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4890Y1 - 붙임머리 - Google Patents

붙임머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890Y1
KR200414890Y1 KR2020060004115U KR20060004115U KR200414890Y1 KR 200414890 Y1 KR200414890 Y1 KR 200414890Y1 KR 2020060004115 U KR2020060004115 U KR 2020060004115U KR 20060004115 U KR20060004115 U KR 20060004115U KR 200414890 Y1 KR200414890 Y1 KR 200414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 extension
extension
hairs
fix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천
심미영
Original Assignee
윤재천
심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천, 심미영 filed Critical 윤재천
Priority to KR2020060004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8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8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41G5/006Fastening thereof by threading with the remaining hair of the user
    • A41G5/0066Fastening thereof by threading with the remaining hair of the user using deformable connecting slee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41G5/008Fastening thereof by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air Curling (AREA)

Abstract

고데기를 통해 붙임머리시술과 고데시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붙임머리가 원모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머리를 중압하지 않기 때문에 이물감을 느껴지지 않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붙임머리가 개시된다. 개시된 붙임머리는 일렬로 배열된 다수개의 가모를 실로 박음질하여 소정폭으로 연결시킨 붙임머리부와; 합성수지 재질로서, 가모의 일부가닥에 삽입되어 내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해 붙임머리 상단 전면에 고정된 다수의 고정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모, 붙임머리부, 고정링, 접착제, 받힘천

Description

붙임머리{EXTENSION HAIR}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4a 내지 도4e는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의 시술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붙임머리부 10-1: 제1붙임머리부
10-2: 제2붙임머리부 11: 가모
12,12': 실 20: 고정링
30: 받힘천 40: 원모
41: 집게 42: 코바늘
43: 고데기 B: 접착제
본 고안은 붙임머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데기를 통해 붙임머리시술과 고데시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붙임머리가 원모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머리를 중압하지 않기 때문에 이물감을 느껴지지 않아 착용이 편안한 붙임머리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의 외모 및 미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각종 악세서리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두발에는 각종 스타일링 기법은 물론 염색과 같은 색상변화에 의한 독특한 개성을 갖는 헤어스타일이 개개인의 개성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타일링이나 염색보다는 인모 또는 인조모를 이용한 가모를 이용하여 짧은 머리를 길게 하는 붙임머리가 유행하고 있다.
종래의 붙임머리를 시술하는 방법으로는 일정갯수의 가모 다발을 덜어내어 그 가모 단부에 접착제를 바른 후 연결하고자 하는 원모 단부에 가모를 접착시켜 연결하거나, 사용자의 원모단부와 가모의 연결부분에 금속링을 위치시킨 후에 펜치를 이용하여 금속링을 압착시켜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붙임머리 시술 방법은 사람의 머리 전체를 시술하는데 있어서 가모 다발을 하나하나 일일히 시술해야 함에 따라 시술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시술인원 및 기술도 많이 요구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국내실용신안등록 제334352호에서는 다수의 가모를 실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고정매듭하고 이 고정매듭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금속링이 구비되어, 금속링에 원모를 통과시킨 후 펜치를 이용하여 금속링을 압착함으로써, 원모와 가모를 연결하는 붙임머리 기구를 제안하고 있다. 이 붙임머리 기구에 따르면 원모에 다수의 가모를 한번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붙임머리 시술 후 통상 고데기를 통해 머리를 정리하거나 스타일링하게 되는데, 종래의 붙임머리 기구는 펜치를 통해 금속링을 압착하여 붙임머리시술을 하는 것과 고데기를 통해 고데시술을 하는 것을 동시에 할 수 없다. 따라서 붙임머리시술을 완료한 후 별도로 고데기를 통해 머리를 정리하거나 스타일링하는 고데시술을 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술시간도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모와 가모를 금속링의 압착을 통해 연결하기 때문에 금속링이 압착되지 않는 부분은 가모가 분리되어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금속링의 압착력이 약해져 빗질, 퍼머, 염색등의 머리 손질시 가모가 원모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링의 중량으로 인해 머리에 이물감을 느끼게 되고 바닥에 눕는 경우 금속링이 두피를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시키는 등 착용상태가 불편하며, 머리세척으로 인해 금속링의 코팅이 벗겨져 녹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데기를 통해 붙임머리시술과 고데시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시술작업이 용이/신속하며, 붙임머리가 원모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머리를 중압하지 않아 이물감을 느껴지지 않안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붙임머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일렬로 배열된 다수개의 가모를 실로 박음질하여 소정폭으로 연결시킨 붙임머리부와; 합성수지 재질로서, 가모의 일부가닥에 삽입되어 내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해 붙임머리 상단 전면에 고정된 다수의 고정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임머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붙임머리부는 제1붙임머리부와; 상기 제1붙임머리부의 후면에 상기 제1붙임머리부와 단차지게 배치된 제2붙임머리부와; 상기 제1붙임머리부와 제2붙임머리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박음질을 통해 상기 제1붙임머리부 및 제2붙임머리부에 고정되는 받힘천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4a 내지 도4e는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의 시술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는 붙임머리부(10), 고정링(20)를 포함한다.
상기 붙임머리부(10)는 인모 또는 인조모를 이용한 다수의 가모(11)로서, 일렬로 배열된 다수개의 가모(11)를 실(12)로 박음질하여 소정폭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붙임머리부(10)는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가모(11)의 상단부를 절곡(13)시켜 오버로크등의 박음질을 통해 연결 고정시켜 붙임머리부(10)의 상단이 나란하게 정렬되면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모(11)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일정길이 및 색상으로 가공하여 붙임머리부(1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붙임머리부(10)의 실제 사용시에는 붙일머리부의 폭을 넓게 제조한 후 시술 부위의 크기에 맞게 알맞은 폭으로 잘라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링(20)은 합성수지 재질로서, 가모(11)의 일부가닥에 삽입되어 내면에 도포된 접착제(B)를 통해 붙임머리부(10)의 상단 전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링(20)은 붙임머리부(10)의 폭에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링(20)은 가벼운 소재로 마련하여 착용시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게 하고 부드러운 소재로 마련하여 머리를 압박하지 않으며 내열성 소재로 마련하여 고데기로 시술할 때 녹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붙임머리부를 제1붙임머리부(10-1)와 상기 제1붙임머리부(10-1)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붙임머리부(10-1)와 단차지게 결합되는 제2붙임머리부(10-2)로 구성함으로써 붙임머리부의 머리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붙임머리부(10-1)와 제2붙임머리부(10-2)를 단차지게 배치하는 이유는 실(12)을 통해 매듭져 연결된 제1붙임머리부(10-1)와 제2붙임머리부(10-2)의 상단부가 서로 겹쳐지지 않게 하여 중첩된 붙임머리부의 상단부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1붙임머리부(10-1)와 제2붙임머리부(10-2)는 실을 일정한 간격으로 박음질하여 결합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붙임머리부(10-1)와 제2붙임머리부(10-2)의 후면에 받힘천(30)을 배치하여 실(12')을 통해 박음질하여 제1붙임머리부(10-1)와 제2붙임머리부(10-2)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받힘천(30)을 통해 붙임머리부가 머리에서 뜨지않고 밀착되게 시술할 수 있어 착용감이 월등히 높일수 있고 붙임머리가 미려하게 시술될 수 있으며, 받힘천(30)를 통해 다수의 가모(11)가 보강 고정하기 때문에 가모(11)가 빠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받힘천(30)의 재질은 한정하지 않지만, 망형태의 직물로 마련하여 가벼우면서도 중첩된 붙임머리부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의 시술 및 작용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폭으로 마련된 붙임머리부(10)를 시술할 사용자의 원모(40)에 밀착시킨 후 집게(41) 등으로 고정한다. 여기서, 붙임머리부(10)는 사용자의 시술 부위의 폭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한다.
그 다음, 도4b 내지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바늘(42)을 이용하여 붙임머리부(10) 상단을 따라 구비된 고정링(20)에 원모(40)를 끼워 넣은 후, 고데기(43)를 이용하여 고정링(20)의 외면에 열을 가하면서 압착시킨다. 그러면, 합성수지 재질의 고정링(20)이 압착되어 수축현상에 의해 고정링(20)의 내부공간이 협소해지면 서 가모(11)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고정링(20)이 열에 의해 가열되고 그 열에 의해 고정링(20) 내부의 접착제(B)가 용융되어 원모(40)와 가모(11)가 상호 혼합 접착된다.
그리고 도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데기(43)를 고정링(20)으로부터 제거하면 고정링(20) 내부의 접착제(B)가 경화되면서 원모(40)와 가모(11)가 고정링 내부의 접착제(B)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링(20)은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기 위해 중앙에 구비된 고정링을 먼저 고정시킨 후 양단에 구비된 고정링을 고정한 다음 나머지 고정링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르면 고데기를 통해 고정링을 압착시켜 원모와 머리붙힘부를 연결하는 붙임머리시술를 함과 동시에 머리를 정리하거나 스타일링하는 고데시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는 고데기를 통해 사용자의 시술부위에 맞게 준비된 가모를 합성수지 재질의 고정링을 열을 가하면서 압착하여 원모와 붙임머리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동일한 고데기를 통해 머리를 정리하거나 스타일링하는 고데시술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시술작업을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링이 압착되면서 고정링의 내부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해 원모와 가모가 상호 혼합 접착되어 견고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붙임머리가 원모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의 고정링을 이용하여 원모와 붙임머리를 연결하기 때문에 중량이 가벼워 머리에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으며, 부드러운 소재이기 때문에 바닥에 눕는 경우에도 두피를 압박하지 않아 통증을 유발시키지 않으며, 잦은 머리 세척에도 변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는 고데기를 통해 붙임머리시술과 고데시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시술작업을 용이/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고정링이 압착되면서 고정링 내부의 접착제를 통해 원모와 붙임머리부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어 붙임머리가 원모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가볍고 부드러운 소재인 합성수지재 고정링을 사용함으로 머리를 중압하지 않아 착용이 편안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의 서술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일렬로 배열된 다수개의 가모를 실로 박음질하여 소정폭으로 연결시킨 붙임머리부와;
    합성수지 재질로서, 가모의 일부가닥에 삽입되어 내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해 붙임머리 상단 전면에 고정된 다수의 고정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임머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붙임머리부는
    제1붙임머리부와;
    상기 제1붙임머리부의 후면에 상기 제1붙임머리부와 단차지게 배치된 제2붙임머리부와;
    상기 제1붙임머리부와 제2붙임머리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박음질을 통해 상기 제1붙임머리부 및 제2붙임머리부에 고정되는 받힘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임머리.
KR2020060004115U 2006-02-14 2006-02-14 붙임머리 KR200414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15U KR200414890Y1 (ko) 2006-02-14 2006-02-14 붙임머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15U KR200414890Y1 (ko) 2006-02-14 2006-02-14 붙임머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890Y1 true KR200414890Y1 (ko) 2006-04-26

Family

ID=41764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115U KR200414890Y1 (ko) 2006-02-14 2006-02-14 붙임머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8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064B1 (ko) 장식용 헤어피스
KR100457922B1 (ko) 탈부착이 용이한 헤어피스 및 헤어피스 셋트
JP4295226B2 (ja) 髪のボリュームを増やすための方法及びアセンブリ
US20080257369A1 (en) Removable and Resuable Hair Extension
CN102793324A (zh) 头发延伸装置
JP2005139596A (ja) 装飾用付け毛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520636A (ja) 毛髪誘導輪を有する付け毛
US9033196B1 (en) Pre-threaded and knotted hair weaving needle and method
US11317668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tegrating hair extensions
KR101252658B1 (ko) 붙임머리 가발의 제조와 시술방법 및 그 가발
KR101633079B1 (ko) 부분 가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0107144A1 (ko) 붙임 머리 및 그 사용 방법
KR200414890Y1 (ko) 붙임머리
KR101935998B1 (ko) 이질감이 줄어드는 붙임머리
KR101834312B1 (ko) 부분 가발
KR101098671B1 (ko) 붙임머리 헤어피스
KR20090002392U (ko) 붙임 머리
KR102066027B1 (ko) 속눈썹 연장 시술방법
JPH03152205A (ja) 増毛用毛髪接着方法
KR102446496B1 (ko) 퍼스널 붙임머리 시술방법
JP2007262646A (ja) 自毛束・毛髪用繊維束結合構造及び自毛束・毛髪用繊維束結合方法
KR101857196B1 (ko) 붙임머리 시술기구 및 붙임머리 시술방법
KR101732694B1 (ko) 헤어라인 교정과 속눈썹 파마 등을 이용한 기능적, 미적 복합 메이크업 방법
KR20110059056A (ko) 장식용 헤어피스
KR101516131B1 (ko) 붙임머리 시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21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2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61229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2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9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