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064Y1 - Veterinary Dyeing Veterinary - Google Patents
Veterinary Dyeing Veterina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6064Y1 KR200416064Y1 KR2020060003821U KR20060003821U KR200416064Y1 KR 200416064 Y1 KR200416064 Y1 KR 200416064Y1 KR 2020060003821 U KR2020060003821 U KR 2020060003821U KR 20060003821 U KR20060003821 U KR 20060003821U KR 200416064 Y1 KR200416064 Y1 KR 20041606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terinary
- dyeing
- cloth
- salt
- dri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6—Sacks for corpses; Corpse wrapping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약재 염색 수의에 관한 것으로, 천의 정련단계, 상기의 정련된 천을 건조하는 단계, 콩즙 매김 단계, 한약재 염재로부터 염액을 추출하는 단계, 건조된 천을 상기의 염액에 담가 염색하는 단계, 염색된 천을 매염하는 단계, 및 건조된 천으로 수의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 공정으로, 각각의 사망원인에 따라 구별된 염색재료로 염색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제조되며, 심장병, 중풍, 고혈압 및 당뇨병 등을 원인으로 사망한 망자의 경우 도인, 산사, 진피, 숙지황, 두충, 우슬, 당귀, 구기자, 백부령, 작약, 육계, 세신, 배지, 부자, 감초, 생강, 시호, 반하, 북경, 게지, 황금, 대추, 인삼, 용골, 대황, 지실, 오미자, 마황, 및 살구씨를 염재의 원료로 사용하여 각각의 경우에 따라 구분되는 맞춤형 수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veterinary dyeing of veterinary medicine, the step of refining cloth, drying the refined cloth, soybean jam step, extracting the saline solution from the herbal medicine salt, dyeing the dried cloth in the salt solution, dyeing It is a process including the step of embedding the dried cloth, and the step of making a veterinary with a dried cloth, and is prepared by adding a step of dyeing with a distinctive dye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cause of each death, and the heart disease, stroke,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In the case of the dead who died due to the cause of death, hawthorn, dermis, Sukjihwang, tofu, hyssop, Dongguk, wolfberry, Baekbuyeong, Peony, broiler, Sesin, badge, rich man, licorice, ginger, shiho, half, Beijing, crab, golden, Jujube, ginseng, keel, rhubarb, fruit, Schizandra chinensis, ephedra, and apricot seeds are used as raw materials of the salt material so that a customized veterinary can be used in each case.
수의, 염색, 염액, 염재, 한약재, 심장병, 중풍, 고혈압, 당뇨병 Veterinary, dyeing, saline, salt, herbal medicine, heart disease, stroke, hypertension, diabetes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 한약재 염색 수의를 제조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Figure 1 is a flow chart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manufacturing the medicinal herb dyed veterinary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 한약재 염색 수의를 제조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manufacturing the herbal medicine dye veterinary invention.
본 고안은 한약재 염색 수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약재를 염재로 사용하여 수의 제작용 천을 염색함에 있어 사망의 원인에 따라 사용되는 한약재의 종류를 달리하여 염색을 한 수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eterinary dyeing of medicinal herbs, and more particularly, to dyeing veterinary dyeing by varying the type of medicinal herbs used according to the cause of death in dyeing fabric for making veterinary dyes using medicinal herbs.
일반적으로 수의는 죽은 사람의 시신에 입히는 예복이다. 이러한 수의가 갖는 상징적인 의미는 바로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죽음에 대한 관념이 되므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수의는 혼례복과 같이 성장하고 수의를 제작하는 날은 이웃과 친지들이 함께 모여 잔치를 치르듯 즐거운 분위기로 하고 제작 후에는 수의를 착용할 사람이 수의를 자주 꺼내 보며 즐거워하며 또 이 수의를 결혼하는 이에게 3번 빌려 주면 쌍방간에 좋다고 믿는다. 수의는 주로 윤달에 만들고 아침에 시작하여 하루해 안에 완성해야 한다. 또 수의로 꿰매는 실은 도중에 잇거나 끝을 옥매치면 안되고 시신에 입힐 때는 형식적인 목욕을 시킨 후 엄숙하고 경건하게 다룬다. In general, veterinary clothing is a garment worn on the body of the dead. The symbolic meaning of this veterinary is important because it is the idea of death that Koreans have. The veterinarian grows like a wedding dress, and on the day of making veterinarians, the neighbors and relatives gather together to have a fun party.After the production, the person who wears the vet frequently takes out the vet and enjoys it. If you lend it three times, I believe it is good for both parties. Veterinarians are usually made in leap months and must begin in the morning and complete in one day. In addition, the thread that is sewn by the veterinarian should not be tied up or tied to the end. When the body is clothed, it is treated solemnly and reverently after a formal bath.
과거에는 장례기간이 보통 5일장이고, 잘사는 집은 9일장, 사대부는 25일장등 장례기간이 길어서 수의준비시간이 충분하였지만, 요즘은 거의가 3일장이므로 장례기간 중의 수의 준비시간이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수의를 미리 준비해 놓는데 이것은 죽음을 삶의 끝으로 보지않고 새로운 삶의 시작으로 보는 긍정적 내세관 때문이기도 하고, 수의를 지었다는 말이 어른들 귀에 들리면 효성이 지극한 것으로 여기게 되며, 수의 소장자도 마음이 편하기 때문에 수의를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예의이며, 상례라고 하였다. 수의 준비는 회갑이 지난 뒤 날을 정하여 하는데, 주로 윤년의 윤월, 윤년의 생일달이나 청명월에 하는 것이 좋고, 이것을 믿지 않는 사람은 날은 받아서 한다. 이렇게 윤년에 수의를 준비하는 이유는 윤월이 공월이며, 남의 달, 덤달, 여벌달이고, 손이 없고, 탈이없다는 믿음 때문이다. In the past, the funeral period was usually five days, and the house of good living was nine days, and the four generations had long funeral preparation periods such as the 25 day chapter, but nowadays it is almost three days. Can not do it. Therefore, veterinarians are prepared in advance, which is due to the positive afterlife view that sees death as the beginning of a new life rather than the end of life, and when it is heard in the ears of adults, Hyosung is considered to be the best. Therefore, it is polite to prepare a vet in advance and said that it is common practice. The number of days is determined by the day after the sixtieth birthday. It is better to do the leap month for leap year, the leap year's birthday month, or the clear moon. The reason for preparing a veterinary leap in leap year is due to the belief that leap month is the month of the month, others' month, dumb moon, extraordinary month, no hands and no mask.
수의를 미리 준비하는 사람은 거의가 장의사에 맡기지 않고 손수 제작하든지, 수의점에서 맞추어 준비해 둔다고 한다. 수의를 제작할 때 장수한 노인들이 모여 앉아 바느질을 하는데, 가격을 받지 않고 돌아가면서 해주며, 이 날은 춤추고 노래부르고 찰밥을 해서 나눠 먹는데, 찰밥을 지어 먹는 것은 천당에 갈 때 대우 의식에 근거한 것이라고 하였다. It is said that most people who prepare a vet in advance do not leave it to a funeral home and make it by hand or prepare it at a veterinary store. When making vets, long-lived elderly people sit and sew, and they do it without taking a price, and they do it on a day-by-day basis, dancing, singing, and making rice with rice, which is based on a ritual of Daewoo. .
조선시대에는 관·혼·상·제의 사례를 유교, 특히 '주자가례'에 준하여 거 행하였다. 수의는 '사례편람' 상례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남자는 복건·망건·심의 또는 단령·답 또는 직령·대·과두, 포오와 같은 설의, 한삼·고·단고·소대·늑백·말·구·엄·충이·멱목·악수를 갖추었다.In the Joseon Dynasty, cases of gwan, soul, mourning, and ritual we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Confucianism, and in particular, the runners' ritual. The number of veterinary articles is as follows in the case study. The man was equipped with Fujian, Manganese, Deliberation or Daner, Answer, or Directive, Dae, Odu, and Poo, Hansam, Go, Dango, Squadron, Wolf, Horse, Gu, Um, Chung, Chok, and Beast.
여자의 경우는, 사·심의 또는 단의 또는 원삼·장오자·대·삼자·포오·소삼·과두·상·고·단고·말·채혜·엄·충이·명목·악수 등이다. 위의 수의는 관습화하여 오늘날에도 특수한 종교의식에 의한 염습 외에는 이를 따르며, 후박이 있을 뿐이다.In the case of a woman, there are four kinds of deliberations or deliberations or Wonsam, Jangjaja, Daedae, Samja, Poo, Small Ginseng, Oysters, Sang, Go, Dango, Horses, Boeun, Maeng, Chung, Nominal, and Sugi. The above veterinary is customary and still follows today, except for special religious rituals, and there is a hunch.
원래 수의는 생전에 입던 예복과 똑같이 만들어 입었기 때문에 굳이 어떤 옷감이 좋다거나 나쁘다 하는 기준은 없다. 특히 화학섬유가 발명되기 전에는 모든 섬유가 잘 썩는 자연 섬유이었기 때문에 평상시 사용하던 옷감으로 수의를 했었다. 문헌에는 "수의로 쓰였던 옷감으로는 공단, 나단, 명주, 능초, 은조사, 생고사, 삼베, 모시, 마 등을 사용하였다. 빨리 썩는 것이 좋다고 하여 민가에서는 모시나 마포를 많이 사용한다."라고 되어 있다.Veterinary clothing was originally made in the same way as the robes worn in life, so there is no criterion that any fabric is good or bad. In particular, before the invention of chemical fibers, all of the fibers were rotted natural fibers, so they were vetted with the usual fabrics. In the literature, "clothes used for veterinary use were satin, nathan, silk, vinegar, silver irradiated, raw silk, burlap, ramie, hemp, etc .. Because it is good to rot quickly, many families use ramie or abrasion." .
이와 같이 기존의 수의는 종래의 제조방식에 따라, 남성용 수의와 여성용 수의로 분류되어 일률적으로 제조되며, 또한 원단의 종류에 따라, 삼베나 모시, 비단 등으로 나뉘고, 한지나 황토한지 등으로 제작을 하는 등의 차별화를 두기도 하지만, 어디까지나 원단의 차이일 뿐 망자의 개개인에 대한 구별이 아닌 획일화된 수의만을 제공할 뿐이다.As such, the existing veterinarians are classified into male veterinarians and female veterinarian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and are uniformly manufactured. Also, according to the types of fabrics, the veterinary veterinarians are divided into burlap, ramie, silk, and the like. Differentiation of the back, but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brics only provides a uniform number of people, not distinction of the individual of the deceased.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수의를 제조하는 공정에 염색단계를 첨가하고, 그 염재로 한약재를 사용함과 동시에, 망자의 사망원인에 따라 염색 재료를 차별화하여 각각의 사망이 원인이 된 질병에 따라 수의를 구분하여 달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심장병, 중풍, 고혈압 및 당뇨병을 원인으로 사망한 경우에 사용할수 있는 한약재 염색 수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dding a dyeing step to the existing veterinary manufacturing process, using a herbal medicine as its dye, and at the same time to differentiate the dye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cause of death of the dea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eterinary-dyeing veterinary dye that can be used in the case of death due to heart disease, stroke, hypertension and diabete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한약재 염색 수의는, 삼베나 모시등의 식물성 원단을 따뜻한 물에 넣어 세제와 함께 30분 정도 삶으면서 지속적으로 뒤집어주는 천의 정련단계, 상기의 정련된 천을 건조하는 단계, 생콩을 10시간 이상 물에 불려 믹서기에 갈은 후 고운망에 걸러 콩즙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의 정련된 천을 상기의 미지근한 콩즙에 담가 1시간 가량 지난 후 지그시 짜고 건조시키는 콩즙 매김 단계, 17000cc물에 염재를 넣고 99℃ 강한 불에서 5시간 끓여 염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의 건조된 천을 상기의 염액에 담가 염색하는 단계, 상기 염색된 천을 매염하는 단계, 상기 염색된 천을 수세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의 건조된 천으로 수의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 공정으로 제조된다.Chinese medicine dyeing veterinary medic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couring step of the cloth that is continuously turned over while boiled with a detergent for 30 minutes with a vegetable fabric such as burlap or ramie in warm water, Drying step, soaking raw beans in water for 10 hours or more, grinding in a blender to prepare soybean juice in a fine net, soaking the refined cloth in the lukewarm soybean juice for 1 hour and then squeezing and drying the soybean juice , Adding salt to 17000cc water and boiling salt for 5 hours in a strong fire at 99 ℃ extracting the salt solution, immersing the dried cloth in the salt solution, dyeing, dyeing the dyed cloth, washing the dyed cloth and drying And a veterinary fabrication step with the dried cloth.
또한, 상기 염재는 도인 6g, 산사 15g, 진피 3g, 숙지황 12g, 두충 4g, 우슬 4g, 당귀 4g, 구기자 4g, 백부령 4g, 작약 4g, 육계 4g, 세신 4g, 배지 4g, 부자 4g, 감초 4g, 생강 3쪽, 시호 6g, 반하 4g, 북경 2g, 게지 2g, 황금 2g, 대추 3g, 인삼 1g, 용골 1g, 대황 1g, 지실 2g, 오미자 8g, 마황 4g, 및 살구씨 4g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alt material is 6g, hawthorn 15g, dermis 3g, Sukjihwang 12g, tofu 4g, dew 4g, Angelica 4g, wolfberry 4g, Baekbuyeong 4g, peony 4g, broiler 4g, sesin 4g, medium 4g, rich 4g, licorice 4g 3g ginger, 6g Shiho, 4g half, Peking 2g, Crab 2g, Golden 2g, Jujube 3g, Ginseng 1g, Keel 1g, Rhubarb 1g, Fruit 2g, Schisandra chinensis 8g, Ephedra 4g, and 4g apricot seed It features.
또한, 명주나 옥사등의 원단을 따뜻한 물에 넣어 2~3 시간 동안 담가놓은 후 여러번 헹구어주는 천의 정련단계, 상기의 정련된 천을 건조하는 단계, 17000cc물에 염재를 넣고 99℃ 강한 불에서 5시간 끓여 염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의 건조된 천을 상기의 염액에 담가 염색하는 단계, 상기 염색된 천을 매염하는 단계, 상기 염색된 천을 수세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의 건조된 천으로 수의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 공정으로 제조된다.In addition, immerse the fabrics such as silk or oxa in warm water and soak them for 2 to 3 hours, and then rinse them several times, drying the refined fabrics, putting salt in 17000cc water, and putting them in a strong fire at 99 ℃. Boiling for a time to extract the salt solution, immersing the dried cloth in the salt solution, dyeing, embedding the dyed cloth, washing and drying the dyed cloth, and producing a veterinary with the dried cloth It is manufactured by a process including the step of doing.
또한, 상기 염재는 상기 염재는 도인 6g, 산사 15g, 진피 3g, 숙지황 12g, 두충 4g, 우슬 4g, 당귀 4g, 구기자 4g, 백부령 4g, 작약 4g, 육계 4g, 세신 4g, 배지 4g, 부자 4g, 감초 4g, 생강 3쪽, 시호 6g, 반하 4g, 북경 2g, 게지 2g, 황금 2g, 대추 3g, 인삼 1g, 용골 1g, 대황 1g, 지실 2g, 오미자 8g, 마황 4g, 및 살구씨 4g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alt material is salt 6g, hawthorn 15g, dermis 3g, Sukji sulfur 12g, tofu 4g, dew 4g, Angelica 4g, wolfberry 4g, Baekbuyeong 4g, Peony 4g, broiler 4g, Sesin 4g, medium 4g, rich 4g Contains 4 g of licorice, 3 g of ginger, 6 g of shiho, 2 h of 4g, 2 g of Beijing, 2 g of crab, 2 g of gold, 2 g of jujube, 1 g of ginseng, 1 g of keel, 1 g of rhubarb, 2 g of fibrillated ginseng, 8 g of Schisandra chinensis, and 4 g of apricot seed. Characterized in that made.
기존의 수의가 원단의 색을 그대로 하거나, 화학염색된 원단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본 고안에 따른 한약재 염색 수의는 원단의 천에 천연 염색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염색을 위한 염재로 한약재를 사용하여 자연친화적이고 긍정적인 느낌이 들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사망원인을 구별하여 그에 따라 염재로 사용하는 한약재를 달리함으로써, 개인별 망자에 대한 맞춤형 수의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사망원인에 따른 염재의 종류를 선별하기 위하여 심장병, 중풍, 고혈압 및 당뇨병의 경우에 대한 다음의 표 1과 같은 처방전을 참고로 하였다.Compared to the existing veterinary color of the fabric as it is, or using a chemically dyed fabric, the medicinal herb dyed veterinary dy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bjected to a natural dyeing process on the fabric of the fabric. As a dye for the dyeing, it is possible to use a herbal medicine to feel natural and positive. Also, by differentiating each cause of death and using the herbal medicine according to the dye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stomized veterinary for the dead. In order to select the type of salt according to the cause of death, the reference to the following table 1 for the case of heart disease, stroke, hypertension and diabetes was referred to.
도인(桃仁)은 복숭아 씨 속에 있는 자인(子仁:種核 안에 있는 비교적 큰 粒狀體)이다. 7∼8월경 복숭아가 익었을 때 종자를 채집하여 단단한 씨껍질[種皮]을 깨고서 속에 들어 있는 자인을 꺼내어 주로 한약재로 쓴다. 계란모양을 한 편압(扁壓)된 작은 덩어리로서, 크기는 길이 1.2∼2.0cm, 너비 0.6∼1.2cm, 두께 0.3∼0.7cm이며, 적갈색의 얇은 껍질에 싸여 있고 그 속은 희다. 맛은 약간 쓰고 물을 가해 부술 때는 벤즈알데히드의 방향(芳香)을 발산한다. 약용으로 소염성 구어혈제(驅瘀血劑) 등에 쓰이는데, 하복부가 팽만하면서 아픈 경우, 월경불순 ·충수염(蟲垂炎) 등에 적용된다. 이것이 포함되는 한방 처방에는 도핵승기탕(桃核承氣湯) ·대황모란피탕(大黃牡丹皮湯) ·계지복령환(桂枝茯笭丸) 등이 있다.Doin (桃仁) is a relatively large body in Jain in peach seeds. When the peach ripens in July-August, the seeds are collected, the hard seed husks are broken, and the inside of the gin is taken out and used mainly as a herbal medicine. It is an egg-shaped one-piece compacted mass, 1.2-2.0cm long, 0.6-1.2cm wide, 0.3-0.7cm thick, wrapped in a reddish brown thin shell, and white inside. The taste is slightly bitter and water is added to break the fragrance of benzaldehyde. It is used for anti-inflammatory collapsing blood (驅 瘀血 劑) medicinal, and when the lower abdomen is swelling and painful, it is applied to menstrual irregularities, appendicitis. Herbal prescriptions that include it include Dokukseunggitang (대), Rhubarb Moranpitang (大黃 牡丹皮 湯), Kejijibokryeonghwan (桂枝 茯 笭 丸) and the like.
산사나무는 한방에서 열매를 산사자(山査子)라고 하며 건위제·소화제·정장제로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고기를 많이 먹은 다음 소화제로 쓰며, 유럽에서는 유럽산사나무의 열매를 크라테거스(Crataegus)라고 하는데, 강심제로 쓰고 5월에 꽃이 피므로 메이플라워(May flower)라고도 한다.The hawthorn is called hawthorn in the oriental medicine and is used as an agent,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suit. Folks eat a lot of meat and use it as an extinguishing agent. In Europe, the fruit of the hawthorn is called Crataegus, and it is called Mayflower because it blooms in May.
진피(陳皮)는 온주밀감(溫州蜜柑)의 숙과피를 건조한 것으로, 귤나무의 열매 껍질을 약용한 것으로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비위가 허약하여 일어나는 구토, 메스꺼움, 소화불량 등에 쓰인다. 진귤피(陳橘皮)라고도 한다. 아직 덜 익은 파란 과피는 청귤피라고 하며, 황숙한 과피를 진피(진귤피)라고 한다. 진(陳)은 노숙(老熟)의 뜻을 가진다. 성분은 정유 ·헤스베리딘이다. 한의학에서는 채취 후 1년 정도 경과한 향기가 강한 것을 상품(上品)으로 취급하며, 방향고미건위제 외에, 진토(鎭吐) ·진해 ·거담제로서 1일 5∼10g을 사용한다. Dermis is a dried skin of Wenzhou Dense persimmon (溫州 蜜柑), medicinal peel of the fruit of the tangerine tree, bitter taste, and warm nature. It is used for vomiting, nausea and indigestion caused by weak stomach. It is also known as jingyupi (陳 橘皮). The unripe blue rind is called tangerine peel, and the ripe rind is called dermis. Jin has the meaning of homelessness. The ingredient is essential oil and hesburydine. Chinese medicine treats the strong scent that has elapsed for about 1 year after collection as a commodity, and uses 5-10g per day as a jinto, antitussive, and expectorant, in addition to the fragrance-flavoring agent.
숙지황(熟地黃)은 지황(地黃)의 뿌리를 쪄서 말린 한약재이다. 지황은 현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약용식물로 그 뿌리를 한방에서 약재로 쓰는데, 날것을 생지황, 말린 것을 건지황이라 하며, 숙지황 중 특히 술에 담갔다가 쪄서 말리기를 9번 되풀이하여 만든 것은 구지황이라 하여 그 약효를 으뜸으로 친다. 맛은 달면서도 쓴맛이 돌고 따뜻한 성질이 있어 혈을 보(補)하고 정(精:생명이 발생하고 활동하는 데 기본이 되는 물질)을 보충해서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이나 월경이상, 어지럼증 등을 치료하고 머리를 검게 하는 효능이 있다. 숙지황은 사물탕(四物湯)의 주요 약재이며 각종 만성병 중 몸이 허약하여 나타나는 내열(內熱), 인후건조(咽喉乾燥), 갈증 등의 증상에 쓰인다. 사물탕은 여성의 출산 후나 월경 등으로 인한 과다출혈, 허약, 어지럼증 등에 널리 쓰인다. 예로부터 허담(虛痰)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어 차로 달여 마셨으며, 기침과 천식에 복령(茯笭)·반하(半夏) 등과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밖에도 돼지고기를 삶은 국물과 함께 복용하면 습관성 변비에 효과가 있다. 영양분이 많고 기름기가 있어 장기간 복용하면 소화장애를 일으켜 설사·복창(腹脹) 등 부작용이 생긴다. 그러므로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되며 설사를 하는 환자에게는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Sukjihwang (Maturity 地 黄) is a herbal medicine dried with the roots of Jihwang (地 黃). Jihwang is a perennial medicinal plant that accompanies the Hyunsam family. Its root is used as a medicinal herb in herbal medicine. Raw Jihwang and dried are called Guangjihwang. Foremost in its efficacy. Taste is sweet but bitter and warm, and it supplements blood and replenishes jeong (精: basic substance for life and activity), sore back and knee, painful symptoms, dysmenorrhea, dizziness, etc. It is effective in treating and blacking the hair. Sukjihwang is the main medicine of Samul-tang (四 物 이며) and is used for symptoms such as heat resistance, dry throat, and thirst caused by the weakness of various chronic diseases. Samultang is widely used for women with excessive bleeding, weakness, and dizziness due to postpartum and menstruation. It has been effective in treating Hedam since ancient times, and it was drunk as a tea. It was used in combination with cough and asthma in Bokryeong, Banha, etc. In addition, pork with boiled broth is effective for habitual constipation. Nutrient and oily, long-term use causes digestive problems, such as diarrhea and abdominal pain (腹脹) occurs. Therefore, tasteless, indigestible, diarrhea patients should be used carefully.
두충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두충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두충의 나무껍질을 약용한 것으로 맛은 달고, 성질은 뜨겁다. 항염증, 진정, 진통, 혈압강하작용 등에 효능이 있다. 중국 특산식물이며,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는 10m 정도이다. 잎은 마주나고 대개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밑은 둥글고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다. 잎 길이는 5∼16cm, 나비 2∼7cm로 양면에 털이 거의 없으나 맥 위에는 잔 털이 있고 예리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cm로 잔 털이 있다. 한방에서는 나무껍질을 보약·강장제로 쓰고, 대뇌를 튼튼하게 하며, 폐와 무릎앓이·음습증을 다스린다. 민간에서는 잎을 달여서 신경통·고혈압에 쓰고 차로도 복용한다. It is a deciduous, broad-leaved arboreous tree with the dicotyledonous rosewood, which is a medicinal herb, and tastes sweet and hot. It is effective in anti-inflammatory, sedation, analgesic, and lowering blood pressure. It is a plant native to China and grows in mountains and fields. The height is about 10m. The leaves are opposite, usually oval, pointed at the end, and the bottom is round and uneven teeth. Leaves are 5 ~ 16cm long, 2 ~ 7cm butterfly, almost no hair on both sides, but there are fine hairs on the veins and sharp teeth. Petiole is 1cm long and has hairs. In oriental medicine, the bark is used as a medicine and tonic, strengthens the cerebrum, and manages lung and knee ailments and groin. In the private sector, the leaves are decocted and used for neuralgia and hypertension.
우슬(牛膝)은 비름과에 속하는 다년초 식물인 쇠무릎의 뿌리를 말린 약재이다. 혈액이 잘 돌게 하고 어혈을 없애는 성질이 있으므로 월경불순 ·난산 ·산후복통 ·산후자궁무력증 ·타박상 ·부스럼 등에 쓴다. 약리실험에서 이뇨작용 ·자궁수축작용 ·식균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등이 밝혀졌다. 쇠무릎은 한국 각지의 들에서 자라며 심기도 한다. 가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시며 약성은 평범하다. 하루 4~10g 을 물에 달여 마시거나 약술을 만들어 먹는다. 임산부에게는 쓰지 않는다. Ursula is a medicinal herb dried on the root of iron knee,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amaranth family. Because the blood is good to turn and remove the blood, menstrual irregularity, difficulty in postpartum, postpartum abdominal pain, postpartum uterine asthma, bruises, swelling and writes. Pharmacological experiments revealed diuretic, uterine contraction, phagocytosis, and anti-allergic effects. Iron knees grow and grow in fields all over Korea. In the autumn, digging roots, rinsed in water and dried in the sun. Taste is bitter and weak. Drink 4-10g of water a day or make medicine. Do not write for pregnant women.
당귀(當歸)는 한방에서, ‘승검초의 뿌리’를 약재로 이르는 말이다. 승검초(―草)는 산형과의 다년초로서, 줄기 높이 1m가량. 깃털 모양의 잎이 마주난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 산지의 특산으로, 뿌리는 한방에서 ‘당귀(當歸)’라고 하며 한약재로 쓰인다.Dongguk (當歸) is a term that refers to the root of Seunggeumcho as a medicinal herb. Seunggeumcho (― 草) is a perennial herb of mountainous family, about 1m in stem height. Feather-shaped leaves face each other. It is a special product of mountainous region of north Korea, and the root is called 'Danggui (귀)' in oriental medicine and it is used as a herbal medicine.
구기자(枸杞子)는 구기자나무의 열매로서,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이고 길이 1.5∼2.5cm이다. 7월부터 붉게 익어 7∼11월 하순에 수확한다. 종류는 재래종을 비롯하여 청양종, 일본과 중국에서 들여온 일본1호·중국1호 등이 있다. 충청남도 청양·보령·공주·홍성 등지와 전라남도 진도·해남에서 주로 재배하며, 일본·중국에서도 생산한다. 단백질·지방·당질·칼슘·인·철분·베타인·루틴·비타민(A·B1·B2·C) 등이 들어 있어 흡수가 빠르다. 한방에서는 강장제·해열제로 쓰고 간기능 보호 작용이 뛰어나 부작용이 별로 없다. 시력을 좋게 하고 당뇨병 등의 성인병을 예방하며 폐와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하고, 들기름과 섞어 숙성해 두었다가 머리에 바르면 흰머리가 생기는 것을 막아 주고 화상에도 효과가 있다. 수술 뒤나 회복기에 가루나 즙을 넣고 죽을 끓여 먹는다. 술을 담그기도 하는데, 허약체질을 보하는 강장제로 알려져 있다. 술을 조금 섞고 설탕을 넣어 잼을 만들기도 한다.Gugija (枸杞 子) is the fruit of the wolfberry, egg-shaped or long oval-shaped, 1.5-2.5cm in length. It ripens red from July and is harvested in late July to late November. The varieties include the traditional species, the Cheongyang species, and Japan No. 1 and China No. 1 imported from Japan and China. It is cultivated mainly in Cheongyang, Boryeong, Gongju, Hongseong, Chungcheongnam-do, and Jindo and Haenam, Jeollanam-do, and also in Japan and China. Proteins, fats, sugars, calcium, phosphorus, iron, betaine, rutin, vitamins (A, B1, B2, C), etc. In oriental medicine, it is used as a tonic and antipyretic. Improve eyesight, prevent adult diseases such as diabetes, improve the function of lungs and kidneys, and mix with perilla oil to mature and apply to the hair to prevent the formation of gray hair and is effective for burns. After the surgery or during the recovery period, add powder or juice and boil the porridge. It is also known as a tonic that helps to weaken alcohol. A little alcohol is mixed with sugar to make jam.
작약(芍藥)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 1개가 핀다. 꽃색은 붉은색·흰색 등 다양하며 많은 원예 품종이 있다. 산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여러 개가 한 포기에서 나와 곧게 서고 높이 60cm 정도이며 잎과 줄기에 털이 없다. 뿌리는 여러 개가 나오지만 가늘고 양끝이 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굵다. 꽃이 아름다워 원예용으로 쓴다. 뿌리는 진통·복통·월경통·무월경·토혈·빈혈·타박상 등의 약재로 쓰인다. 중국에서는 진(晉)과 명(明)시대에 이미 관상용으로 재배되어 그 재배 역사는 모란보다 오래되었다. 송(宋)을 거쳐 청(淸)시대에는 수십 종류의 품종이 기록되어 있다. 한국·몽골·동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Peony is a perennial plant of the dicotyledon plant Buttercupaceae. Flowers bloom at the end of stem in May-June. Flower colors vary from red to white, and there are many horticultural varieties. It grows in the mountains. Several stems stand up straight from abandon, about 60cm high, without hairs on leaves and stems. Roots come out many but thick, with thin, long, pointy cylinders. The flowers are beautiful and they are used for gardening. Root is used as a medicine for pain, abdominal pain, dysmenorrhea, amenorrhea, bleeding, anemia, bruises. In China, it was already cultivated for ornamental purposes during the Qin and Ming times, and its cultivation history is older than that of peonies. Dozens of varieties are recorded in the Qing Dynasty after the Song. It is distributed in Korea, Mongolia, and Siberia.
육계(肉鷄)는 고기를 이용하는 닭과 채란계(採卵鷄)의 폐계인 묵은 닭을 말한다. 한국의 시장에서 유통되는 육계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① 브로일러 : 부화된 지 8~10주령 되는 병아리로 몸무게가 평균 1.6~2.0kg이며, 고기는 연하고 뼈가 완전히 굳지 않은 상태의 것으로, 암수의 구별이 없이 시판되며 주로 통닭구이용으로 소비되고 있다. ② 세미브로일러 : 대체로 8~10주령 되는 병아리로 몸무게가 1.3~1.5kg이며, 고기와 뼈는 연하고 암수의 구별 없이 유통되며 통닭구이용으로, 또는 몸무게가 가벼운 것은 영계백숙용으로 이용된다. ③ 영계 : 부화 후 4~8주령 된 병아리로서 몸무게가 평균 0.8~1.0kg이고 영계백숙용으로 이용되며 암수의 구별 없이 유통된다. ④ 중닭 : 부화 후 100일 정도 된 닭으로 몸무게가 1.2~1.5kg이며 암수를 구분하여 매매되는데 수탉은 며느리발톱이 약간 발달되어 있다. ⑤ 햇닭 : 산란 직전의 닭, 또는 산란 초기의 닭인데 햇수탉·햇암탉 등으로 구별하며 몸무게가 1.5kg 이상 되는 닭이다. ⑥ 묵은닭 : 생후 2년 된 다 자란 닭으로서 묵은 수탉·묵은 암탉 등으로 구별하고 있다. 보통 몸무게가 2.5kg 정도로 고기는 질기고 뼈는 굳어 있다. 육계는 잡기 전 하루 동안은 물만 주고 굶겨서 창자 안의 내용물을 없앤다. 피를 뽑거나 목뼈를 잘라서 죽인 다음 마른 털을 뽑거나 50~55℃ 더운물에 튀겨서 털을 뽑고 잘 씻는다. 머리와 다리를 잘라내고 아랫배와 항문을 절개하여 내장을 꺼낸다. 도체(屠體)는 얼음물에 냉각시켜 포장하여 냉장한다. 먹을 수 있는 내장은 별도로 포장한다. Broiler chicken refers to chickens that use meat and old chickens that are waste chickens. The types of broilers distributed in the Korean market are as follows. ① Broiler: 8 ~ 10 weeks old chick hatching, weighing 1.6 ~ 2.0kg on average, meat is soft and bone is not completely hardened. It is markete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male and female and is mainly consumed for roasting chicken. ② Semi broiler: 8 ~ 10 weeks old chicks weighing 1.3 ~ 1.5kg, meat and bones are soft and circulate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males and females. They are used for roasting chickens or light weights for young chickens. ③ Broiler: 4 ~ 8 weeks old chicks hatch after hatching. The average weight is 0.8 ~ 1.0kg. It is used for broiler chickens. ④ medium chicken: 100 days after hatching, weighs 1.2 ~ 1.5kg and is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and the rooster's claw is slightly developed. ⑤ New chickens: Chickens just before spawning, or chickens at the beginning of spawning. They are classified as new roosters or hens and weigh more than 1.5kg. ⑥ old chickens: 2 years old, mature chickens are distinguished by old roosters and rotten hens. Usually the weight is about 2.5kg meat is tough and bones are solid. The broiler only starves for one day before it catches, eliminating the contents of the intestines. Drain the blood or cut the neck bone and kill it, and then remove the dry hair or fry it in 50 ~ 55 ℃ hot water to remove the hair and wash well. Cut off the head and legs and incise the belly and anus to take out the intestines. The conductor is cooled in iced water, packaged and refrigerated. Eatable guts are packed separately.
세신(細辛)은 쥐방울덩굴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인 민족두리풀과 족두리풀의 뿌리를 말린 약재이다. 족두리풀뿌리라고도 한다. 민족두리풀은 각지의 깊은 산 그늘진 습지에서 자라고, 족두리풀은 한국 중부 이남의 산에 널리 분포한다. 봄부터 여름 사이에 뿌리를 캐서 물에 깨끗이 씻어 그늘에 말린다. 맛은 맵고 약성은 온화하다. 효능은 감기 ·풍한으로 머리가 아프고 코가 막히고 열이 나며 가래 ·기침이 나고 숨이 찰 때 쓴다. 후두염 ·비염 ·기관지염에 쓰면 좋다. 하루에 1~3g을 달여 마시거나, 구내염에는 가루를 만들어 뿌려주면 치유된다. 약리실험에서 해열작용 ·항알레르기작용 ·국소마취용 ·억균작용 등이 있음이 밝혀졌다. 다만 기가 허하여 땀이 나는 데, 빈혈로 머리 아픈 데, 음허(陰虛)로 기침나는 데는 쓰지 않는다. 황기·낭독(狼毒) ·산수유와 함께 배합하지 않는다. Seshin is a medicinal herb that has dried roots of the perennial plants of the genus Rootaceae. Also called brisket roots. Korean scallops grow in deep, shady marshes across the country, and scrubs are widely distributed in mountains south of central Korea. Dig roots between spring and summer, rinse thoroughly in water and dry in shade. The taste is spicy and weak. Efficacy is used when the head is sore with cold, cold, stuffy nose, fever, phlegm, cough, and shortness of breath. Good for laryngitis, rhinitis, bronchitis. Drink 1 to 3 grams a day or sprinkle powder on stomatitis and heal. In pharmacological experiments, antipyretic, anti-allergic, topical anesthesia, and bacteriostatic activities were found. However, because of sweating, anemia, head pain, coughing (음) is not used. Not combined with Astragalus, Reading and Cornus.
부자(附子)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바곳의 덩이뿌리로서, 생부자, 포부자 등의 약재로 쓰이며, 극약의 일종이다. 오두(烏頭)라고도 한다. 그대로 말린 것을 생부자(生附子), 소금물에 담갔다가 석회가루를 뿌려서 말린 것을 백하부자(白河附子), 약 120 ℃로 가열하여 다소 유효성분이 변질한 것을 포부자(?附子)라고 하며, 모두 약용으로 쓰인다. 성분으로는 아코니틴 등을 함유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온성(溫性)의 흥분·강심·진통·이뇨제로서 계지(桂枝)·복령·감초(甘草) 등과 공용하며, 절대로 단방으로는 쓰지 않는다. 신진대사 기능이 극도로 쇠퇴한 것을 회복시키는 이외에, 냉·오한·마비·동통·신경통·류머티즘관절염에 쓰는데 극약의 일종이다. The rich man (附子) is a lump of roots belonging to the buttercup family, is used as a medicine for living rich, aspirational, etc., is a kind of extreme medicine. Also called Odu. Dried as it is raw rich (生 부 子), salt water, and lime powdered sprinkles dried white Bajaja (白河 附子), heated to about 120 ℃ slightly altered active ingredients are called aspirations (? 附子), all medicinal Used as The component contains aconitine and the like. In oriental medicine, it is common with excitement, cardiac, analgesic, diuretic, kyeji (복), Bokyeong, licorice (甘草), and never use in one side. In addition to restoring extreme declines in metabolic function, it is a type of medicine used for cold, chills, numbness, pain, neuralgia, and rheumatoid arthritis.
자감초는 감초를 후라이팬에다 굽는것을 말하는것으로 원래 감초는 성미가 달고 평하지만 불에서 굽게 되면 그 성질이 약간 따뜻하게 변하게 된다. 그래서 청열(열을 식힌다)을 목적으로 쓸때는 생용하고 온중하고자 하면 炙(자)해서 쓰는것입니다. 특히 자해서 쓸때는 대부분 감초에 꿀을 넣고 후라이팬에다 볶아서 쓰는 것이 좋다. 효능은 비장을 보하고 기운을 더하게 하고 청열 해독하며 폐에 작용하여 기침을 멎게 하며 모든 약을 조화롭게 만들어줍니다.Licorice is the baking of licorice in a frying pan. Originally licorice is sweet and flat, but when burned on fire, its properties change slightly warmer. So when you use for the purpose of clearing (cooling), if you want to live and moderate, you write it. Especially when you use it yourself, it is good to add honey to licorice and fry in a frying pan. Efficacy helps spleen, strengthens energy, detoxifies, acts on the lungs, stops coughing and harmonizes all medicines.
계지는 몸의 열을 발산시키는 대표적인 약재로 알려져 있다. 주요 약효가 땀이 나게 하면서 열을 발산하기 때문이다. 또 경맥을 덥게 하여 소통시키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Gyeji is known as a representative medicine that radiates heat of the body. This is because the main medicinal effect is to release heat while sweating. It also works to warm the meridians to communicate.
모려는 굴(oyster)로서, 사새목 굴과에 속하는 연체동물을 총칭하는 것이다. 식용종인 참굴을 말하며 굴조개라고도 한다. 이매패류에 속한다. 한자어로는 모려(牡蠣)·석화(石花) 등으로 표기한다. 굴이 식용으로 이용된 역사는 오래되었으며 한국에서도 선사시대 조개더미에서 많이 출토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강원도를 제외한 7도의 토산물로 기록되어 있고, 《전어지》, 《자산어보》 등에는 형태에 관한 기록이 있다. 모려는 한방에서는 탄산칼슘, 인산칼슘, 경단백질,콘키올린 등이 주성분으로 되어 있어 설사를 멎게 하고 대소변을 순조롭게 하여 설정과 여자의 대하증을 다스린다.(목민심서, 동의보감) 모려칼슘은 칼슘만 단독으로 존재하므로 흡수율이 가장 뛰어나다.Moy is an oyster, a collective of mollusks belonging to the cephalopod oyster family. It is an edible species of oysters and is also called oyster shell. It belongs to bivalve shellfish. In Chinese characters, it is written in the form of Mori and petrification. Oysters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and were excavated from piles of prehistoric clams in Korea. It is recorded as a souvenir of seven degrees except Gangwon-do in the New Jeungdong Passage Ride, and there are records regarding the form in `` Snowfish '' and `` Jean-abo ''. In the oriental medicine, calcium carbonate, calcium phosphate, light protein, and conchiolin are the main ingredients, which helps to diarrhea and smooth the stool, and to control the setting and woman's fevers. Because it exists in, the absorption is the best.
대황(大荒)은 갈조식물 미역과의 바닷말로서, 조간대(潮間帶) 하부에서 밀생한다. 몸은 큰 것은 1.5m 이상이고 가지가 나서 복잡하게 얽힌 뿌리와 1개의 긴 원기둥 모양의 줄기가 있으며 그 끝에 잎이 있다. 줄기는 1년생의 어린 식물에서는 단조(單條)이고, 끝이 납작해지며 깃꼴로 갈라지는 잎이 붙는데, 나중에는 잎의 기부에 있는 생장대(生長帶)까지 녹아내려서 탈락한다. 생식기관인 포자낭은 2년째 가을(10∼11월)에서 겨울에 걸쳐 잎의 양면에 포자낭반(胞子囊斑:sporangial sorus)을 이루며 생성되는데 포자를 방출하고 나면 잎은 녹아버린다. 그리고 새로운 식물은 봄에 나타난다. 대황은 곰피나 감태와 함께 흔히 다시마 대용으로 식용되며, 특히 알긴산 ·요오드 ·칼륨 등의 함량이 높아 알긴산 원료로 이용된다. 한국(울릉도와 독도) ·일본에 분포한다. Rhubarb is a sea horse with brown seaweed and grows in the lower intertidal zone. The body is larger than 1.5m, branched, with complicated entangled roots, and one long cylindrical stem with leaves at the end. Stems are monotonous in young plants of year-old, flattened at the ends, and attached to leaves that split into feathers, and later fall off by melting to the growth stage at the base of the leaves. The reproductive organs, spore sac, form sporangial sorus (Sporangial sorus) on both sides of the leaves from the autumn (October to November) in the second year. After the release of the spores, the leaves melt. And new plants appear in spring. Rhubarb is commonly used as a substitute for kelp, along with gompi or Ecklonia cava, and is particularly used as a raw material for alginic acid due to its high content of alginic acid, iodine and potassium. It is distributed in Korea (Ulleungdo and Dokdo) and Japan.
오미자(五味子)는 오미자의 열매를 약용한 것으로 맛은 시고 성질은 따뜻하다.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과 오래된 이질 설사에 쓰이며, 오래된 천시과 해수에도 쓰인다. 시잔드린·고미신·시트럴·사과산·시트르산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 주어 강장제로 쓴다. 폐 기능을 강하게 하고 진해·거담 작용이 있어서 기침이나 갈증 등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말린 열매를 찬물에 담가 붉게 우러난 물에 꿀·설탕을 넣어 음료로 마시거나 화채나 녹말편을 만들어 먹는다. 밤·대추·미삼을 함께 넣고 끓여 차를 만들거나 술을 담그기도 한다.Schisandra chinensis is a medicinal herb that tastes sour and warm. Frequent urination and diarrhea are used for old diarrhea, it is also used for old Cheonsi and sea water. It contains ingredients such as xanthrin, gomisin, citric acid, citric acid and citric acid, which strengthen the heart, lower blood pressure, and boost immunity. Strong lung function and antitussive, expectorant action to help treat coughs and thirst. Soak dried fruit in cold water and drink honey or sugar in red water and drink it as a drink or make a flower or starch. Boil chestnuts, jujube and miso together to make tea or to soak alcohol.
마황(麻黃)은 마황목 마황과의 상록관목으로, 건조한 높은 지대나 모래땅에서 자란다. 높이 30∼7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속새 같은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마디가 많고 마디에 비늘 같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 잎이 1쌍씩 달리며 밑은 합쳐져서 원줄기를 둘러싼다. 뿌리는 나무처럼 단단하며 붉은빛을 띤 갈색이다. 꽃은 암수딴그루이며 여름에 2개의 꽃으로 된 단성꽃차례[單性花序]가 포에 싸여서 달린다. 암꽃이삭은 가지 끝에서 단생하며 포조각은 자라서 육질로 된다. 열매는 분홍색 장과로서 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원줄기는 한약재로서 발한·해열·진해·이뇨제의 효능이 있고 열병과 천식치료에 사용한다. 중국 북부,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Ephedra is an evergreen shrub with Ephedra, Ephesus, which grows in dry highlands or sandy soil. It is 30-70cm in height. Stems stand upright and many branching branches are split. A large number of nodes and scale-like membranes (종이: translucent like thin paper) on the nodes run in pairs, and the bottom is combined to surround the main stem. The root is hard like a tree and reddish brown. The flowers are female and female, and in summer, a single inflorescence of two flowers is wrapped in a bag. The female flower spikes at the end of the branch, and the pieces grow to flesh. The fruit is pink berry and contains two seeds. Radix is a herbal medicine that has the effects of sweating, antipyretic, antitussive, diuretic, and is used to treat fever and asthma. It is distributed in northern China and Mongolia.
살구, 살구나무는 낙엽활엽수로서 4월에 연한 홍색으로 잎보다 먼저 피는 꽃대는 없고 살구는 7월에 황적색으로 익는다. 한방에서는 종자를 행인이라하며 지해, 거담, 이뇨, 편도선, 부종, 유선염, 외이도염, 숨이찬데 또 윤장의 효능이 있고, 외감해수, 천만, 변비를 치료한다고 한다. 행인에는 아미그달린, 올레인, 아만딘, 벤잘데하이드 등의 성분이 있어 진해, 거담, 윤장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기침, 천식, 기관지염, 인후염, 급성폐렴, 변비 등을 치료하는데 쓰인다. 살구의 과육자체는 배탈이 나기 쉬운 점이 있으나 살구씨는 굉장한 약효를 가지고 있다. 살구씨는 "폐의 성약"으로까지 불릴 정도이며 예부터 살구씨는 "폐를 깨끗이 해주는 약"으로 전해온다. '성체총록'을 보면 "천식에는 행인과 도인 각 반냥씩을 피첨(알맹이껍질과 알맹이 뾰족한 곳)을 제거하고 볶은 다음 갈아서 물에 개어 환으로 만든 후 1회 10개씩 생강탕으로 먹으면 좋다"는 기록이 있다. '천금방'에는 "기침이 심할 때 행인 3홉을 피첨을 버리고 누렇게 볶아서 갈아 꿀 1되에 넣고 끓인 다음 식전에 조금씩 먹으면 효험이 있다"고 되어 있다. 오랜 기침이나 만성 기관지염으로 고생하는 사람이나 해수병이 있는 노인 또는 감기몸살이 있을 때에는 껍질을 벗긴 살구씨를 찧어 죽을 쑤어 꿀을 타서 복용하면 좋다. Apricot, apricot tree is a deciduous broad-leaved tree with light red in April and no stalks blooming before the leaves, and the apricot ripens in red in July. In oriental medicine, seeds are known as passersby, sea bass, diuresis, tonsils, edema, mastitis, otitis externa, swelling, and the benefits of yunjang, and external seawater, 10 million, constipation is said to treat. Pedestrians have ingredients such as amigdaline, olein, amandine, benzaldehyde, and have the effects of cough, sputum, and yunjang, which are used to treat cough, asthma, bronchitis, sore throat, acute pneumonia, and constipation. The flesh of the apricot itself is easy to stomach upset, but the apricot seed has a great effect. Apricot seeds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covenants of lungs," and apricot seeds are said to be "medicines that cleanse the lungs." In the Adult Adult Record, "in asthma, it is good to remove each skin of pedestrians and almonds, remove the skins (pointed skin and pointed kernels), fry, grind them in water, make them into a pill, and eat 10 times each with ginger bath." have. 'Cheongeumbang' "When the cough is severe, throw away the skin of three pedestrians, fry yellowed, grind it into 1 Doe of honey, boil it, and eat it little by little before eating." If you are suffering from a long cough or chronic bronchitis, an elderly person with seawater disease, or a cold body, you can take a peeled apricot seed and grind it with honey.
반하(半夏)는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끼무릇이라고도 한다. 알뿌리에 독성이 있으나 한방에서는 거담 ·진해 등의 효능이 있어 구토 ·설사 및 임신중의 구토에 사용한다. 꽃줄기는 높이 20∼40cm이고 포는 녹색이며 길이 6∼7cm로 겉에 털이 없으나 안쪽에는 털이 있다. 꽃은 6월에 피고 육수꽃차례에 달린다. 암꽃은 밑에, 수꽃은 위에 달리며 끝이 길게 자란다. 꽃은 노란빛을 띤 흰색이고 열매는 녹색 장과이다.Banha (半夏) is a perennial plant of Cheonnamseongmok, a monocotyledonous plant. Although it is toxic to egg root, it is used for vomiting, diarrhea and vomiting during pregnancy because it is effective in expectoration and antitussive medicine. A peduncle is 20-40cm high, a bract is green, 6-7cm long, and has no hair on the outside but hair on the inside. Flowers bloom in June and run in broth. Female flowers grow on the bottom, male flowers on the top, and grow long. The flowers are yellowish white and the fruits are green berries.
인삼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약용식물이며, 예로부터 불로·장생·익기(益氣)·경신(輕身)의 명약으로 일컬어진다. 뿌리는 약용하며 그 형태가 사람 형상이므로 인삼이라 한다. 한국에서 재배되는 인삼의 뿌리는 비대근(肥大根)으로 원뿌리와 2∼5개의 지근(支根)으로 되어 있고 미황백색이다. 지근의 수는 토질·이식방법·비료·수분 등에 의해서 차이가 있으나 분지성이 강한 식물이며 그 뿌리의 형태는 나이에 따라 차이가 있고 수확은 4∼6년근 때에 한다. Ginseng is a perennial herb of the dicotyledonous plant hawthorn, which is a medicinal plant, and has been known as an old medicine of Buloh, Jangsaeng, Ikgi, and Shinshin. The root is medicinal and its shape is called human ginseng. The root of ginseng cultivated in Korea is Geun-geun root (肥大 根), which consists of one root and two to five roots (支 根) and is pale yellow white. The number of roots is different depending on soil, transplanting method, fertilizer, and moisture, but it is a strong branching plant. The shape of root is different according to age and harvest is done in 4-6 years.
시호(柴胡)는 산형과의 다년초로서, 산이나 들에 절로 나는데, 줄기는 40∼70cm. 잎은 좁고 길며, 초가을에 노란 꽃이 핀다. 한방에서,‘시호나 참시호의 뿌리’를 약재로 이르는 말이며, 해열·진통·강장 등에 쓰인다.Shiho (柴胡) is a perennial plant of the mountain family, and it flies in the mountains or fields, and the stem is 40-70 cm. The leaves are narrow and long, yellow flowers bloom in early autumn. In Chinese medicine, the term “root of shiho or shishiho” is used as a medicine and is used for fever, pain, and tonic.
황금(黃芩, Skullcap)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며 씨방은 4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는 9월에 결실하며 둥근 모양으로 꽃받침 안에 들어 있다. 원뿌리는 원뿔형이고 살이 황색이다. 한방에서 뿌리를 해열·이뇨·지사·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한다.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한국·중국·몽골 및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Golden (Huang, Skullcap) is a perennial herb of dicotyledons and moss-trees. Two of four stamens are long, one pistil and four ovaries. Fruits are fruiting in September, rounded in calyx. The cone is conical and the flesh is yellow. In oriental medicine, roots are used as antipyretic, diuretic, branch, yedam and anti-inflammatory drugs. Grown as a medicinal plant. It is distributed in Korea, China, Mongolia and Eastern Siberia.
대추는 생으로 먹거나 떡 ·약식 등의 요리에 이용하며 한방에서는 자양 ·강장 ·진해 ·진통 ·해독 등의 효능이 있다. 조(棗) 또는 목밀(木蜜)이라고도 한다. 표면은 적갈색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1.5∼2.5cm에 달하며 빨갛게 익으면 단맛이 있다. 과실은 생식할 뿐 아니라 채취한 후 푹 말려 건과(乾果)로서 과자 ·요리 및 약용으로 쓰인다. 대추는 생활속에서 가공하여 대추술, 대추차, 대추식초, 대추죽 등으로도 활용한다. 가공품으로서의 꿀대추는 중국·일본·유럽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다. 한방에서는 이뇨·강장(强壯)·완화제(緩和劑)로 쓰인다.Jujube is eaten raw or used for cooking rice cakes and medicines. In oriental medicine, it is effective for nourishing, tonic, Jinhae, pain, and detoxification. It is also called roughness or wood wheat. The surface is reddish brown, elliptical, 1.5 ~ 2.5cm long, and ripe when red. Fruits are not only raw, but also dried after being harvested and used as sweets, dishes and medicinal products. Jujube is processed in daily life and used as jujube wine, jujube tea, jujube vinegar, jujube porridge. Honey jujube as a processed product is popular in China, Japan and Europe. In oriental medicine, it is used as a diuretic, tonic, and emollient.
감초(甘草)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약용식물이다. 뿌리는 적갈색으로 땅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모가 지며 1m 정도 곧게 자란다. 또한 흰털이 밀생하여 회백색으로 보이며 선점(腺點)이 흩어져 있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17개씩이고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작은잎의 길이는 2∼5cm, 나비 l∼3cm로 양면에 흰털과 선점이 있으며 톱니는 없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길이 1.4∼2.5cm로 보라색이며, 총상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꼬투리는 선처럼 가늘고 긴 모양으로 활처럼 굽으며 신장형의 종자가 6∼8개씩 들어 있다. 뿌리는 단맛이나서 감미료, 한약재로 사용한다. Licorice is a perennial herb of the dicotyledonous plant Rosaceae. It is a medicinal plant. The roots are reddish brown deep into the ground, the stems are gathered, and grow straight about 1m. In addition, white hairs are dense, appearing as off-white, and preemption is scattered. The leaves are shifted and oddly littered leaf. Small leaves 7-17 each, egg-shaped, pointed end. Small leaves are 2 ~ 5cm long, 1 ~ 3cm butterfly, white hairs and dots on both sides, and no sawtooth. Flowers bloom in July-August, 1.4-2.5cm long, purple, and hanged on the axilla as a total inflorescence. The pod is thin and long like a line and bent like a bow and contains 6 to 8 seeds. The root is sweet, so use it as a sweetener or herbal medicin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약재 염색 수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herbal medicine dye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 한약재 염색 수의를 제조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Figure 1 is a flow chart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manufacturing a medicinal herb dyed veterinary.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삼베나 모시 등의 식물성 원단을 이용하여 수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천을 정련하여 건조한 후(S11), 콩즙을 준비하여(S12) 콩즙을 천에 매기는 단계(S13,S14), 한약재를 이용하여 염액을 추출한 후(S15), 상기의 천을 염색하고 건조한 다음(S16~S19), 상기의 천으로 기존의 방식에 따라 수의를 제조한다(S20). 이와 같이 종래의 수의제조 방식에 한약재로 된 염액을 이용하여 수의 원단을 염색하는 과정을 추가하는데, 이때 각각의 사망원인에 따라 염재로 사용하는 한약재를 달리함으로써 그에따른 맞춤형 수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As can be seen in Figure 1, in the production of veterinary using vegetable fabrics such as burlap or ramie, after scouring and drying the cloth (S11), preparing the soybean juice (S12) step of subining the soybean juice on the cloth (S13) (S14), after extracting the saline solution using the herbal medicine (S15), the fabric is dyed and dried (S16 ~ S19), and the veterinarian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with the fabric (S20). In this way, the process of dyeing the fabric of the veterinary material using the salt solution of the herbal medicine to the conventional veterinary manufacturing method is added, in this case by varying the herbal medicine used as the dye according to each cause of death so that the customized veterinary can be produced accordingly do.
본 고안에 따른 한약재 염색 수의의 제조공정에 관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Example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hinese medicine dyeing veterin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실시예Example 1 One
원단의 정련단계(Fabric refining stage S11S11 ))
수의 원단을 준비하는 작업으로서, 식물성 원단인 삼베와 모시를 사용한다. 천의 정련은 섬유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색소를 제외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원단을 찬물에서 수세한다. 그 후 물에 세제를 넣고 30분간 삶아준다. 이때 타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뒤집어 주어야 한다. 삶은 원단을 여러번 헹구어준 후, 건조시킨다.To prepare a number of fabrics, hemp and ramie, vegetable fabrics are used. Refining cloth refers to a process of removing impurities other than pigments contained in textile products. Wash the fabric in cold water. Then add detergent to water and boil for 30 minutes. At this time, it should be turned upside down to avoid burning. Rinse the boiled fabric several times and dry.
콩즙매김Bean jam 단계( step( S12S12 , , S13S13 , , S14S14 ))
생콩을 10시간 이상 불린 후, 믹서기에 넣고 5분정도 갈아준다. 갈은 콩물을 고운망으로 걸려준다. 미지근하게 유지하면서 상기의 정련단계에서 건조된 천을 담가 1시간가량 콩즙이 스며들도록 한다. 그 후 천을 짜서 바로 건조시킨다. 이 단계는 식물성 원단인 삼베나 모시에 단백질인 콩즙을 매기어서 염료가 잘 스며들도록 도와주기 위한 작업이다. Soak raw beans for more than 10 hours, then put in a blender and grind for 5 minutes. Grind the ground soybeans with a fine net. Keeping the lukewarm, soaking the dried cloth in the refining step above soak for about 1 hour. Then squeeze the cloth and dry it immediately. This step is designed to help the dye penetrate well by tying the vegetable soybean juice to vegetable fabrics such as burlap or moss.
염액준비단계(Salt preparation stage S15S15 ))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 및 중풍을 원인으로 사망한 망자용 수의의 경우, 도인 6g, 산사 15g, 진피 3g, 숙지황 12g, 두충 4g, 우슬 4g, 당귀 4g, 구기자 4g, 백부령 4g, 작약 4g, 육계 4g, 세신 4g, 배지 4g, 부자 4g, 감초 4g, 생강 3쪽, 시호 6g, 반하 4g, 북경 2g, 게지 2g, 황금 2g, 대추 3g, 인삼 1g, 용골 1g, 대황 1g, 지실 2g, 오미자 8g, 마황 4g, 및 살구씨 4g을 17,000cc 의 물에 놓고 99℃ 의 강한 불에서 5시간동안 끓여서 염액을 추출한다.For veterinary veterinarians who died of heart disease,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and stroke, 6 g of ginseng, 15 g of hawthorn, 3 g of dermis, 12 g of Sukji, 12 g of Tofu, 4 g of dew, 4 g, Angelica 4 g, Gugija 4 g, Baekbuyeong 4 g, Peony 4 g, broiler 4g, Sessin 4g, Medium 4g, Rich 4g, Licorice 4g, Ginger 3, Shiho 6g, Half 4g, Peking 2g, Cage 2g, Golden 2g, Jujube 3g, Ginseng 1g, Keel 1g, Rhubarb 1g, Fruit 2g, Schisandra 8g , 4 g of ephedra, and 4 g of apricot seed are placed in 17,000 cc of water, and boiled for 5 hours in a strong fire at 99 ° C. to extract the salt solution.
염색 단계(Dyeing step ( S16S16 ))
염액을 60 ~ 80 ℃ 로 식힌 후, 상기의 콩즙을 매겨 건조시킨 천을 담가 20분간 염색을 한다.After cooling the salt solution to 60 ~ 80 ℃, soaked in the soy juice and dried the cloth and dyed for 20 minutes.
매염단계(Moring stage ( S17S17 ))
섬유에 대하여 염착성(染着性)을 가지고 있지 않은 염료(매염염료)로 염색할 때, 그 염료와 결합하여 불용성(不溶性)인 유색화합물을 생성하는 약제로 섬유를 처리하는 조작으로, 백반으로 10분간 매염처리한다.When dyeing with dyes (dye dyes) that do not have dyeing resistance to the fibers, they are combined with the dyes to produce insoluble colored compounds that treat the fibers. Buried for minutes.
수세 및 건조단계(Washing and drying steps ( S18S18 , , S19S19 ))
상기의 매염처리된 천을 수세한 후,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건조시킨다.The rinsed cloth is washed with water and then dried in a shaded and airy place.
수의제작단계(Veterinary production S20S20 ))
상기의 천이 모두 건조된 후, 종래 방법에 의해 수의를 제작한다.After all of the above fabric is dried, a veterinarian is produced by a conventional method.
이와 같은 식물성 원단인 삼베나 모시를 이용하여 수의용 천을 염색하고 제조하는 공정에 반해, 명주나 옥사와 같은 실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공정은 다음의 실시예 2와 같다.In contrast to the process of dyeing and manufacturing a veterinary cloth using such a vegetable fabric of burlap or ramie,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using silk such as silk or oxa is the same as in Example 2.
도 2은 본 고안 한약재 염색 수의를 제조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manufacturing the herbal medicine dye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2 2
원단의 정련단계(Fabric refining stage S21S21 , , S22S22 ))
수의 원단을 준비하는 작업으로서, 명주와 옥사를 사용한다. 천의 정련은 섬유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색소를 제외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원단을 찬물에서 수세한다. 그 후 따뜻한 물에 2 ~ 3 시간 정도 담가둔다. 그 후 원단을 여러번 헹구어준 후, 건조시킨다.As a work to prepare a number of fabrics, silk and oak are used. Refining cloth refers to a process of removing impurities other than pigments contained in textile products. Wash the fabric in cold water. After that, soak in warm water for 2-3 hours. The fabric is then rinsed several times and dried.
염액준비단계(Salt preparation stage S23S23 ))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 및 중풍을 원인으로 사망한 망자용 수의의 경우, 도인 6g, 산사 15g, 진피 3g, 숙지황 12g, 두충 4g, 우슬 4g, 당귀 4g, 구기자 4g, 백부령 4g, 작약 4g, 육계 4g, 세신 4g, 배지 4g, 부자 4g, 감초 4g, 생강 3쪽, 시호 6g, 반하 4g, 북경 2g, 게지 2g, 황금 2g, 대추 3g, 인삼 1g, 용골 1g, 대황 1g, 지실 2g, 오미자 8g, 마황 4g, 및 살구씨 4g을 17,000cc 의 물에 놓고 99℃ 의 강한 불에서 5시간동안 끓여서 염액을 추출한다.For veterinary veterinarians who died of heart disease,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and stroke, 6 g of ginseng, 15 g of hawthorn, 3 g of dermis, 12 g of Sukji, 12 g of Tofu, 4 g of dew, 4 g, Angelica 4 g, Gugija 4 g, Baekbuyeong 4 g, Peony 4 g, broiler 4g, Sessin 4g, Medium 4g, Rich 4g, Licorice 4g, Ginger 3, Shiho 6g, Half 4g, Peking 2g, Cage 2g, Golden 2g, Jujube 3g, Ginseng 1g, Keel 1g, Rhubarb 1g, Fruit 2g, Schisandra 8g , 4 g of ephedra, and 4 g of apricot seed are placed in 17,000 cc of water, and boiled for 5 hours in a strong fire at 99 ° C. to extract the salt solution.
염색 단계(Dyeing step ( S24S24 ))
염액을 60 ~ 80 ℃ 로 식힌 후, 상기의 건조시킨 천을 담가 20분간 염색을 한다.After cooling the salt solution to 60 ~ 80 ℃, the dried cloth is soaked and dyed for 20 minutes.
매염단계(Moring stage ( S25S25 ))
섬유에 대하여 염착성(染着性)을 가지고 있지 않은 염료(매염염료)로 염색할 때, 그 염료와 결합하여 불용성(不溶性)인 유색화합물을 생성하는 약제로 섬유를 처리하는 조작으로, 백반으로 10분간 매염처리한다.When dyeing with dyes (dye dyes) that do not have dyeing resistance to the fibers, they are combined with the dyes to produce insoluble colored compounds that treat the fibers. Buried for minutes.
수세 및 건조단계(Washing and drying steps ( S26S26 , , S27S27 ))
상기의 매염처리된 천을 수세한 후,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건조시킨다.The rinsed cloth is washed with water and then dried in a shaded and airy place.
수의제작단계(Veterinary production S28S28 ))
상기의 천이 모두 건조된 후, 종래 방법에 의해 수의를 제작한다.After all of the above fabric is dried, a veterinarian is produced by a conventional method.
실시예 2에 따른 명주와 옥사를 원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식물성 원단인 삼베나 모시를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콩즙을 매김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곧바로 염색을 하게 된다는 점이 차이점이다.When using the silk and oaksa according to Example 2 as a fabric, the difference is that it is dyed immediately after omitting the step of soybean juice, unlike the use of vegetable fabric burlap or ramie.
이상과 같이 본 고안 한약재 염색 수의에 따르면, 종래의 수의의 제작 공정 에 한약재를 이용하여 염색하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획일적으로 제작되던 수의와 차별화되는 수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bal dyeing veterinary as described above, by adding a dyeing process using the herbal medicine to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veterinary, it can provide a veterinary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uniformly produced veterinary.
또한, 한약재 염재의 재료를 사망원인에 따라 세분하여, 심장병, 중풍, 고혈압 및 당뇨병을 원인으로 사망한 망자의 경우에 대한 천연염색 맞춤형 수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dividing the ingredients of the herbal medicine according to the cause of death,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atural dyeing customized veterinary for the case of the dead who died due to heart disease, stroke,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3821U KR200416064Y1 (en) | 2006-02-10 | 2006-02-10 | Veterinary Dyeing Veterina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3821U KR200416064Y1 (en) | 2006-02-10 | 2006-02-10 | Veterinary Dyeing Veterinar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6064Y1 true KR200416064Y1 (en) | 2006-05-10 |
Family
ID=4176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382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6064Y1 (en) | 2006-02-10 | 2006-02-10 | Veterinary Dyeing Veterina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6064Y1 (en) |
-
2006
- 2006-02-10 KR KR2020060003821U patent/KR200416064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hurtleff et al. | The book of kudzu: a culinary & healing guide | |
KR20130086682A (en) | Goljanghoebok sewage and 100 kinds of herbal extract ginseng antler andohgapideung deuringkeuje how mitjejo | |
KR20140054620A (en) | Food additive containing natural grass | |
KR101424858B1 (en) |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effective for liver function and blood circulation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 |
CN106071822A (en) |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cold rice dumpling | |
CN105918984A (en) | Menyanthes-root-flavor lansium parasiticum ja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KR101658618B1 (en) | Dietary supplement comprising lotus lea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148006B1 (en) | Manufacturing Process of Ginseng Chicken Broth Including Trepang and Ginseng Chicken Broth Manufactured thereby | |
KR101676603B1 (en) | Natural Hair Restorer and how to make it | |
KR100712658B1 (en) | Herbal composition for cancer treatment | |
KR20040092496A (en) | Dried laver food added chiness medicinal herbs and the processing method thereof | |
KR20080093947A (en) | Poultry breeding method using herbal medicine | |
Steggerda | Some ethnological data concerning one hundred Yucatan plants | |
KR101479228B1 (en) | chicken soup | |
CN106616690A (en) | Long kong pulp jelly with health-care effect | |
Haghighi et al. | The introduction of extinct endemic vegetables of Iran | |
Pratt | The flowering plants of Great Britain | |
KR200416064Y1 (en) | Veterinary Dyeing Veterinary | |
KR20140052586A (en) | Rice containing weeds | |
KR200416065Y1 (en) | Veterinary Dyeing Veterinary | |
KR101999972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Frozen Pollack | |
Johnson | The Useful Plants of Great Britain: A Treatise Upon the Principal Native Vegetables Capable of Application as Food, Medicine, Or in the Arts and Manufactures | |
Warren | 101 uses for Stinging Nettles | |
CN105055597B (en) |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eparation for treating peacock gastroenteriti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
Hart | The ethnobotany of the flathead indians of Western Montan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210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5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213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08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