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1608Y1 -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608Y1
KR200211608Y1 KR2020000018765U KR20000018765U KR200211608Y1 KR 200211608 Y1 KR200211608 Y1 KR 200211608Y1 KR 2020000018765 U KR2020000018765 U KR 2020000018765U KR 20000018765 U KR20000018765 U KR 20000018765U KR 200211608 Y1 KR200211608 Y1 KR 200211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coupling
hook
fixed
p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혁
구병서
박용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우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우티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우티엔씨
Priority to KR2020000018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60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hov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 도중 굴삭기의 아암으로부터 어태치먼트의 우발적인 분리를 방지하는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에 연결핀에 의해 고정되어 중장비와 어태치먼트를 연결시키는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에 있어서, 어태치먼트의 제 1결합핀(9a)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122)을 갖는 고정후크(120)와; 고정후크(120)와 상호 배치되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힌지축(132)을 중심으로 결합위치와 해제위치 사이를 회전하며, 결합위치에서 어태치먼트의 제 2결합핀(9b)과 결합되는 결합홈(134)을 갖는 이동후크(130)와; 피봇핀(142)을 중심으로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사이를 회전하며, 잠금위치에서 어태치먼트의 제 1결합핀(9a)의 이탈을 방지하는 록킹수단을 갖는 록커(140)와; 잠금위치에 배치되도록 록커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150)와; 일단은 피봇핀(162a)에 의해 록커(140)에 고정되고, 타단은 피봇핀(164a)에 의해서 이동후크(130)에 고정되며, 압유에 의해 신장되거나 수축되어 이동후크(130)와 록커(140)를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ATTACHMENT COUPLER FOR HEAVY INDUSTRIAL EQUIPMENT}
본 고안은 중장비 특히, 굴삭기의 아암에 어태치먼트를 연결시키는 어태치먼트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도중 굴삭기의 아암으로부터 어태치먼트의 우발적인 분리를 방지하는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건설공사 현장 또는 토목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굴삭기는 버킷(bucket)을 이용한 땅파기 작업 뿐만 아니라 크러셔(crusher)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물 파쇄 및 철근 절단 작업, 브레이커(breaker)을 이용한 암석 및 콘크리트 파괴 작업, 그랩(grab)를 이용한 고철 및 암석 운반 작업, 크람셀 버킷(clamshell bucket)을 이용한 수직갱 및 상하수도 건축 기초공사 작업 등,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서로 교체해가면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어태치먼트들은 작업의 용도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굴삭기의 아암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버킷을 일례로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어태치먼트(1)에는 한쌍의 지지브라켓(3)이 나란하게 형성되며, 이 지지브라켓(3)에는 결합구멍(3a)들이 형성되어 있다(도 1에서는 버킷의 측면을 도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지지브라켓은 서로 겹쳐지게 도시된다.). 여기서, 한쌍의 지지브라켓(3)의 사이에는 굴삭기의 아암(5)과 푸쉬 링크(7)가 배치되며, 지지브라켓(3)의 결합구멍(3a)들은 아암(5)과 푸쉬 링크(7)의 체결구멍(5a, 7a)과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결합구멍(3a)과 체결구멍(5a, 7a)이 정렬되도록 지지브라켓(3)의 사이에 굴삭기의 아암(5)과 푸쉬 링크(7)를 배치시키고, 서로 정렬된 결합구멍(3a)과 체결구멍(5a, 7a)에 연결핀(8)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버킷(1)은 굴삭기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어태치먼트의 장착구조는, 작업자가 굴삭기의 아암(5) 및 푸쉬 링크(7)의 체결구멍(5a, 7a)과, 버킷(1)의 결합구멍(3a)을 서로 정렬시킨 다음, 정렬된 체결구멍(5a, 7a)과 결합구멍(3a)에 일일이 연결핀(8)을 끼워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구멍(5a, 7a)과 결합구멍(3a)을 정렬시키는 과정에서 보조 작업자가 이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등,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이를 감안하여 별도의 커플러를 굴삭기의 아암에 장착하고 이를 이용하여 어태치먼트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어태치먼트 커플러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98-63058호를 살펴보면, 어태치먼트 커플러(10)는 몸체(12)를 가지며, 몸체(12)의 상부에는 마주보는 한쌍의 체결 플레이트(13)가 형성되어 있다(도 2에서는 어태치먼트 커플러의 측단면을 도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어느 한쪽의 체결 플레이트만 도시된다.). 이 체결 플레이트(13)의 양쪽에는 고정구멍(13a)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주보는 체결 플레이트(13)의 고정구멍(13a)들은 서로 동축을 이룬다. 한편, 한쌍의 체결 플레이트(13)의 사이에는 굴삭기의 아암(5)과 푸쉬 링크(7)가 배치되며, 체결 플레이트(13)의 고정구멍(13a)들은 굴삭기의 아암(5)과 푸쉬 링크(7)의 체결구멍(5a, 7a)과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서로 정렬되는 고정구멍(13a)과 체결구멍(5a, 7a)에는 연결핀(15)이 끼워져 고정되며, 이에 의해 어태치먼트 커플러(10)는 굴삭기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몸체(12)의 하부에는 고정후크(20)와 이동후크(30)가 상호 배치(背馳)되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고정후크(20)는 몸체(12)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버킷(1)에 형성된 제 1결합핀(9a)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22)을 갖는다. 그리고, 이동후크(30)는 힌지축(30a)을 중심으로 '결합위치'(A)와 '해제위치'(B)를 오가며 회전가능한 것으로, 버킷(1)에 형성된 제 2결합핀(9b)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32)을 갖는다. 여기서, 이동후크(30)는 '결합위치'(A)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핀(34)에 의해 몸체(12)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12)에는 이동후크(30)를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40)가 설치된다. 이 유압실린더(40)는 실린더 하우징(42)과 실린더 로드(4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실린더 하우징(42)은 피봇핀(42a)에 의해 몸체(12)에 고정되며, 실린더 로드(44)는 피봇핀(44a)에 의해서 이동후크(30)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러한 유압실린더(40)는 굴삭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신장되거나 수축되어 이동후크(30)를 '결합위치'(A)에서 '해제위치'(B)로, '해제위치'(B)에서 '결합위치'(A)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어태치먼트 커플러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태치먼트 커플러(10)를 굴삭기의 아암(5)과 푸쉬 링크(7)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동후크(30)가 '해제위치'(B)에 배치되도록 유압실린더(40)를 수축시킨다. 그런 다음, 고정후크(20)의 결합홈(22)과 버킷(1)의 제 1결합핀(9a)이 결합되도록 고정후크(20)를 제 1결합핀(9a)에 걸고 나서, 굴삭기의 아암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와 푸쉬 링크(7)를 이용하여 이동후크(30)의 결합홈(32)과 버킷(1)의 제 2결합핀(9b)이 정렬되도록 어태치먼트 커플러(10)를 천천히 회전시킨다. 그리고 이동후크(30)의 결합홈(32)과 버킷(1)의 제 2결합핀(9b)이 정렬되면, 유압실린더(40)를 신장시켜 '결합위치'(A)에 배치되도록 이동후크(30)를 회전시킨다. 이때, 이동후크(30)의 위치가 '결합위치'(A)에 배치됨에 따라 이동후크(30)의 결합홈(32)과 버킷(1)의 제 2결합핀(9b)은 서로 결합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버킷(1)은 굴삭기의 아암(5)에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동후크(30)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고정핀(34)을 이용하여 이동후크(30)를 몸체(12)에 고정시킨다. 한편, 굴삭기로부터 버킷(1)을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반대로 작동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어태치먼트 커플러(10)는 버킷 등과 같은 어태치먼트를 굴삭기에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은 가지나, 이 또한, 작업자가 직접 고정핀(34)을 이용하여 이동후크(30)를 몸체(12)에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버킷(1)의 제 1결합핀(9a)과 제 2결합핀(9b)사이의 거리 즉, 핀간의 거리가 도 2에 도시된 고정핀(34)에 의해 고정되는 이동후크(30)와 고정후크(20)의 위치보다 길거나 짧을 경우, 고정핀(34)를 삽입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고정핀(34)은 특수한 어태치먼트에만 고정 효과가 있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고정핀(34)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로 작업을 하게 되며, 결국, 어태치먼트는 굴삭기의 아암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작업 도중 유압실린더(40)로 공급되는 압유가 누유되거나 유압실린더(40) 또는 이동후크(30)가 파손될 경우, 어태치먼트 커플러(10)로부터 어태치먼트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유압실린더(40)에 공급되는 압유가 누유되면, 유압실린더(40)는 빠른 속도로 수축하게 되고, 유압실린더(40)가 수축되면, 고정핀(34)에만 의지하여 그 위치가 고정되는 이동후크(30)에 상대적으로 많은 무게가 집중되어 이동후크(30)가 파손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결국, 이동후크(30)가 파손됨에 따라 어태치먼트(1)는 고정후크(20)로부터 이탈되면서 굴삭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별도의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압유의 누유시 유압실린더(40)가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도 하지만, 비교적 고중량인 어태치먼트의 하중과, 작업하중이 동시에 이동후크(30)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면, 고정후크(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취약한 이동후크(30)가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결국, 이동후크(30)는 파손되고, 어태치먼트는 고정후크(20)로부터 이탈되면서 굴삭기로부터 분리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에 어태치먼트를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 도중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부터 어태치먼트가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어태치먼트의 결합핀간 거리에 관계없이 어태치먼트를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에 견고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중장비 어태치먼트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어태치먼트의 장착방법 중 중장비의 아암에 어태치먼트를 직접 연결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와 도 4b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어태치먼트 커플러 110: 몸체
120: 고정후크 122: 결합홈
124: 입구 130: 이동후크
132: 힌지축 134: 결합홈
140: 록커 142: 피봇핀
144: 노우즈 150: 스토퍼
160: 유압실린더 162: 실린더 하우징
164: 실린더 로드 162a, 164a: 피봇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에 연결핀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중장비와 어태치먼트를 연결시키는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 1결합핀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을 갖는 고정후크와; 상기 고정후크와 상호 배치되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결합위치와 해제위치 사이를 회전하며, 결합위치에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 2결합핀과 결합되는 결합홈을 갖는 이동후크와; 피봇핀을 중심으로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사이를 회전하며, 잠금위치에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 1결합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록킹수단을 갖는 록커와; 잠금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록커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일단은 피봇핀에 의해 록커에 고정되고, 타단은 피봇핀에 의해서 이동후크에 고정되며, 압유에 의해 신장되거나 수축되어 상기 이동후크와 록커를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킹수단은 잠금위치에서 상기 결합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의 입구를 좁히도록 상기 록커로부터 돌출되는 노우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a와 도 4b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의 작동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 커플러(100)는 몸체(110)를 가지며, 몸체(110)의 상부에는 마주보는 한쌍의 체결 플레이트(112)가 형성되어 있다(도 3에서는 어태치먼트 커플러의 측단면을 도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어느 한쪽의 체결 플레이트만 도시된다.). 이 체결 플레이트(112)의 양쪽에는 고정구멍(114)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주보는 체결 플레이트(112)의 고정구멍(114)들은 서로 동축을 이룬다. 한편, 한쌍의 체결 플레이트(112)의 사이에는 굴삭기의 아암(5)과 푸쉬 링크(7)가 배치되며, 체결 플레이트(112)의 고정구멍(114)들은 굴삭기의 아암(5)과 푸쉬 링크(7)의 체결구멍(5a, 7a)과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서로 정렬되는 고정구멍(114)과 체결구멍(5a, 7a)에는 연결핀(115)이 끼워져 고정되며, 이에 의해 어태치먼트 커플러(100)는 굴삭기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몸체(110)의 하부에는 고정후크(120)와 이동후크(130)가 상호 배치(背馳)되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고정후크(120)는 몸체(11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버킷(1)에 형성된 제 1결합핀(9a)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22)을 갖는다. 여기서, 결합홈(122)은 버킷(1)의 제 1결합핀(9a)이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그 깊이가 깊으며, 그 너비는 제 1결합핀(9a)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후크(130)는 힌지축(132)을 중심으로 '결합위치'(A)와 '해제위치'(B)를 오가며 회전가능한 것으로, 버킷(1)에 형성된 제 2결합핀(9b)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34)을 갖는다.
또한, 몸체(110)에는 고정후크(120)의 결합홈(122)로부터 버킷(1)의 제 1결합핀(9a)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커(140)가 설치된다. 이 록커(140)는 피봇핀(142)을 중심으로 '잠금위치'(X)와 '해제위치'(Z)를 오가며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밑면에는 노우즈(144)와 걸림면(145)이 형성된다. 노우즈(144)는 록커(140)가 '잠금위치'(X)에 배치되었을 때, 결합홈(122)으로 돌출되어 결합홈(122)의 입구(124)를 좁게하는 역할을 하며, 걸림면(145)은 결합홈(122)으로부터 버킷(1)의 제 1결합핀(9a)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 1결합핀(9a)에 밀착된다. 한편, 록커(140)는 몸체(110)에 형성되는 스토퍼(150)에 지지되어 '잠금위치'(X)에서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다. 또한, 록커(140)는, 몸체(110)와 록커(140)에 그 양단이 각각 탄지되는 토션 스프링(146)에 의해 항상 '잠금위치'(X)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후술하는 유압실린더(160)가 수축되거나 파손되더라도 록커(140)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결합홈(122)으로부터 제 1결합핀(9a)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몸체(110)에는 이동후크(130)와 록커(140)를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160)가 설치된다. 이 유압실린더(160)는 실린더 하우징(162)과 실린더 로드(16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실린더 하우징(162)은 피봇핀(162a)에 의해 록커(140)의 일측에 고정되며, 실린더 로드(164)는 피봇핀(164a)에 의해서 이동후크(130)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러한 유압실린더(160)는 굴삭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신장되거나 수축되어 이동후크(130)와 록커(140)를 '해제위치'(B)에서 '결합위치'(A)로, '해제위치'(Z)에서 '잠금위치'(X)로 회전시키거나, '결합위치'(A)에서 '해제위치'(B)로, '잠금위치'(X)에서 '해제위치'(Z)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유압실린더(160)는 록커(140)를 '해제위치'(Z)에서 '잠금위치'(X)로 회전시킴으로써, 록커(140)의 노우즈(144)으로 하여금 고정후크(120)에 형성된 결합홈(122)의 입구(124)를 좁게하여 결합홈(122)에 삽입된 버킷(1)의 제 1결합핀(9a)의 우발적인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어태치먼트 커플러의 작동을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로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 커플러(100)를 굴삭기의 아암(5)와 푸쉬 링크(7)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동후크(130)의 위치가 '해제위치'(B)에 배치되도록 유압실린더(160)를 수축시킨다. 그런 다음, 고정후크(120)의 결합홈(122)과 버킷(1)의 제 1결합핀(9a)이 결합되도록 고정후크(120)를 제 1결합핀(9a)에 건다. 이때, 유압실린더(160)가 수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록커(140)는 '해제위치'(Z)에 배치되며, 따라서 버킷(1)의 제 1결합핀(9a)은 고정후크(120)의 입구(124)를 통과하면서 결합홈(122)에 자연스럽게 안착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의 아암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와 푸쉬 링크(7)를 이용하여 이동후크(130)의 결합홈(134)과 버킷(1)의 제 2결합핀(9b)이 정렬되도록 어태치먼트 커플러(100)를 천천히 회전시킨다. 그리고 이동후크(130)의 결합홈(134)과 버킷(1)의 제 2결합핀(9b)이 정렬되면, 유압실린더(160)를 신장시켜 버킷(1)의 제 2결합핀(9b)과 이동후크(130)의 결합홈(134)이 서로 결합되도록 이동후크(130)를 '결합위치'(A)로 회전시킨다.
한편, 이동후크(130)의 위치가 '결합위치'(A)에 배치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신장되는 유압실린더(160)는 록커(140)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록커(14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위치'(Z)에서 '잠금위치'(X)로 회전되면서 그 위치가 '잠금위치'(X)에 배치된다. 이때, 록커(140)는 스토퍼(150)에 의해 그 회전이 제한되므로 '잠금위치'(X)에서 그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록커(140)가 '잠금위치'(X)에 배치됨에 따라 록커(140)의 노우즈(144)는 결합홈(122)으로 돌출되어 결합홈(122)의 입구(124)를 좁히게 되고, 좁아진 입구(124)에 의해 특히, 록커(140)의 걸림면(145)에 지지되는 버킷(1)의 제 1결합핀(9a)은 결합홈(1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버킷(1)은 굴삭기 아암(5)에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유압실린더(160)가 수축되거나 이동후크(130)가 파손되어 이동후크(130)의 결합홈(134)으로부터 버킷(1)의 제 2결합핀(9b)이 이탈되더라도 록커(140)에 의해 버킷(1)의 제 1결합핀(9a)이 고정후크(120)의 결합홈(122)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버킷(1)은 굴삭기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굴삭기로부터 버킷(1)을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반대로 작동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는 어태치먼트의 제 1결합핀(9a) 및 제 2결합핀(9b)과 결합되는 고정후크(120)와 이동후크(130)를 구비함으로써,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와 어태치먼트를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특히, 어태치먼트의 제 1결합핀(9a)과 커플러(100)의 고정후크(120)를 서로 록킹시키는 록커(140)를 구비함으로써, 중장비로부터 어태치먼트의 우발적인 분리를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는 어태치먼트의 제 1결합핀 및 제 2결합핀과 결합되는 고정후크와 이동후크를 구비함으로써,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와 어태치먼트를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어태치먼트의 결합핀간 거리에 관계없이 어태치먼트를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에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어태치먼트의 결합핀과 커플러의 고정후크를 서로 록킹시키는 록커를 구비함으로써, 중장비로부터 어태치먼트의 우발적인 분리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에 연결핀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중장비와 어태치먼트를 연결시키는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 1결합핀(9a)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122)을 갖는 고정후크(120)와;
    상기 고정후크(120)와 상호 배치되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힌지축(132)을 중심으로 결합위치(A)와 해제위치(B) 사이를 회전하며, 결합위치(A)에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 2결합핀(9b)과 결합되는 결합홈(134)을 갖는 이동후크(130)와;
    피봇핀(142)을 중심으로 잠금위치(X)와 해제위치(Z) 사이를 회전하며, 잠금위치(X)에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 1결합핀(9a)의 이탈을 방지하는 록킹수단을 갖는 록커(140)와;
    잠금위치(X)에 배치되도록 상기 록커(14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150)와;
    일단은 피봇핀(162a)에 의해 록커(140)에 고정되고, 타단은 피봇핀(164a)에 의해서 이동후크(130)에 고정되며, 압유에 의해 신장되거나 수축되어 상기 이동후크(130)와 록커(140)를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잠금위치(X)에서 상기 결합홈(122)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122)의 입구(124)를 좁히도록 상기 록커(140)로부터 돌출되는 노우즈(1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140)를 잠금위치(X)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토션 스프링(146)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KR2020000018765U 2000-06-30 2000-06-30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Expired - Lifetime KR200211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765U KR200211608Y1 (ko) 2000-06-30 2000-06-30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765U KR200211608Y1 (ko) 2000-06-30 2000-06-30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608Y1 true KR200211608Y1 (ko) 2001-01-15

Family

ID=7305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765U Expired - Lifetime KR200211608Y1 (ko) 2000-06-30 2000-06-30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60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486B1 (ko) * 2001-10-11 2004-06-25 주식회사 코막 건설기계의 작업공구 체결용 퀵커플러
KR101021926B1 (ko) 2008-11-12 2011-03-17 주식회사 에버다임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KR101381493B1 (ko) * 2009-07-03 2014-04-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 도저 실린더의 개폐식 보호덮개
KR20150140603A (ko) * 2015-11-16 2015-12-16 (주) 대동이엔지 퀵 커플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486B1 (ko) * 2001-10-11 2004-06-25 주식회사 코막 건설기계의 작업공구 체결용 퀵커플러
KR101021926B1 (ko) 2008-11-12 2011-03-17 주식회사 에버다임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KR101381493B1 (ko) * 2009-07-03 2014-04-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 도저 실린더의 개폐식 보호덮개
KR20150140603A (ko) * 2015-11-16 2015-12-16 (주) 대동이엔지 퀵 커플러
KR101633450B1 (ko) * 2015-11-16 2016-06-24 (주) 대동이엔지 퀵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4385B2 (en) Attachment coupling device for heavy machinery
JP5135328B2 (ja) クイックカプラ
KR200271162Y1 (ko) 굴삭기의 굴착장비 착탈용 커플러
CA1329627C (en) Quick release hydraulic hitch f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excavators
US5915837A (en) Quick-disconnect coupling device
JP3747178B2 (ja) 掘削機用クィックカップラ
CA2590464A1 (en) Quick coupling mechanism for tool attachment
US5634736A (en) Quick-disconnect coupling device
US6139212A (en) Coupler for excavating machines and the like having fixed and moveable jaws
EP2491185A1 (en) A coupler for coupling an attachment to a machine
AU2019202154B2 (en) Attachment coupling device for heavy industrial equipment
KR20220169029A (ko) 어태치먼트 장착해제 식별 기능을 갖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KR200211608Y1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KR100436200B1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링 장치
KR200272123Y1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링 장치
KR200189513Y1 (ko)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WO2001081682A1 (fr) Dispositif d'accouplement pour equipement
KR200260603Y1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링 장치
WO2012013952A1 (en) A coupler for coupling an attachment to a machine
KR20130039043A (ko) 이중안전장치를 갖춘 어태치먼트용 클램프
KR20090069376A (ko)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
KR102728600B1 (ko) 툴 이탈을 방지하는 건설장비용 퀵 커플러
KR102430342B1 (ko) 중장비용 커플러
IL274644B1 (en) Quick coupling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on to a construction machine
KR101446714B1 (ko) 중장비용 퀵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63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7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1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5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1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