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046Y1 - Joint connector - Google Patents
Joint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0046Y1 KR200420046Y1 KR2020060009960U KR20060009960U KR200420046Y1 KR 200420046 Y1 KR200420046 Y1 KR 200420046Y1 KR 2020060009960 U KR2020060009960 U KR 2020060009960U KR 20060009960 U KR20060009960 U KR 20060009960U KR 200420046 Y1 KR200420046 Y1 KR 20042004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button
- connector housing
- terminals
- terminal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인트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되고, 전원이 인가되는 2개 이상의 터미널;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 빠지지 않으면서 왕복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왕복됨에 의해 상기 터미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시키는 커넥터 버튼을 포함한다.A joint connector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or disconnected without being completely disconnected. The joint connector may include a connector housing; Two or more terminals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and to which power is applied; And a connector button coupled reciprocally without being pulled out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terminals by being reciprocated.
조인트 커넥터 Joint connector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join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join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커넥터 하우징 111: 터미널 고정부110: connector housing 111: terminal fixing portion
112: 터미널 고정홈 115: 단차부112: terminal fixing groove 115: stepped portion
116: 걸림턱 120: 터미널116: jam step 120: terminal
122: 접속부 130: 커넥터 버튼122: connector 130: connector button
131: 삽입부 132: 수용부131: inserting portion 132: receiving portion
133: 슬롯 140: 링크부재133: slot 140: link member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joint connector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or disconnected without being completely disconnected.
일반적으로 차량과 같이 복잡한 장치는 내부의 다양한 기기들이 다수의 전선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전선들의 끝단부들은 피매일 커넥터(female connector)와 매일 커넥터(male connector)에 연결되고, 피매일 커넥터(female connector)와 매일 커넥터(male connector)를 접속하여 상기 기기들에 전선을 연결한다. 이렇게 여러 가닥의 전선들은 커넥터에 의해 한꺼번에 기기들에 연결된다.In general, in a complex device such as a vehicle, various devices insid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wires. The ends of the wires are connected to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nd connect the wire to the appliance by connecting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These multiple strands of wire are connected to the device at once by connectors.
그러나, 차량과 같이 복잡한 장치들에서는 여러 개의 커넥터 중에서 대응되는 피매일 커넥터와 매일 커넥터를 찾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상기 피매일 커넥터와 매일 커넥터를 개별적으로 결합해야 했었다. 또한, 상기 피매일 커넥터와 매일 커넥터의 결합 위치를 정확히 맞춘 후 결합시켜야만 했었다. However, in complex devices such as a vehicle, it takes a lot of time to find a corresponding connector and a daily connector among a plurality of connectors, and had to separately combine the daily connector and the daily connector. In addition, it was necessary to accurately match the mating posi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every day.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커넥터를 분리시키지 않고도 전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int connector that can electrically connect or disconnect the wires without disconnecting the connector.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대응되는 피매일 커넥터와 매일 커넥터를 찾을 필요 없이 간편하게 전선들을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int connector that can easily connect or disconnect the wires without having to find the corresponding daily connector and daily connector.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피매일 커넥터와 매일 커넥터의 결합 위치를 맞추지 않더라도 상기 커넥터들을 결합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int connector that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or even if the mating posi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daily connec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태에 의하면,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되고, 전원이 인가되는 2개 이상의 터미널;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 빠지지 않으면서 왕복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왕복됨에 의해 상기 터미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시키는 커넥터 버튼을 포함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nnector housing; Two or more terminals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and to which power is applied; And a connector button coupled reciprocally without being pulled out of the connector housing, wherein the connector button electrically connects or disconnects the terminals by being reciprocated.
상기 커넥터 버튼에는 장공 형태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상기 슬롯에 끼워져 상기 커넥터 버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or button may have a slot having a long hole shape, and the connector housing may have a locking step to prevent the connector button from being pulled out by being inserted into the slot.
상기 커넥터 버튼의 외면에는 상기 터미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도전성 재질의 링크부재가 고정될 수 있다.A link membe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button so a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erminals.
상기 터미널의 일측에는 상기 링크부재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접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terminal may be a connection portion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as it is pressed by the link member.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상기 터미널들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터미널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A terminal fix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so that the terminals can be inserted and fixed.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터미널 고정홈이 형성되는 터미널 고정부; 및The connector housing may include a terminal fixing part in which the terminal fixing groove is formed; And
상기 터미널 고정부의 일측에서 단차지게 연장되며,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stepped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terminal fixing portion, the locking step is formed.
상기 커넥터 버튼은, 상기 단차부의 내부에 왕복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링크부재가 외면에 고정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단차부가 왕복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이 끼워지도록 슬롯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button may be inserted into the stepped portion so as to be reciprocated and the link member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And an accommodation part disposed to surround the insertion part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stepped part can be reciprocally accommodated, and a slot formed to fit the locking step.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embodiment of a join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achiev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join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join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인트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110), 2개 이상의 터미널(120) 및 커넥터 버튼(130)을 포함한다.1 to 3, the joint connector includes a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는 터미널(120)이 끼워지도록 터미널 고정홈(112)이 형성되는 터미널 고정부(111)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 고정부(111)에는 접속될 전선들(미도시)이 상기 터미널(120)에 의해 미리 고정된다. 상기 터미널 고정부(111)의 일측에는 단차부(115)가 연장된다. 상기 단차부(115)는 터미널 고정부(11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도 1에서는 상기 터미널 고정홈(112)이 4개 형성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터미널 고정홈(112)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터미널 고정부(111)와 단차부(115)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The
상기 단차부(115)에는 걸림턱(116)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턱(116)은 단차부(115)의 외면뿐만 아니라 단차부(115)의 내면에도 형성될 수 있 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걸림턱(116)이 2개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였지만 상기 걸림턱(116)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The
상기 커넥터 버튼(130)은 상기 단차부(115)의 내부에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31)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31)는 원기둥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삽입부(131)의 외면에는 링크부재(140)가 고정된다. 상기 링크부재(140)는 상기 삽입부(131)가 단차부(115)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터미널(120)들과 접속한다. 이러한 링크부재(140)는 대략 링형태를 갖는다.The
상기 커넥터 버튼(130)은 상기 삽입부(13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수용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32)는 상기 단차부(115)가 왕복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132)에는 상기 걸림턱(116)이 끼워지도록 장공 형태의 슬롯(133)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32)는 상기 걸림턱(116)의 수만큼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32)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각 터미널(120)에는 해당 전선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전선 고정부(1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 고정부(121)에 피복이 벗겨진 전선 끝단(122a)을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전선 고정부(121)를 가압하면 상기 전선의 끝단(122a)이 전선 고정부(121)에 눌려져서 빠지지 않게 된다.Each
상기 각 터미널(120)에는 상기 링크부재(14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도록 접속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122)는 터미널(120)의 일측이 접혀서 형성되므로, 상기 접속부(122)의 끝단(122a)은 자유단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접속부(122)는 대략 중심부가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접속부(122)의 절곡된 부 분(122b)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버튼(13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삽입되면 상기 접속부(122)의 절곡된 부분(122b)이 상기 링크부재(140)에 접촉된다.Each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조인트 커넥터에서 전기적인 접속이 분리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a case in which electrical connection is disconnected from the joint connector will be described.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서 커넥터 버튼(130)을 잡아당긴다. 이때, 상기 커넥터 버튼(130)의 삽입부(131)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단차부(115)로부터 소정 거리 빠지게 된다. 또한, 상기 단차부(115)는 상기 커넥터 버튼(130)의 삽입부(131)와 수용부(132)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131)의 링크부재(140)는 상기 터미널(120)의 접속부(122)에서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단차부(115)의 걸림턱(116)이 슬롯(133)의 일측 끝단에 걸리게 되면 상기 커넥터 버튼(130)이 더 이상 빠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커넥터 하우징(110)에서 커넥터 버튼(130)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 접속의 분리가 가능하다.Pull th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인트 커넥터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a case in which the joint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will be described.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커넥터 버튼(130)을 밀어 넣는다. 이때, 상기 커넥터 버튼(130)의 삽입부(131)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단차부(115)의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단차부(115)는 상기 커넥터 버튼(130)의 삽입부(131)와 수용부(132)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131)의 링크부재(14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고정된 터미널(120)의 접속부(1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120)의 접속부(122)는 상기 링크부재(140)에 의해 눌려 탄성 변형된다. 또한, 상기 단차부(115)의 걸림턱(116)이 슬롯(133)의 타측 끝단에 걸리게 되면 상기 커넥터 버튼(130)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이렇게 커넥터 버튼(130)을 누르기만 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대응되는 커넥터를 찾지 않고도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는 접속되어야 할 전선들이 터미널(120)에 의해 미리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 버튼(130)을 누르기만하면 접속되어야 할 전선들이 모두 접속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를 분리시키지 않고도 전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대응되는 피매일 커넥터와 매일 커넥터를 찾을 필요 없이 간편하게 전선들을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연결된 전선들을 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lectrically connect or disconnect the wires without removing the connector. In addition, wires can be easily connected or disconnected without having to find a corresponding daily connector and daily connecto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ply electrically connect the wires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by simply pressing the connector button.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9960U KR200420046Y1 (en) | 2006-04-13 | 2006-04-13 | Joint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9960U KR200420046Y1 (en) | 2006-04-13 | 2006-04-13 | Joint conn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0046Y1 true KR200420046Y1 (en) | 2006-07-03 |
Family
ID=4176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996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20046Y1 (en) | 2006-04-13 | 2006-04-13 | Joint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0046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2061B1 (en) * | 2009-10-08 | 2012-05-03 |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 Solenoide-operated valve assembly for manifold |
KR20230028007A (en) | 2021-08-20 | 2023-02-28 | 이희환 | Pipe structure with elastic connector applied |
-
2006
- 2006-04-13 KR KR2020060009960U patent/KR20042004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2061B1 (en) * | 2009-10-08 | 2012-05-03 |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 Solenoide-operated valve assembly for manifold |
KR20230028007A (en) | 2021-08-20 | 2023-02-28 | 이희환 | Pipe structure with elastic connector applie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50064B2 (en) | Terminals and their electrical connectors | |
US8342891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112219322B (en) | High-current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 |
US7226320B2 (en) |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locking structure | |
US8512069B2 (en) | Flat plug electrical connector | |
JP6259517B2 (en) | System with multiple plug-in connectors and multiple plug-in connectors | |
KR101534997B1 (en) | Harness connector | |
JP2010157368A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6931223B2 (en) | Terminals and electrical connectors | |
US20060246783A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US11652311B2 (en) | Connector assembly | |
KR200420046Y1 (en) | Joint connector | |
US11342709B2 (en) | Cable connector having a latching lever | |
US20050164568A1 (en) |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an improved terminal | |
US7189102B2 (en) | Connector especially for an airbag-ignition system | |
EP1580848A1 (en) |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ing system comprising such a connector | |
JP6651393B2 (en) | IDC contacts and IDC connectors | |
KR101714402B1 (en) | Low insertion force socket terminal | |
JP2007123015A (en) | Joint connector | |
EP3306753A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unit | |
US20110065327A1 (en) | Electric fixture or connector | |
JP2017216103A (en) | Electric connector | |
JP4314588B2 (en) | Coaxial cable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464159Y1 (en) | Tap terminal and terminal assembly containing it | |
JPH0597065U (en) |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413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6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414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0805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