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20046Y1 -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046Y1
KR200420046Y1 KR2020060009960U KR20060009960U KR200420046Y1 KR 200420046 Y1 KR200420046 Y1 KR 200420046Y1 KR 2020060009960 U KR2020060009960 U KR 2020060009960U KR 20060009960 U KR20060009960 U KR 20060009960U KR 200420046 Y1 KR200420046 Y1 KR 2004200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utton
connector housing
terminals
termin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만승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9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0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0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0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인트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되고, 전원이 인가되는 2개 이상의 터미널;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 빠지지 않으면서 왕복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왕복됨에 의해 상기 터미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시키는 커넥터 버튼을 포함한다.
조인트 커넥터

Description

조인트 커넥터{joint connecto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커넥터 하우징 111: 터미널 고정부
112: 터미널 고정홈 115: 단차부
116: 걸림턱 120: 터미널
122: 접속부 130: 커넥터 버튼
131: 삽입부 132: 수용부
133: 슬롯 140: 링크부재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과 같이 복잡한 장치는 내부의 다양한 기기들이 다수의 전선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전선들의 끝단부들은 피매일 커넥터(female connector)와 매일 커넥터(male connector)에 연결되고, 피매일 커넥터(female connector)와 매일 커넥터(male connector)를 접속하여 상기 기기들에 전선을 연결한다. 이렇게 여러 가닥의 전선들은 커넥터에 의해 한꺼번에 기기들에 연결된다.
그러나, 차량과 같이 복잡한 장치들에서는 여러 개의 커넥터 중에서 대응되는 피매일 커넥터와 매일 커넥터를 찾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상기 피매일 커넥터와 매일 커넥터를 개별적으로 결합해야 했었다. 또한, 상기 피매일 커넥터와 매일 커넥터의 결합 위치를 정확히 맞춘 후 결합시켜야만 했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커넥터를 분리시키지 않고도 전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대응되는 피매일 커넥터와 매일 커넥터를 찾을 필요 없이 간편하게 전선들을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피매일 커넥터와 매일 커넥터의 결합 위치를 맞추지 않더라도 상기 커넥터들을 결합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태에 의하면,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되고, 전원이 인가되는 2개 이상의 터미널;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 빠지지 않으면서 왕복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왕복됨에 의해 상기 터미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시키는 커넥터 버튼을 포함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 버튼에는 장공 형태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상기 슬롯에 끼워져 상기 커넥터 버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버튼의 외면에는 상기 터미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도전성 재질의 링크부재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의 일측에는 상기 링크부재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접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상기 터미널들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터미널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터미널 고정홈이 형성되는 터미널 고정부; 및
상기 터미널 고정부의 일측에서 단차지게 연장되며,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버튼은, 상기 단차부의 내부에 왕복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링크부재가 외면에 고정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단차부가 왕복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이 끼워지도록 슬롯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인트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110), 2개 이상의 터미널(120) 및 커넥터 버튼(130)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는 터미널(120)이 끼워지도록 터미널 고정홈(112)이 형성되는 터미널 고정부(111)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 고정부(111)에는 접속될 전선들(미도시)이 상기 터미널(120)에 의해 미리 고정된다. 상기 터미널 고정부(111)의 일측에는 단차부(115)가 연장된다. 상기 단차부(115)는 터미널 고정부(11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도 1에서는 상기 터미널 고정홈(112)이 4개 형성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터미널 고정홈(112)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터미널 고정부(111)와 단차부(115)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상기 단차부(115)에는 걸림턱(116)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턱(116)은 단차부(115)의 외면뿐만 아니라 단차부(115)의 내면에도 형성될 수 있 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걸림턱(116)이 2개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였지만 상기 걸림턱(116)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 버튼(130)은 상기 단차부(115)의 내부에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31)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31)는 원기둥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삽입부(131)의 외면에는 링크부재(140)가 고정된다. 상기 링크부재(140)는 상기 삽입부(131)가 단차부(115)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터미널(120)들과 접속한다. 이러한 링크부재(140)는 대략 링형태를 갖는다.
상기 커넥터 버튼(130)은 상기 삽입부(13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수용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32)는 상기 단차부(115)가 왕복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132)에는 상기 걸림턱(116)이 끼워지도록 장공 형태의 슬롯(133)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32)는 상기 걸림턱(116)의 수만큼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32)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터미널(120)에는 해당 전선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전선 고정부(1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 고정부(121)에 피복이 벗겨진 전선 끝단(122a)을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전선 고정부(121)를 가압하면 상기 전선의 끝단(122a)이 전선 고정부(121)에 눌려져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각 터미널(120)에는 상기 링크부재(14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도록 접속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122)는 터미널(120)의 일측이 접혀서 형성되므로, 상기 접속부(122)의 끝단(122a)은 자유단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접속부(122)는 대략 중심부가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접속부(122)의 절곡된 부 분(122b)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버튼(13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삽입되면 상기 접속부(122)의 절곡된 부분(122b)이 상기 링크부재(140)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조인트 커넥터에서 전기적인 접속이 분리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서 커넥터 버튼(130)을 잡아당긴다. 이때, 상기 커넥터 버튼(130)의 삽입부(131)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단차부(115)로부터 소정 거리 빠지게 된다. 또한, 상기 단차부(115)는 상기 커넥터 버튼(130)의 삽입부(131)와 수용부(132)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131)의 링크부재(140)는 상기 터미널(120)의 접속부(122)에서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단차부(115)의 걸림턱(116)이 슬롯(133)의 일측 끝단에 걸리게 되면 상기 커넥터 버튼(130)이 더 이상 빠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커넥터 하우징(110)에서 커넥터 버튼(130)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 접속의 분리가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인트 커넥터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커넥터 버튼(130)을 밀어 넣는다. 이때, 상기 커넥터 버튼(130)의 삽입부(131)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단차부(115)의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단차부(115)는 상기 커넥터 버튼(130)의 삽입부(131)와 수용부(132)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131)의 링크부재(14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고정된 터미널(120)의 접속부(1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120)의 접속부(122)는 상기 링크부재(140)에 의해 눌려 탄성 변형된다. 또한, 상기 단차부(115)의 걸림턱(116)이 슬롯(133)의 타측 끝단에 걸리게 되면 상기 커넥터 버튼(130)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이렇게 커넥터 버튼(130)을 누르기만 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대응되는 커넥터를 찾지 않고도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는 접속되어야 할 전선들이 터미널(120)에 의해 미리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 버튼(130)을 누르기만하면 접속되어야 할 전선들이 모두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를 분리시키지 않고도 전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대응되는 피매일 커넥터와 매일 커넥터를 찾을 필요 없이 간편하게 전선들을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연결된 전선들을 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되고, 전원이 인가되는 2개 이상의 터미널;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 빠지지 않으면서 왕복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왕복됨에 의해 상기 터미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시키는 커넥터 버튼을 포함하는 조인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버튼에는 장공 형태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상기 슬롯에 끼워져 상기 커넥터 버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버튼의 외면에는 상기 터미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도전성 재질의 링크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일측에는 상기 링크부재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접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상기 터미널들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터미널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터미널 고정홈이 형성되는 터미널 고정부; 및
    상기 터미널 고정부의 일측에서 단차지게 연장되며,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버튼은;
    상기 단차부의 내부에 왕복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링크부재가 외면에 고정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단차부가 왕복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이 끼워지도록 슬롯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KR2020060009960U 2006-04-13 2006-04-13 조인트 커넥터 KR2004200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960U KR200420046Y1 (ko) 2006-04-13 2006-04-13 조인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960U KR200420046Y1 (ko) 2006-04-13 2006-04-13 조인트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046Y1 true KR200420046Y1 (ko) 2006-07-03

Family

ID=4176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960U KR200420046Y1 (ko) 2006-04-13 2006-04-13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0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61B1 (ko) * 2009-10-08 2012-05-03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매니폴드형 전자밸브 조립체
KR20230028007A (ko) 2021-08-20 2023-02-28 이희환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61B1 (ko) * 2009-10-08 2012-05-03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매니폴드형 전자밸브 조립체
KR20230028007A (ko) 2021-08-20 2023-02-28 이희환 탄성커넥터가 적용된 파이프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0064B2 (ja) 端子およびそれを伴う電気コネクタ
US834289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226320B2 (en)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locking structure
CN112219322B (zh) 高电流插接连接器及其装配方法
US8512069B2 (en) Flat plug electrical connector
JP6259517B2 (ja) 複数のプラグインコネクタを備えるシステムおよび多重プラグインコネクタ
KR101534997B1 (ko) 하네스 커넥터
JP2010157368A (ja) 電気コネクタ
JP6931223B2 (ja) 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US20060246783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1652311B2 (en) Connector assembly
KR200420046Y1 (ko) 조인트 커넥터
US11342709B2 (en) Cable connector having a latching lever
US20050164568A1 (e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an improved terminal
US7189102B2 (en) Connector especially for an airbag-ignition system
EP1580848A1 (en)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ing system comprising such a connector
JP6651393B2 (ja) 圧接コンタクト及び圧接コネクタ
KR101714402B1 (ko) 저삽입력 소켓형 터미널
JP2007123015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EP3306753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unit
US20110065327A1 (en) Electric fixture or connector
JP2017216103A (ja) 電気コネクタ
JP4314588B2 (ja) 同軸ケーブル接続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64159Y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JPH0597065U (ja) 電気コンタクト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4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414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5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