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0682Y1 - 울타리 지주 - Google Patents

울타리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682Y1
KR200410682Y1 KR2020050035847U KR20050035847U KR200410682Y1 KR 200410682 Y1 KR200410682 Y1 KR 200410682Y1 KR 2020050035847 U KR2020050035847 U KR 2020050035847U KR 20050035847 U KR20050035847 U KR 20050035847U KR 200410682 Y1 KR200410682 Y1 KR 200410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pipe
holding
fixing portion
fast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8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이건수
이진선
이미선
Original Assignee
이건수
이진선
이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수, 이진선, 이미선 filed Critical 이건수
Priority to KR20200500358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68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울타리 지주를 개선한 것으로서, 전면 중앙은 요홈이 형성되고 옆면은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상단과 하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며 울타리 체결공이 형성된 울타리 고정부와, 상기 울타리 고정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체결되어 울타리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울타리 지주의 옆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어서 울타리의 최외각 가로살과 세로살이 접하는 부분과 면으로 접하므로 종래의 선으로 접하는 울타리 지주와는 달리 보다 안정된 접합 상태를 이루고 상하단 울타리 고정부와 울타리의 최외각 부분과의 간격차가 작으므로, 울타리 고정부 자체로서 울타리를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체결수단으로 재차 상기 울타리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울타리의 흔들림이 현저히 개선된다.
울타리, 지주

Description

울타리 지주{Prop For Fen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주의 지주용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주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주의 하단 울타리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주의 상단 울타리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주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 지주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 지주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울타리 지주가 결합되는 모양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울타리 지주용 파이프 20 : 하단 울타리 고정부
30 : 상단 울타리 고정부 31 : 캡
40 : 체결수단
21a, 21b, 31a, 31b : 체결공
본 고안은 울타리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울타리 지주의 하단과 상단에 울타리 고정부가 서로 대향되어 설치된 울타리 지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울타리 지주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울타리용 가로 파이프를 고정체결하기 위한 파이프 체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비한 울타리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울타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울타리 지주(1)에 매쉬형 울타리(2)를 접촉시키고 U형 밴드(3)를 댄 후 볼트/너트(4)를 사용하여 울타리를 울타리 지주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울타리 지주 형상이 원형이므로 선으로 접하게 되어 바람이나 외부충격에 약해서 흔들림이 심하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이로 인해 쉽게 파손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옆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울타리 지주용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상단과 하단에 울타리 고정부가 설치된 울타리 지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주는, 중앙에 요홈이 형성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상단과 하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며 울타리 체결공이 형성된 울타리 고정부와, 상기 울타리 고정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체결되어 울타리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주의 지주용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주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주의 하단 울타리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주의 상단 울타리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주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타리 지주용 파이프(이하 '파이프')(10)는 전면 중앙에 일정한 곡률로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옆면은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되고, 울타리 고정부(20,30)가 설치되는 위치에는 상기 파이프와 상기 울타리 고정부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이 상기 파이프와 울타리 고정부를 관통하여 체결하도록 체결공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울타리 고정부(20)는 울타리의 좌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평행한 평면과 그 중앙은 일정한 곡률로 볼록하게 형성된 전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평행한 평면의 사이 간격(L1)은 울타리의 중첩된 가로살의 간격(L2)(도 2 참조)보다는 큰 간격이지만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간격이다. 상기 2개의 평행 평면의 사이 간격과 중첩된 가로살의 간격이 이루는 간격차가 작 을수록 상기 울타리를 더욱 밀착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울타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울타리 고정부(20)의 중앙에는 상기 파이프(10)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리벳 또는 볼트/너트 등의 체결수단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울타리 고정부와 상기 파이프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10)의 상단에 설치된 상단 울타리 고정부(30)는 울타리 지주용 파이프가 걸리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32)을 구비한 캡(31)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캡은 상기 파이프와 밀착 고정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캡이 일체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별도로 캡을 씌우는 설치 공정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간단히 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게 되고, 걸림턱으로 상기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울타리 지주와 울타리의 흔들림을 재차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 및 하단 울타리 고정부(20,30)는 울타리 고정부에 삽입되어 체결될 매쉬형 울타리의 최외각 가로살과 세로살이 접하는 부분과 상응하는 부분에 울타리 체결공(21a,21b,31a,3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울타리 체결공은 상기 체결공을 통해 체결된 체결수단(40)이 상기 울타리의 최외각 가로살과 세로살을 밀착 고정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수단(40)은 리벳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볼트/너트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경우에 상기 울타리를 보다 더 강하게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체결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주는 매쉬형 울타리 뿐만 아니라, 스테인리스 울타리, 알루미늄 울타리 등 울타리의 재질과 형상에 상관없이 널리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울타리의 가로 파이프에 상기 울타리 고정부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주는 상기 상단 울타리 고정부와 상기 하단 울타리 고정부를 적절히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울타리 지주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 울타리 고정부를 파이프의 하단과 중단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상기 파이프의 상단에 상기 상단 울타리 고정부를 설치하여 상단 울타리 고정부와 인접 상단 울타리 고정부 사이를 울타리용 가로 파이프로 연결하여 설치하면 외관상 보다 미려한 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주를 사용하여 울타리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울타리 지주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울타리 고정부의 2개의 평면 사이에 울타리를 삽입하여 1차적으로 상기 울타리 지주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울타리 지주는 옆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어서 울타리의 최외각 가로살과 세로살이 접하는 부분과 면으로 접하므로 종래의 선으로 접하는 울타리 지주와는 달리 보다 안정된 접합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 후, 상기 울타리 고정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2차적으로 상기 울타리를 재차 밀착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울타리 지주보다 울타리를 고정하는 힘이 월등히 향상된다.
또한, 체결수단으로 체결하기 전의 울타리 고정부 자체로도 울타리를 고정할 수 있어 울타리 설치시 시공이 매우 간편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주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주에 의하면, 울타리 지주의 옆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어서 울타리의 최외각 가로살과 세로살이 접하는 부분과 면으로 접하므로 종래의 선으로 접하는 울타리 지주와는 달리 보다 안정된 접합 상태를 이루고 상하단 울타리 고정부와 울타리의 최외각 부분과의 간격차가 작으므로, 울타리 고정부 자체로서 울타리를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체결수단으로 재차 상기 울타리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울타리의 흔들림이 현저히 개선되며, 또한, 체결수단으로 체결하기 전의 울타리 고정부 자체로도 울타리를 고정할 수 있어 울타리 설치시 시공이 매우 간편하다.

Claims (3)

  1. 전면 중앙은 요홈이 형성되고 옆면은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상단과 하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며 울타리 체결공이 형성된 울타리 고정부; 및
    상기 울타리 고정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체결되어 울타리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지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울타리 고정부 중 하단 울타리 고정부는 상기 울타리의 좌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평행한 평면이며, 상기 울타리 고정부에 삽입되어 체결된 상기 울타리의 최외각 가로살과 세로살이 접하는 부분과 상응하는 부분에 울타리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단 울타리 고정부는 상기 하단의 울타리 고정부와 동일한 구조이며 울타리 지주용 파이프가 걸리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을 구비한 캡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지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리벳, 또는 볼트/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지주.
KR2020050035847U 2005-12-21 2005-12-21 울타리 지주 Expired - Fee Related KR200410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847U KR200410682Y1 (ko) 2005-12-21 2005-12-21 울타리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847U KR200410682Y1 (ko) 2005-12-21 2005-12-21 울타리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682Y1 true KR200410682Y1 (ko) 2006-03-09

Family

ID=4176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84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0682Y1 (ko) 2005-12-21 2005-12-21 울타리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6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24154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構造及び太陽電池装置
KR101467161B1 (ko) 그레이팅 패널 체결용 고정구
KR102093576B1 (ko)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KR100353772B1 (ko) 낙석 방지용 안전망
KR200421856Y1 (ko) 메쉬휀스
KR200465511Y1 (ko)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KR200410682Y1 (ko) 울타리 지주
JP7202147B2 (ja) 建築用金具
JP5181270B2 (ja) 振れ止め用下地材の固定金具
KR100595021B1 (ko)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KR100431761B1 (ko) 하우스 골조
KR102246527B1 (ko)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KR200445564Y1 (ko) 메쉬 휀스
KR100892750B1 (ko) 펜스 설치구조
JP5264552B2 (ja)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パネル用カバー材
KR200197317Y1 (ko) 낙석방지용 그물망 고정부재
JP6814543B2 (ja) 屋根置き設備の取付金具
KR100665573B1 (ko) 난간연결구조
KR200410319Y1 (ko)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고정장치
KR200409296Y1 (ko) 펜스 고정구
FR3026765A1 (fr) Dispositif de grillage pour la realisation d&#39;une cloture et cloture sans poteaux realisee a partir d&#39;un tel dispositif
KR102569120B1 (ko) 천장재 어셈블리
JP2008291463A (ja) 仮囲い板
JP4782536B2 (ja) 天井下地部材の取付け構造
JP7260882B1 (ja) 転落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122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2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70125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0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