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101306A - 전자 통신 장치로의 텍스트 입력 - Google Patents

전자 통신 장치로의 텍스트 입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306A
KR20040101306A KR10-2004-7014431A KR20047014431A KR20040101306A KR 20040101306 A KR20040101306 A KR 20040101306A KR 20047014431 A KR20047014431 A KR 20047014431A KR 20040101306 A KR20040101306 A KR 20040101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llables
speech
syllable
separat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401B1 (ko
Inventor
장다니엘얄린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 에이비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 에이비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03/002262 external-priority patent/WO2003081365A2/en
Publication of KR20040101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각 키가 다수의 문자 및/또는 음성 기호를 나타내는 다수의 키를 가진 키패드에 의해 전자 통신 장치내로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에서, 입력된 텍스트는 상기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활성화된 키 시퀀스에 대응하는 가능 음성 음절이 생성된다. 이들은 소정의 언어로 생성하는 음절 및 대응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저장된 어휘와 비교된다. 가능 음절에 부합하는 상기 저장된 음절 및 대응 문자가 사전 선택되고, 이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잘 배열된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내에 제공된다. 상기 제 1 객체내의 음절 중 하나에 대응하는 문자는 동시에 제 2 그래픽 객체(21)내에 제공된다. 따라서, 다수의 문자 또는 음성 기호를 나타내는 키에 의해 음성 표시를 가진 문자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 통신 장치로의 텍스트 입력{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이동 전화 및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와 같은 전자 통신 장치는 종종 전화 번호 또는 시간 정보 등의 숫자 정보를 이들 장치내에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또한, 텍스트 정보를 이와 같은 장치내에 입력할 필요성이 있다. 예들에는 다른 유사한 장치로 전송될 이름, 주소 및 메시지가있다. 이들 장치가 정규 영숫자 키보드의 배치를 위해 상당히 큰 크기를 갖지 않으므로, 숫자 키패드는 또한 텍스트 정보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각 키는 다수의 상이한 문자에 대응한다. 일례로서, "2" 키는 통상적으로 또한 문자 A, B 및 C에 대응한다.
이와 같은 키패드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입력하는 공지된 방법 중 하나는, 사용자가 대응하는 키를 여러번 누름으로써 가능 문자를 반복하도록 하는 멀티탭(multi-tap) 방법이다. 예컨대, 문자 "A"를 입력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2" 키를 한번 누르지만, 이 키는 3번 눌려져 문자 "C"를 입력시킨다. 이 키는 비교적으로 고속으로 다수번 눌려져 정확한 문자가 확실히 인식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개별 키는, 숫자 키 중 하나가 눌려지면, 가능성(possibilities)을 반복하는데 사용된다.
개선된 방법은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및 편집하기 위한 예측 편집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방법 중 하나는 US 6 307 548에 나타나 있다. 텍스트가 예측 입력을 이용하여 입력될 시에, 각 키는 한번만 눌려지고, 디스플레이는 입력된 키 시퀀스에 대응하는 가능 문자 시퀀스 중 하나,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언어에서, 또는 정확한 부합 접근법(approach)을 이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시퀀스 중 하나를 보여준다. 여기에는 시간 제한이 없어, 키를 서로 비교적으로 고속으로 누를 수 있다. 예컨대, (영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키 시퀀스 "2" (ABC), "7" (PQRS) 및 "3" (DEF)를 입력시킬 경우, 36개의 상이한 문자 시퀀스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들 중 5개 (ARE, APE, CRE, BRE 및 ARD)만이 장치의 저장된 어휘의단어 또는 어간으로서 발견된다. "ARE"는 최고 사용 빈도를 가져, 디스플레이내에 보여질 것이다. 이것이 사용자가 기록하고자 하는 단어일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간격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 키인 인수 키를 누름으로써 채택될 수 있다. 정확한 단어가 아닐 경우에, 정확한 단어가 인수 키로 채택되기 전에 텍스트내의 삽입점에 보여질 때까지, 사용자는 선택 키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제시을 통해 스텝(step)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중에, 즉, 어떤 단어가 아직 채택되지 않는 한, 단어는, 통상적으로 단어 (또는 문자 시퀀스)의 밑줄 또는 그 주변의 박스 그림으로 보여지는 "open"으로 유지된다. 이것은 보여진 단어가 어휘에 의해 제공된 옵션 또는 대상(candidate) 중 하나임을 예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대상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텍스트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된다. 다른 대상은 선택된 키, 예컨대, 화살표 업/다운 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순환될 수 있다. 상이한 대상이 디스플레이 상의 텍스트 내에 입력된다.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충분히 클 경우, 예컨대, US 6 307 548로부터, 선택 리스트 영역을 텍스트 영역 아래에 위치시킴으로써 내비게이션(navigation)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어떤 대상의 리스트가 제공된다. 선택 리스트내의 한 대상은, 예컨대, 실선 또는 점선으로 그려진 박스내에 나타냐는 것으로 표시되고, 동일한 대상이 또한 텍스트 메시지의 삽입점에 보여진다. 선택 키를 누름으로써, 박스가 또한 이 삽입점에 보여지는 리스트내의 다음 대상으로 이동된다. 정확한 단어가 선택 리스트 내의 박스 및 삽입점에서 보여질 시에, 이 단어는 채택되고, 시스템은 다음 단어를 입력시킬 준비를 한다.
중국어 문자 등의 다른 문자 타입을 사용하는 어떤 언어에서는, 이들 문자의 표준 음성 표시가 채택된다. 일례로서, "pinyin"은 중국어 문자의 음성 표시이다. 따라서, 문자 "u"가 부가되고, 문자 "v"가 제거되지만, "v"가 종종 작은 키패드 상에서 "u"를 나타내는 것을 제외하고, 각 중국어 문자는 로마 알파벳의 26 문자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대응하는 pinyin 표시 또는 pinyin 음절을 갖는다. 한 pinyin 표시가 보통 수개의 상이한 중국어 문자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타입의 표준 키패드는 또한 이와 같은 문자를 입력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예측 편집기도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의 일례는 US 5 952 942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문자 시퀀스는 음성 음절로서 간주되고, 이 음절의 각각은 다수의 대응하는 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먼저 의도된 음성 음절, 즉, 문자 시퀀스를 발견하여, 다음 단계에서, 대응하는 문자 중 의도된 문자가 선택되어야 한다. 따라서, 입력된 pinyin은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되고, 사용자가 키를 누름으로써 pinyin을 채택할 시에, 선택된 pinyin 음절에 대응하는 어떤 문자를 제공하는 리스트가 보여진다. 그러나, 이런 절차는 아주 복잡하고, 많은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것이다. 특히, 미경험 사용자의 경우, 2개의 레벨의 상이한 대상을 스크롤(scroll)하여, 텍스트내에 삽입하기 위한 대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을 이해하기 어렵다. 이들 문제는 많은 사용자가 예측 텍스트 입력을 이용하기를 그만두는 상황에 이른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문자 및/또는 음성 기호를 나타내는 키에 의해 음성 표시로 문자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음성 음절이 수개의 문자에 대응하는 경우에서도 사용하기가 보다 쉽고, 입력된 텍스트내의 에러율을 보다 적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각 키가 다수의 문자 및/또는 음성 기호(phonetic symbol)를 나타내는 다수의 키를 가진 키패드에 의해 전자 통신 장치내로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입력된 텍스트는 전자 통신 장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상기 방법은, 키의 시퀀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키 시퀀스에 대응하는 가능 음성 음절(syllable)을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가능 음절을 메모리내에 저장된 어휘와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어휘는 소정의 언어로 생성하는 음절 및 대응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음절 및 상기 가능 음절에 부합하는 대응 문자를 사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사전 선택된 많은 문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텍스트를 전자 통신 장치내에 입력하는 옵션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이용되는 이동 전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전화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공지된 예측 편집기의 디스플레이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어떤 키의 활성화 동안에 디스플레이 상의 개별 그래픽 객체의 사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사용자가 다른 음절을 강조할 시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사용자가 다른 대상을 강조할 시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키 시퀀스가 계속될 시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상이한 음절이 선택될 시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상이한 문자가 선택될 시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선택된 문자가 채택될 시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선택된 문자가 채택될 시의 디스플레이의 선택적인 버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음절 간에 내비게이트하는 상이한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보다 큰 폰트 사이즈가 그래픽 객체에 사용될 시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다수의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이 디스플레이 상에서 디스플레이 상에 잘 배열된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graphical object)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내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음절에 대응하는 문자가 동시에 제 2 그래픽 객체내에 제공됨으로써 달성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상의 개별 윈도우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상에 잘 배치되는 개별 그래픽 객체내에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을 제공함과 동시에, 대응하는 문자를 다른 그래픽 객체내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가능성의 개요(overview)를 쉽게 획득할 수 있고, 키패드의 키를 사용하여 대상 간에 내비게이트(navigate)하기가 쉽다. 따라서, 텍스트 입력 동안에 에러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신규 및 미경험 사용자의 경우, 단어 대상이 디스플레이 상에 직접적이고 명백하게 보여지기 때문에, 개별 그래픽 객체는 예측 텍스트 입력을 보다 직관적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더욱이, 개별 그래픽 객체는 또한 작은 통신 장치에서 매우 중요한 계산 자원의 필요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공지된 해결책에서는, 보통 상당량의 CPU 전력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날짜까지 텍스트 배치를 하는데, 그 이유는, 프로세서가 어휘내의 대상을 탐색하는 프로세스를 처리하고, 이 대상을 선택 리스트내에 제공하며, 사용자가 가능 대상을 통해 반복할 시에 텍스트 메시지의 삽입점에 보여진 텍스트를 갱신해야 하기 때문이다. 개별 그래픽 객체에 대해서는, 종종 삽입점에서텍스트를 갱신할 필요가 없다. 사실상, 그래픽 객체가 대상을 채택할 시에 폐쇄되기 전에, 텍스트는 전혀 갱신될 필요가 없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보다 저 및 많은 안정 프로세서 부하를 초래한다. 이것은, 현재 예측 텍스트 입력 시스템이 종종 프로세서 상에 과중한 부하를 유발시키기 때문에 중요하다.
상기 방법이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에 제공된 음절 중 하나를 명료하게 지시하는 단계로서, 제 2 그래픽 객체에 제공된 문자가 명료하게 지시된 음절에 대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시에, 음성 음절 중 어느 것이 현재 제시되고, 어느 문자가 여기에 대응하는 지를 보기가 더욱 쉽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언어의 사용 빈도에 따라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순위를 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 음절을 디폴트로서 명백하게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시된 대상은 최고 가능성을 가진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의도되는 것이도록 한다.
상기 방법이 사용자가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중 상이한 것을 명백하게 지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시에, 사용자가 대상 간에 내비게이트하고, 어느 것이 소정의 시간에 제시되는 지를 보기가 쉽다.
상기 방법이 사용자가 지시된 음성 음절에 대응하는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텍스트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시에,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그의 선택을 행할 시에 선택된 문자로 갱신된다.
상기 방법이 문자가 선택되었을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시에, 추가적인 문자를 입력하는 프로세스를 계속하기 전에 사용자는 전체 메시지의 개요를 획득하도록 허용된다.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가 문자의 입력 중에 매우 유용하지만, 종종 개별 문자의 입력 간의 개요로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상기 방법은 선정된 시간 주기가 최종 키의 활성화 이래 경과하였을 시에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키도, 예컨대, 문자의 중간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에 활성화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방해를 받을 수 있고, 그것은 입력 프로세스가 재개될 시에 종종 상기 개요를 보는데 더욱 편리할 것이다. 어떤 키가 다시 활성화되자 마자. 그랙픽 객체는 다시 나타날 것이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에서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수를 수직으로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수직 제공은 메모리 내에 저장된 대상의 리스트에 대응하기 때문에 편리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중 상이한 것을 명백하게 지시하도록 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개개의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사이에서 내비게이트하도록 하여, 현재 지시된 음성 음절 바로 위에 제공된 음성 음절을 지시하는 상향 키를 활성화하고, 현재 지시된 음성 음절 바로 아래에 제공된 음성 음절을 지시하는 하향 키를 활성화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방법은,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모두가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현재 제공된 음성 음절 중 하나를 배제하고, 대신에, 상향 키 및 하향 키 중 하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현재 제공되지 않은 음성 음절을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보다 많은 수의 대상을 포함할 시에도 대상의 리스트를 스크롤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좌향 화살표 키 및/또는 우향 화살표 키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 내의 개개의 문자 사이에서 내비게이트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보다 많은 수의 문자가 있을 시에도 문자를 쉽게 스크롤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이 제공되는 음성 음절의 길이에 따라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의 폭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시에, 동적 그래픽 객체가 보여진 음성 음절의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달성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제공되는 음성 음절의 길이에 따라 조정되는 폰트(font) 사이즈를 가진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의 음성 음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또한 상기 그래픽 객체내에 긴 음절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pinyin 표시로서 상기 가능 음성 음절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이들은 bopomofo 표시로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명백하게 지시된 음성 음절과 협력하여 커서(cursor)를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커서는 사용자의 주의가 음절과 함께 그래픽 객체 상에 확실히 집중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가 디스플레이 상에 보여지는 한, 변화되지 않는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 외부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당량의 프로세서 자원이 절약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가 디스플레이 상에 보여지는 한, 상기 방법이 키 활성화 속도에 비해 저속으로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 외부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시에 프로세서 자원이 또한 절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텍스트를 전자 통신 장치내에 입력하는 옵션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장치는, 각 키가 다수의 문자 및/또는 음성 음절을 나타내는 다수의 키를 가진 키패드, 상기 전자 통신 장치 상에 배치되어, 입력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소정의 언어로 생성하는 음성 음절 및 대응 문자를 포함하는 어휘가 저장되는 메모리, 활성화된 키의 시퀀스에 대응하는 가능 음성 음절을 생성하는 수단, 상기 가능 음성 음절을 상기 저장된 어휘, 사전 선택하는 저장된 음성 음절 및, 상기 가능 음절에 부합하는 대응 문자와 비교하는 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다수의 사전 선택된 문자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공하는 수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다수의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우선적으로 배치된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에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상기 음절에 대응하는 문자를 제 2 그래픽 객체에 제공하도록 배치될 시에,다수의 문자를 나타내는 키에 의해 음성 표시를 한 문자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이 달성되며, 이는 음성 음절이 수개의 문자에 대응하는 경우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입력된 텍스트내의 에러율을 감소시킨다.
제공하는 수단이 또한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에 제공된 음절 중 하나를 명백하게 지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명백하게 지시된 음절이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에 제공되는 문자에 대응할 시에, 상기 음성 음절 중 어느 것이 현재 제시되고, 어느 문자가 거기에 대응하는 지를 보기가 더욱 쉽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장치는 또한 상기 언어의 사용 빈도에 따라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순위를 정하여,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음성 음절을 디폴트로서 명백하게 지시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시된 대상은 최고 가능성을 가진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확실히 의도되는 것이다.
상기 장치는 또한 사용자가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중 상이한 것을 명백히 지시하도록 배치될 시에, 사용자가 대상 사이에서 이동하여, 소정의 시간에 어느 것이 제시되는 지를 보기가 쉽다.
상기 장치는 또한 사용자가 지시된 음성 음절에 대응하는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텍스트에 부가하도록 배치될 시에,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선택을 행할 시에 선택된 문자로 갱신된다.
상기 장치는 또한 문자가 선택되었을 시에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하도록 배치될 시에, 사용자는 다른 문자를 입력하는 프로세스를 계속하기 전에 전체 메시지의 개요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가 문자의 입력 중에 매우 유용하지만, 종종 개별 문자의 입력 간의 개요로 더욱 유용할 것이다.
상기 장치는 또한 키의 최종 활성화 이래 선정된 시간 주기가 경과하였을 시에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떤 키도 소정의 시간 동안, 예컨대, 문자의 중간에 활성화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교란을 받을 수 있고, 그것은 종종 입력 프로세스가 재개될 시에 개요를 보는데 보다 편리할 수 있다. 어떤 키가 다시 활성화되자 마자, 그래픽 객체는 다시 나타날 것이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수를 상기 별도의 그래픽 객체에 수직으로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수직 제공은 메모리에 저장된 대상의 리스트에 대응하기 때문에 편리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또한, 사용자가 개개의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사이에서 내비게이트하도록 하여, 현재 지시된 음성 음절 바로 위에 제공된 음성 음절을 지시하기 위한 상향 키를 활성화하고, 현재 지시된 음성 음절 바로 아래에 제공된 음성 음절을 지시하기 위한 하향 키를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중 상이한 것을 명백하게 지시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장치는 또한, 모든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이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현재 제공된 음성 음절 중 하나를 배제하는 대신에, 상향 키 및 하향 키 중 하나의 활성화에 의해 현재 제공되지 않는 음성 음절을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다수의 대상을 포함할시에도 대상의 리스트를 스크롤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좌향 화살표 키 및/또는 우향 화살표 키를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의 개별 문자 사이에서 내비게이트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 2 그래픽 객체가 다수의 대상을 포함할 시에도 상기 문자를 쉽게 스크롤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제공되는 음성 음절의 길이에 따라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의 폭을 조정하도록 배치될 시에, 동적 그래픽 객체는 보여진 음성 음절의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달성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제공되는 음성 음절의 길이에 따라 조정되는 폰트 사이즈를 가진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에 음성 음절을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또한, 상기 그래픽 객체에 긴 음절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능 음성 음절은 pinyin 표시이다. 선택적으로, 가능 음성 음절은 bopomofo 표시일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명백하게 지시된 음성 음절과 협력하여 커서를 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커서는 사용자의 주의 상기 음절을 가진 그래픽 객체 상에 확실히 집중되게 하는 데 더욱 도움을 준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가 디스플레이 상에 보여지는 한, 변화되지 않은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 외부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유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당량의 프로세서 자원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가 디스플레이 상에 보여지는 한, 키 활성화 속도에 비해 저속으로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 외부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갱신하도록 배치될 시에 프로세서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생성 수단, 비교 수단 및 제공 수단은 프로세서내에서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이용될 수 있는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장치는 이동 전화(1), 예컨대, GSM 전화 및/또는 UMTS 전화이다. 다른 타입의 전화는 CDMA, PDC, CDMA2000 및 TDMA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타입의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로서, PDA(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컴퓨터가 언급될 수 있다.
전화(1)에는 디스플레이(2) 및 키패드(3)가 장착된다. 키패드(3)의 키는 정보를 전화에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정보는, 전화 번호, 주소 정보, 전화에 대한 명령 및 다른 전화로 전송될 텍스트 메시지 등의 많은 타입의 정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는 정보를 이동 전화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제공된 정보는, 전화 번호, 주소 정보, 전화로부터의 지시, 다른 전화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메시지, 또는 나중에 다른 전화로 전송하기 위해 키패드(3)에 의해 입력되는 텍스트 메시지 등의 많은 타입의 정보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3)는 제한된 수의 키만을 가진 숫자 키패드이다. 따라서, 각 키는, 키패드가 텍스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시에, 다수의 상이한 문자에 대응한다. 일례로서, "3" 키는 또한 문자 D, E 및 F에 대응한다. 텍스트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와 같은 많은 장치는 예측 편집기를 구비하며,이 편집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소정의 키 시퀀스에 대응하는 가능 문자 시퀀스를 제시할 수 있는 지능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이다. 이와 같이 공지된 예측 편집기 중 하나가 T9TM(Tegic Communications 사가 소유한 등록된 상표)이며, 이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고, 본 기술 분야에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예측 편집기의 기능은 단지 도 2를 참조로 매우 간단히 기술될 것이다. 이 기능 아래에는 먼저 로마 알파벳을 이용하여 영어와 같은 언어의 메시지에 대해 기술되지만, 나중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또한, 예컨대, 중국어 문자를 이용한 메시지도 취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2)는 또한 프로세서(4) 및 메모리(5)를 포함한다. 메모리(5)내에는, 소정의 언어에 대한 허용 가능한 문자 시퀀스, 즉, 문자 시퀀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어휘(6)가 저장되며, 이 시퀀스는 상기 언어의 단어 또는 단어 또는 어간을 형성한다. 물론, 장치는 메모리내에 저장되는 상이한 언어에 대응하는 수개의 상이한 어휘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키패드(3)로부터 키 시퀀스를 입력할 시에, 가능한 대응하는 문자 시퀀스는 프로세서(4)내의 유닛(7)내에 생성된다. 예컨대, (영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키 시퀀스 "4" (GHI), "6" (MNO), "6" (MNO) 및 "3" (DEF)를 입력할 경우, 81개의 상이한 문자 시퀀스가 가능하다. 이들은 지금 (비교 유닛(8)에서) 어휘(6)와 비교되며, 81개의 가능 문자 시퀀스 중 12개만이 영어 단어 또는 어간으로서 어휘(6)내에 저장된다. 따라서, 이들 12개의 문자 시퀀스는 지금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대상으로서 선택되며, 드라이버(9)는 그들을 디스플레이(2) 상에 제공한다. 종종, 어휘(6)가 또한 관련 언어에서 각문자 시퀀스의 사용 빈도의 정보를 포함하며, 이 경우에, 선택된 시퀀스는 또한 그들의 사용에 따라 순위가 정해질 수 있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문자 시퀀스는 리스트의 상부에 제공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 "good"는 12개의 선택된 문자 시퀀스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단어이므로, 그것은 제 1 제시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자에 대한 제공에 대해서는 도 3에 예시되며, 여기서, 사용자는 단어 "This is" 후에 상기 시퀀스를 입력한다. "good"이 제 1 제시이므로, 그것은 디스플레이 상에 보여진다. "good"은 이 단어가 아직 개방해 있음을 지시하도록 밑줄이 쳐지고, 즉, 선택된 가능성 중 다른 하나로 선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 제시가 박스에서 "1/12"를 보여 줌으로써 12개의 가능성 중 제 1 가능성인 디스플레이의 상부 우측 코너에 지시된다. 이것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인 경우, 그것은, 예컨대, 공간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채택될 수 있다. 이 채택은 커서를 다음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보여지고, "good"은 더 이상 밑줄이 쳐지지 않는다.
그러나, 그것은, 사용자가, 예컨대, "arrow down" 키에 의해 리스트 상에서 다음 단어로 이동할 수 잇는 의도된 단어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 시스템은 "home"을 제시하고, 상부 코너에서 "2/12"를 지시한다. 도 5에서, 이 단계는 반복되고, 시스템은 "gone"을 제시한다. 의도된 단어가 보여질 시에, 그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채택될 수 있고, 사용자는 다음 단어로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최초 입력된 단어로 되돌아 가서, 그것을 "re-open"하여, 다른 대상으로 교환하거나, 보다 긴 단어를 성취하기 위해 타이핑을 계속할 수 있다. 어떤 시스템에서는, 또한 "word completion"을 획득하기 위해 어휘 탐색을 확장하는 옵션이 있다. 이 경우에, 키 엔트리의 수 보다 긴 대상이 보여질 수 있고, 종종 이 단어는 사용자에 의해 어휘에 삽입된다.
중국어와 같이 음성 음절을 이용하는 언어의 경우, 메시지의 입력은 조금 더 복잡하다. 중국어 문자는 중국어 문자의 표준 음성 표시인 "pinyin"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는 방법을 일례로서 아래에 나타나 있다. pinyin은 본토 중국 뿐만 아니라 홍콩 및 싱가포르에서 사용되지만, 다른 표시, 즉 Bopomofo는 오늘날 타이완에서만 사용된다. 각 중국어 문자는 대응하는 pinyin 표시 또는 pinyin 음절을 가지며, 이는 로마 알파벳의 26개의 문자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한 pinyin 표시는 보통 수개의 상이한 중국어 문자를 표시하는 것으로 주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타입의 표준 키패드는 또한 이와 같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예측 편집기도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입력된 문자 시퀀스는 음성 음절로서 고려되고, 이 음절의 각각은 대응하는 다수의 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 키 시퀀스가 입력되었을 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를 입력한 사용자는 먼저 의도된 음성 음절, 즉, 문자 시퀀스를 발견하여, 대응하는 문자의 의도된 문자가 선택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해결책의 일례를 기술하기로 한다. 이 예들은 중국어 문자의 pinyin 표시를 사용하지만, 이 방법은 일본어 및 한국어 등의 다른 표의 문자 언어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Bopomofo이 언급될 수 있다. pinyin 표시에서, 장치의 키는 로마 알파벳의 문자로 마크(mark)될 수 있지만,다른 표시는 음성 음절, 예컨대, Bopomofo 기호로 마크된 키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개별 윈도우의 형태의 새로운 그래픽 입력 객체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이 객체는 상술한 텍스트 편집기 및 원래의 예측 입력 방법과 공존한다. 그것은, 내장된 탐색 기능을 가진 데이터 리스트로서 묘사될 수 있다. 이 데이터 리스트내의 데이터는 완전한 어휘, 즉, 수백개의 pinyin 음절이다. 그러나, 탐색 기능은 정렬(sort) 음절일 뿐만 아니라, 일치하지 않는 모든 음절을 제거하여, 매우 타당한 계수, 통상적으로 10 이하의 수를 유지한다.
제 1 그래픽 객체는, 키가 눌려지고, 음절이 개방할 시에 디스플레이 상에서만 볼 수 있다. 그것은, 문자가 채택되었을 시에는 완전히 볼 수 없다. 이 그래픽 객체는 다수의 대상을 동시에 보여주는 보통의 리스트의 객체와 비슷하며, 아래에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도 6 및 다음의 도면은 객체가 도 1로부터의 이동 전화(1)의 디스플레이(3) 상에 보여질 수 있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장치가 메시지의 입력을 준비할 시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커서는 새로운 다음 메시지가, 이 경우에, 중국어 문자의 형태로 입력될 시에 나타나는 삽입점을 지시한다. 다음에서는, 사용자가 pinyin 표시 또는 pinyin 음절 "zhang"을 가진 중국어 문자 張을 입력하고자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도 7에서, 사용자는 키 "9 wxyz"를 활성화시켜, pinyin 표시의 제 1 문자를 입력하도록 한다. 예측 편집기는 w, x, y 또는 z로 개시하는 어휘에서 pinyin 표시를 찾고, 이들은 새로운 그래픽 객체 또는 윈도우(11)에 제공된다. 이 객체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됨으로써, 현행 디스플레이의 일부를 덮어, 사용자의 주의를 끌며, 그것은 또한 배경과 다른 색을 가져 이 효과를 향상시킨다.
이 그래픽 객체는 수직 리스트로서 보여진다. 발견된 pinyin 표시는 또한 사용 빈도에 따라 순위가 정해져, 이 예에서, 그래픽 객체(11)는 발견된 pinyin 표시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5개를 보여준다. "yi"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5개를 보여주는 음절이므로, 그것은 리스트의 상부에 제공된다. 더욱이, 이 음절은, 예컨대, 상이한 색으로 강조함으로써 명백하게 지시되어, 이것이 예측 편집기에 의해 제시된 pinyin 음절임을 지시하도록 한다. 윈도우(11)의 하부에서의 작은 화살표는 발견된 음절의 리스트가 5개 이상이 보여진 음절을 포함하는 것을 지시한다. 더욱이, pinyin "yi"에 대응하는 다수의 중국어 문자는 제 2 그래픽 객체(21)에서 수평으로 보여지고, 이 예에서, 제 2 그래픽 객체는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배열된다. 또한, 이들 문자(-) 중 하나는 현재 제시된 문자인 것으로 강조된다. 이 그래픽 객체의 우측에 보여진 화살표는 다른 문자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음을 지시한다.
도 7에서, 제시된 중국어 문자는 입력된 텍스트내의 원래의 삽입점에 보여지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사용자의 주의가 이제 객체(11 및 21)에 집중되므로, 이 지시는 필요치 않으며, 종종 이 삽입점은 새로운 객체 뒤에 감추어져, 현재 입력되는 문자가 채택되기 전에 그것을 갱신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프로세서 자원은 갱신되지 않는 이 지시에 의해 절약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그것을 보다 저속으로 바로 갱신할 수 있는데, 이는 프로세서 자원을 절약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상에서 텍스트 영역 내의 삽입점에서의 커서가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보통, 커서는 시작 시에만, 즉, 키의 활성화 전과,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문자가 채택되고, 그래픽 객체(11)가 볼 수 없을 시에만,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커서는 또한 유지될 수 있지만, 그 경우에, 커서는 보통 빛을 발하지 않아, 사용자의 주의를 끌지 못한다.
사용자는, 예컨대, 키패드(3)의 부분으로 배열되는 화살표 키(상향 화살표, 하향 화살표, 좌향 화살표 및 우향 화살표)를 사용하여 제공된 pinyin 표시와 문자 사이에서 내비게이트할 수 있다. 상향/하향 키는 리스트(11)내의 다른 pinyin 표시를 강조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도 8에서, 사용자는 하향 화살표 키를 한번 활성화시키면, pinyin 음절 "wo"이 이제 강조된다. 따라서, 그래픽 객체(21)에 보여진 문자는 이제 이 음절에 대응하는 문자이다. 도 9는 사용자가 하향 화살표 키 대신에 우향 화살표 키를 활성화시킬 경우의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pinyin 음절은 여기서 도 7에서와 동일하지만, 객체(21)의 문자의 강조는 이제 우측으로 한 단계 이동된다.
여기에 기술된 상황에서, 사용자는 pinyin 음절의 다음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계속하여, 보여진 음절 또는 문자 중 어느 것이 실제 의도된 것인 가에 관해 내비게이트하거나 어떤 결정을 할 필요가 없다.
도 10에서, 사용자는 또한 키 "4 ghi"를 활성화시키며, 그래픽 객체(11)에 보여진 음절은, 제 1 문자로서의 문자 w, x, y 및 z 중 하나 및, 제 2 문자로서의 문자 g, h 및 i 중 하나를 가진 많은 음절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절은 여전히 "yi"이어서, 그래픽 객체(21)에 보여진 문자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화살표는 리스트내의 5개 이상의 음절이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도 11에서, 사용자는 키 "2 abc"를 활성화시키고, 객체는, 리스트의 상부에서의 5개의 대상 및, 리스트의 상부에 있는 음절 "xia"에 대응하는 다수의 문자를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도 12에서, 키 "6 mno"는 활성화된다. 그래픽 객체(12)의 폭은 보다 긴 문자 시퀀스를 채택하도록 확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종으로, 도 13에서, 키 "4 ghi"는 활성화되고, 입력된 키 시퀀스에 대응하는 리스트 내에서 2개만의 음절, "xiang" 및 "zhang"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래서, 또한, 객체(13)의 높이는 보여진 2개의 음절로 조정되었다. 음절 "xiang"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2개의 음절로서 리스트의 상부에 언급되지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절 "zhang"을 원하므로, 사용자는 하향 화살표 키를 활성화시켜 이 음절을 강조하도록 한다. "zhang"에 대응하는 문자는 수평 객체(21)에서 보여진다. 의도된 문자 張는 현재 강조된 문자의 바로 우측에 위치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우향 화살표 키를 활성화시키고, 그 결과는 정확한 문자가 강조되는 도 15에 도시된다. 사용자는, 예컨대, 소프트 키 또는 예스(yes) 키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이 문자를 채택할 수 있다. 그 후, 그래픽 객체(13 및 21)는 제거될 수 있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문자는 삽입점에 삽입된다. 이 시스템은 이제 다음 문자를 준비한다.
선택적으로, 그래픽 객체(21)는 디스플레이 상에 유지될 수 있다. 종종 문자는 서로와 관련되어, 어떤 문자 후에, 소정의 다른 문자가 생성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래서, 문자가 채택되어, 상기와 같이 텍스트 내에 삽입될 시에, 그래픽 객체(21)는 채택된 문자에 추종(follow)할 것 같은 문자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채택된 문자 張에 관련되거나 추종할 것 같은 다수의 문자가 도시된 도 17에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이미 채택된 문자 후의 문자 중 하나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그것은 직접 채택될 수 있고, 다른 음절을 입력할 시간이 절약된다. 마찬가지로, 그래픽 객체(21)는 또한 도 6에 도시되어 있고, 즉, 이는 문자의 입력이 초기화되기 전의 상태이다. 이 경우에, 그것은 제 1 문자로서 종종 사용되는 문자를 새로운 메시지에 제공한다. 사용자가 실제로 이들 문자 중 하나로 개시하기를 원하면, 이 문자가 직접 채택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입력된 키 시퀀스로 개시하는 모든 음절은 제 1의 5개의 멤버가 그래픽 객체(11, 12 또는 13)에 보여지는 리스트에서 리스트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 이 리스트는 단지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므로 매우 길다. 선택적으로, 이 리스트는, 입력된 키 시퀀스와 실제로 부합하는 pinyin 음절만, 즉, 제 1 단계에서는 하나의 문자 음절, 다음 단계에서는 2개의 문자 음절, 등등으로 제한될 수 있다. 입력된 키 시퀀스로 개시하는 모든 음절이 상기와 같이 리스트되어 있을 시에, 사용자는 원하는 pinyin 표시의 모든 문자를 반드시 입력할 필요가 없는데, 그 이유는 찾은 음절도 한두번만의 키 스트로크 후에 제공된 리스트내에 포함된다. 일례로서, 도 12로부터, 사용자는, 최종 문자를 입력하는 대신에, 하향 화살표 키를 여러번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절 "Zhang"은 5번의 하향 화살표 키를 활성화한 후에 강조되고, 그것은, 도 15에서와 같이, 우향 화살표 키를 한번 활성화함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발견하는 문제이다. 도 18에서, 음절의 강조 표시는 리스트의 하부로 이동되어, 강조된 리스트 위의 음절이 보여진다. 물론, 강조 표시는 또한 리스트의 상부에 머무를 수 있지만, 리스트의 음절은 이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2에서의 그래픽 객체(12)의 폭은 도 7의 객체(11)에 비해 확대되어, 보다 긴 pinyin 음절을 수용하도록 한다. 보다 긴 음절의 경우에, 이 객체의 폭은 더 확대될 수 있다. 문자가 추가됨에 따라, 객체의 폭은 확대되어 이 음절을 수용하도록 한다. 너무 많은 배치(layout) 변화를 회피하기 위해, 가능 리스트 폭은 단계에서 전체 폭의 25%, 50% 및 100% 처럼 선택될 수 있다. 문자가 삭제될 경우, 이 객체의 폭은 축소되거나, 사이즈가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사이즈를 유지하면, 보다 적은 "jumpy"을 본다. 어떤 이유로 음절이 너무 길어 폭 전체에도 객체에 맞지 않을 수 있을 경우, 음절은 2개의 이상의 라인 상에 나타나도록 분할될 수 있거나, 객체는 시스템이 보통 예측 편집기 포맷으로 복귀하도록 완전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매우 드문 상황이다.
객체에 보여진 문자의 폰트 사이즈는 또한 변화될 수 있다. 도 7에 대응하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는 보다 큰 폰트를 가진 보다 적은 음절을 나타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리스트 객체는, 사용자가 새로운 문자를 위해 문자의 입력을 개시할 시에, 최대 폰트 및 최소 폭으로 개시할 수 있다. 도 19는 또한 그래픽 객체가 다른 도면에서와 같은 우측으로의 위치 대신에 디스플레이의 중간에 배열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예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커서는 또한 강조된 음절 바로 후에 나타내어, 이 음절을 더욱 강조하고, 다음 문자의 삽입점을 지시하도록 한다. 텍스트 엔트리 객체 자체, 즉, 편집기 내에 제공된 원래의 커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턴오프되거나, 비섬광 또는 어떤 다른 종류의 숨겨진 모드가 표시되어 사용자를 혼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 2 그래픽 객체(21)는 제 1 그래픽 객체에서 강조되는 음절에 대응하는 중국어 문자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제 2 그래픽 객체는 또한, 예컨대, 로마 알파벳의 단어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영어 언어에서, 제 1 객체는 입력된 키 시퀀스와 부합하는 단어 또는 어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즉, 동일한 수의 문자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2 그래픽 객체는, 제 1 그래픽 객체에서 강조된 문자 시퀀스로 개시하는 길거나 조합된 단어 또는 관련 단어를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제시되는 보다 긴 단어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다른 문자의 입력을 계속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입력 시스템이, 예컨대, 원래의 예측 편집기 보다 더 고속이고, 더욱 정확한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을 지라도, 그것은 물론 사용자에 대한 지원 도구로서 고려되어, 사용자가 어떤 상황에서 예측 편집기의 원래의 버전을 원할 경우에 기능을 턴오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기술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것으로 제한되지 않지만, 다음의 청구범위내에서 한정된 주 문제의 범주내에서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Claims (35)

  1. 각 키가 다수의 문자 및/또는 음성 기호를 나타내는 다수의 키를 가진 키패드(3)에 의해 전자 통신 장치내로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입력된 텍스트는 상기 전자 통신 장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2) 상에 표시되고, 상기 방법은,
    키의 시퀀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키 시퀀스에 대응하는 가능 음성 음절을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가능 음절을 메모리(5)내에 저장된 어휘(6)와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어휘는 소정의 언어로 생성하는 음절 및 대응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음절 및, 상기 가능 음절에 부합하는 대응 문자를 사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사전 선택된 많은 문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은 상기 디스플레이(2)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잘 배열된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내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음절에 대응하는 문자는 동시에 제 2 그래픽 객체(21)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 제공된 음절 중 하나를 명료하게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21)에 제공된 문자는 명료하게 지시된 음절에 대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시에, 음성 음절 중 어느 것이 현재 제시되고, 어느 문자가 여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의 사용 빈도에 따라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순위를 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 음절을 디폴트로서 명백하게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중 상이한 것을 명백하게 지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시된 음성 음절에 대응하는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2) 상에 표시된 텍스트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문자가 선택되었을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2)로부터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정된 시간 주기가 최종 키의 활성화 이래 경과하였을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2)로부터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서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수를 수직으로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중 상이한 것을 명백하게 지시하도록 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개개의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사이에서 내비게이트하도록 하여, 현재 지시된 음성 음절 바로 위에 제공된 음성 음절을 지시하는 상향 키를 활성화하고, 현재 지시된 음성 음절 바로 아래에 제공된 음성 음절을 지시하는 하향 키를 활성화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모두가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현재 제공된 음성 음절 중 하나를 배제하고, 대신에, 상향 키 및 하향 키 중 하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현재 제공되지 않은 음성 음절을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좌향 화살표 키 및/또는 우향 화살표 키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 내의 개개의 문자 사이에서 내비게이트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공되는 음성 음절의 길이에 따라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의 폭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공되는 음성 음절의 길이에 따라 조정되는 폰트 사이즈를 가진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의 음성 음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inyin 표시로서 상기 가능 음성 음절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15. 제 2 항에 있어서,
    명백하게 지시된 음성 음절과 협력하여 커서를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가 상기 디스플레이(2) 상에 보여지는 한, 변화되지 않는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 외부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가 상기 디스플레이(2) 상에 보여지는 한, 키 활성화 속도에 비해 저속으로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 외부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내로의 텍스트 입력 방법.
  18. 텍스트를 전자 통신 장치(1)내에 입력하는 가능성을 가진 전자 통신 장치(1)로서,
    각 키가 다수의 문자 및/또는 음성 음절을 나타내는 다수의 키를 가진 키패드(3),
    상기 전자 통신 장치 상에 배치되어, 입력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2),
    소정의 언어로 생성하는 음성 음절 및 대응 문자를 포함하는 어휘가 저장되는 메모리(5),
    활성화된 키의 시퀀스에 대응하는 가능 음성 음절을 생성하는 수단(7),
    상기 가능 음성 음절을 상기 저장된 어휘(6), 사전 선택하는 저장된 음성 음절 및, 상기 가능 음절에 부합하는 대응 문자와 비교하는 수단(8)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다수의 사전 선택된 문자를 제공하는 수단(9)을 포함하는 전자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수단(9)은 상기 디스플레이(2) 상의 다수의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을 상기 디스플레이(2) 상에 우선적으로 배열된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그래픽 객체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상기 음절에 대응하는 문자를 제 2 그래픽 객체(21)에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수단(9)은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 제공된 음절 중 하나를 명백하게 지시하도록 더 배치되고, 상기 명백하게 지시된 음절은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21)에 제공되는 문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의 사용 빈도에 따라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순위를 정하여,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음성 음절을 디폴트로서 명백하게 지시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중 상이한 것을 명백히 지시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시된 음성 음절에 대응하는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2) 상에 표시된 텍스트에 부가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문자가 선택되었을 시에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를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24.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키의 최종 활성화 이래 선정된 시간 주기가 경과하였을 시에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를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의 수를 상기 별도의 그래픽 객체(11,12,13)에수직으로 제공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개개의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사이에서 내비게이트하도록 하여, 현재 지시된 음성 음절 바로 위에 제공된 음성 음절을 지시하기 위한 상향 키를 활성화하고, 현재 지시된 음성 음절 바로 아래에 제공된 음성 음절을 지시하기 위한 하향 키를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 중 상이한 것을 명백하게 지시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모든 사전 선택된 음성 음절이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현재 제공된 음성 음절 중 하나를 배제하는 대신에, 상향 키 및 하향 키 중 하나의 활성화에 의해 현재 제공되지 않는 음성 음절을 제공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28. 제 18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향 화살표 키 및/또는 우향 화살표 키를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 2 그래픽 객체의 개별 문자 사이에서 내비게이트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29. 제 18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공되는 음성 음절의 길이에 따라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의 폭을 조정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30. 제 18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공되는 음성 음절의 길이에 따라 조정되는 폰트 사이즈를 가진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에 음성 음절을 제공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31. 제 1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 음성 음절은 pinyin 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3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백하게 지시된 음성 음절과 협력하여 커서를 보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33. 제 18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가 상기 디스플레이(2) 상에 보여지는 한, 변화되지 않은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 외부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유지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34. 제 18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11,12,13)가 상기 디스플레이(2) 상에 보여지는 한, 키 활성화 속도에 비해 저속으로 상기 별도의 제 1 그래픽 객체 외부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갱신하도록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35. 제 18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7), 비교 수단(8) 및 제공 수단(9)은 프로세서(4) 내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치.
KR1020047014431A 2002-03-22 2003-03-05 전자 통신 장치로의 텍스트 입력 KR100947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388024A EP1347362B1 (en) 2002-03-22 2002-03-22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EP02388024.8 2002-03-22
US36999402P 2002-04-03 2002-04-03
US60/369,994 2002-04-03
PCT/EP2003/002262 WO2003081365A2 (en) 2002-03-22 2003-03-05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306A true KR20040101306A (ko) 2004-12-02
KR100947401B1 KR100947401B1 (ko) 2010-03-12

Family

ID=27771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431A KR100947401B1 (ko) 2002-03-22 2003-03-05 전자 통신 장치로의 텍스트 입력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347362B1 (ko)
KR (1) KR100947401B1 (ko)
AT (1) ATE295567T1 (ko)
DE (1) DE60204113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13B1 (ko) * 2005-07-27 2010-04-26 노키아 코포레이션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
CN104615269A (zh) * 2015-02-04 2015-05-13 史晓东 一种藏文拉丁全简双拼编码方案及其智能输入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8688B2 (en) 1998-12-04 2015-01-20 Nuance Communications, Inc. Contextual prediction of user words and user actions
US7712053B2 (en) 1998-12-04 2010-05-04 Tegic Communications, Inc. Explicit character filtering of ambiguous text entry
US7881936B2 (en) 1998-12-04 2011-02-01 Tegic Communications, Inc. Multimodal disambiguation of speech recognition
US7679534B2 (en) 1998-12-04 2010-03-16 Tegic Communications, Inc. Contextual prediction of user words and user actions
US7720682B2 (en) 1998-12-04 2010-05-18 Tegic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voice input to resolve ambiguous manually entered text input
US8706747B2 (en) 2000-07-06 2014-04-22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arching using queries written in a different character-set and/or language from the target pages
US7083342B2 (en) 2001-12-21 2006-08-01 Griffin Jason T Keyboard arrangement
US8583440B2 (en) 2002-06-20 2013-11-12 Tegic Communic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GB2402650B (en) 2003-12-31 2006-05-10 Research In Motion Ltd Keyboard arrangement
US8095364B2 (en) 2004-06-02 2012-01-10 Tegic Communications, Inc. Multimodal disambiguation of speech recognition
US7505798B2 (en) 2006-06-08 2009-03-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Angular keyboard for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1906297A1 (en) 2006-09-27 2008-04-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arrangement with distinct vowel keys
US7658561B2 (en) 2006-09-27 2010-02-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dified keyboard arrangement with distinct vowel keys
US20080180283A1 (en) * 2007-01-31 2008-07-3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of cross media input for chinese character input in electronic equipment
CN101266520B (zh) * 2008-04-18 2013-03-27 上海触乐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实现灵活键盘布局的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8437A (en) * 1995-07-26 1998-10-06 Tegic Communications, Inc.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computer
US6054941A (en) * 1997-05-27 2000-04-25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deographic characters
FI112978B (fi) * 1999-09-17 2004-02-13 Nokia Corp Symbolien syött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13B1 (ko) * 2005-07-27 2010-04-26 노키아 코포레이션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
CN104615269A (zh) * 2015-02-04 2015-05-13 史晓东 一种藏文拉丁全简双拼编码方案及其智能输入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95567T1 (de) 2005-05-15
EP1347362A1 (en) 2003-09-24
KR100947401B1 (ko) 2010-03-12
DE60204113D1 (de) 2005-06-16
EP1347362B1 (en)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5531B2 (en)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JP4252955B2 (ja) 電子通信装置に対してテキストを入力する方法
KR100947401B1 (ko) 전자 통신 장치로의 텍스트 입력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JP4118817B2 (ja)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文字入力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50025147A (ko) 전자 통신 장치로의 텍스트 입력
JP5021802B2 (ja) 言語入力装置
US7159191B2 (en) Input of data
EP1347361A1 (en)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8589145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US7212967B2 (en) Chinese phonetic transcription input system and method with comparison function for imperfect and fuzzy phonetic transcriptions
US7197184B2 (en) ZhuYin symbol and tone mark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P1378817B1 (en)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KR20070075113A (ko) 이동통신단말에서의 초성자음을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
JP2002297577A (ja) 中国語入力変換処理装置、中国語入力変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938087B2 (ja) 言語入力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9048374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情報処理機器における文字入力方法
KR20060018565A (ko)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 방법
KR100506523B1 (ko) 듀얼 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05228263A (ja) データベース検索装置、電話帳表示装置及び中国語文字データベース検索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20076648A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00187660A (ja) かな漢字変換方法、かな漢字変換装置、及び記憶媒体
KR20040016715A (ko) 불완전하고 불명확한 발음 표기들에 대한 비교 기능을갖는 중국어 발음 표기 입력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