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5550Y1 - 파이프 써포트 - Google Patents

파이프 써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550Y1
KR200405550Y1 KR2020050030500U KR20050030500U KR200405550Y1 KR 200405550 Y1 KR200405550 Y1 KR 200405550Y1 KR 2020050030500 U KR2020050030500 U KR 2020050030500U KR 20050030500 U KR20050030500 U KR 20050030500U KR 200405550 Y1 KR200405550 Y1 KR 200405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pipe
connector
support
inner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덕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산시스템
Priority to KR2020050030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5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55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구조물의 시공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받쳐주도록 가설하거나, 건축구조물의 개축이나 증축시 건물 외측에 가설 구조물로 사용하는 파이프 써포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관과 내관 2개의 파이프로 구성되며 내관은 외관의 내경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방식으로 길이가 신장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상의 파이프 써포트 외관에 체결구를 형성하며 내관의 임의 위치에 연결구를 삽입 고정하여 가로횡부재 또는 대각선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단독적으로 설치하던 파이프 써포트를 수평 또는 대각선부재로 서로 연결하여 구조체로 조립 가능토록하며, 이로 인해 견고한 가설 구조체를 얻도록 함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본 고안은 파이프 써포트의 외관에 다른 파이프 써포트 외관을 연결하는 2 -3 개의 체결구를 가지며 상기 체결구에는 양단에 걸림수단을 갖는 횡연결대로 연결하며, 외관의 내경에 삽입되는 내관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연결구를 1 - 2개 삽입하고 연결구의 단관파이프의 결합구멍과 내관의 체결구멍을 지지핀으로 결합하여 연결구를 내관의 임의 위치에 고정하며 상기 연결구와 또 다른 파이프 써포트의 내관의 연결구를 횡연결대로 연결토록 파이프 써포트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써포트, 가설재

Description

파이프 써포트{pipe support}
도1 본 고안의 분해 정면도
도2 본 고안의 내관부 사용상태 분해 사시도
도3 본 고안의 내관부 사용상태 분해 사시도
도4 본 고안에 있어 내관에 연결구를 지지핀으로 체결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5 본 고안에 있어 내관에 연결구를 고정한 것을 보인 단면도
도6 본 고안에 있어 연결구의 사시도
도7 본 고안에 있어 내관에 연결구를 결합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8 본 고안의 타실시 예의 사시도
도9 본 고안의 타실시 예의 사시도
도10 본 고안에 있어 연결구의 타실시 예의 사시도
도11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12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13 종래 파이프 써포트의 정면도
본 고안은 건축 구조물의 시공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받쳐주도록 가설하거나, 건축구조물의 개축이나 증축시 건물 외측에 가설 구조물로 사용하는 파이프 써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써포트는 외관과 내관 2개의 파이프로 구성되며 내관은 외관의 내경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종래 파이프 써포트는 도13에서 보는 바와같이, 외관(11)의 상단부에 숫나사(12)를 가지며, 숫나사부(12)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장홈(13)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하며, 외관(11)의 내경에 삽입되는 내관(21)에는 일정 간격을 띄고 관통된 다수개의 체결구멍(22)을 가져, 내관(21)을 외관(11)의 내경에 삽입한 후 내관(21)의 체결구멍(22)과 외관(11) 상단부 숫나사부(12)에 형성한 장홈(13)을 일치시킨 후 외관(11)의 장홈(13)과 내관(21)의 체결구멍(22)을 지지핀(23)으로 체결하여 외관과 내관을 결합하며 상기 외관(11)의 숫나사부(12)에, 높이조절구(14)를 결합하고 높이조절구(14)를 나사부(13)을 상,하강시켜 외관(11)의 내경에 삽입된 내관(21)의 높이를 미세조정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파이프 써포트에 관한 실용신안으로는,
실용신안 공고번호 20-0215928호 "파이프 서포트 받이판 미끄럼 방지 장치"와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37455호 "가설용 파이프 써포트"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 써포트는 외관과 내관의 길이가 길지않아 천정 슬라브용 거푸집을 지지하는 용도로 한정적으로 사용되며, 건물의 개축이나 증축시 또는 고가도로와 같이 높은 건축 구조물의 건설 가설재로는 용이하게 사용되지 못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건물의 개축이나 증축시 임시로 설치하는 가설재나, 고가도로와 같이 높이가 높은 구조물을 구축할 때에는 길이가 길며 가로횡부재나 대각선 부재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체결부를 갖는 가설재인 시스템 써포트(system support)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스템써포트는 길이 방향으로 파이프와 파이프를 맞대어 길이를 신장하는 연결수단을 가지며 수평(가로횡부재)이나 대각선으로 써포트와 써포트를 서로 연결하는 체결부를 가져 입체적인 가설 구조체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파이프 써포트는 가로횡부재나, 또는 대각선부재 등으로 써포트와 또 다른 서포트를 서로 연결하여 주는 수단을 갖지 못하며, 단지 외관 내경에 내관이 삽입되어 상·하로 파이프의 길이 만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고안은 파이프 써포트에 시스템 써포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파이프 써포트와 또 다른 파이프 써포트를 가로횡부재나, 대각선부재로 서로 연결하여 구조체(입방체)로 구성가능토록 한 것으로, 외관에 다수개의 체결부를 형성하며, 외관의 내경에 삽입되는 내관의 임의 위치에 가로횡부재 또는 대각선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체결수단을 갖도록 한 파이프 써포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건축 구조물 시공시 천장 슬라브 거푸집을 지지하여 주는 용도로 사용하는 통상의 파이프 써포트의 외관에 체결구를 형성하며, 외관의 내경에 삽입하는 내관에 내관의 임의 위치에 조립 설치 가능한 연결구를 삽입 고정하여 가로횡 부재 또는 대각선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통상 단독적으로 설치하던 파이프 써포트를 수평 또는 대각선으로 서로 연결 가능 토록하며, 이로인해 견고한 가설 구조체를 얻도록 함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즉, 종래 파이프 서포트는 단지 길이를 조절 가능토록 외관의 내경에 내관을 삽입한 구조를 갖는 것을 볼 수 있으나, 본 고안은 종래 파이프 써포트와 같이 외관과 내관으로 구성되어, 내관의 길이를 신장하여 전체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관에는 다수개(2-3개)의 체결부를 일체로 가지며, 내관에는 가로횡 부재나 대각선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수단을 갖도록 하여 파이프 써포트와 또다른 파이프 써포트를 횡으로 연결하여 구조체로 조립형성하며, 이로인해 견고한 가설 구조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외관(11)의 상단부에 나사부(12)를 가지며, 나사부에는 관통된 장홈(13)을 가지며, 상기 나사부(12)에는 높이조절구(14)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외관(11)의 내경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된 체결구멍(22)을 갖는 내관(21)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관(11)의 상단 나사부(12)에는 내관(21)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14)를 갖는 파이프 써포트에 있어서,
외관(11)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외관(11)과 일체로 고정되는 2-3개의 횡연결대(31)를 고정하는 체결구(51)를 가지며, 상기 체결구(51)에는 횡연결대(31)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체결구멍(51-1)을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외관(11)의 내경으로 삽입되는 내관(21)에는 내관(21)에 형성된 관통된 임의 체결구멍(22)에 결 합되는 1 - 2개의 연결구(41)를 가지며, 상기 연결구(41)는 단관파이프(42)에 지지핀(45)이 결합되는 관통된 결합구멍(42-1)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다수개의 체결구멍(44-1)을 갖는 체결판(44)을 일체로 고정토록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체결구(51)의 테두리에는 체결구(51)를 보강하며, 이에 체결되는 횡연결대(31)와,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보강테두리(51-3)을 갖도록 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41)를 구성하는 체결판(44) 외주에 체결판(44) 및 체결구멍(44-1)을 보강하는 보강테두리(44-5)를 갖도록 이를 구성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33)는 횡연결대(31)를 고정하는 고정핀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높은 높이의 건설지지물 즉 높은 천정 슬리브나 고가도로와 같이 높이가 높은 구조물을 용이하게 지지하는 파이프 써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파이프 써포트는 2~3m의 천장 슬리브 구축용으로 제작되므로 높이가 높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강당 등과 같이 천장의 높이가 높은 구조물이나, 고가도로와 같이 높이가 높은 구축물을 축조함에 있어서는 종래의 파이프 써포트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높이가 높은 구조물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써포트나, 별도로 특수하게 제작한 가설재를 사용하였다.
특히 종래 파이프 써포트는 그 길이가 짧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 써포트와 다 른 파이프 써포트를 연결하는 횡연결대를 체결하는 수단을 갖지 못해, 종래의 파이프 써포트로는 구조체를 구축할 수 없었으며, 단지 낮은 높이의 천장슬리브 구축용으로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고안은 높은 높이의 천장 슬라브나 고가도로와 같이 높이가 높은 구조물을 용이하게 지지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으로 파이프 써포트와 또다른 파이프 써포트를 서로 연결하여 주는 체결 수단을 갖도록 하여 높은 높이의 구조물을 용이하게 지지해주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파이프 써포트의 외관(11)의 외주면에 2-3개의 체결구(51)를 일체로 용접으로 부착하며, 외관(11)의 내경에 삽입되는 내관(21)의 임의 위치에 연결구(41)를 1 - 2개 삽입 고정한 파이프 써포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파이프 써포트와 또 다른 파이프 써포트를 횡연결대(31)로 서로 연결하여 구조체를 형성하게 된다.
즉, 파이프 써포트의 외관(11)과 다른 파이프 써포트 외관(11)에 용접으로 일체로 부착한 체결구(51)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구(51)에 양단에 걸림수단을 갖는 횡연결대(31)로 연결하며, 외관(11)의 내경에 삽입되는 내관(21)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연결구(41)를 1 - 2개 삽입하고 연결구(41)의 단관파이프(42)의 결합구멍(42-1)과 내관(21)의 체결구멍(22)을 지지핀(45)으로 결합하여 연결구(41)를 내관(21)의 임의 위치에 고정하며 상기 연결구(41)와 또 다른 파이프 써포트의 내관의 연결구(41)를 횡연결대(31)로 연결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용접에 의해 부착되는 체결구(51)는 외관(11)의 외주에 삽입 되어 용접에 의해 부착되는 체결구(51)는 체결구멍(51-1)에 횡연결대(31)가 체결되어 또다른 외관(11)을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체결구(51)의 체결구멍(51-1)에는 힘이 가해져서, 전단응력이 발생되어지며, 던진다는 등 취급을 함부로 할 경우 체결구(51_가 부러지거나 휘어지는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감안하여 체결구(51)의 외주테두리를 보강하는 보강테두리(51-3)을 형성하여 체결구(51)를 보강토록 본 고안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내관(21)에 임의 간격으로 형성된 체결구멍(22)에 지지핀(45)로 결합되는 연결구(41)를 구성하는 체결판(44) 외주에 보강테두리(44-5)를 형성하여 연결구(41)가 보강되도록 본 고안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파이프 써포트와 또 다른 파이프 써포트를 횡으로 서로 연결하여 구조체를 형성 가능토록 하고 이로 인해 견고한 가설 지지물을 얻을 수 있는 파이프 써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파이프 써포트는 하나 하나가 독립적으로 사용되어 상방의 구조물을 지지하여 주는 용도로 사용되었지 또 다른 파이프 써포트를 소로 연결하여 주는 구성을 갖지 못하였다.
따라서 종래 파이프 써포트는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다른 용도로는 사용되고 있지못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파이프 써포트 외관에 용접으로 체결구를 2 - 3개 부착하 여 횡연결대로 파이프 써포트를 서로 연결 가능토록 하며, 외관의 내경에 삽입되며 통상 다수개의 체결구멍을 갖는 내관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연결구를 지지핀으로 고정하여 내관과 또 다른 내관을 횡연결대로 결합하여 파이프 써포트의 상하를 서로 연결하여주게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파이프 써포트와 파이프 써포트를 서로 연결 고정시켜 견고한 가설 지지물을 얻게 되는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외관(11)의 상단부에 나사부(12)를 가지며, 나사부에는 관통된 장홈(13)을 가지며, 상기 나사부(12)에는 높이조절구(14)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외관(11)의 내경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된 체결구멍(22)을 갖는 내관(21)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관(11)의 상단 나사부(12)에는 내관(21)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14)를 갖는 파이프 써포트에 있어서,
    외관(11)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외관(11)과 일체로 고정되는 2-3개의 횡연결대(31)를 고정하는 체결구(51)를 가지며, 상기 체결구(51)에는 횡연결대(31)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체결구멍(51-1)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써포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외관(11)의 내경으로 삽입되는 내관(21)에는 내관(21)에 삽입되는 1 - 2개의 연결구(41)를 가지며, 상기 연결구(41)는 단관파이프(42)의 체결구멍(22)에 지지핀(45)으로 결합되는 관통된 결합구멍(42-1)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다수개의 체결구멍(44-1)을 갖는 체결판(44)을 일체로 고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써포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체결구(51)의 테두리에는, 체결구(51)를 보강하며, 이에 체결되는 횡연결대(31)와,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보강테두리(51-3)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써포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연결구(41)를 구성하는 체결판(44) 외주에는 체결판(44) 및 체결구멍(44-1)을 보강하는 보강테두리(44-5)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써포트.
KR2020050030500U 2005-10-27 2005-10-27 파이프 써포트 Expired - Fee Related KR200405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500U KR200405550Y1 (ko) 2005-10-27 2005-10-27 파이프 써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500U KR200405550Y1 (ko) 2005-10-27 2005-10-27 파이프 써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550Y1 true KR200405550Y1 (ko) 2006-01-11

Family

ID=4175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50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05550Y1 (ko) 2005-10-27 2005-10-27 파이프 써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55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130A (ko) * 2017-06-29 2019-01-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스템 동바리
KR20200040023A (ko) * 2018-10-08 2020-04-17 장윤근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
DE102018125702A1 (de) * 2018-10-17 2020-04-23 Wilhelm Layher Verwaltungs-Gmbh Stütze
WO2023180121A1 (de) * 2022-03-25 2023-09-28 Peri Se Vertikalstiel für ein gerüst, gerüs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tikalstiels
KR20240042939A (ko) * 2022-09-26 2024-04-02 주식회사 서연시스템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130A (ko) * 2017-06-29 2019-01-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스템 동바리
KR101974725B1 (ko) * 2017-06-29 2019-05-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스템 동바리
KR20200040023A (ko) * 2018-10-08 2020-04-17 장윤근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
KR102139864B1 (ko) * 2018-10-08 2020-07-30 장윤근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
DE102018125702A1 (de) * 2018-10-17 2020-04-23 Wilhelm Layher Verwaltungs-Gmbh Stütze
WO2023180121A1 (de) * 2022-03-25 2023-09-28 Peri Se Vertikalstiel für ein gerüst, gerüs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tikalstiels
KR20240042939A (ko) * 2022-09-26 2024-04-02 주식회사 서연시스템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KR102728931B1 (ko) * 2022-09-26 2024-11-13 주식회사 서연시스템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28475A1 (zh) 装配式住宅的预制墙体
KR20200136755A (ko) 후시공 pc 발코니
WO2017028476A1 (zh) 装配式建筑物的预制吊装墙体
KR200405550Y1 (ko) 파이프 써포트
KR102128291B1 (ko) 철근 콘크리트 천장의 단열재 고정장치
KR20140137598A (ko)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
KR102079030B1 (ko) 트러스형 거푸집 서포트 어셈블리
KR20080095407A (ko) 파이프 써포트용 연결구
US20170016237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Creating a Wall from a Flowable Material
US20100162651A1 (en) Concrete roof panel
CN111021593A (zh) 装配式剪力墙板连接装置及剪力墙板装配方法
KR102452514B1 (ko) 단열재가 구비된 건축물 일체형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KR100711588B1 (ko) 낙하물 방지망 설치구조
KR102247640B1 (ko)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내진보강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마감구조체
KR102221921B1 (ko) 강봉을 이용한 조적조 건물의 면내, 면외 및 접합부의 내진보강 공법
JP2967816B1 (ja) バルコニーの構造
KR200421012Y1 (ko) 파이프 써포트용 아답타
KR102619646B1 (ko) 전산 볼트 설치용 비구조 내진 장치
KR102747076B1 (ko) 다목적 타일 파스너와 분리형 타일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타일 설치 기구
KR0152401B1 (ko) 거푸집 판넬 조립체
KR101153869B1 (ko) 교량용 외장재 고정 구조물
KR102824447B1 (ko) 보강형 타일 파스너와 이를 이용한 보강형 타일 설치 기구
KR200286055Y1 (ko)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KR102149289B1 (ko) 시공 편의성이 개선된 방수단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102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0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120328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