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545B1 - Mobile Phone Internal Antenna Dual Contact Device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Internal Antenna Dual Contact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3545B1 KR100823545B1 KR1020060080979A KR20060080979A KR100823545B1 KR 100823545 B1 KR100823545 B1 KR 100823545B1 KR 1020060080979 A KR1020060080979 A KR 1020060080979A KR 20060080979 A KR20060080979 A KR 20060080979A KR 100823545 B1 KR100823545 B1 KR 1008235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nt
- mobile phone
- curvature
- antenna
- contact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01Q1/1264—Adjusting different parts or elements of an aerial un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내장형 안테나 듀얼 컨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와 직접 접속하는 제1접속부 및 상기 제1접속부와 접속하는 제2접속부를 두는 이중 접속 구조를 가지는 내장형 안테나 듀얼 컨택 장치이다. 본 발명은 체결편을 가지고 있지 않아 비용면에서 장점이 있고, 평탄부를 가지고 있어 SMD 공정이 용이하며,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를 두어 접속부가 충분한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 사용기간이 지나도 변형을 방지하며, 제1절곡부와 제2 경사부 사이 및 제2 절곡부와 제2경사부 사이 영역이 충분한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 파손되지 않으며,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가 서로 대칭되게 되어 있어 변형하중 완화 및 장치의 견고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built-in antenna dual contact device. Specifically, it is a built-in antenna dual contact device having a double connection structure having a first connection part directly connected to the antenna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The present invention has advantages in terms of cost because it does not have fastening pieces, and has a flat part, so that the SMD process is easy, and the connection part has sufficient restoring force by plac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to prevent deformation even after a period of use. The area between the first bend and the second bevel and the second bend and the second bevel have sufficient restoring force so that it is not damaged and the first bend and the second bend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to mitigate the strain load. And maintaining the robustness of the device.
휴대폰, 내장형 안테나, 듀얼 컨택. Mobile phone, built-in antenna, dual contacts.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내장형 안테나 컨택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bile phone built-in antenna contac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내장형 안테나 컨택 장치를 나타내는 사 시도, 2 is a view showing a mobile phone embedded antenna contac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내장형 안테나 듀얼 컨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phone embedded antenna dual contac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내장형 안테나 듀얼 컨택 장치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hone built-in antenna dual contac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내장형 안테나 듀얼 컨택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bile phone built-in antenna dual contac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310 : 고정단 320 : 제1절곡부 310: fixed end 320: first bent portion
330 : 제2절곡부 340 : 제1자유단 330: second bending portion 340: first free end
350 : 제2자유단 341 : 제1경사부 350: 2nd Freedom Group 341: First Inclination Unit
342 : 제1접속부 351 : 평탄부 342: first connection part 351: flat part
352 : 제2경사부 353 : 제2접속부 352: second inclined portion 353: second connecting portion
본 발명은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와 직접 접속하는 제1접속부 및 상기 제1접속부와 접속하는 제2접속부를 두어 이중 접속부 구조를 가지는 내장형 안테나 듀얼 컨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antenna dual contact device having a double connection structure by having a first connection part directly connected to an antenna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내장형 안테나 컨택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1을 보면, 안테나 컨택장치(120)는 내장형 안테나(140)에 접속되며, 메인 보드(110)의 장착홀에 삽입되어 두 개의 체결편을 가지고 있어서 메인 보드(110)에 구비된 구멍에 삽입된 후 납땜영역(13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납땜된다.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mobile phone built-in antenna contac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the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내장형 안테나 컨택 장치를 나타내는 사 시도이다. 도2를 보면, 종래발명은 양측에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체결편(211)을 가진 고정부(210)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고정부를 향하도록 절곡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며,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절곡부(230)와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223)와, 상기 경사부의 소정위치에서 절곡되어 안테나 부싱과 접속하 는 접속부(221) 및 접속부를 거쳐 상기 경사부의 끝단을 절곡시켜 형성한 또 다른 경사부(225)를 포함하는 자유단(220)과 상기 경사부와 절곡부에 걸쳐있는 소정의 개구(2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장치(200)에 관한 것이다.Figure 2 is a trial showing a mobile phone built-in antenna contac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ure 2, the conventional invention is bent on both sides and the
상기한 종래 발명은 휴대폰의 메인 PCB와 고정하기 위한 체결편이 필요하여 메인PCB에 체결편을 삽입하기 위한 장착홀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비용 측면에서 불리하고, 또한, 장치에 평탄면을 가지고 있지 않아, SMD(Surface mounted Device) 공정에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접속부(221) 부위가 복원력이 약하여 사용기간이 지남에 따라 파손될 염려가 있다. 또한, 절곡부(230)와 경사부(223) 사이 영역의 복원력이 크지 않아 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부러지는 현상도 발생한다. The conventional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because it requires a fastening piece for fixing with the main PCB of the mobile phone and forms a mounting hole for inserting the fastening piece in the main PCB, and also does not have a flat surface in the device, SMD (Surface mounted Device) The process is inconvenient. In addition, the
SMD공정은 작업자가 직접 다루기 힘든 소형의 부품이나 소자 등을 작업 순으로 배열하고, 로봇을 이용하여 조립하는 공정이다. 휴대폰 내장형 안테나 컨택 장치를 메인 보드에 조립하는 데 이 SMD 공정을 사용한다. 이 경우 로봇이 컨택 장치를 집어 올리는 동작이 요구되는데, 컨택 장치가 평탄한 면을 가지고 있어야 이 작업이 용이하다. SMD process is a process of arranging small parts or elements, which are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handle, and assembling them using a robot. The SMD process is used to assemble a cell phone internal antenna contact device to the main board. In this case, the robot needs to pick up the contact device. This operation is easy if the contact device has a flat surface.
따라서 체결편을 가지고 있지 않고, SMD 공정이 용이한 휴대폰 안테나 컨택 장치가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obile phone antenna contact device that does not have fasteners and is easy to use in a SMD process.
또한, 충분한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 사용기간이 지나도 파손되지 않는 접속부를 가지는 휴대폰 안테나 컨택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절곡부와 경사부 사이 영역이 충분한 복원력을 가지는 휴대폰 안테나 컨택 장치가 요구된다. There is also a need for a mobile phone antenna contact device having a connection that has sufficient restoring force and is not damaged even after a period of us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mobile phone antenna contact device in which the region between the bent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has sufficient restoring forc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결편을 가지고 있지 않고, SMD 공정이 용이한 휴대폰 안테나 컨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mobile phone antenna contact device that does not have a fastening piece and is easy to SMD process.
또한, 본 발명은 접속부가 충분한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 사용기간이 지나도 변형되지 않는 휴대폰 안테나 컨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antenna contact device that the connection has a sufficient restoring force and does not deform even after a period of use.
또한, 본 발명은 절곡부와 경상부 사이 영역이 충분한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 파손을 방지하는 휴대폰 안테나 컨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antenna contact device that the region between the bent portion and the mirror portion has a sufficient restoring force to prevent damag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의 메인 보드와 납땜이 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고정단과 평행이 되도록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고 절곡되어 있는 제1절곡부와; 상기 고정단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고정단과 평행이 되도록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고 절곡되어 있는 제2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고정단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는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의 소정위치에서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제1절곡부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평탄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안테나와 접속하는 제1접속부를 가지는 제1자유단과; 상기 제2절곡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평탄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소정위치에서 상기 고정단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는 제2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의 소정 위치에서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제2절곡부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평탄 유 사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접속부와 접속하는 제2접속부를 가지는 제2자유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안테나 컨택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main board and the soldering of the mobile phone; A first bent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xed end and bent with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such that the end thereof is parallel to the fixed end; A second be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xed end and bent with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such that its end is parallel to the fixed end; A first radius of curvature that is bent at an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end and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that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bevel portion and small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bent portion A first free end having a first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in a flat similar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antenna; The flat portion is bent at the end of the second bent portion extending in a flat direc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a predetermined angle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en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lat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second free end which is bent to have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small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bent portion and extends in a flat-like direction and has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Provide the device.
또한, 이외에 다른 실시 예, 또는 구성요소의 변경, 추가 등에 의한 다른 실시 예의 제공이 가능하다. In addition, other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may be provided by changing or adding component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멍하기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로 한다. Shall b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내장형 안테나 듀얼 컨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보면, 휴대폰 안테나 컨택 장치는 휴대폰의 메인 보드와 납땜이 되는 고정단(310), 상기 고정단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고정단과 평행이 되도록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고 절곡되어 있는 제1절곡부(320),상기 고정단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고정단과 평행이 되도록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고 절곡되어 있는 제2절곡부(330), 상기 제1절곡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고정단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는 제1경사부(341)와 상기 제1경사부(341)의 소정위치에서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제1절곡부(320)의 곡률반경과 다른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평탄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안테나와 접속하는 제1접속부(342)를 가지는 제1자유단(340), 상기 제2절곡부(330)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평탄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351)와 상기 평탄부(351)의 소정위치에서 상기 고정단(3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를 가 지고 연장되는 제2경사부(352)와 상기 제2경사부(352)의 소정 위치에서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제2절곡부(330)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평탄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접속부(342)와 접속하는 제2접속부(353)를 가지는 제2자유단(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phone embedded antenna dual contac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phone antenna contact device includes a fixed
상기 고정단(310)은 평판형태로서 휴대폰의 메인 보드와 납땜으로 고정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단은 중앙부에 납땜홀을 가질 수 있다. 이 납땜홀은 납땜 시에 상기 고정단 (310)의 저면과 메인보드의 납땜면 사이의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xed
제1절곡부(320)는 상기 고정단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고정단과 평행이 되도록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고 절곡되어 있다. The
제2절곡부(330)는 상기 고정단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고정단과 평행이 되도록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고 절곡되어 있다. The
상기 제1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는 상기 고정단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다. 또한, 서로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bent portion and the second bent portion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xed end. In addition, they may have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제1자유단(340)은 제1경사부(341)와 제1접속부(342)로 구성되며, 상기 제1경사부(341)는 상기 제1절곡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고정단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며, 상기 제1접속부(342)는 상기 제1경사부(341)의 소정위치에서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제1절곡부(320)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평탄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안테나와 접속한다.The first
상기 제1접속부 상부에는 안테나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접속부의 종단에 안에서 밖으로 프레스를 가하여 접촉력이 좋게 홈 처리한 부분이 외형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43)를 둘 수 있다. 또는 전기전도체인 엠보싱을 추가로 둘 수도 있다. In order to facilitate connection with the antenna, the first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여기서 상기 제1절곡부(320)와 상기 제1경사부(341) 사이의 영역은 이중 굴곡 형태를 가지는 에스(S)자 모양을 가지며, 이러한 형태로 인해 복원력이 향상되고 사용 기간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존에 복원력 보완을 위해 사용되던 고무패드(rubber pad)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Here, the region between the
제2자유단(350)은 평탄부(351), 제2경사부(352) 및 제2접속부(353)로 이루어지며, 상기 평탄부(351)는 상기 제2절곡부(330)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평탄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경사부(352)는 상기 평탄부(351)의 소정위치에서 상기 고정단(3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고, 상기 제2접속부(353)는 상기 제2경사부(352)의 소정 위치에서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제2절곡부(330)의 곡률반경과 다른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평탄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접속부(342)와 접속한다.The second
여기서 상기 제1접속부(342)와 상기 제2접속부(353)는 듀얼 핀(pin) 형태이며, 중첩되어 작용하므로 복원력이 뛰어나고 장치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중첩 구조로 인해 전기적 접점의 2중 확보가 가능하게 되어 통전 특성이 향상된다. Here, the
또한, 상기 제2절곡부(330)와 상기 평탄부9351) 사이의 영역은 이중 굴곡 형 태를 가지는 에스(S)자 모양을 가지며, 이러한 형태로 인해 복원력이 향상되고 사용 기간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존에 복원력 보완을 위해 사용되던 고무패드(rubber pad)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In addition, the region between the
또한, 상기 평탄부는 휴대폰 내장형 안테나 컨택 장치를 메인 보드에 조립하는 데 사용되는 SMD 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즉, SMD 공정 중에 로봇이 컨택 장치를 집어 올리는 동작이 요구되는데, 컨택 장치가 평탄한 면을 가지고 있어야 이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The flat portion also facilitates the SMD process used to assemble the mobile phone embedded antenna contact device to the main board. In other words, during the SMD process, the robot picks up the contact device, and this operation is easy when the contact device has a flat surface.
또한, 상기 제2접속부(353) 상부에는 전기전도체인 엠보싱(도시하지는 않음)을 두어 상기 제1접속부(342)와의 접속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embossing (not shown), which is an electrical conductor, may be provided o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내장형 안테나 듀얼 컨택 장치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hone built-in antenna dual contac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제1절곡부(420)와 상기 제1경사부(441) 사이의 영역의 이중 굴곡 구조상 복원력 향상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속부(442)와 상기 제2접속부(453)의 중첩된 듀얼 핀(pin) 형태로 인해 복원력 향상과 장치 변형 방지를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절곡부(420)와 상기 제1경사부(441) 사이의 영역의 이중 굴곡 구조상 복원력 향상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절곡부(430)와 상기 평탄부(451) 사이의 영역의 이중 굴곡 구조상 복원력 향상을 이해할 수 있다. In the depressed stat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improvement of the restoring force in the double bent structure of the region between the first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내장형 안테나 듀얼 컨택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장치는 메인 보 드(510)와 납땜(530)으로 접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컨택장치(520)의 접속부(342)는 내장형 안테나(540)의 일부분에 접속하게 된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bile phone embedded antenna dual contact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and fixed by the
이때, 상기 메인 보드(510)와 내장형 안테나(52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컨택장치의 제1접속부(342)와 상기 메인 보드(510)사이의 거리보다 짧기 때문에 상기 컨택장치(300)는 누르는 힘을 받게 되고, 이 힘은 상기 컨택장치(300)의 변형하중으로 작용한다. In this cas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상기 변형하중은 먼저 상기 접속장치의 제1자유단(340)에 작용하고, 상기 제1자유단의 제1접속부(342)와 상기 제2자유단(350)의 제2접속부(353)의 접촉으로 인하여 상기 컨택장치의 제2자유단(350)에 분산된다. 이 분산된 변형하중은 상기 접속장치의 제1절곡부(320) 및 제2절곡부(330)에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각 절곡부에서 고정단 방향으로 상기 컨택장치를 미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The deformation load first acts on the firs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택장치에서는 상기 고정단의 양 끝단에 상기 제1절곡부(320) 및 상기 제2절곡부(330)를 각각 형성하였으므로, 변형하중을 분산할 수 있고, 절곡부가 하나 있는 경우보다 변형하중에 의한 변형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곡부에서 고정단 방향으로 발생하는 힘과 상기 제2절곡부에서 고정단 방향으로 발생하는 힘이 서로 상충되어 상기 컨택장치가 상기 메인 보드에 납땜되어 있는 형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In the contac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바람직한 실시 예 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like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결편을 가지고 있지 않아 비용면에서 장점이 있고, 평탄부를 가지고 있어 SMD 공정이 용이하며,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를 두어 접속부가 충분한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 사용기간이 지나도 변형을 방지하며, 제1절곡부와 제2 경사부 사이 및 제2 절곡부와 제2경사부 사 영역이 충분한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 파손되지 않으며,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가 서로 대칭되게 되어 있어 변형하중 완화 및 장치의 견고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has no fastener, has advantages in terms of cost, has a flat portion, easy to process SMD, and has a sufficient restoring force by plac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t prevents deformation even after a period of use, and has sufficient restoring force between the first bent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between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second slope portion, so that the first bent portion and the second bent portion are not damaged. The parts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which has the effect of alleviating strain loads and maintaining the robustness of the device.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0979A KR100823545B1 (en) | 2006-08-25 | 2006-08-25 | Mobile Phone Internal Antenna Dual Contac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0979A KR100823545B1 (en) | 2006-08-25 | 2006-08-25 | Mobile Phone Internal Antenna Dual Contact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8600A KR20080018600A (en) | 2008-02-28 |
KR100823545B1 true KR100823545B1 (en) | 2008-04-21 |
Family
ID=3938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097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3545B1 (en) | 2006-08-25 | 2006-08-25 | Mobile Phone Internal Antenna Dual Contact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354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9547B1 (en) * | 2008-05-19 | 2010-10-25 | 박진우 | Antenna connection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4639Y1 (en) * | 2006-06-05 | 2006-08-25 | 박진우 |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mobile phone |
-
2006
- 2006-08-25 KR KR1020060080979A patent/KR10082354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4639Y1 (en) * | 2006-06-05 | 2006-08-25 | 박진우 |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mobile pho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8600A (en) | 2008-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98819B2 (en) | Connector | |
US6538197B1 (en) | Conductive member | |
US6478599B1 (en) | Contact for CPU socket | |
US20130330943A1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JP2020202095A (en) | Electric connector | |
TWI834206B (en) | Socket connector | |
US20130206457A1 (en) | Surface mount clip | |
EP1001486B1 (en) | Built-in antenna for a portable radio and portable radio using the same | |
KR200442666Y1 (en) | Connector socket for electronic devices | |
JP3442349B2 (en) | Terminal fitting | |
KR100823545B1 (en) | Mobile Phone Internal Antenna Dual Contact Device | |
US6866520B2 (en) |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applying the conductive terminal | |
JP5673786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942811B1 (en) | Socket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 |
KR100608830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ground spring finger | |
JP2020004639A (en) | connector | |
JP3313326B2 (en) | Board mounted connector | |
US9343857B2 (en) | Jack | |
KR101453678B1 (en) | Contact | |
US7387534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525581B1 (en) | A terminal contact | |
KR101370175B1 (en) | Contact | |
JP2000067952A (en) | Board mounting connector | |
JP2006269282A (en) | Surface mount terminals | |
KR200285382Y1 (en) | An electronic connec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