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306A - 전자 통신 장치로의 텍스트 입력 - Google Patents
전자 통신 장치로의 텍스트 입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101306A KR20040101306A KR10-2004-7014431A KR20047014431A KR20040101306A KR 20040101306 A KR20040101306 A KR 20040101306A KR 20047014431 A KR20047014431 A KR 20047014431A KR 20040101306 A KR20040101306 A KR 200401013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yllables
- speech
- syllable
- separate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5)
- 각 키가 다수의 문자 및/또는 음성 기호를 나타내는 다수의 키를 가진 키패드(3)에 의해 전자 통신 장치내로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입력된 텍스트는 상기 전자 통신 장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2) 상에 표시되고, 상기 방법은,키의 시퀀스를 활성화하는 단계,상기 활성화된 키 시퀀스에 대응하는 가능 음성 음절을 생성시키는 단계,상기 가능 음절을 메모리(5)내에 저장된 어휘(6)와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어휘는 소정의 언어로 생성하는 음절 및 대응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단계,상기 저장된 음절 및, 상기 가능 음절에 부합하는 대응 문자를 사전 선택하는 단계 및,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사전 선택된 많은 문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에 있어서,다수의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은 상기 디스플레이(2)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잘 배열된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내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음절에 대응하는 문자는 동시에 제 2 그래픽 객체(21)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 제공된 음절 중 하나를 명료하게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21)에 제공된 문자는 명료하게 지시된 음절에 대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시에, 음성 음절 중 어느 것이 현재 제시되고, 어느 문자가 여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언어의 사용 빈도에 따라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순위를 정하는 단계 및,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 음절을 디폴트로서 명백하게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사용자가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중 상이한 것을 명백하게 지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사용자가 지시된 음성 음절에 대응하는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상기 선택된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2) 상에 표시된 텍스트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문자가 선택되었을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2)로부터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선정된 시간 주기가 최종 키의 활성화 이래 경과하였을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2)로부터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서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수를 수직으로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사용자가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중 상이한 것을 명백하게 지시하도록 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개개의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사이에서 내비게이트하도록 하여, 현재 지시된 음성 음절 바로 위에 제공된 음성 음절을 지시하는 상향 키를 활성화하고, 현재 지시된 음성 음절 바로 아래에 제공된 음성 음절을 지시하는 하향 키를 활성화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모두가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현재 제공된 음성 음절 중 하나를 배제하고, 대신에, 상향 키 및 하향 키 중 하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현재 제공되지 않은 음성 음절을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사용자가 좌향 화살표 키 및/또는 우향 화살표 키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 내의 개개의 문자 사이에서 내비게이트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제공되는 음성 음절의 길이에 따라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의 폭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제공되는 음성 음절의 길이에 따라 조정되는 폰트 사이즈를 가진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의 음성 음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pinyin 표시로서 상기 가능 음성 음절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명백하게 지시된 음성 음절과 협력하여 커서를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가 상기 디스플레이(2) 상에 보여지는 한, 변화되지 않는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 외부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가 상기 디스플레이(2) 상에 보여지는 한, 키 활성화 속도에 비해 저속으로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 외부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 텍스트를 전자 통신 장치(1)내에 입력하는 가능성을 가진 전자 통신 장치(1)로서,각 키가 다수의 문자 및/또는 음성 음절을 나타내는 다수의 키를 가진 키패드(3),상기 전자 통신 장치 상에 배치되어, 입력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2),소정의 언어로 생성하는 음성 음절 및 대응 문자를 포함하는 어휘가 저장되는 메모리(5),활성화된 키의 시퀀스에 대응하는 가능 음성 음절을 생성하는 수단(7),상기 가능 음성 음절을 상기 저장된 어휘(6), 사전 선택하는 저장된 음성 음절 및, 상기 가능 음절에 부합하는 대응 문자와 비교하는 수단(8) 및,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다수의 사전 선택된 문자를 제공하는 수단(9)을 포함하는 전자 통신 장치에 있어서,상기 제공하는 수단(9)은 상기 디스플레이(2) 상의 다수의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을 상기 디스플레이(2) 상에 우선적으로 배열된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상기 음절에 대응하는 문자를 제 2 그래픽 객체(21)에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제공하는 수단(9)은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 제공된 음절 중 하나를 명백하게 지시하도록 더 배치되고, 상기 명백하게 지시된 음절은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21)에 제공되는 문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언어의 사용 빈도에 따라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순위를 정하여,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음성 음절을 디폴트로서 명백하게 지시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사용자가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중 상이한 것을 명백히 지시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사용자가 지시된 음성 음절에 대응하는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여,선택된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2) 상에 표시된 텍스트에 부가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22 항에 있어서,문자가 선택되었을 시에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를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키의 최종 활성화 이래 선정된 시간 주기가 경과하였을 시에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를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수를 상기 별도의 그래픽 객체(11,12,13)에수직으로 제공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25 항에 있어서,사용자가 개개의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사이에서 내비게이트하도록 하여, 현재 지시된 음성 음절 바로 위에 제공된 음성 음절을 지시하기 위한 상향 키를 활성화하고, 현재 지시된 음성 음절 바로 아래에 제공된 음성 음절을 지시하기 위한 하향 키를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중 상이한 것을 명백하게 지시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26 항에 있어서,모든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이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현재 제공된 음성 음절 중 하나를 배제하는 대신에, 상향 키 및 하향 키 중 하나의 활성화에 의해 현재 제공되지 않는 음성 음절을 제공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18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좌향 화살표 키 및/또는 우향 화살표 키를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의 개별 문자 사이에서 내비게이트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18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제공되는 음성 음절의 길이에 따라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의 폭을 조정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18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제공되는 음성 음절의 길이에 따라 조정되는 폰트 사이즈를 가진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 음성 음절을 제공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1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가능 음성 음절은 pinyin 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명백하게 지시된 음성 음절과 협력하여 커서를 보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18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가 상기 디스플레이(2) 상에 보여지는 한, 변화되지 않은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 외부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유지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18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가 상기 디스플레이(2) 상에 보여지는 한, 키 활성화 속도에 비해 저속으로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 외부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갱신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 제 18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생성 수단(7), 비교 수단(8) 및 제공 수단(9)은 프로세서(4) 내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02388024A EP1347362B1 (en) | 2002-03-22 | 2002-03-22 |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
EP02388024.8 | 2002-03-22 | ||
US36999402P | 2002-04-03 | 2002-04-03 | |
US60/369,994 | 2002-04-03 | ||
PCT/EP2003/002262 WO2003081365A2 (en) | 2002-03-22 | 2003-03-05 |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1306A true KR20040101306A (ko) | 2004-12-02 |
KR100947401B1 KR100947401B1 (ko) | 2010-03-12 |
Family
ID=27771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14431A KR100947401B1 (ko) | 2002-03-22 | 2003-03-05 | 전자 통신 장치로의 텍스트 입력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1347362B1 (ko) |
KR (1) | KR100947401B1 (ko) |
AT (1) | ATE295567T1 (ko) |
DE (1) | DE60204113D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4413B1 (ko) * | 2005-07-27 | 2010-04-26 | 노키아 코포레이션 |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 |
CN104615269A (zh) * | 2015-02-04 | 2015-05-13 | 史晓东 | 一种藏文拉丁全简双拼编码方案及其智能输入系统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38688B2 (en) | 1998-12-04 | 2015-01-20 | Nuance Communications, Inc. | Contextual prediction of user words and user actions |
US7712053B2 (en) | 1998-12-04 | 2010-05-04 | Tegic Communications, Inc. | Explicit character filtering of ambiguous text entry |
US7881936B2 (en) | 1998-12-04 | 2011-02-01 | Tegic Communications, Inc. | Multimodal disambiguation of speech recognition |
US7679534B2 (en) | 1998-12-04 | 2010-03-16 | Tegic Communications, Inc. | Contextual prediction of user words and user actions |
US7720682B2 (en) | 1998-12-04 | 2010-05-18 | Tegic Communications, Inc. |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voice input to resolve ambiguous manually entered text input |
US8706747B2 (en) | 2000-07-06 | 2014-04-22 | Goog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searching using queries written in a different character-set and/or language from the target pages |
US7083342B2 (en) | 2001-12-21 | 2006-08-01 | Griffin Jason T | Keyboard arrangement |
US8583440B2 (en) | 2002-06-20 | 2013-11-12 | Tegic Communication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
GB2402650B (en) | 2003-12-31 | 2006-05-10 | Research In Motion Ltd | Keyboard arrangement |
US8095364B2 (en) | 2004-06-02 | 2012-01-10 | Tegic Communications, Inc. | Multimodal disambiguation of speech recognition |
US7505798B2 (en) | 2006-06-08 | 2009-03-17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Angular keyboard for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EP1906297A1 (en) | 2006-09-27 | 2008-04-02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Keyboard arrangement with distinct vowel keys |
US7658561B2 (en) | 2006-09-27 | 2010-02-09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Modified keyboard arrangement with distinct vowel keys |
US20080180283A1 (en) * | 2007-01-31 | 2008-07-31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System and method of cross media input for chinese character input in electronic equipment |
CN101266520B (zh) * | 2008-04-18 | 2013-03-27 | 上海触乐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可实现灵活键盘布局的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18437A (en) * | 1995-07-26 | 1998-10-06 | Tegic Communications, Inc. |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computer |
US6054941A (en) * | 1997-05-27 | 2000-04-25 | Motorola,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deographic characters |
FI112978B (fi) * | 1999-09-17 | 2004-02-13 | Nokia Corp | Symbolien syöttö |
-
2002
- 2002-03-22 EP EP02388024A patent/EP134736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03-22 AT AT02388024T patent/ATE295567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3-22 DE DE60204113T patent/DE60204113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
- 2003-03-05 KR KR1020047014431A patent/KR10094740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4413B1 (ko) * | 2005-07-27 | 2010-04-26 | 노키아 코포레이션 |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 |
CN104615269A (zh) * | 2015-02-04 | 2015-05-13 | 史晓东 | 一种藏文拉丁全简双拼编码方案及其智能输入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TE295567T1 (de) | 2005-05-15 |
EP1347362A1 (en) | 2003-09-24 |
KR100947401B1 (ko) | 2010-03-12 |
DE60204113D1 (de) | 2005-06-16 |
EP1347362B1 (en) | 2005-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85531B2 (en) |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 |
JP4252955B2 (ja) | 電子通信装置に対してテキストを入力する方法 | |
KR100947401B1 (ko) | 전자 통신 장치로의 텍스트 입력 | |
US858344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 |
JP4118817B2 (ja) |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文字入力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KR20050025147A (ko) | 전자 통신 장치로의 텍스트 입력 | |
JP5021802B2 (ja) | 言語入力装置 | |
US7159191B2 (en) | Input of data | |
EP1347361A1 (en) |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 |
US8589145B2 (en) |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 |
US7212967B2 (en) | Chinese phonetic transcription input system and method with comparison function for imperfect and fuzzy phonetic transcriptions | |
US7197184B2 (en) | ZhuYin symbol and tone mark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EP1378817B1 (en) |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 |
KR20070075113A (ko) | 이동통신단말에서의 초성자음을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 | |
JP2002297577A (ja) | 中国語入力変換処理装置、中国語入力変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3938087B2 (ja) | 言語入力システム及び方法 | |
JP2009048374A (ja) | 文字入力装置および情報処理機器における文字入力方法 | |
KR20060018565A (ko) |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 방법 | |
KR100506523B1 (ko) | 듀얼 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 |
JP2005228263A (ja) | データベース検索装置、電話帳表示装置及び中国語文字データベース検索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KR20020076648A (ko) |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 |
JP2000187660A (ja) | かな漢字変換方法、かな漢字変換装置、及び記憶媒体 | |
KR20040016715A (ko) | 불완전하고 불명확한 발음 표기들에 대한 비교 기능을갖는 중국어 발음 표기 입력 시스템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409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