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526Y1 -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Google Patents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9526Y1 KR200409526Y1 KR2020050033138U KR20050033138U KR200409526Y1 KR 200409526 Y1 KR200409526 Y1 KR 200409526Y1 KR 2020050033138 U KR2020050033138 U KR 2020050033138U KR 20050033138 U KR20050033138 U KR 20050033138U KR 200409526 Y1 KR200409526 Y1 KR 20040952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threaded
- lock nut
- screw
- coup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6010061258 Joint lock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claims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2 fo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7 mechanical methods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60)
- 나사 마디 철근을 연결하는 나사형 슬리브에 있어서, 내면에 철근(1, 1a)의 나사 마디(11)가 체결되는 암나사부(21)가 형성된 한 쌍의 반원형 슬리브와 상기 한 쌍의 반원형 슬리브를 일체로 구속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반원형 슬리브를 구속하는 결합수단이 너트형태이면서 내면에 철근(1, 1a)의 나사 마디(11)가 체결되는 암나사부(51)가 형성된 너트부(53)와 소켓형태로 이루어진 소켓부(54)가 축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로크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2 항에 있어서, 반원형 슬리브(2)의 외면에 축방향의 중심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로 이루어진 외부테이퍼면(22)이 형성되고, 로크너트의 소켓부(54)의 내면은 너트부(53)의 내면으로부터 단차를 두고 내경이 커지면서 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커지는 테이퍼로 이루어진 내부테이퍼면(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3 항에 있어서, 로크너트(5)의 소켓부(54)의 내부테이퍼면(52)에 연결되 는 철근(1, 1a)의 나사 마디(11)와 동격의 테이퍼암나사부(5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3 항에 있어서, 반원형 슬리브(2a)의 암나사부(21)의 축방향 중심부에 스프링안착홈(23)이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 형태의 확장스프링(20)이 안착 되고 외부테이퍼면(22)에 로크너트(5)의 테이퍼암나사부(52a)에 나사 체결되는 테이퍼수나사부(22a)가 형성되며, 로크너트(5a)의 내부테이퍼면(52)에 상기 반원형 슬리브(2a)의 테이퍼수나사부(22a)와 체결되는 암나사돌기부(52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4 항에 있어서, 반원형 슬리브(2b)의 횡방향의 양단면에 탄성부재안착홈(24)이 형성되어 탄성부재(20a)가 삽입되고 외부테이퍼면(22)에 로크너트(5)의 테이퍼암나사부(52a)와 체결되는 동격의 수나사돌기부(22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4 항에 있어서, 반원형 슬리브(2a)의 암나사부(21)의 축방향 중심부에 스프링안착홈(23)이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 형태의 확장스프링(20)이 안착 되고 외부테이퍼면(22)에 로크너트(5)의 테이퍼암나사부(52a)에 나사 체결되는 동격의 테이퍼수나사부(2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로크너트의 너트부(53)의 외면은 횡단면이 다각으로 형성되며 축 방향의 단부의 내면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 된 개선부(56)가 형성되고 소켓부(54)의 외면은 축방향으로 길게 홈이 파인 스플라인홈(55)이 다수 형성되며, 반원형 슬리브의 외면과 로크너트의 외면에 축방향으로 일치마크(27, 59)가 표시되며, 반원형 슬리브의 암나사부(21)는 연결되는 철근(1, 1a)의 나사 마디(11)와 완전히 치합 되면서 공극 없이 요철결합되도록 동격의 암나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나사 마디 철근을 연결하는 나사형 슬리브에 있어서,내면에 철근(1, 1a)의 나사 마디(11)가 체결되는 암나사부(21)가 형성되고 외면에 축방향의 중심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로 이루어진 외부테이퍼면(22)이 형성된 한 쌍의 반원형 슬리브; 및내면에 철근(1, 1a)의 나사 마디(11)가 체결되는 암나사부(51)가 형성된 내부로크너트; 및내면에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내부테이퍼면(52)이 형성된 압지소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9 항에 있어서, 반원형 슬리브(2b)의 외부테이퍼면(22)에 수나사돌기부(22b)가 형성되고, 내부로크너트(7)의 외면에 보통나사의 피치로 이루어진 미세수나사부(71)가 형성되며, 압지소켓(6)의 내면은 보통나사의 피치로 이루어진 미세암나사부(61)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로크너트(7)의 미세수나사부(71)와 나사 체결되고 외면의 일측은 횡단면이 다각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축방향으로 길게 홈이 파인 스플라인홈(55)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9 항에 있어서, 반원형 슬리브(2d)의 암나사부(21)에 스프링안착홈(23)이 형성되어 확장스프링(20)이 안착되고 외부테이퍼면(22)의 양측에 축방향으로 바닥면이 수평으로 홈이 파인 안내홈(22c)이 형성되며 횡방향의 양단면에 일측은 요홈으로 형성된 결합요홈부(25a)가 타측은 돌출된 결합돌기부(25)가 형성되고, 압지소켓(6b)의 내면의 일단에 내부오링홈부(62)가 형성되어 탄성오링(20c)이 안착되고 축방향의 중심부에 탭구멍(64)이 형성되어 결합볼트(9)가 체결되며, 내부로크너트(7b)의 일단에 외경이 작아지는 단턱을 두고 축방향으로 돌출되며 그 돌출된 외면에 내부오링홈부(57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9 항에 있어서, 반원형 슬리브(2e)의 암나사부(21)에 스프링안착홈(23)이 형성되어 확장스프링(20)이 안착되고 외면에 경사면과 수평면이 번갈아 가면서 다 단으로 된 외부다단면(22d)과 축방향으로 바닥면이 수평으로 홈이 파인 안내홈(22c)이 형성되며, 횡방향의 양단면에 돌출된 결합돌기부(25)와 요홈으로 된 결합요홈부(25a)가 형성되어 한 쌍의 반원형 슬리브(2e)가 상호 요철결합되게 하며, 압지소켓(6c)의 내면에 상기 반원형 슬리브(2e)의 외부다단면(22d)에 대응되는 내부다단면(63)이 형성되고 내면의 일단에 내부오링홈부(62)가 형성되어 탄성오링(20c)이 안착되고 축방향의 중심부에 탭구멍(64)이 형성되어 결합볼트(9)가 체결되며, 내부로크너트(7b)의 일단에 외경이 작아지는 단턱을 두고 축방향으로 돌출되며 그 돌출된 외면에 내부오링홈부(57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나사 마디 철근을 연결하는 나사형 슬리브에 있어서,내면에 철근(1, 1a)의 나사 마디(11)가 체결되는 암나사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21)에 스프링안착홈(23)이 형성되어 확장스프링(20)이 안착 되고, 외면에 축방향의 중심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로 이루어진 외부테이퍼면(22)이 형성된 한 쌍의 반원형 슬리브; 및내면에 철근(1, 1a)의 나사 마디(11)가 체결되는 암나사부(51)가 형성되고, 외면에 탄성오링(20c)이 안착되는 내부오링홈부(57a)와 수나사부(71)가 연접되어 형성된 내부로크너트(7a); 및내면에 암나사부(81)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로크너트(7a)에 나사 체결되는 외부로크너트(8); 및내면의 일단에 내부오링홈부(62)가 형성되어 탄성오링(20c)이 안착 되고 내면에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로 이루어진 내부테이퍼면(52)이 형성된 압지소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13 항에 있어서, 반원형 슬리브(2c)의 양측의 외부테이퍼면(22)에 수나사돌기부(22b)가 형성되고, 압지소켓(6a)의 내면에 연결되는 철근(1, 1a)의 나사 마디(11)와 피치가 동일하고 규격이 같은 테이퍼암나사부(52a)가 형성되며 내부오링홈부(62)가 형성된 내면의 모서리에 모따기 된 개선부(65)가 형성되고 외면에 축방향으로 길게 홈이 파인 스플라인홈(55)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13 항에 있어서, 반원형 슬리브(2d)의 외부테이퍼면(22)에 축방향으로 바닥면이 수평인 요홈으로 이루어진 안내홈(22c)이 형성되며, 횡방향의 양단면에 일측은 요홈으로 형성된 결합요홈부(25a)가 형성되며 타측은 돌출된 결합돌기부(25)가 형성되고, 압지소켓(6b)의 축방향의 중심부에 탭구멍(64)이 형성되어 결합볼트(9)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9 항 또는 제 10 항 또는 제 11 항 또는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또는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반원형 슬리브(2b, 2c, 2d, 2e)의 암나사부(21)는 연결되는 철근(1, 1a)의 나사 마디(11)와 완전히 치합 되어 공극 없이 요철결합되도록 연결되는 철근의 나사 마디(11)와 동격의 암나사로 형성되고 축방향의 양단 내면의 모서리 부분에 모따기가 된 개선부(26)가 형성되며, 내부로크너트(7, 7a, 7b)의 내면 모서리 부분에 모따기가 된 개선부(56)가 형성되고, 압지소켓(6a, 6b, 6c)의 외면에 축방향으로 길게 홈이 파인 스플라인홈(55)이 다수 형성되며, 반원형 슬리브(2b, 2c, 2d, 2e)의 외면에 일치마크(27)가 표시되고 내부로크너트(7, 7a, 7b)의 외면에 일치마크(73)가 표시되며 압지소켓(6a, 6b, 6c)의 외면에 일치마크(66)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나사 마디 철근을 연결하는 나사형 슬리브에 있어서,원통형의 슬리브가 세 부분으로 분할된 형태로써 내면은 철근(1, 1a)의 나사 마디가 체결되는 동격의 암나사부(31)가 형성되고 외면은 축방향의 중심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로 이루어진 외부테이퍼면(32)이 형성되는 편체형 슬리브; 및내면에 철근(1, 1a)의 나사 마디가 체결되는 동격의 암나사부(31)가 형성된 너트부(53)와 내면에 양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로 이루어진 내부테이퍼면(52)이 형성된 소켓부(54)가 축방향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로크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17 항에 있어서, 편체형 슬리브(3)의 암나사부(31)가 연결되는 나사 마디 철근(1, 1a)의 나사 마디(11)와 완전히 치합 되어 공극 없이 요철결합되도록 형성 되고 암나사부(31)의 축방향 중심부에 스프링안착홈(33)이 형성되어 확장스프링(20)이 안착되고 외부테이퍼면(32)에 로크너트(5)의 테이퍼암나사부(52a)와 나사 체결되는 동격의 테이퍼수나사부(32a)가 형성되며, 로크너트(5)의 소켓부(54)의 내면에 테이퍼암나사부(52a)가 형성되고, 편체형 슬리브(3) 및 로크너트(5)의 외면에 일치마크(35, 59)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나사 마디 철근을 연결하는 나사형 슬리브에 있어서,내면에 철근(1, 1a)의 나사 마디가 체결되는 암나사부(41)가 형성되는 원통형 슬리브; 및내면에 철근(1, 1a)의 나사 마디가 체결되는 암나사부(51)가 형성되는 한 쌍의 로크너트; 및상기 원통형 슬리브의 축방향의 양단에 상기 한 쌍의 로크너트를 일체로 묶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 브.
- 제 19 항에 있어서, 원통형 슬리브의 축방향의 양단에 단차를 두면서 암나사부(41)의 나사골보다 큰 내경으로 원형의 홈이 파인 내부결합턱(42)이 형성되고, 로크너트의 축방향의 일단부 외면에 축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외경이 작아지는 내부결합턱(57)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슬리브의 내부결합턱(42)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20 항에 있어서, 원통형 슬리브(4)의 내부결합턱(42)의 내면 모서리가 모따기 되어 개선부(46)가 형성되고, 로크너트(5b)의 내부결합턱(57)의 단부에 상기 원통형 슬리브(4)의 내부결합턱(42)의 내면에 억지끼워맞춤 되도록 외경이 약간 커지는 빠짐방지턱(57c)이 형성되며, 상기 로크너트(5b)를 상기 원통형 슬리브(4)의 내부결합턱(42)에 삽입시켜 원통형 슬리브(4)와 로크너트(5b)를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20 항에 있어서, 원통형 슬리브(4a)의 내부결합턱(42)에 탭구멍(42c)이 형성되어 결합볼트(9a)가 체결되며, 원통형 슬리브(4a)의 내부결합턱(42)의 내면에 탄성복원력이 있는 원형의 탄성링(20b)이 안착되어 로크너트(5b)를 고정하며, 로크너트(5b)의 내부결합턱(57)의 단부에 외경이 약간 커지는 빠짐방지턱(57c)이 형성 되어 상기 결합볼트(9a)의 선단부에 걸리면서 원통형 슬리브(4a)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20 항에 있어서, 로크너트(5c)의 내부결합턱(57)의 외면에 원형의 요홈으로 된 내부오링홈부(57a)가 형성되어 원형의 탄성오링(20c)이 끼워지며, 원통형 슬리브(4b)의 내부결합턱(42)의 내면에 상기 원형의 탄성오링(20c)이 끼워지는 내부오링홈부(42a)가 형성됨으로서 탄성오링(20c)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통형 슬리브(4b)에 가 결합된 로크너트(5c)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20 항에 있어서, 로크너트(5c)의 내부결합턱(57)의 외면에 원형의 요홈으로 된 내부오링홈부(57a)가 형성되고, 원통형 슬리브(4c)의 내부결합턱(42)에 내부와 관통된 탭구멍(42c)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거의 구면체인 탄성체(20e)를 삽입하고 결합볼트(9a)를 체결하여 원통형 슬리브(4c)와 로크너트(5c)의 가 결합상태의 조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20 항에 있어서, 로크너트(5d)의 내부결합턱(57)의 단부 외면에 미세수나사부(57b)가 형성되고 원통형 슬리브(4d)의 내부결합턱(42)의 단부 내면에 상기 로 크너트(5d)의 미세수나사부(57b)와 동일한 피치의 미세암나사부(42b)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슬리브(4d)의 내부결합턱(42)의 내면에 원형의 탄성링(20b)을 설치하고 로크너트(5d)를 체결하여 가 결합시키면 탄성링(20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통형 슬리브(4d)에 체결된 로크너트(5c)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20 항에 있어서, 로크너트(5d)의 내부결합턱(57)의 단부 외면에 미세수나사부(57b)가 형성되고 원통형 슬리브(4d)의 내부결합턱(42)의 단부 내면에 상기 로크너트(5d)의 미세수나사부(57b)와 동일한 피치의 미세암나사부(42b)가 형성되어, 상기 로크너트(5d)의 내부결합턱(57)에 파도와샤(20d)를 끼워 안착시키고 원통형 슬리브(4d)에 로크너트(5d)를 체결하여 가 결합시키면 파도와샤(20d)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통형 슬리브(4d)에 체결된 로크너트(5d)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20 항에 있어서, 로크너트(5c)의 내부결합턱(57)의 외면에 원형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내부오링홈부(57a)가 형성되고, 원통형 슬리브(4s)의 양단에 결합스프링(9n)이 끼워지는 결합스프링안착홈(42d)이 형성되며, 원호형의 스프링 형태로 구부러진 결합스프링(9n)을 구비하여 상기 원통형 슬리브(4s)의 양단에 로크너트(5c)를 인입한 다음 상기 원통형 슬리브(4s)의 결합스프링안착홈(42d)에 설치하여 원통형 슬리브(4s)와 로크너트(5c)를 일체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 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20 항에 있어서, 로크너트(5c)의 내부결합턱(57)의 외면에 원형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내부오링홈부(57a)가 형성되고, 원통형 슬리브(4t)의 양단에 결합핀(9p)이 끼워지는 결합핀안착홈(42e)이 형성되며, 막대 형태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결합핀(9p)을 구비하여 상기 원통형 슬리브(4t)의 양단에 로크너트(5c)를 인입한 다음 상기 원통형 슬리브(4t)의 결합핀안착홈(42e)에 결합핀(9p)을 끼워넣어 원통형 슬리브(4t)와 로크너트(5c)를 일체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20 항에 있어서, 로크너트(5f)의 외면에 원형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탄성링안착홈(57d)이 형성되고, 원통형 슬리브(4u)의 양단 외면에 원형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탄성링안착홈(42f)이 형성되며, 벨트형태로써 축방향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단이 다수 절개되어 탄성을 부여하고 양측의 절개부에는 원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비드가 두 줄로 형성되는 탄성링(9q)을 구비하여 상기 로크너트(5f)의 결합탄성링안착홈(57d)과 슬리브(4u)의 결합탄성링안착홈(42f)에 끼워져 두 부품을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20 항에 있어서, 로크너트(5g)의 일단의 내면에 요홈이 형성되고 그 저면 에 원형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탄성링안착홈(57e)이 형성되며, 원통형 슬리브(4v)의 양단 내면에 요홈이 형성되고 그 저면에 원형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탄성링안착홈(42g)이 형성되며, 원형 밴드 형태로써 축방향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단이 다수 절개되어 탄성을 부여하고 양측의 절개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비드가 두 줄로 형성되는 결합탄성링(9r)을 구비하여 상기 로크너트(5g)의 결합탄성링안착홈(57e)과 슬리브(4v)의 결합탄성링안착홈(42g)에 끼워져 두 부품을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20 항에 있어서, 로크너트(5h)의 외면에 원형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결합링안착홈(57f)이 형성되고, 원통형 슬리브(4w)의 양단 외면에 결합링안착홈(42h)이 형성되며, 원형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탄성오링(9s)과 원형 밴드 형태로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비드가 두 줄로 형성되는 결합링(9t)을 구비하여 상기 로크너트(5h)와 슬리브(4w)의 결합링안착홈(57f, 42h)에 각각 탄성오링(9s)을 안착시키고 결합링(9t)의 비드에 탄성오링(9s)을 끼워 슬리브(4w)와 로크너트(5h)를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20 항에 있어서, 로크너트(5i)의 외면에 원형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탄성링안착홈(57g)이 형성되고, 원통형 슬리브(4x)의 양단 외면에 원형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탄성링안착홈(42i)이 형성되며, 벨트형태로써 축방향의 양단이 원중심 방향으로 수직으로 구부러져 돌기가 형성되는 결합링(9u)이 구비되어 상기 로크 너트(5i)의 결합탄성링안착홈(57g)과 슬리브(4x)의 결합탄성링안착홈(42i)에 끼워져 두 부품을 일체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20 항 또는 제 21 항 또는 제 22 항 또는 제 23 항 또는 제 24 항 또는 제 25 항 또는 제 26 항 또는 제 27 항 또는 제 28 항 또는 제 29 항 또는 제 30 항 또는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원통형 슬리브(4, 4a, 4b, 4c, 4d, 4s, 4t, 4u, 4v, 4w, 4x)의 외면의 축방향의 중심부에 횡단면이 다각형인 다각부(45)가 형성되며 축방향의 중심부에 내부로 관통된 구멍인 그라우트주입구(44)가 형성되고 외면의 양단에 일치마크(40)가 형성되며, 로크너트(5b, 5c, 5d, 5f, 5g, 5h, 5i)의 외면이 다각형의 횡단면으로 형성되며 내부결합턱(57)의 내면 모서리가 모따기가 된 개선부(56)가 형성되며 외면에 일치마크(5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나사 마디 철근을 연결하는 나사형 슬리브에 있어서,내면은 철근(1, 1a)의 나사 마디와 체결되는 암나사부(41)가 형성되고 외면의 축방향의 양단에 단차를 두고 외경이 작아지는 외부결합턱(43)이 형성되는 원통형 슬리브; 및축방향의 일단이 단차를 두고 내경이 커지는 외부결합턱(58)이 형성되는 한 쌍의 로크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34 항에 있어서, 원통형 슬리브(4e)의 외부결합턱(43)의 외면에 원형 요홈으로 된 외부오링홈부(43a)가 형성되어 탄성오링(20c)이 끼워지고 로크너트(5e)의 외부결합턱(58)의 내면에 외부오링홈부(58a)가 형성되고 외부결합턱(58)의 내면의 모서리가 모따기가 된 개선부(56)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오링(20c)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통형 슬리브(4e)에 로크너트(5e)가 일체로 고정되고, 원통형 슬리브(4e)와 로크너트(5e)의 외면에 일치마크(40, 59)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나사 마디 철근을 연결하는 나사형 슬리브에 있어서,내면은 철근(1, 1a)의 나사 마디와 체결되는 암나사부(41)가 형성되고 축방향의 양단에 단차를 두면서 암나사부(41)의 나사골보다 큰 내경으로 원형의 홈이 파인 내부결합턱(42)이 형성되고 그 내면에 원형의 탄성오링(20c)이 끼워지는 내부오링홈부(42a)가 형성되는 원통형 슬리브(4b); 및외면에 축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외경이 작아지는 내부결합턱(57)이 형성되고 그 외면에 수나사부(71)가 형성되며 단부 외면에 원형의 요홈으로 된 내부오링홈부(57a)가 형성되어 원형의 탄성오링(20c)이 끼워지는 내부로크너트(7c); 및내면에 암나사부(81)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로크너트(7c)의 수나사부(71)에 체결하여 일체화되는 외부로크너트(8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나사 마디 철근을 연결하는 나사형 슬리브에 있어서,축방향의 양측의 직경이 다르며 내면은 철근(1, 1a)의 나사 마디와 체결되는 암나사부(41)가 형성되고 축방향의 양단에 단차를 두면서 암나사부(41)의 나사골보다 큰 내경의 원형의 홈이 파인 형태로 내부결합턱(42)이 형성되어 원형의 탄성링(20b)이 안착되고 내부결합턱(42) 단부에 미세암나사부(42b)가 형성되는 원통형 슬리브(4f); 및외면에 축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외경이 작아지는 내부결합턱(57)이 형성되고 그 외면에 수나사부(71)가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원통형 슬리브(4f)의 미세암나사부(42b)에 체결되는 미세수나사부(57b)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원통형 슬리브(4f)의 큰 직경에 결합 되는 내부로크너트(7e)와 상기 원통형 슬리브(4f)의 작은 직경에 결합 되는 내부로크너트(7d); 및내면에 암나사부(81)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로크너트(7e)의 수나사부(71)에 체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외부로크너트(8a)와 상기 내부로크너트(7d)의 수나사부(71)에 체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외부로크너트(8b);로 구성되어 직경이 다른 두 철근(1, 1b)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36 항 또는 제 37 항에 있어서, 원통형 슬리브(4b, 4f)의 외면의 축방향의 중심부에 횡단면이 다각형인 다각부(45)가 형성되며 축방향의 중심부에 내부로 관통된 구멍인 그라우트주입구(44)가 형성되고, 내부로크너트(7e, 7d)의 외면이 다각형의 횡단면으로 형성되며 내부결합턱(57)의 내면 모서리가 모따기가 된 개선부(56)가 형성되며, 원통형 슬리브(4b, 4f) 및 내부로크너트(7e, 7d)의 외면에 일치마크(40, 73)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나사 마디 철근을 연결하는 나사형 슬리브에 있어서,내면에 철근(1, 1a)의 나사 마디와 체결되는 암나사부(41)가 형성되는 원통형 슬리브; 및상기 원통형 슬리브의 내부의 축방향의 중간부로 인입되는 중간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39 항에 있어서, 원통형 슬리브(4g)의 양단의 내면 모서리가 모따기 되어 개선부(46)가 형성되고, 중간스토퍼(9b)는 짧은 무두렌치볼트의 형태로써 외면에 철근의 나사 마디(11)와 동일한 수나사부(91)가 형성되고 축방향의 양측면이 볼록렌즈 형태인 반구체부(94)가 형성되고 상기 반구체부(94)의 일측 면에 렌치가 끼워 지는 렌치홈(9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39 항에 있어서, 원통형 슬리브(4h)의 양단의 내면 모서리가 모따기 되어 개선부(46)가 형성되고 상기 개선부(46)에 연접하여 중심부 방향으로 원형의 요홈이 형성되어 철근의 초기 인입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며, 중간스토퍼(9c)의 축방향의 양측면에는 볼록렌즈 형태인 반구체부(94)가 형성되고 상기 반구체부(94)의 일측 면에 렌치가 끼워지는 렌치홈(95)이 형성되며 외면에 원형의 오링홈부(93)가 형성되어 탄성오링(9d)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39 항 또는 제 40 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원통형 슬리브(4g, 4h)의 외면의 축방향의 중심부에 횡단면이 다각형인 다각부(45)가 형성되며, 축방향의 중심부에 내부로 관통된 구멍인 그라우트주입구(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나사 마디 철근을 연결하는 나사형 슬리브에 있어서,내면의 일측에 철근(1, 1a)의 나사 마디와 체결되는 암나사부(41)가 형성되고 내면의 타측에 이음부암나사(47)가 형성되는 한 쌍의 원통형 슬리브; 및상기 한 쌍의 원통형 슬리브를 체결하여 연결하는 스터드볼트 형태의 연결볼 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43 항에 있어서, 하나의 원통형 슬리브(4i)의 이음부암나사(47)는 오른나사 다른 하나의 원통형 슬리브(4j)의 이음부암나사(47)는 왼나사로 형성되고 상기 두 원통형 슬리브(4i, 4j)의 축방향의 일단에 단차를 두면서 암나사부(41)의 나사골보다 큰 내경의 원형의 홈이 파인 형태로 내부결합턱(42)이 형성되어 내면에 원형의 내부오링홈부(42a)가 형성되어 원형의 탄성오링(20c)이 끼워지며, 상기 두 원통형 슬리브(4i, 4j)를 연결하는 연결볼트(9e)의 축방향의 중심부에 다각부(92)가 형성되고 다각부(92)의 양측의 수나사부(91)가 일측은 오른나사로 형성되고 타측은 왼나사로 형성되며, 너트의 형태로서 축방향의 일단부 외면에 축방향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단차를 두고 외경이 작아지는 내부결합턱(57)이 형성되어 외면에 수나사부(71)가 형성되고 외면에 원형의 요홈으로 된 내부오링홈부(57a)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오링(20c)이 끼워지는 내부로크너트(7c)가 부가되고, 너트 형태로서 상기 내부로크너트(7c)의 수나사부(71)에 나사 체결되도록 내면에 암나사부(81)가 형성되는 외부로크너트(8a)가 부가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43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원통형 슬리브(4k)의 축방향의 일단에 단차를 두면서 암나사부(41)의 나사골보다 큰 내경의 원형의 홈이 파인 형태로 내부결합턱(42)이 형성되어 내면에 원형의 내부오링홈부(42a)가 형성되어 원형의 탄성오링(20c)이 끼워지며, 상기 두 원통형 슬리브(4k)를 연결하는 연결볼트(9f)의 외면에 수나사부(91)가 형성되고, 너트의 형태로서 축방향의 일단부 외면에 축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외경이 작아지는 내부결합턱(57)이 형성되고 그 외면에 원형의 요홈으로 된 내부오링홈부(57a)가 형성되어 탄성오링(20c)이 끼워져 상기 한 쌍의 원통형 슬리브(4k)의 내부결합턱(42)에 결합되는 로크너트(5c)가 부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43 항에 있어서, 짧은 무두렌치볼트 형태의 스토퍼(9i)를 부가하여 한 쌍의 원통형 슬리브(4m)의 이음부암나사(47)에 체결하고, 두 원통형 슬리브(4m)를 연결하는 연결볼트(9g)의 외면에 수나사부(91)가 형성되어 암나사가 형성된 한 쌍의 이음부로크너트(9h)를 부가하여 체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나사 마디 철근에 체결하는 나사형 슬리브에 있어서,후렌지너트 형태로써 중심부가 관통된 원형의 플레이트(49)에 연결너트(49b)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내면은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철근의 나사 마디(11)가 체결되는 암나사부(41)가 형성되며 축방향의 일단에 단차를 두면서 암나사부(41)의 나사골보다 큰 내경으로 원형의 홈이 파인 내부결합턱(42)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너 트; 및너트의 형태로서 축방향의 일단부 외면에 축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외경이 작아지는 내부결합턱(57)이 형성되는 로크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47 항에 있어서, 로크너트(5c)의 내부결합턱(57)의 내면에 원형의 요홈으로 된 내부오링홈부(57a)가 형성되어 원형의 탄성오링(20c)이 끼워지며, 플레이트너트(4n)의 내부결합턱(42)의 내면에 상기 탄성오링(20c)이 끼워지는 내부오링홈부(42a)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오링(20c)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플레이트너트(4n)와 로크너트(5c)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나사 마디 철근에 체결하는 나사형 슬리브에 있어서,후렌지너트 형태로써 중심부가 막혀있는 원형의 플레이트(49a)에 연결너트(49b)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내면에 철근의 나사 마디(11)가 체결되는 암나사부(41)가 형성되며 축방향의 일단에 단차를 두면서 암나사부(41)의 나사골보다 큰 내경으로 원형의 홈이 파인 내부결합턱(42)이 형성되고 그 내면에 원형의 요홈으로 된 내부오링홈부(57a)가 형성되어 원형의 탄성오링(20c)이 끼워지는 플레이트너트(4p); 및너트 형태로서 축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외경이 작아지는 내부결합턱(57)이 형성되고 그 외면에 수나사부(71)와 원형의 요홈으로 된 내부오링홈부(57a)가 형성되어 원형의 탄성오링(20c)이 끼워지는 내부로크너트(7c); 및너트 형태로서 내면에 암나사부(81)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로크너트(7c)의 수나사부(71)에 체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외부로크너트(8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나사 마디 철근에 체결하는 나사형 슬리브에 있어서,원통 형태로서 내면에 철근의 나사 마디(11)가 체결되는 암나사부(41)가 형성되며 일단에 내부로 관통되는 결합핀안착홈(42e)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면 모서리가 모따기 되어 용접개선부(48)가 형성되는 용접슬리브(4q); 및너트의 형태로서 축방향의 일단부 외면에 축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외경이 작아지는 내부결합턱(57)이 형성되며 그 외면에 원형의 요홈으로 된 내부오링홈부(57a)가 형성되어 결합핀(9p)이 안착되는 로크너트(5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나사 마디 철근에 체결하는 나사형 슬리브에 있어서,원통 형태로서 내면에 철근의 나사 마디(11)가 체결되는 암나사부(41)가 형성되며 축방향의 일단에 단차를 두면서 암나사부(41)의 나사골보다 큰 내경의 원형 의 홈이 파인 형태로 내부결합턱(42)이 형성되고 그 내면에 내부오링홈부(42a)가 형성되어 탄성오링(20c)이 안착되며 타단에 플레이트(9k)가 결합되는 연결슬리브(4r); 및긴 너트 형태로서 축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외경이 작아지는 내부결합턱(57)이 형성되고 그 외면에 수나사부(71)와 원형의 요홈으로 된 내부오링홈부(57a)가 형성되어 원형의 탄성오링(20c)이 끼워지는 내부로크너트(7c); 및너트 형태로서 내면에 암나사부(81)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로크너트(7c)의 수나사부(71)에 체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외부로크너트(8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5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9k)의 중앙부에 중심통공(96)이 형성되고 사방 모서리에 거푸집에 못을 박아 고정할 수 있도록 못구멍(97)이 형성되며, 플레이트(9k)의 중심통공(96)에 모르타르나 이물질을 유입을 방지하는 볼트 형태의 보호캡(9m)이 구비되어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47 항 또는 제 48 항 또는 제 49 항 또는 제 50 항 또는 제 51 항 제 52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너트(4n, 4p) 및 연결슬리브(4r)의 외면은 횡단면이 다각으로 형성되고, 로크너트(5c)의 외면은 횡단면이 다각으로 형성되며, 내부로크너트 (7c)의 공구가 체결되는 외면은 횡단면이 다각으로 형성되고, 외부로크너트(8a)의 외면은 횡단면이 다각으로 형성되며, 플레이트너트(4n, 4p)와 연결슬리브(4r)의 외면에 일치마크(40)가 표시되고, 로크너트(5c) 및 내부로크너트(7c)의 외면에 일치마크(53, 79)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나사 마디 철근을 연결하는 나사형 슬리브에 있어서,내면에 철근의 나사 마디(11)가 체결되는 암나사부(101)가 형성되는 하나의 슬리브(100); 및내면에 철근의 나사 마디(11)가 체결되는 암나사부(101)가 형성되고 외면에 미세수나사부(103)가 형성되는 다른 하나의 슬리브(100a); 및일측 단부의 내면은 원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단부걸림턱(201)이 형성되어 상기 하나의 슬리브(100)의 일측 단부면과 맞물리고 내면에 미세암나사부(203)가 형성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슬리브(100a)의 미세수나사부(103)와 나사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결합소켓(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54 항에 있어서, 하나의 슬리브(100b)의 내면의 일측 단부면에 원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내부걸림턱(105)이 형성되고 외면에 외부걸림턱(106)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슬리브(100c)의 내면의 일측 단부면에 원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내부걸림턱(105)이 형성되고, 결합소켓(200a)의 내면에 단차를 두고 내경이 커지는 중간걸림턱(202)이 형성되어 상기 하나의 슬리브(100b)의 외부걸림턱(106)과 맞물리며, 짧은 환봉 형태로 외면에 상기 슬리브(100b)의 내부걸림턱(105)과 맞물리는 걸림턱(301)이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일측면은 철근의 선단부와 접하고 타측면은 테이퍼 형태로 돌출된 테이퍼돌기부(302)가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100b)의 내부에 설치되는 돌기형스토퍼(300)가 형성되고, 짧은 환봉 형태로 외면에 상기 슬리브(100c)의 내부걸림턱(105)과 맞물리는 걸림턱(301)이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일측면은 철근(1)의 선단부와 접하고 타측면은 테이퍼 형태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테이퍼요홈부(402)가 형성되는 요홈형스토퍼(4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54 항에 있어서, 하나의 슬리브(100d)의 내면의 일측 단부면에 내부암나사부(105a)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슬리브(100e)의 내면의 일측 단부면에 일측 단부면에 내부암나사부(105a)가 형성되며, 무두렌치볼트 형태로 외면은 수나사부(303)가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100d)의 내부암나사부(105a)에 나사 체결되며 축방향으로 일측면은 철근(1a)의 선단부와 접하고 타측면은 테이퍼 형태로 돌출된 테이퍼돌기부(302)가 형성되어 상기 하나의 슬리브(100d)의 내면에 설치되는 돌기형스토퍼(300a)가 형성되고, 무두렌치볼트 형태로 외면은 수나사부(403)가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100e)의 내부암나사부(105a)에 나사 체결되며 축방향으로 일측면은 철근 (1)의 선단부와 접하고 타측면은 테이퍼 형태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테이퍼요홈부(402)가 형성되는 요홈형스토퍼(40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54 항 또는 제 55 항 또는 제 56 항에 있어서, 결합소켓(200, 200a, 200b)의 단부걸림턱(201)의 외면은 횡단면이 다각형인 다각부(204)로 형성되고, 슬리브(100a, 100c, 100e)의 일단에 횡단면이 다각형인 다각부(10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제 54 항 또는 제 55 항 또는 제 56 항에 있어서, 결합소켓(200, 200a, 200b)의 외면 전체가 횡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원통형 슬리브 및 로크너트 및 압지소켓 및 내부로크너트 및 외부로크너트 및 연결볼트에 형성된 작은 피치의 보통나사가 한 줄 나사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반원형 슬리브의 양단에 결합 되는 로크너트를 호환성 있는 구조로 치환하여 다양한 조합으로 결합하며, 반원형 슬리브의 양단에 결합 되는 압지소켓과 내부로크너트로 이루어진 결합체 및 압지소켓과 내부로크너트와 외부로크너트로 이루어진 결합체 중에서 호환성 있는 구조로 치환하여 다양한 조합으로 결합하고, 원통형 슬리브의 양단에 결합 되는 로크너트를 호환성 있는 구조로 치환하여 다양한 조합으로 결합하며, 원통형 슬리브의 양단에 결합 되는 내부로크너트와 외부로크너트로 이루어진 결합체 중에서 호환성 있는 구조로 치환하여 다양한 조합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3138U KR200409526Y1 (ko) | 2005-11-23 | 2005-11-23 |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3138U KR200409526Y1 (ko) | 2005-11-23 | 2005-11-23 |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2393A Division KR20070054417A (ko) | 2005-11-23 | 2005-11-23 |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9526Y1 true KR200409526Y1 (ko) | 2006-03-03 |
Family
ID=4175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313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09526Y1 (ko) | 2005-11-23 | 2005-11-23 |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9526Y1 (ko) |
Cited B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9706A (ko) * | 2012-06-27 | 2015-03-18 | 엠3에스 홀딩스 피티와이 엘티디 | 강화 커플러 및 칼럼 정렬 장치 조합 |
WO2015170856A1 (ko) * | 2014-05-07 | 2015-11-12 | 김용근 |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
KR101720515B1 (ko) * | 2016-11-18 | 2017-03-28 |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 나사형 철근 커플러 |
KR101859143B1 (ko) * | 2017-10-17 | 2018-05-17 | (주)씨엔피텍 | 철근이음장치 |
KR20180126931A (ko) * | 2017-05-19 | 2018-11-28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강근의 기계식 커플러 |
KR20180126930A (ko) * | 2017-05-19 | 2018-11-28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강근의 기계식 정착구 |
KR20190000235A (ko) * | 2017-06-22 | 2019-01-02 | 전병수 | 철근 커플링 장치 |
KR101941127B1 (ko) * | 2018-07-13 | 2019-01-22 |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 철근 이음용 커플러 |
JP2019178506A (ja) * | 2018-03-30 | 2019-10-17 | 株式会社フジタ | 充填材収容部材およびねじ節鉄筋の連結構造 |
US10472826B2 (en) | 2014-05-09 | 2019-11-12 | Eun Kwan KI | Reinforcing bar coupler for spiral reinforcing bar |
CN111502129A (zh) * | 2020-04-23 | 2020-08-07 | 南京奎道科技有限公司 | 一种锥筒夹片式钢筋连接件 |
CN113740598A (zh) * | 2021-08-31 | 2021-12-03 |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钦州供电局 | 一种可续接型高压验电器 |
KR20220152663A (ko) * | 2021-05-10 | 2022-11-17 | 기범석 | 철근연결구 |
CN115387332A (zh) * | 2022-08-26 | 2022-11-25 | 中亿丰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实心方桩桩头螺纹连接损坏修补装置以及修补方法 |
KR102477305B1 (ko) * | 2021-06-30 | 2022-12-14 | 주식회사 스마트커플러 | 콘크리트구조물의 거푸집용 철근연결구 |
CN115749144A (zh) * | 2022-11-28 | 2023-03-07 |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 一种双锥式钢筋连接器及连接方法 |
EP4148201A1 (de) * | 2021-09-08 | 2023-03-15 | DUCA Systems AG | Verschlusselement, muffe, bewehrungsstab-verbindung, und bewehrungsstab sowie konfektionierungsverfahren |
CN115928946A (zh) * | 2022-12-31 | 2023-04-07 |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 可快速安装的直螺纹套筒 |
KR102528930B1 (ko) * | 2022-08-29 | 2023-05-03 | (주)선윤티엔씨 | 수동 압착식 철근 커플러 |
CN116922295A (zh) * | 2023-08-08 | 2023-10-24 | 江苏速通自动化有限公司 | 一种滚珠丝杆加工用限位工装 |
KR20240017532A (ko) * | 2022-08-01 | 2024-02-08 | 문수만 | 쐐기형 철근 커플러 및 그 조립용 지그장치 |
KR20240060908A (ko) * | 2022-10-31 | 2024-05-08 | 기범석 | 원터치 철근연결구 |
JP7555691B2 (ja) | 2022-05-12 | 2024-09-25 | 合同製鐵株式会社 | ネジ節鉄筋用カプラーおよびそのカプラーが具備されたネジ節鉄筋 |
CN118756929A (zh) * | 2024-09-05 | 2024-10-11 | 山西建筑工程集团有限公司 | 一种全地形脚手架底托结构 |
AU2022221516B2 (en) * | 2021-05-04 | 2025-02-06 | Illinois Tool Works Inc. | Coupler and coupling method including threaded connecting device |
-
2005
- 2005-11-23 KR KR2020050033138U patent/KR200409526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9706A (ko) * | 2012-06-27 | 2015-03-18 | 엠3에스 홀딩스 피티와이 엘티디 | 강화 커플러 및 칼럼 정렬 장치 조합 |
EP2867422A4 (en) * | 2012-06-27 | 2016-03-23 | M3S Holdings Pty Ltd | COMBINATION REINFORCEMENT COUPLER AND COLUMN ALIGNMENT DEVICE |
KR102166001B1 (ko) * | 2012-06-27 | 2020-10-16 | 엠3에스 아이피 피티와이 엘티디 | 강화 커플러 및 칼럼 정렬 장치 조합 |
US9840844B2 (en) | 2012-06-27 | 2017-12-12 | M3S Holdings Pty Ltd | Combination reinforcing coupler and column alignment device |
WO2015170856A1 (ko) * | 2014-05-07 | 2015-11-12 | 김용근 | 중공형재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
US10472826B2 (en) | 2014-05-09 | 2019-11-12 | Eun Kwan KI | Reinforcing bar coupler for spiral reinforcing bar |
KR101720515B1 (ko) * | 2016-11-18 | 2017-03-28 |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 나사형 철근 커플러 |
KR20180126931A (ko) * | 2017-05-19 | 2018-11-28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강근의 기계식 커플러 |
KR20180126930A (ko) * | 2017-05-19 | 2018-11-28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강근의 기계식 정착구 |
KR102101387B1 (ko) * | 2017-05-19 | 2020-04-17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강근의 기계식 커플러 |
KR102102358B1 (ko) * | 2017-05-19 | 2020-04-21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강근의 기계식 정착구 |
KR20190000235A (ko) * | 2017-06-22 | 2019-01-02 | 전병수 | 철근 커플링 장치 |
KR102011857B1 (ko) * | 2017-06-22 | 2019-08-20 | 전병수 | 철근 커플링 장치 |
KR101859143B1 (ko) * | 2017-10-17 | 2018-05-17 | (주)씨엔피텍 | 철근이음장치 |
JP2019178506A (ja) * | 2018-03-30 | 2019-10-17 | 株式会社フジタ | 充填材収容部材およびねじ節鉄筋の連結構造 |
JP7060428B2 (ja) | 2018-03-30 | 2022-04-26 | 株式会社フジタ | 充填材収容部材およびねじ節鉄筋の連結構造 |
KR101941127B1 (ko) * | 2018-07-13 | 2019-01-22 |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 철근 이음용 커플러 |
CN111502129A (zh) * | 2020-04-23 | 2020-08-07 | 南京奎道科技有限公司 | 一种锥筒夹片式钢筋连接件 |
AU2022221516B2 (en) * | 2021-05-04 | 2025-02-06 | Illinois Tool Works Inc. | Coupler and coupling method including threaded connecting device |
KR20220152663A (ko) * | 2021-05-10 | 2022-11-17 | 기범석 | 철근연결구 |
KR102547671B1 (ko) * | 2021-05-10 | 2023-06-23 | 기범석 | 철근연결구 |
KR102477305B1 (ko) * | 2021-06-30 | 2022-12-14 | 주식회사 스마트커플러 | 콘크리트구조물의 거푸집용 철근연결구 |
CN113740598A (zh) * | 2021-08-31 | 2021-12-03 |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钦州供电局 | 一种可续接型高压验电器 |
EP4148201A1 (de) * | 2021-09-08 | 2023-03-15 | DUCA Systems AG | Verschlusselement, muffe, bewehrungsstab-verbindung, und bewehrungsstab sowie konfektionierungsverfahren |
CN119173670A (zh) * | 2022-05-12 | 2024-12-20 | 合同制铁株式会社 | 螺纹节钢筋用耦合器及具备该耦合器的螺纹节钢筋 |
JP7555691B2 (ja) | 2022-05-12 | 2024-09-25 | 合同製鐵株式会社 | ネジ節鉄筋用カプラーおよびそのカプラーが具備されたネジ節鉄筋 |
KR102732780B1 (ko) * | 2022-08-01 | 2024-11-20 | 문수만 | 쐐기형 철근 커플러 및 그 조립용 지그장치 |
KR20240017532A (ko) * | 2022-08-01 | 2024-02-08 | 문수만 | 쐐기형 철근 커플러 및 그 조립용 지그장치 |
CN115387332B (zh) * | 2022-08-26 | 2024-05-14 | 中亿丰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实心方桩桩头螺纹连接损坏修补装置以及修补方法 |
CN115387332A (zh) * | 2022-08-26 | 2022-11-25 | 中亿丰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实心方桩桩头螺纹连接损坏修补装置以及修补方法 |
KR102528930B1 (ko) * | 2022-08-29 | 2023-05-03 | (주)선윤티엔씨 | 수동 압착식 철근 커플러 |
KR20240060908A (ko) * | 2022-10-31 | 2024-05-08 | 기범석 | 원터치 철근연결구 |
KR102760266B1 (ko) * | 2022-10-31 | 2025-01-24 | 기범석 | 원터치 철근연결구 |
CN115749144A (zh) * | 2022-11-28 | 2023-03-07 |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 一种双锥式钢筋连接器及连接方法 |
CN115928946A (zh) * | 2022-12-31 | 2023-04-07 |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 可快速安装的直螺纹套筒 |
CN116922295A (zh) * | 2023-08-08 | 2023-10-24 | 江苏速通自动化有限公司 | 一种滚珠丝杆加工用限位工装 |
CN118756929A (zh) * | 2024-09-05 | 2024-10-11 | 山西建筑工程集团有限公司 | 一种全地形脚手架底托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09526Y1 (ko) |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
KR20070054417A (ko) |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
KR100791619B1 (ko) | 철근 연결구 | |
KR101378723B1 (ko) |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 |
KR101988611B1 (ko) | 슬립 방지 철근 커플러 | |
US20040071507A1 (en) | Reinforcing bar coupling | |
US5664902A (en) | Tubular coupler for concrete reinforcing bars | |
KR101014543B1 (ko) |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 연결구 | |
KR101132690B1 (ko) | 철근 연결구 | |
KR100730540B1 (ko) | 철근 연결구 | |
JPH01158158A (ja) | コンクリート補強棒用連結具 | |
KR102743300B1 (ko) | 철근 커플러 | |
GB2494775A (en) | Coupling assembly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or prestressing wires in a coaxial configuration. | |
US20070248405A1 (en) | Mechanical reinforcing bar coupler based on bar deformations | |
KR20190064240A (ko) | 철근 연결용 커플링 및 그 철근 연결용 커플링을 이용한 연결방법 | |
KR102192741B1 (ko) | 걸쇠 일체형 이형철근 이음장치 | |
KR101525762B1 (ko) | 시공성과 안전성을 보강한 철근용 커플링 및 철근 커플링 결합구조와 결합방법 | |
KR200404177Y1 (ko) |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 연결구 | |
JP2023502799A (ja) | 鉄筋のつなぎのための平行‐テーパー一体型ねじ結合構造 | |
KR200415099Y1 (ko) | 철근 연결구 | |
KR102301458B1 (ko) | 철근 이음용 커플러 | |
KR101160532B1 (ko) | 철근 연결구 | |
KR102192982B1 (ko) | 간편 연결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 |
KR20190040393A (ko) |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 |
KR20190027066A (ko) |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7 |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3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2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123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6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20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Patent event date: 20080709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
|
G701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 ||
U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date: 20080715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60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