 둘레에는 합성수지사 또는 천연사로 된 실채(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1)의 상측단에는 휠(12)이 축끼움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구성이고, 상기 회전축(11)은 수직모터(7m)에 축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일체로 회전되는 구성이다.First, the
그리고, 상기 후 브러시(10')는 상기 전 브러시(10)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브라켓트(2f)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을 구비하며, 이 회전축(11')의 둘레에는 합성수지사 또는 천연사로 된 실채(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1')의 상측단에는 휠(12')이 축끼움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구성이다.The rear brush 10 'includes a rotation shaft 11' rotatably installed on the
이러한 구성의 전·후 브러시(10,10')는 체인 또는 벨트 등으로 된 연결체(15)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조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상기 휠(12,12')을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로킷 형태로 가공하였으며, 이때의 연결체(15)로는 체인을 사용하였다. 만약, 상기 휠(12,12')이 풀리 및 타이밍 풀리 형태로 가공되는 경우에는 연결체로서 벨트 및 타이밍 벨트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ront and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전·후 브러시(10,10')를 상호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제안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전·후 브러시(10,10')를 연결하는 연결체(15) 사이에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하나 이상의 휠을 부가 설치하여 상기 전·후 브러시(10,10')를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be configured to rotate the front and rear brushes (10, 10 ') in the same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nection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brushes (10, 10') One or more wheel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또한, 상기 전·후 브러시(10,10')는 하나의 수직모터(7m)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성이므로 안정된 구동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전·후 브러시(10,10')를 구성하는 전·후 회전축(11,11)'은 각각 상·하로 한쌍의 휠(12,12')을 구성하고, 이들 휠은 두 개의 연결체(15)로 연결 구성되는 구조이다. In addition, since the front and
제어수단은 본체(1)측에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 및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기와, 이들 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롤러모터(5a)·노즐(8)·수평모터(6m)·수직모터(7m)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마이콤(25)으로 구성된다.The control means is provided at equal intervals on the main body 1 side, and detects the entrance and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se sensors to receive the detection signal to the
먼저, 상기 감지기는 정차구역내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것으로 본 체(1)의 선단측에 설치되는 제1감지기(21)와, 상기 제1감지기(21)의 후방측인 본체(1)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진입 차량을 감지하는 제2감지기(22) 그리고 상기 제2감지기(22)의 후방측인 본체(1)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차량을 감지하는 제3감지기(23) 끝으로 상기 제2감지기(22)과 제3감지기(23) 사이인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미 통과시 이를 감지하는 제4감지기(24)으로 구성된다.First of all, the detector detects a vehicle entering the stop area, so that the
즉, 상기 제1감지기(21)은 차량의 최초 진입을 감지하고 감지정보를 마이콤(25)으로 인가하고, 상기 제2감지기(22) 역시 제1감지기(21)을 통과한 진입 차량의 선단부를 감지하고 이를 마이콤(25)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3감지기(23)은 차량의 통과 정보를 감지하여 마이콤(25)으로 인가하고, 제4감지기(24)은 진입차량을 따라 차량의 앞쪽으로 이동한 본체(1)가 다시 차량의 후미측으로 이동될 때 본체(1)로부터 차량이 벗어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마이콤(25)으로 인가한다.That is, the
한편, 마이콤(25)은 상기 여러 감지기(21,22,23,24)로부터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각종 구동기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본체(1)의 일측에 제어박스 내에 설치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마이콤(25)의 제어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첫째, 상기 마이콤(25)은 상기 제1감지기(21)로부터 감지정보가 인가되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노즐(8)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상기 노즐(8)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세척수를 저장하는 탱크와, 이 탱크에 저장된 물을 고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이러한 노즐(8) 제어는 통상의 공지된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rst, when the sensing information is applied from the
둘째, 상기 마이콤(25)은 상기 제2감지기(22)로부터 감지정보가 인가되면 수평세척솔(6)과 수직세척솔(7,7')이 회전될 수 있도록 각각의 수평모터(6m) 및 수직모터(7m)에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한다.Second, the
셋째, 상기 마이콤(25)은 상기 제3감지기(23)로부터 감지정보가 인가되면 상기 본체(1)가 레일(4)을 따라 정차구역(100)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따라가도록 롤러모터(5a)에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Third, when the sensing information is applied from the
넷째, 상기 마이콤(25)은 상기 제4감지기(24)로부터 감지정보가 인가되면 상기 본체(1)의 이동이 정지되게 하면서 수평모터(6m) 및 수직모터(7m) 그리고 노즐(8)에 정지신호를 인가한다.Fourth,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자동 세차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a large automatic car wa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세차 대상 차량이 본체(1)를 통과하면서 세차가 실시되는 정차구역(100)내로 진입을 실시하게 되면, 상기 본체(1)에 설치된 여러 감지기(21,22,23,24)가 차량의 이동에 따른 위치 상태를 감지하여 마이콤(25)으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마이콤(25)은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본체(1)에 구성되는 롤러모터(5a)·노즐(8) ·수평모터(6m)·수직모터(7m)를 제어하게 된다.First, when the car to be washed passes through the main body 1 and enters the
즉,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자동 세차기의 대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본체(1)는 차량이 진입하는 입구측에 위치한다. That is, Figure 8 shows the standby state of the large automatic car wa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 is located at the entrance side to the vehicle entry.
이러한 상태에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상기 본체(1)의 전방측에 설치된 상기 제1감지기(21)이 이를 감지하여 마이콤(25)으로 감지정보를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콤(25)은 노즐(8)을 구동시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세척수를 분사를 실시한다.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9, when the vehicle enters, the
이어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이 정차구역(100)을 향해 전진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제2감지기(22)가 진입 차량의 선두 부분을 감지하게 되고, 이러한 제2감지기(22)에서 감지된 정보는 마이콤(25)에 인가된다. 상기 마이콤(25)은 상기 수평모터(6m)와 수직모터(7m)에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수평세척솔(6)과 수직세척솔(7,7')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를 통과하는 차량에 대해 상면과 측면에 대한 세차를 실시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0, when the vehicle moves forward toward the
이어서, 상기 제2감지기(22)를 통과한 차량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감지기(23)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제3감지기(23)가 이를 감지하여 마이콤(25)에 감지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콤(25)은 정차구역(100)내로 진입하는 차량을 따라 본체(1)가 전진 이동될 수 있도록 롤러모터(5a)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즉, 상기 제3감지기(23)의 감지정보에 의해 상기 본체(1)는 차량을 따라 이동하면서 세차를 실시하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차량을 따라 이동되는 본체(1)는 차량의 선두측을 향해 이동되면서 세차를 실시하게 되고, 차량의 선두를 통과하면 이를 제1감지기(21)가 감지하여 마이콤(25)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콤(25)은 본체(1)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초기 위치 즉, 차량의 후미측으로 이동되도록 롤러모 터(5a)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이에 본체(1)가 차량의 후미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본체(1)의 이동시에는 노즐(8)과 수평세척솔(6) 및 수직세척솔(7,7')은 계속 동작중이므로 세차가 실시되고 있는 상태이다. Although not shown, the main body 1 moving along the vehicle washes while moving toward the head of the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head of the vehicle, the
이어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가 차량의 후미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4감지기(24)가 감지하게 되면, 이는 상기 본체(1)가 차량으로부터 벗어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제4감지기(24)로부터 감지정보를 인가받은 마이콤(25)은 본체(1)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롤러모터(5a)에 정지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노즐(8)과 수평모터(6m) 그리고 수직모터(7m)가 정지하도록 구동 단속신호를 인가하여 결과적으로 세차를 종료하게 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2, when the
한편, 본 고안의 수직세척솔(7,7')은 각각 한쌍의 전·후 브러시(10,10')로 구성됨에 따라 차량에 대한 세차성능이 높아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washing brush (7, 7 ')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air of front and rear brushes (10, 10'), respectively, the car wash performance for the vehicle is increased.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대형 자동 세차기는 차량의 측면에 대하여 세차를 실시하는 수직세척솔을 전·후 방향으로 한쌍씩 구성하는 것에 의해 세차효 율을 높일 수 있어 세차시간을 종전에 비해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large automatic car wash construct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can increase the washing efficiency by constructing a pair of vertical washing brushes to was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hicle in the forward and rear directions. It provides an advantage that can be shortened.
특히, 차량의 진입 동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본체 및 이에 장착되는 수평세척솔과 수직세척솔 및 노즐의 동작이 효율적으로 제어되므로 세척수의 낭비와 불필요한 구동원의 동작에 따른 전력낭비 및 수명단축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층 향상된 자동화된 대형 자동 세차기의 구현이 가능하여 산업상 대단히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since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the horizontal washing brush, the vertical washing brush, and the nozzles are effectively controlled by detecting the entry of the vehicle in real time, the power consumption and lifespan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waste of washing water and unnecessary driving sources. Not only that, bu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mproved automated large automatic car wash, which is very useful in the industry.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9231U KR200428443Y1 (en) | 2006-07-18 | 2006-07-18 | Large automatic car wash and its opera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9231U KR200428443Y1 (en) | 2006-07-18 | 2006-07-18 | Large automatic car wash and its operation method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6665A Division KR20080007704A (en) | 2006-07-18 | 2006-07-18 | Large automatic car wash and its operation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8443Y1 true KR200428443Y1 (en) | 2006-10-11 |
Family
ID=4177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923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28443Y1 (en) | 2006-07-18 | 2006-07-18 | Large automatic car wash and its opera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8443Y1 (en) |
-
2006
- 2006-07-18 KR KR2020060019231U patent/KR200428443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07704A (en) | Large automatic car wash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101824594B1 (en) | Devices for cleaning car wheel | |
CN111891080A (en) | A kind of intelligent car washing machine and car washing method | |
KR101541831B1 (en) | Wheel washing device for vehicle | |
KR200428443Y1 (en) | Large automatic car wash and its operation method | |
CN103101520A (en) | Vehicle washing machine | |
KR101921311B1 (en) | Car washing system and washing method thereof | |
KR200365508Y1 (en) | control system of auto car washing | |
CN107745699A (en) | A kind of contactless smart car washer and method | |
KR20160134981A (en) | Large vehicle car wash system | |
JP2010018216A (en) | Car washer | |
CN209008549U (en) | A kind of intelligent vehicle washing system of integrated water screen apparatus | |
CN209142091U (en) | A kind of intelligent vehicle washing system of integrated tourelle | |
JP6269402B2 (en) | Car wash machine | |
JPH01306350A (en) | Nozzle device for drying side faces in car washing machine | |
JPH05193458A (en) | Car washing device | |
JP3198192B2 (en) | Car wash equipment | |
JP3116790B2 (en) | Car wash equipment | |
JP3075160B2 (en) | Car wash equipment and how to use it | |
CN215709447U (en) | Traveling mechanism | |
JP2564196B2 (en) | Continuous car wash equipment | |
JPH09193755A (en) | Car body surface treatment apparatus | |
JP4835339B2 (en) | Car wash equipment | |
JPH11198772A (en) | Car wash equipment | |
JPH0249173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7 |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8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10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71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08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