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2004Y1 - 굴착기용 결합구 - Google Patents

굴착기용 결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004Y1
KR200412004Y1 KR2020050035261U KR20050035261U KR200412004Y1 KR 200412004 Y1 KR200412004 Y1 KR 200412004Y1 KR 2020050035261 U KR2020050035261 U KR 2020050035261U KR 20050035261 U KR20050035261 U KR 20050035261U KR 200412004 Y1 KR200412004 Y1 KR 200412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excavator
pin
hook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윤규
최창길
Original Assignee
최창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길 filed Critical 최창길
Priority to KR2020050035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0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0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결합구는 굴착기의 암 선단부와 버켓실린더의 링크로드 선단부에 링크핀으로 힌지결합되도록 서로 이격 상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바디와; 링크바디의 하측 장변부에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측단면으로부터 평탄면으로 조성되어 버켓의 고정용 핀이 유입되도록 하단 일측에 구비된 고정후크부를 지지하는 후크보강부와; 버켓의 고정용 핀이 고정후크부와 반대 방향에서 유입되도록 하단 타측에 구비되는 회동후크부와; 굴착기용 결합구의 링크바디 내측에 링크핀을 둘러 돌출 형성되는 링크핀보강부; 및 링크바디 내측에서 링크핀보강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사이에 일면이 고정되는 제1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굴착기용 결합구에 따르면, 다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구조를 보강함으로써 사용상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증진시켜 굴착기용 결합구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규격의 버켓 및 각종 어태치먼트에 맞도록 하여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굴착기, 결합구, 브라켓, 보강

Description

굴착기용 결합구{An unite tool for an excavator}
도 1은 일반적인 굴착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굴착기용 결합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결합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굴착기용 결합구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굴착기용 결합구의 저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굴착기용 결합구의 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붐 4 : 암
6 : 버켓 8 :붐실린더
10 : 암실린더 12 : 버켓실린더
14 : 굴착기용 결합구 16 : 버켓실린더의 링크로드
20 : 링크바디 22 : 연결부재
24 : 링크핀 26 : 링크핀보강부
28 : 후크보강부 30 : 고정후크부
32 : 회동후크부 34 : 브라켓부
36 : 회동후크 38 : 견인고리
40 : 안전핀 42 : 제1브라켓
44 : 제2브라켓
본 고안은 굴착기용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설 및 토목 공사시 골재의 채굴작업, 배수로 파기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굴착기에 있어서 그 암에 버켓이나 크라샤 및 유압 브레이카 등과 같은 각종 특수 부착기구를 탈부착시킬 수 있게 하는 굴착기용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착기는 암의 선단에 버켓이 결합되어 지반의 흙을 파거나 판 흙을 덤프트럭에 싣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암 선단에 결합된 버켓을 해제하고 다른 부착기구를 부착하여 단단한 지반이나 건물에 구멍을 뚫거나 철근이나 목재 등을 파쇄하거나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므로 건설공사나 토목공사에서 주요한 건설장비로 널리 알려져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굴착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기는 관절운동이 가능하게 구비된 붐(2)과 암(4) 및 버켓(6)이 각각 실린더(8)(10)(12)에 의해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실린더(8)(10)(12)에는 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장치(미도시)로부터의 유압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버켓(6)은 굴착기용 결합구(14)에 의해 상기 암(4) 및 버켓실린 더(12)와 힌지결합됨으로써, 암(4) 단부로부터 버켓(6)이 관절운동 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굴착기용 결합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굴착기용 결합구(14)는 굴착기의 암(4) 선단부와 버켓실린더의 링크로드(16) 선단부에 링크핀(24)으로 힌지결합되도록 서로 이격 상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바디(20)와, 상기 링크바디(20)의 하측 장변부에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재(22)와, 상기 연결부재(22)의 측단면으로부터 평탄면으로 조성되어 버켓(6)의 고정용 핀이 유입되도록 하단 일측에 구비된 고정후크부(30)를 지지하는 후크보강부(28), 및 하단 타측에 구비되는 회동후크부(32)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굴착기용 결합구는 별도의 보강구조를 갖추고 있지 않아 무게에 따른 외력의 영향으로 사용하는 중 파손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하여진 규격에 맞는 핀간 거리를 갖는 버켓 만을 사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별도의 보강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안전성과 내구성이 증진되고,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굴착기용 결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굴착기용 결합구는 굴착기의 암 선단부와 버켓실린더의 링크로드 선단부에 링크핀으로 힌지결합되도록 서로 이격 상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바디와; 상기 링크바디의 하측 장변부에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측단면으로부터 평탄면으로 조성되어 버켓의 고정용 핀이 유입되도록 하단 일측에 구비된 고정후크부를 지지하는 후크보강부와; 버켓의 고정용 핀이 상기 고정후크부와 반대 방향에서 유입되도록 하단 타측에 구비되는 회동후크부와; 상기 굴착기용 결합구의 링크바디 내측에 링크핀을 둘러 돌출 형성되는 링크핀보강부; 및 상기 링크바디 내측에서 상기 링크핀보강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사이에 일면이 고정되는 제1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후크부의 상측에, 양쪽의 후크보강부를 외측에서 서로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제2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후크부의 회동후크는 유입된 버켓의 고정용 핀이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이 넓도록 유압력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되며, 안전핀의 일측에 걸리도록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결합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기용 결합구(14)는 굴착기의 암(4) 선단부와 버켓실린더의 링크로드(16) 선단부에 링크핀(24)으로 힌지결합되도록 서로 이격 상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바디(20)와, 상기 링크바디(20)의 하측 장변부에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재(22)와, 상기 연결부재(22)의 측단면으로부터 평탄면으로 조성되어 버켓(6)의 고정용 핀이 유입되도록 하단 일측에 구비된 고정후크부(30)를 지지하는 후크보강부(28), 및 버켓(6)의 고정용 핀이 상기 고정후크부(30)와 반대 방향에서 유입되도록 하단 타측에 구비되는 회동후크부(3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회동후크부(32)는 브라켓부(34)와 회동후크(36)으로 구성되며, 미설명된 도면 부호 38은 견인고리이고, 40은 안전핀이다.
이와 관련된 기술은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주지 관용 기술이므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굴착기용 결합구(14)는 구조적인 결점을 보강하여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부착된 두 개의 브라켓들(42)(4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예시하여 브라켓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있 어서 도 3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굴착기용 결합구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굴착기용 결합구의 저면도이다.
도시된 제1브라켓(42)은 상기 굴착기용 결합구(14)의 링크바디(20)는 내측에 링크핀(24)을 둘러 돌출 형성되는 링크핀보강부(26)가 더 구비되며, 상기 링크바디(20) 내측에서 상기 링크핀보강부(26)와 상기 연결부재(22)의 사이에 일면이 고정되어 상기 링크핀보강부(26)와 상기 연결부재(22)의 위치를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브라켓(44)은 상기 고정후크부(30)의 상측에, 양쪽의 후크보강부(28)를 외측에서 서로 고정되도록 연결하여 후크보강부(28)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굴착기용 결합구의 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굴착기용 결합구(14)에 따르면 상기 회동후크부(32)의 회동후크(36)는 유입된 버켓의 고정용 핀이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지도록 유압력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되며, 안전핀(40)의 일측에 걸리도록 곡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동후크부(32)의 회동후크(36)가 안전핀(40)에 걸쳐져 회동후크(36)의 하중을 지지하여 이탈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굴착기용 결합구에 따르면, 다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구조를 보강함으로써 사용상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증진시켜 굴착기용 결합구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규격의 버켓 및 각종 어태치먼트에 맞도록 하여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굴착기의 암 선단부와 버켓실린더의 링크로드 선단부에 링크핀으로 힌지결합되도록 서로 이격 상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바디와;
    상기 링크바디의 하측 장변부에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측단면으로부터 평탄면으로 조성되어 버켓의 고정용 핀이 유입되도록 하단 일측에 구비된 고정후크부를 지지하는 후크보강부와;
    버켓의 고정용 핀이 상기 고정후크부와 반대 방향에서 유입되도록 하단 타측에 구비되는 회동후크부와;
    상기 굴착기용 결합구의 링크바디 내측에 링크핀을 둘러 돌출 형성되는 링크핀보강부; 및
    상기 링크바디 내측에서 상기 링크핀보강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사이에 일면이 고정되는 제1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굴착기용 결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부의 상측에, 양쪽의 후크보강부를 외측에서 서로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제2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굴착기용 결합구.
  3.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후크부의 회동후크는 유입된 버켓의 고정용 핀이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이 넓도록 유압력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되며, 안전핀의 일측에 걸리도록 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결합구.
KR2020050035261U 2005-12-15 2005-12-15 굴착기용 결합구 KR200412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261U KR200412004Y1 (ko) 2005-12-15 2005-12-15 굴착기용 결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261U KR200412004Y1 (ko) 2005-12-15 2005-12-15 굴착기용 결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004Y1 true KR200412004Y1 (ko) 2006-03-22

Family

ID=4176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261U KR200412004Y1 (ko) 2005-12-15 2005-12-15 굴착기용 결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0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018A (ko) 2014-07-18 2016-01-27 최창길 굴삭기 클램프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018A (ko) 2014-07-18 2016-01-27 최창길 굴삭기 클램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438B1 (ko) 굴삭기용 회전가능한 퀵 커플러
CN102301074A (zh) 挖掘机的夹钳装置
JP5665790B2 (ja) 作業機の作業装置
KR200412004Y1 (ko) 굴착기용 결합구
CN110171777B (zh) 一种挖掘机改造的履带式吊车及用于该吊车的连接体
KR200412003Y1 (ko) 굴착기용 결합구
US8770908B2 (en) Tilt cylinder support structure
CN207597473U (zh) 一种随车配重自拆卸装置及挖掘机
JP2004108055A (ja) 建設機械の作業装置
US6793452B2 (en) Truss style stick or boom
CN210313231U (zh) 一种挖掘机改造的履带式吊车及用于该吊车的连接体
KR100990884B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US20070157491A1 (en) Multiple boom for excavators
KR200211608Y1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CN208792389U (zh) 一种挖掘机动臂
US20080042017A1 (en) Directional bushing
CN214657317U (zh) 一种挖掘机用防断裂加长动臂
CN218667693U (zh) 一种挖掘机推土铲
JPH0349152Y2 (ko)
CN217949183U (zh) 一种农用机挖斗连接杆
KR200187218Y1 (ko) 용접 구조물
CN219604431U (zh) 一种挖机连杆工字架
KR20100074515A (ko) 건설기계의 버킷 적재량 확인가능 구조
US12227917B2 (en) Yoke assembly for excavator thumb
CN217419775U (zh) 隧道挖掘机工作装置和挖掘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121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2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0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0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