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20410Y1 - 호스 접속구 - Google Patents

호스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410Y1
KR200420410Y1 KR2020060009643U KR20060009643U KR200420410Y1 KR 200420410 Y1 KR200420410 Y1 KR 200420410Y1 KR 2020060009643 U KR2020060009643 U KR 2020060009643U KR 20060009643 U KR20060009643 U KR 20060009643U KR 200420410 Y1 KR200420410 Y1 KR 2004204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pipe
connection
connector
flexible ho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투
Priority to KR2020060009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4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4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41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렉시블 호스의 단부에 설치되는 호스 접속구를 단순하게 구성하여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이 관 연결구에 간편하게 연결하도록 하고, 이탈 방지 되도록 함은 물론 연결 후에도 유체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고,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며, 관 연결 상태에 따라 직각 방향의 관 연결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일직선 방향과 직선 방향의 관 연결 작업이 모두 가능한 멀티형의 호스 접속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플렉시블 호스의 단부에 설치되어 관 연결구에 접속토록 된 것에 있어서, 일단에는 플렉시블 호스의 내부에 끼워지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고정부가 구비되고, 이 고정부로부터 확경된 본체의 외주면 일단에 톱니형 홈이 형성되어 내부에 오링 및 텐션와셔가 설치되는 관 연결구에 삽입하면 상기 텐션와셔에 상기 톱니형 홈이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접속구, 관 연결구, 고정부, 본체, 플렉시블 호스, 텐션와셔

Description

호스 접속구{Hose connector}
도 1은 종래의 호스 접속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호스 접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호스 접속구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리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리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리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30 : 호스 접속구 21 : 유체통로
22 : 돌기 23,33 : 고정부
24,34 : 본체 25 : 톱니형홈
31 : 클립 40 : 관 연결구
41 : 오링 42 : 텐션와셔
본 고안은 호스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호스의 단부에 설치되는 호스 접속구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연결하도록 하고, 이탈 방지되도록 하는 등 관 연결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호스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는 유체가 순환되는 관(pipe)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배관 자재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플렉시블 호스(H)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튜브관(tube pipe;1)이 있고, 그 외측으로 상기 튜브관(1)이 쉽게 찢어지거나, 구부러지지 않도록 금속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진 망사 구조의 외피(2)가 둘러 쌓여져 보호된 구성이다.
상기 플렉시블 호스(H)의 양측 단부에는 관 연결구(3,4)의 볼트부(5)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너트(6)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너트(6)를 상기 플렉시블 호스(H)의 단부에 빠지지 않게 회전가능하게 조립 고정시키기 위한 니플(nipple) 형태의 접속구(7)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접속구(7)는 상기 너트(6)의 내측으로 조립되는 플랜지링(flange ring;8)과, 패킹(packing;9)으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링(8)의 내측으로 조립되어 한쪽 단부가 실링되도록 복수의 오링(O-ring;10)을 가지며, 다른쪽 단부는 상기 호스(H)와 클립(11)으로 물려 실링(sealing) 처리되는 니플부재(12)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호스 접속구(7)는 상기 너트(6)와 호스 연결용 클립(11)을 제외하더라도 접속구(7)가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성 부품 수가 많아 제작원가가 높게 되고, 조립성은 떨어져 제조단가를 낮출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관 연결 작업에 있어서 상기 너트(6)를 완전하게 조일 수 있는 별도의 공구를 가지고 다니면서 연결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상기 플렉시블 호스(H)의 한쪽을 관 연결구(3)에 연결한 상태에서 다른 쪽을 관 연결구(4) 연결하는 경우 상기 너트(6)를 조이면 상기 플랜지링(8)과 관 연결구(4)가 밀착되어 플렉시블 호스(H)가 함께 회전되므로서 플렉시블 호스(H)가 꼬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플렉시블 호스(H)가 꼬인 상태로 연결되면 내,외피가 파손될 우려가 있게 될 뿐 아니라, 이와 같은 연결 상태로 유체가 흐르게 되면 병목 현상에 의해 유속 저항이 커져 관 연결 부위에 누수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한편, 종래의 대부분의 호스 접속구(7)는 관 연결구(3),(4)와 일직선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 연결구(3),(4)가 직각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관 연결 작업에 있어서 작업성이 더욱 어렵고 불편한 문제가 있으므로 직각 방향의 연결작업에 있어서도 별도의 공구 없이 손으로 손쉽게 연결하기 위한 원터치 방식의 접속구가 요구되는 상황이며, 관 연결구의 연결 상태에 따라 일직선과 직각 방향 모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멀티형의 접속구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플렉시블 호스의 단부에 설치되는 호스 접속구를 단순하게 구성하여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이 관 연결구에 간편하게 연결하도록 하고, 이탈 방지 되도록 함은 물론 연결 후에도 유체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고,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관 연결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호스 접속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관 연결 상태에 따라 직각 방향의 관 연결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일직선 방향과 직선 방향의 관 연결 작업이 모두 가능한 멀티형의 호스 접속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호스접속구는 플렉시블 호스의 단부에 설치되어 관 연결구에 접속토록 된 것에 있어서, 일단에는 플렉시블 호스의 내부에 끼워지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고정부가 구비되고, 이 고정부로부터 확경된 본체의 외주면 일단에 톱니형 홈이 형성되어 내부에 오링 및 텐션와셔가 설치되는 관 연결구에 삽입하면 상기 텐션와셔에 상기 톱니형 홈이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와 고정부는 직각으로 절곡된 엘보형태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일실시예로서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호스 접속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호스 접속구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리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호스 접속구(20)는 중앙에 통로(21)가 형성되어 있고, 대략 일자형태를 이루며, 그 중간 부분이 단 턱이 형성된 구성이다.
즉, 한쪽 일단은 외면에 다수의 돌기(22)가 형성되어 있고, 플렉시블 호스(H)의 내부에 끼워져 상기 플렉시블 호스(H)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고정부(23)가 되고, 상기 고정부(23)로부터 확경된 형태의 본체(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22)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H) 내부로 용이하게 끼워지게 되고, 끼워진 후에는 잘 빠지지 않도록 진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언더커트(under cut) 된 쐐기 형태의 돌기로 구성되어 상기 클립(31)으로 물어 조립하면 상기 플렉시블 호스(H)와 고정부(23)는 완벽히 실링 상태를 유지하며 연결된다.
상기 본체(24)의 중간부에는 톱니형 홈(25)이 형성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호스 접속구(20)에 의하면 내부에 오링(41) 및 텐션와셔(42)가 설치되는 관 연결구(40)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 접속구(20)를 상기 관 연결구(40)에 삽입하면 상기 텐션와셔(42)의 돌기부(42a)가 상기 접속구의 본체(24) 외면을 따라 외측으로 접힌 상태로 삽입되다가 상기 톱니형 홈(25)에 위치되는 순간 홈 안으로 자체 탄성에 의해 펼쳐지면서 돌기(22)의 선단부가 상기 톱니형홈(25)에 걸리게 되므로서 본 고안의 접속구(20)를 잡아당겨도 관 연결구(40)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4)의 외면은 텐션 와셔(tention washer:42)의 일측에 구비된 오링에 의해 밀착된 상태가 되므로서 관 연결된 후에 누수가 되지 않게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 과정을 설명하면, 작업자는 관 연결구가 설치된 방향으로 호스 접속구(20)를 잡고서 상기 본체(24)를 상기 관 연결구(40)에 삽입하면 상기 본체(24) 부위가 삽입되면서 상기와 같이 텐션와셔(42)의 돌기부(42a)가 톱니형 홈(25)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됨과 동시에 오링(41)에 의해 실링 상태가 이루어지므로서, 종래와 같이 너트를 돌려가며 조일 필요 없이 일직선을 맞춘 상태에서 밀어 넣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특히 좁은 공간 안에서의 상기 호스 접속구(20)와 관 연결구(40)의 연결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 접속구(30)는 상기 본체(34)와 고정부(33)가 직각으로 절곡된 엘보(elbow)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플렉시블 호스(H)와 클립(31)으로 물려 일체로 조립되고, 상기 본체(34)는 상기 관 연결구(40)의 접속 구성과 같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 이 호스 접속구(30)가 엘보 형태의 직각 형태를 이루고 있어서, 관 연결구(40)가 호스 접속구(30)의 삽입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결하게 되는 경우에 종래와 같이 너트를 돌리지 않고서 접속구(30)를 잡은 상태에서 직각방향으로 삽입하기만 하면 간단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호스 접속구(20),(30)는 일자형과 엘보형을 겸하여 사용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연결구(40)가 일직선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연결 작업에 있어서도 엘보형접속구(30)과 일자형의 접속구(20)를 플렉시블 호스(H)에 연결한 것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관 연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를테면, 접속구의 본체 및 고정부는 텐션와셔나 오링 등의 구조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대응되게 이에 결합되는 홈의 모양이나 크기 직경 등이 관 연결구의 타입에 따라 임의대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플렉시블 호스의 단부에 설치되는 호스 접속구를 단순하게 구성하여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이 원터치식으로 관 연결구에 간편하게 결합하도록 하고, 이탈 방지 되도록 함은 물론 연결 후에도 유체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고,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관 연결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을 뿐아니라, 관 연결 방향에 따라 직각 방향은 물론 일직선방향과 직선방향의 관 연결 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멀티형의 호스 접속구를 제공함으로서 관 연결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Claims (2)

  1. 플렉시블 호스의 단부에 설치되어 관 연결구에 접속토록 된 것에 있어서,
    일단에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내부에 끼워지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고정부가 구비되고, 이 고정부로부터 확경된 분체의 외주면 일단에 톱니형 홈이 형성되어, 내부에 오링 및 텐션와셔가 설치되는 관 연결구에 삽입하면 상기 텐션와셔에 상기 톱니형 홈이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접속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고정부는 직각으로 절곡된 엘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접속구.
KR2020060009643U 2006-04-11 2006-04-11 호스 접속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4204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643U KR200420410Y1 (ko) 2006-04-11 2006-04-11 호스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643U KR200420410Y1 (ko) 2006-04-11 2006-04-11 호스 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410Y1 true KR200420410Y1 (ko) 2006-07-04

Family

ID=4176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64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20410Y1 (ko) 2006-04-11 2006-04-11 호스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4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21957C2 (ru) Шланговый соединитель и резьбовая обойма для него
JP4511738B2 (ja) チューブカップリング
ES2913553T3 (es) Mangueras y adaptadores de mangueras
WO2007066452A1 (ja) 管継手ロック装置
JP2013540963A (ja) 挿入型配管用連結装置
JP3968397B1 (ja) 合成樹脂製通水管用の継手
KR102566389B1 (ko)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US20080290658A1 (en) Fitting Structure
EA017032B1 (ru) Трубный фитинг
KR200420410Y1 (ko) 호스 접속구
JP2008019980A (ja) ホース接続管継手
JP2006500527A (ja) 管を取り付けるための一体型端部取付具
KR200300326Y1 (ko) 회전가능한 급수용 호스
JP4514053B2 (ja) ヘッダー及びヘッダーの止水方法
KR200409780Y1 (ko) 배관 연결구
KR101624228B1 (ko) 호스형 연결구
KR101339840B1 (ko) 관 연결구
KR102760768B1 (ko) 원터치 파이프 연결장치
KR100515455B1 (ko) 호스 커플링 기구의 플러그
KR102818271B1 (ko) 푸시-피팅
JP2004138155A (ja) 縒り戻し機能付き雌ねじ継手
JP4810267B2 (ja) 管継手
JP2007107618A (ja) 管継手およびその保護キャップ
KR20090002986U (ko) 가스관용 연결관의 이음구조
JP2004116786A (ja) 管体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41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4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105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