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639Y1 -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4639Y1 KR200424639Y1 KR2020060015041U KR20060015041U KR200424639Y1 KR 200424639 Y1 KR200424639 Y1 KR 200424639Y1 KR 2020060015041 U KR2020060015041 U KR 2020060015041U KR 20060015041 U KR20060015041 U KR 20060015041U KR 200424639 Y1 KR200424639 Y1 KR 20042463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nt
- mobile phone
- fixed
- extending
- ten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19 bra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두 개의 텐션부와 메인 PCB와의 납땜 효율을 높이기 위한 납땜홀을 가진 안테나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connecting device having two tension parts and solder holes for increasing soldering efficiency with the main PCB.
종래에는 두 개의 체결편을 가지고 있어서 메인 PCB에 구비된 구멍에 삽입된 후 솔더링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었다.In the prior art, two fastening pieces were inserted into holes provided in the main PCB and then fixed by soldering.
본 고안에서는 휴대폰의 메인 PCB와 납땜이 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고정부와 평행이 되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절곡되어 있는 제1 텐션부와; 상기 고정단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고정부와 평행이 되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절곡되어 있는 제2 텐션부와; 상기 제1 텐션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고정단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장경사부와, 상기 제1 장경사부의 소정위치에서 절곡되어 상기 고정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경사부와, 상기 제1 장경사부와 상기 제1 단경사부 사이에 위치하여 안테나와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제1 단경사부의 끝단이 절곡되어 형성된 받침단 접촉부를 포함하는 자유단과; 상기 제2 텐션부의 끝단에서 연장되고 소정 위치에서 절곡되어 상기 고정단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끝단이 상기 받침단 접촉부 아래를 지나치는 경사부를 가진 받침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 장치가 제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xed end is soldered to the main PCB of the mobile phone; A first 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xed end and bent with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such that the end thereof is parallel to the fixed part; A second 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xed end and bent with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such that its end is parallel to the fixed part; A first long slope portion bent at an end of the first tension port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end, a first short slope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long slope port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of the fixed end portion, and the first long slope A free end positioned between a yarn part and the first short tilt part and connected to an antenna, and a support end contact part formed by bending an end of the first short tilt part;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comprising: a support end having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tension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end, the end of which passes below the support contact portion; Is presented.
휴대폰안테나, 접속부 Cell phone antenna, connection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접속 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안테나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ntenna connection structure of a mobile phone using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 장치와 메인 PCB가 납땜된 이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fter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and the main PCB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안테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ntenna connection structure of a mobile phone using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310 : 고정단 311 : 납땜홀 310: fixed end 311: soldering hole
320 : 제1 텐션부 330 : 자유단320: first tension unit 330: free end
331 : 제1 장경사부 332 : 접속부331: first inclined portion 332: connection portion
333 : 제1 단경사부 334 : 받침단 접촉부333: first inclined portion 334: base end contact portion
340 : 제2 텐션부 350 : 받침단340: the second tension portion 350: the support end
351 : 제2 장경사부351: second chapter slope
본 고안은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두 개의 텐션부와 메인 PCB와의 납땜 효율을 높이기 위한 납땜홀을 가진 안테나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connecting device having two tension parts and solder holes for increasing soldering efficiency with the main PCB.
종래에는 두 개의 체결편을 가지고 있어서 메인 PCB에 구비된 구멍에 삽입된 후 솔더링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었다.In the prior art, two fastening pieces were inserted into holes provided in the main PCB and then fixed by soldering.
이에 관한 발명이 공개특허 제2003-17915호(휴대폰용 안테나 접속 장치)로 공개되어있다. 도 1은 상기 공개발명의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공개발명은, 양측에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체결편(111)을 가진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고정부를 향하도록 절곡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며,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절곡(130)부와;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123)와, 상기 경사부의 소정위치에서 절곡되어 안테나 부싱과 접속하는 접속부(121)로 이루어지는 자유단(120)과; 상기 경사부와 절곡부에 걸쳐있는 소정의 개구(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장치(100)에 관한 것이다.An invention related to thi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17915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Mobile Phon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having a fastening
도 2는 상기 공개발명인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안테 나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공개발명의 안테나 접속장치(100)는 메인 PCB(220)의 장착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ntenna connection structure of a mobile phone using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the disclosed inven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2 the
상기한 종래 발명에 의할 경우에는 휴대폰의 메인 PCB와 고정하기 위하여 두 개의 체결편이 필요하고 이에 맞게 메인 PCB에도 상기 체결편을 삽입하기 위한 장착홀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메인 PCB 제작 및 상기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장치의 제작 공정에 적지 않은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nvention described above, two fastening pieces are required to fix the main PCB of the mobile phone, an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orm mounting holes for inserting the fastening pieces on the main PCB. This is a problem that causes a lot of wast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ain PCB manufacturing and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the mobile phone.
또한 메인 PCB와 안테나 접속장치의 접합을 납땜에 의하게 하는 자동 대량 생산 체제에도 부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comply with the automatic mass production system that makes the connection of the main PCB and the antenna connection by soldering.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체결편을 갖지 않은 안테나 접속장치를 사용하여 납땜 공정을 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냉땜 현상 및 메인 PCB와의 접착력 약화를 방지할 수 있는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cold soldering phenomenon that can occur when the soldering process using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that does not have a fastening and weakening the adhesion with the main PCB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is provid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휴대폰의 메인 PCB와 납땜이 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고정부와 평행이 되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절곡되어 있는 제1 텐션부와; 상기 고정단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고정부와 평행이 되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절곡되어 있는 제2 텐션부와; 상기 제1 텐션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고정단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장경사부와, 상기 제1 장경사부의 소정위치에서 절곡되어 상기 고정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 경사부와, 상기 제1 장경사부와 상기 제1 단경사부 사이에 위치하여 안테나와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제1 단경사부의 끝단이 절곡되어 형성된 받침단 접촉부를 포함하는 자유단과; 상기 제2 텐션부의 끝단에서 연장되고 소정 위치에서 절곡되어 상기 고정단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끝단이 상기 받침단 접촉부 아래를 지나치는 경사부를 가진 받침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 장치가 제시된다.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end that is soldered with the main PCB of the mobile phone; A first 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xed end and bent with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such that the end thereof is parallel to the fixed part; A second 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xed end and bent with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such that its end is parallel to the fixed part; A first long inclined portion that is bent at an end of the first tension portion and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end, a first end inclined portion that is ben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irst long inclined portion and extends in the fixed end direction; A free end disposed between the long inclined part and the first short inclined part and connected to the antenna, and a support end contact part formed by bending the end of the first short inclined part;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comprising: a support end having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tension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end, the end of which passes below the support contact portion; Is present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 장치(300)는 휴대폰의 메인 PCB와 납땜으로 접착될 고정단(310)과, 접속부(332)와 제1 장경사부(331) 및 제1 단경사부(333)를 포함하는 자유단(330)과, 제2 장경사부(351) 및 제2 단경사부(352)를 포함하는 받침단(350)과, 상기 고정단과 자유단을 연결하는 제1 텐션부(320)와, 상기 고정단과 받침단을 연결하는 제2 텐션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can be seen in Figure 3, the
상기 고정단(310)은 평판형태로서 휴대폰의 메인 PCB와 납땜으로 고정되며, 고정단의 중앙부에는 납땜홀(3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납땜홀(311)은 납땜 시에 용융 상태의 납이 상기 고정단(310)의 저면과 메인 PCB의 납땜 면 사이로부터 이 홀을 타고 올라와 납땜홀을 메운 상태로 응고하게 되어, 납땜 시의 냉땜 현상을 방 지할 뿐만 아니라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각 텐션부(320,340)로부터 납땜홀 방향으로의 수평력에 대하여도 상당한 저항력을 발휘하여 납땜의 견고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The fixed
상기 제1 텐션부(320)는 상기 고정단(3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원형으로 절곡되어 그 끝단은 상기 고정단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자유단(330)은 상기 제1 텐션부(320)의 끝단에서 상기 고정단(3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장경사부(331)와, 상기 제1 장경사부(331)의 일부를 절곡하여 상기 고정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경사부(333)와, 이 제1 단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생긴 접속부(332)와, 상기 제1 단경사부의 끝단을 절곡함으로써 생긴 받침단 접촉부(334)를 포함한다. The
상기 접속부(332)는 내장형 안테나와 접속하게 되고, 상기 받침단 접촉부(334)는 받침단(350)의 경사부(351)와 접촉하게 된다.The
상기 제2 텐션부(340)는 상기 고정단(31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원형으로 절곡되어 그 끝단은 상기 고정단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받침단(310)은 상기 제2 텐션부(340)의 끝단에서 상기 고정단과 평행하게 소정 길이가 연장된 후 상기 고정단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장경사부(351)와, 상기 제2 장경사부의 일부를 절곡하여 생긴 제2 단경사부(352)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2 단경사부가 없는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받침단(350)은 상기 자유단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단의 제2 장경사부(351)의 끝단은 상기 받침단 접촉부(334)를 지나치도록 구성된다. The
또한, 상기 받침단 접촉부(334)와 상기 받침단의 경사부(351) 사이에는, 상기 접속부(332)에 하중이 실리면 상기 제1 텐션부의 변형에 의해 상기 양자가 접촉될 정도의 간격이 있거나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support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장치와 메인 PCB가 납땜된 이후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fter the soldering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and the main PCB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땜납이 상기 고정단의 납땜홀을 메운 상태로 응고하기 때문에, 납땜 시의 냉땜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정단에 대한 수평력에 대하여 저항력을 가지므로 납땜의 견고성을 높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4, since the solder solidifies in the state of filling the solder hole of the fixed end, not only can the cold solder during soldering be improved, but also the solder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resistance against the horizontal force on the fixed end can be obtained. Therefore, the soldering robustness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자유단의 받침단 접속부(334)가 상기 받침단의 제2 장경사부(351)의 위쪽 부분 위에 위치하고, 제1 경사부의 경사각( θ₁)을 제2 경사부의 경사각( θ₂)보다 작게 하여 제2 경사부(351)의 경사가 더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자유단의 접속부와 내장형 안테나와의 접속에 의한 상기 자유단이 받는 변형 하중을 수월하게 상기 받침단에 분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장치를 사용한 내장형 안테나 접속구조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uilt-in antenna connection structure using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장치는 메인 PCB(510)와 납땜(540)으로 접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접속장치(300)의 접속부(332)는 내장형 안테나(520)의 일부분에 접속하게 된다.As can be seen in Figure 5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and fixed to the
이때, 상기 메인 PCB(510)와 내장형 안테나(52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접속장 치의 접속부(332)와 상기 메인 PCB(510)사이의 거리보다 짧기 때문에 상기 접속장치(300)는 누르는 힘을 받게 되고, 이 힘은 상기 접속장치(300)의 변형하중으로 작용한다.In this cas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상기 변형하중은 먼저 상기 접속장치의 자유단(330)에 작용하고, 상기 자유단의 받침단 접촉부(334)와 상기 받침단(350)의 접촉으로 인하여 상기 접속장치의 받침단(350)에 분산된다. The deformation load first acts on the
이 분산된 변형하중은 상기 접속장치의 제1 텐션부(320) 및 제2 텐션부(340)에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각 텐션부에서 고정단 방향으로 상기 접속장치를 미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The distributed strain load acts on the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접속장치에서는 텐션부(320,340)를 상기 고정단의 양 끝단에 두 개를 형성시켰기 때문에, 상기 변형하중을 두 개의 텐션부로 분산하여 상기 제1 텐션부(320)의 변형하중에 의한 변형부담을 줄여줄 수 있으며, 또한 제1 텐션부에서 고정단 방향으로 발생하는 힘과 제2 텐션부에서 고정단 방향으로 발생하는 힘이 서로 상충되어 납땜의 견고성에도 이바지하게 된다.In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wo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장치는 듀얼컨텍이라 전도율 부분에서도 기존 제품보다 우수하다.In addition,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or to the existing products in the conductivity portion because of the dual contact.
본 고안에 의하면, 체결편이 없는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메인 PCB와의 납땜에 의한 자동 대량 생산 공정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납땜시의 냉땜 현상 방지 및 납땜성 향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두 개의 대칭되는 텐션 부를 통한 변형하중 완화 및 납땜의 견고성 유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without a fastening piece,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in an automatic mass production process by soldering with a main PCB, and to prevent cold soldering during soldering and to improve solderability. There are effects that can provide strain relief and brazing maintenance through two symmetrical tension section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5041U KR200424639Y1 (en) | 2006-06-05 | 2006-06-05 |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mobile 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5041U KR200424639Y1 (en) | 2006-06-05 | 2006-06-05 |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mobile pho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4639Y1 true KR200424639Y1 (en) | 2006-08-25 |
Family
ID=4177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5041U Expired - Lifetime KR200424639Y1 (en) | 2006-06-05 | 2006-06-05 |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mobile 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4639Y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3545B1 (en) * | 2006-08-25 | 2008-04-21 | 모빌링크텔레콤 주식회사 | Mobile Phone Internal Antenna Dual Contact Device |
WO2009142404A2 (en) | 2008-05-19 | 2009-11-26 | Park Jin-Woo | Antenna connection device |
KR100980638B1 (en) * | 2008-01-22 | 2010-09-07 |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 Cas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WO2019013566A1 (en) * | 2017-07-12 | 2019-01-17 | 주식회사 아모텍 | Functional contactor |
KR20220033181A (en) * | 2020-09-09 | 2022-03-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2006
- 2006-06-05 KR KR2020060015041U patent/KR200424639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3545B1 (en) * | 2006-08-25 | 2008-04-21 | 모빌링크텔레콤 주식회사 | Mobile Phone Internal Antenna Dual Contact Device |
KR100980638B1 (en) * | 2008-01-22 | 2010-09-07 |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 Cas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WO2009142404A2 (en) | 2008-05-19 | 2009-11-26 | Park Jin-Woo | Antenna connection device |
KR100989547B1 (en) | 2008-05-19 | 2010-10-25 | 박진우 | Antenna connection device |
US8482468B2 (en) | 2008-05-19 | 2013-07-09 | Jin-woo Park | Antenna connection device |
EP2296220A4 (en) * | 2008-05-19 | 2014-05-14 | Jin-Woo Park | Antenna connection device |
WO2019013566A1 (en) * | 2017-07-12 | 2019-01-17 | 주식회사 아모텍 | Functional contactor |
KR20190007233A (en) * | 2017-07-12 | 2019-01-22 | 주식회사 아모텍 | Functional contactor |
KR102442279B1 (en) * | 2017-07-12 | 2022-09-15 | 주식회사 아모텍 | Functional contactor |
KR20220033181A (en) * | 2020-09-09 | 2022-03-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102759501B1 (en) * | 2020-09-09 | 2025-01-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US12237564B2 (en) | 2020-09-09 | 2025-02-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9547B1 (en) | Antenna connection device | |
KR200424639Y1 (en) |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mobile phone | |
JP4170278B2 (en) | Contacts and electrical connectors | |
CN201498673U (en) | card edge connector | |
KR101049545B1 (en) | Antenna connection device | |
CN101601172A (en) | Board connector | |
KR101222242B1 (en) | Contactor | |
KR101098095B1 (en) | Board Mounting Electrical Connector | |
JP4830321B2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KR101372079B1 (en) | Pcb cut type contact | |
KR101254188B1 (en) | Antenna contact | |
JP3442349B2 (en) | Terminal fitting | |
JP2016046020A (en) | Contact material | |
US20050269679A1 (en) | Supporting frame for surface-mount diode package | |
KR102171896B1 (en) | Push switch | |
JPH1167386A (en) | Connector | |
KR101190016B1 (en) | Elastic conductive contact terminal | |
CN210957069U (en) | PCB for installing wiring terminal | |
KR101400747B1 (en) | A terminal contact | |
JP5887150B2 (en) | Bus bar | |
KR200435949Y1 (en) | Battery Connector for Mobile Phone | |
JP2021072175A5 (en) | ||
KR101048160B1 (en) | Lugs for heat sinks | |
US7466015B2 (en) | Supporting frame for surface-mount diode package | |
CN210430161U (en) | Surface Mounted Deflection Reducing Shrapnel with Height Stop Base and Protruding Cantile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605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8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60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91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Patent event date: 20070807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81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G701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 ||
U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date: 20070811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10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6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