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560A - 사용자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101560A KR20040101560A KR10-2004-7017215A KR20047017215A KR20040101560A KR 20040101560 A KR20040101560 A KR 20040101560A KR 20047017215 A KR20047017215 A KR 20047017215A KR 20040101560 A KR20040101560 A KR 200401015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s
- sensor
- control signal
- keys
- respons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13479 data ent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26058 directional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78 mi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3)
- 손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제1 센서 및 거기에 인접한 제2 센서를 포함하는, 사용자에 의한 접촉식 작동(tactile actuation)을 위한 복수개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및상기 제1 센서만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1 제어 신호를 만들어 내고, 상기 제2 센서만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서로 다른 제2 제어 신호를 만들어 내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들 공동의 동시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제어 신호들과 서로 다른 제3 제어 신호를 만들어 내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개의 센서들은센서들의 제1 쌍을 구성하는, 제2 센서에 인접한 제1 센서, 및 센서들의 제2 쌍을 구성하는, 상기 제2 센서에 인접한 제3 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들의 제1 집합; 및센서들의 제3 쌍을 구성하는, 제5 센서에 인접한 제4 센서, 및 센서들의 제4 쌍을 구성하는, 상기 제5 센서에 인접한 제6 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들의 제2 집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센서들의 상기 쌍들은 하나의 디지트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도록 위치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센서들의 상기 제1 집합은 센서들의 상기 제2 집합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여섯 개의 센서들 중에서 적어도 네 개 중 각각 하나에 관한 사용자 작동에 응답하여 네 개의 서로 다른 제어 신호들 중 각각 하나를 제공하고, 상기 센서들의 제1, 제2, 제3, 제4 쌍들 중 각각 하나의 사용자 작동에 응답하여 네 개의 서로 다른 부가적인 제어 신호 중 각각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수단은(a) 상기 제2 센서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1 제어 신호;(b) 상기 제1 센서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2 제어 신호;(c) 상기 제1 및 제2들의 동시 작동에 응답하여 제3 제어 신호;(d) 상기 제3 센서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4 제어 신호;(e) 상기 제2 및 제3 센서들의 동시 작동에 응답하여 제5 제어 신호;(f) 상기 제5 센서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6 제어 신호;(g) 상기 제5 및 제6 센서들의 동시 작동에 응답하여 제7 제어 신호; 및(h) 상기 제4 및 제5 센서들의 동시 작동에 응답하여 제8 제어 신호를 만들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4 센서만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만들어 내고,상기 제6 센서만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제어 신호를 만들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수단은 키들의 동시 작동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개의 센서들은 2 x 3 또는 3 x 2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센서들을 각각 작동하는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키들을 가지는 키패드이고, 상기 키패드에 의하여 상기 센서들의 제1, 제2, 제3, 제4 쌍들은 이에 대응하는 키들의 제1, 제2, 제3, 제4 쌍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키들의 각각의 쌍들은 하나의 디지트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도록 위치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10 또는 제11항에 있어서,키들의 상기 쌍들은 하나의 디지트를 굴리거나 피벗팅하는(rolling or pivoting)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위치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제2 및 제3 키들은 곡선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제2 및 제3 키들은 직선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4, 제5 및 제6 키들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키들에 실질적으로 병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키들이 배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키들이 20밀리미터 바이(by) 15밀리미터를 현저히 초과하지 않는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키패드는 이동 전화기 키들의 4 x 3 배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키패드는 타이피스트(typist)의 키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10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데이터 엔트리 모드를 가지는 것으로서,복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상기 키패드는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사용되고,상기 데이터 엔트리 모드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제1 키 및 제2 키의 동시가 아닌 별개의 작동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제어 신호들을 만들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움직이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제1 방향으로 상기 구성 요소를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제2 방향으로 상기 구성 요소를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제3 제어 신호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들의 중간인 제3 방향으로 상기 구성 요소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는 가공의 조망 위치(notional viewing position)에 종속하는 원근감(perspective)을 가지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제1 방향으로 가공의 조망 위치를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제2 방향으로 상기 가공의 조망 위치를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제3 제어 신호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들의 중간인 제3 방향으로 상기 가공의 조망 위치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손 휴대용 장치의 키패드의 센서들을 사용하여 방향성 제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복수개의 센서들 중 각각 하나로부터 입력을 동시에 센싱(sensing)하는 단계;미리 정해진 동시 입력들의 결합과 미리 정해진 제어 신호들과 관련시키는 단계;제1 센서만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1 제어 신호를 만들어 내고, 제2 센서만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2 제어 신호를 만들어 내고, 제1 센서 및 제2 센서가 함께 작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3 제어 신호를 만들어 내기 위하여, 입력들의 동시 결합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8-방향 방향성 제어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센서들의 제1 쌍을 구성하는, 제2 센서에 인접한 제1 센서, 및 센서들의 제2쌍을 구성하는, 상기 제2 센서에 인접한 제3 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들의 제1 집합; 및 센서들의 제3 쌍을 구성하는, 제5 센서에 인접한 제4 센서, 및 센서들의 제4 쌍을 구성하는, 상기 제5 센서에 인접한 제6 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들의 상기 제2 집합에 인접한 센서들의 제2 집합을 포함하고,상기 여섯 개의 센서들 중에서 적어도 네 개 중의 각각 하나의 사용자 작동은 네 개의 서로 다른 방향들 중의 각각 하나의 방향으로의 제어를 제공하고,센서들의 상기 제1, 제2, 제3, 제4 쌍들 중의 각각 하나의 사용자 작동은 상기 남아 있는 네 개의 서로 다른 방향들 중의 각각 하나의 방향으로의 제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센서들의 상기 쌍들은 하나의 디지트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도록 위치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 제24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개의 센서들은 2 x 3 또는 3 x 2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센서들을 각각작동하는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키들을 가지는 키패드이고, 상기 키패드에 의하여 상기 센서들의 제1, 제2, 제3, 제4 쌍들은 이에 대응하는 키들의 제1, 제2, 제3, 제4 쌍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 제27항에 있어서,키들의 각각의 쌍들은 하나의 디지트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도록 위치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 제27 또는 제28항에 있어서,키들의 상기 쌍들은 하나의 디지트를 굴리거나 피벗팅하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위치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제2 및 제3 키들은 곡선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제2 및 제3 키들은 직선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 제2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4, 제5 및 제6 키들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키들에 실질적으로 병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키들이 배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 제2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키들이 20밀리미터 바이 15밀리미터를 현저히 초과하지 않는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 제27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키패드는 이동 전화기 키들의 4 x 3 배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 제27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키패드는 타이피스트의 키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 제2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의 사용자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손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상기 제어 수단은(a) 상기 제2 센서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1 제어 신호;(b) 상기 제1 센서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2 제어 신호;(c) 상기 제1 및 제2들의 동시 작동에 응답하여 제3 제어 신호;(d) 상기 제3 센서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4 제어 신호;(e) 상기 제2 및 제3 센서들의 동시 작동에 응답하여 제5 제어 신호;(f) 상기 제5 센서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6 제어 신호;(g) 상기 제5 및 제6 센서들의 동시 작동에 응답하여 제7 제어 신호; 및(h) 상기 제4 및 제5 센서들의 동시 작동에 응답하여 제8 제어 신호를 만들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37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4 센서만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만들어 내고,상기 제6 센서만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제어 신호를 만들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37항 또는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수단은 키들의 동시 작동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데이터 엔트리 모드를 가지는 것으로서,복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상기 키패드는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사용되고,상기 데이터 엔트리 모드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제1 키 및 제2 키의 동시가 아닌 별개의 작동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제어 신호들을 만들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움직이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제1 방향으로 상기 구성 요소를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제2 방향으로 상기 구성 요소를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제3 제어 신호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들의 중간인 제3 방향으로 상기 구성 요소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는 가공의조망 위치에 종속하는 원근감을 가지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제1 방향으로 가공의 조망 위치를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제2 방향으로 상기 가공의 조망 위치를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제3 제어 신호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들의 중간인 제3 방향으로 상기 가공의 조망 위치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휴대용 장치.
- 센서들의 제1 쌍을 구성하는, 제2 센서에 인접한 제1 센서, 및 센서들의 제2 쌍을 구성하는, 상기 제2 센서에 인접한 제3 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들의 제1 집합; 및 센서들의 제3 쌍을 구성하는, 제5 센서에 인접한 제4 센서, 및 센서들의 제4 쌍을 구성하는, 상기 제5 센서에 인접한 제6 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들의 상기 제2 집합에 인접한 센서들의 제2 집합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8-방향 방향성 제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센서들 중 미리 정해진 센서를 제1 네 개의 직교 방향들 중 하나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하는 단계;상기 센서들 중 네 개의 쌍들 중 미리 정해진 쌍을, 상기 제1 네 개의 직교 방향들과 45도(degree)의 오프셋을 가지는, 제2의 네 개의 직교 방향들 중 하나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GB2002/001878 WO2003091866A1 (en) | 2002-04-26 | 2002-04-26 | User interfa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1560A true KR20040101560A (ko) | 2004-12-02 |
Family
ID=2926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17215A KR20040101560A (ko) | 2002-04-26 | 2002-04-26 | 사용자 인터페이스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414614B2 (ko) |
EP (1) | EP1499945A1 (ko) |
KR (1) | KR20040101560A (ko) |
CN (1) | CN1625728B (ko) |
AU (1) | AU2002251327A1 (ko) |
WO (1) | WO200309186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60042B2 (en) * | 2002-09-11 | 2007-01-09 | Burrell Iv James W | Two sensor movement |
US20090312847A1 (en) * | 2002-09-11 | 2009-12-17 | Burrell Iv James W | Two sensor control |
US9098118B2 (en) * | 2004-10-20 | 2015-08-04 | Robert R. Kodama | Computer keyboard with pointer control |
US20060092177A1 (en) * | 2004-10-30 | 2006-05-04 | Gabor Blasko |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actile guidance and bi-directional segmented stroke |
US7511700B2 (en) * | 2005-03-14 | 2009-03-31 | Palm, Inc. | Device and technique for assigning different inputs to keys on a keypad |
US7525534B2 (en) | 2005-03-14 | 2009-04-28 | Palm, Inc. | Small form-factor keypad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
US9142369B2 (en) | 2005-03-14 | 2015-09-22 | Qualcomm Incorporated | Stack assembly for implementing keypads on mobile computing devices |
US7623118B2 (en) | 2005-03-14 | 2009-11-24 | Palm, Inc. | Actuation mechanism for use with keyboards on mobile computing devices |
US7394030B2 (en) | 2005-06-02 | 2008-07-01 | Palm, Inc. | Small form-factor keyboard using keys with offset peaks and pitch variations |
US8989822B2 (en) | 2006-09-08 | 2015-03-24 | Qualcomm Incorporated | Keypad assembly for use on a contoured surface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
US7599712B2 (en) * | 2006-09-27 | 2009-10-06 | Palm, Inc. |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directional commands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
US7880722B2 (en) * | 2007-10-17 | 2011-02-01 | Harris Technology, Llc | Communication device with advanced characteristics |
US20100090958A1 (en) * | 2008-10-09 | 2010-04-15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large keyboard targets and an electronic device which uses large keyboard targets |
EP2515204A1 (en) * | 2008-10-09 | 2012-10-24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large keyboard targets and an electronic device which uses large keyboard targets |
US8350728B2 (en) | 2010-04-23 | 2013-01-08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Keyboard with integrated and numeric keypad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67316A (en) | 1990-03-27 | 1994-11-22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Remote-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s apparatus |
JPH04118715A (ja) | 1990-09-07 | 1992-04-20 | Nippon I N S:Kk | ページめくり機能付カーソル移動方向指示キーおよび表示端末装置 |
US5236199A (en) * | 1991-06-13 | 1993-08-17 | Thompson Jr John W | Interactive media system and telecomputing method using telephone keypad signalling |
US5973621A (en) * | 1993-06-03 | 1999-10-26 | Levy; David | Compact keyed input device |
US6075575A (en) * | 1995-10-02 | 2000-06-13 | Starsight Telecast, Inc. |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
GB2330981B (en) * | 1997-10-31 | 2002-07-03 | Nokia Mobile Phones Ltd | A radiotelephone handset |
JP2000032110A (ja) * | 1998-07-10 | 2000-01-28 | Hitachi Ltd | 電話機 |
US7265745B1 (en) * | 2000-04-27 | 2007-09-04 | Intel Corporation | Compact alphanumeric keyboard |
US7206599B2 (en) * | 2001-05-09 | 2007-04-17 | Kyocera Wireless Corp. | Integral navigation keys for a mobile handset |
-
2002
- 2002-04-26 KR KR10-2004-7017215A patent/KR2004010156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2-04-26 EP EP02720260A patent/EP1499945A1/en not_active Ceased
- 2002-04-26 AU AU2002251327A patent/AU200225132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2-04-26 US US10/512,132 patent/US741461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4-26 WO PCT/GB2002/001878 patent/WO2003091866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2-04-26 CN CN028288211A patent/CN162572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02251327A1 (en) | 2003-11-10 |
EP1499945A1 (en) | 2005-01-26 |
US20050174334A1 (en) | 2005-08-11 |
US7414614B2 (en) | 2008-08-19 |
CN1625728A (zh) | 2005-06-08 |
WO2003091866A1 (en) | 2003-11-06 |
CN1625728B (zh) | 2012-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05601B1 (en) |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
US8659552B2 (en) | Handheld electronic device | |
US20010048425A1 (en) | Device or component for alphanumeric and direction input | |
US20060082540A1 (en) | Data input system | |
US7859830B2 (en) | Mobile quick-keying device | |
JP2005301322A (ja) | 入力装置、携帯電話機及び携帯情報機器 | |
KR20000047612A (ko) |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 |
CA2466891A1 (en) | Rounded keypad | |
US20060279532A1 (en) | Data input device controlled by motions of hands and fingers | |
KR20040101560A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 | |
JP6740389B2 (ja) | ハンドヘルド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適応的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 |
KR20050048758A (ko) |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 |
JP2010518530A (ja) | 文字入力装置 | |
KR20110088310A (ko) | 하날글 문자입력 방법 | |
JP2003263264A (ja) |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 |
US20100207887A1 (en) | One-handed computer interface device | |
JPH11327762A (ja) | マウス機能付きキー入力装置 | |
JP3071751B2 (ja) | キー入力装置 | |
JP4412823B2 (ja) | キー入力装置 | |
US20090289816A1 (en) | One-handed computer input device comprising finger array input controls | |
KR20070104324A (ko) | 편리한 키보드 마우스 일체형 입력 장치 | |
KR20020001129A (ko) | 제한된 수의 키수단을 이용한 한글입력방법과 컴퓨터의입력장치 | |
CN101382840A (zh) | 利用方向键输入字符的键输入装置及字符输入方法 | |
JP2004013376A (ja) |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 | |
KR20070089477A (ko) | 게임기용 한글 입력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410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4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03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9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803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