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99212A -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 - Google Patents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212A
KR20040099212A KR1020040087992A KR20040087992A KR20040099212A KR 20040099212 A KR20040099212 A KR 20040099212A KR 1020040087992 A KR1020040087992 A KR 1020040087992A KR 20040087992 A KR20040087992 A KR 20040087992A KR 20040099212 A KR20040099212 A KR 20040099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plate
plate
meat
main
cooking t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용
Original Assignee
김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용 filed Critical 김기용
Priority to KR1020040087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9212A/ko
Publication of KR20040099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212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2037/077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foldable construc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판을 개선하여 육류를 보다 용이하게 구울 수 있도록 하면서 육류와 구이판이 타는 것을 방지하여 육류의 맛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은 물론, 조리테이블을 개선하여 숯불의 영향을 받지않도록 하면서 업소는 물론 가정과 야외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리테이블(100)은,
중앙과 양측에 인너공간(IS)과 아웃공간(OS)을 가지고 구비되는 테이블프레임(101)과;
상기 테이블프레임(101)의 저면에는 구비되는 다리(102)와;
상기 인너공간(IS)의 중심부 중간위치에 숯불을 담은 화로(103)를 안치할 수 있도록 저면은 개방하고 사면을 차폐판(105)으로 마감하여 구비하는 화로안치대(104)와;
상기 차폐판(105)의 양측에 형성하여 화로(103)로의 공기 유통을 조절하는 공기조절공(106)과;
상기 화로(103)의 상방 인너공간(IS)에 안치되어 육류를 구울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이판(110)과;
상기 메인구이판(111)과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어 국물이 있는 찌게류를 조리할 수 있도록 메인구이판(111)과 교환 가능하게 하는 찌게용기(120)와;
상기 아웃공간(OS)에 테이블프레임(101)과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안치되는 테이블플레이트(125)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Cooking table having grill}
본 발명은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고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타지 않고 맛있게 구울 수 있는 구이판을 포함하여 굽기가 용이하면서 업소와 가정 및 야외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리테이블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조리테이블은 업소에 구비되어 육류를 구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인 예를 도 1,2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조리테이블(1)은, 금속 또는 목재질(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로 많이 함.)로 중앙과 양측에 공간을 가지는 격자형태로 테이블프레임(2)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프레임(2)의 저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다리(3)를 구비한다.
상기 테이블프레임(2)의 중앙에 구비되는 인너공간(IS)에는 육류를 굽기 위한 숯불(4)을 안치하기 위한 숯불거치대(5)를 구비하고, 상기 인너공간(CS)의 양측에 구비되는 아웃공간(OS)에는 커다란 쟁반과 같은 재치구(6)를 안치한다.
상기 인너공간(IS)의 중앙에는 육류를 굽기 위한 구이판(7)을 구비하는 데, 상기 구이판(7)은 금속환봉(철사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사각형상으로 만들어진 구이판틀(8)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다수개의 구이바(9,10)를 고정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구이판이 숯불 바로 위에만 안치되고 인너공간의 전,후측은 개방된 상태가 됨으로서 숯불 주위에 앉는 사람의 경우에는 숟가락이나 젖가락을 비롯하여 부수적인 반찬등을 재치할 수 없는 형태가 됨으로서 상당한 불편이 따른다.
인너공간에 수납된 숯불을 통하여 상당한 열기가 이용자에게 노출됨으로서 불편함이 이루 말할 수 없고, 사소한 실수로 인하여 숯불과 접촉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고, 아웃공간에 재채된 재치구의 형상도 평평하지 못하고 가장자리에 돌출된 림을 가짐으로서 한정된 수의 그릇 등을 수용할 수 있을 뿐 자유롭게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가장큰 문제는, 구이판을 통하여 숯불의 불과 열기가 직접 육류로 전도됨으로서 쉽게 육류가 타게되는 데, 서서히 익혀저 내부까지 익어지지 않고 겉부위만 신속하게 타게 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구이판이 망체타입으로 구성됨으로서 작은 크기의 육류나 육류와 함께 구워지는 마늘이나 버섯, 양파등과 같은 양념류들이 숯불으로 낙하하게 되고, 육류로 부터 나오는 기름성분이나 양념성분에 의하여 육류가 타면서 구이판이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이판이 오염되기 전에 육류로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속하여 구이판을 새로운 것으로 주기적으로 교환하여야 하기 때문에 지긋하게 육류를 구워서 먹을 수 없게된다.
육류를 구운 후 오염된 구이판의 경우 열에 의하여 경화되고 강하게 흡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세척과정에서도 쉽게 제거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어느정도 육류가 익으면 바로 섭취하였을 경우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구이판에 구워지는 육류를 동시에 섭취할 수 없어 구이판의 가장자리로 둘 경우 시간이 얼마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쉽게 타게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혹여 육류를 구이판의 가장자리에 둔 육류가 쉽게 타지는 않더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딱딱하게 굳어져 결국에는 섭취하지 못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구이판을 개선하여 육류를 보다 용이하게 구울 수 있도록 하면서 육류와 구이판이 타는 것을 방지하여 육류의 맛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은 물론, 조리테이블을 개선하여 숯불의 영향을 받지않도록 하면서 업소는 물론 가정과 야외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의 편익성을 높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을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을 도시한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에 사용되는 구이판과 보조구이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에 사용되는 구이판과 보조구이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의 또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조리테이블
110; 구이판
111; 메인구이판
112; 보조구이판
114,115; 연전도공
116; 코팅층
120; 찌게용기
125; 테이블플레이트
130; 조명
IS; 인너공간
OS; 아웃공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을 도시한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에 사용되는 구이판과 보조구이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에 사용되는 구이판과 보조구이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의 또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100)은, 금속이나 비철금속 또는 목재질로 중앙에 인너공간(IS)과 양측에 아웃공간(OS)을 가지는 테이블프레임(101)을 구비한다.
상기 테이블프레임(101)의 저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다리(102)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102)는 통상적인 높,낮이 조절수단에 의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거나, 통상적인 접철수단에 의하여 접철되도록 구비하여 업소는 물론 가정이나 야외에서도 적절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테이블프레임(101)의 중앙에 구비되는 인너공간(IS)의 중심부 중간위치에는 육류를 굽기 위한 숯불을 담은 화로(103)를 안치하기 위한 화로안치대(104)를 구비하고, 상기 화로안치대(104)의 저면은 개방하고 사면은 차폐판(105)으로 마감한다.
상기 차폐판(105)의 양측에는 화로(103)로 공기 유통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공기조절공(106)을 더 형성하고, 상기 화로(103)의 상방 인너공간(IS)에는 육류를 굽기 위한 구이판(110)을 구비한다.
상기 구이판(110)은 화로(101)의 직 상방에 위치하여 인너공간(IS)의 절반정도를 커버하는 크기를 가지는 판상타입의 메인구이판(111)과 상기 메인구이판(111)의 양측에 위치하여 나머지 인너공간(IS)을 커버하는 보조구이판(112)으로 구성한다.
상기 메인구이판(111)과 보조구이판(112)은 열전도를 서서히 받을 수 있도록 상당한 두께(약 5∼10㎜사이--바람직하게는 6㎜)를 가지는 금속재질의 베이스(113)에 열전도성을 높일 수 있도록 많은 수의 열전도공(114,115)을 형성한다.
상기 열전도공(114,115)의 크기는 작게 썰은 육류나 마늘, 버섯등과 같은 양념류들이 쉽게 흘러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약 5∼10㎜사이의 직경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메인구이판(111)과 보조구이판(112)의 상면에는 열기에 의하여 육류와 양념등이 쉽게 타는 것과, 표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면서 이형성(비접착성)이 뛰어난 테프론(Teflon; 불소수지)를 2/100∼4/100㎛의 두께로 코팅층(116)을 형성한다.
상기 메인구이판(111)과 보조구이판(112)의 양측에는 열전도공(114,115)을 형성하지 않은 재치공간(117)을 형성하여 구워진 육류를 섭취하지 않을 경우 일시적으로 보관하거나 그릇이나 수저등을 재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구이판(111)과 보조구이판(112)은 인너공간(IS)형성되는 단턱(T)에 안치되어 테이블프레임(101)과 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메인구이판(111)에는 교환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손잡이(119)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메인구이판(111)과 동일한 크기의 찌게용기(120)를 더 구비하여 육류섭취가 끝난 후 국물이 있는 찌게류를 메인구이판(111)위치에 안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찌게용기(120)의 양측에 손잡이(121)를 구비하여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고, 중앙에는 용량별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2)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122)의 양측 여유공간에는 수저나 국자등을 재치할 수 있도록 재치판(123)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아웃공간(OS)에는 테이블프레임(101)과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테이블플레이트(125)를 안치하고, 상기 테이블플레이트(125)에는 구이판(110)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그림이나 디자인 및 광고(상호나 전화번호)를 천공으로 형성하여 미관을 고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테이블프레임(101)의 모서리나 다리(102)에는 야외에서 야간에 사용시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클립타입 홀삽입타입 등과 같은 통상적인 착탈타입의 조명(130)을 더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리테이블(100)은,
육류를 굽거나 찌게와 같은 조리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인너공간(IS)의 화로안치대(104)로 부터 화로(103)를 이탈시킨 후 인너공간(IS)의 상부를 구이판(110)으로 차단한 상태로 둔다.
이러한 상태에서 육류를 굽고자 할 경우에는 구이판(110)을 구성하는 메인구이판(111)을 이탈시킨 후 화로안치대(104)에 화로(103)를 재치시킨 후 차폐판(105)에 구비되는 공기조절공(106)을 적절한 상태로 조절한 후 이탈시켰던 메인구이판(111)을 인너공간(IS)의 상방에 결합시킨다.
그런다음 화로(103)의 열원이 전달되는 메인구이판(111)에 굽고자 하는 육류를 놀려놓고 구우면 되는데, 화로(103)의 열기가 메인구이판(111)을 가열하여 메인구이판(111)위에 있는 육류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게 되고, 동시에 메인구이판(111)에 형성된 열전도공(114,115)을 통하여서는 육류를 화로(103)의 열기가 직접 가열하는 형태가 된다.
그러므로 구이판(110)의 두께가 두꺼워진 상태라 하더라도 육류가 천천히 익혀지는 현상은 없으며, 최적의 상태로 구워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구이판(110)의 표면(상면)에 테프론재질의 코팅층(116)을 더 가짐으로서 육류가 구워지면서 배출되는 기름이나 기타 육류의 간을 맞출 수 있도록 사용한 양념류가 코팅층(116)이 가지는 특성인 이형성에 의하여 쉽게 타거나 달라붙게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같이 육류의 종류나 양념여부에 관계없이 구이판(110)의 상면에 형성하는 코팅층(116)에 의하여 구이판(110)이 타거나 오염되는 현상이 없음으로서 구이판(110)을 빠른 시간내에 주기적으로 교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육류를 굽고난 후 발생하는 약간의 오염은 코팅층(116)의 특성인 이형성에 의하여 쉽게 세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육류를 구우면서 구워진 육류를 섭취할 수 있게되며, 섭취과정에서는 구이판(110)을 구성하는 보조구이판(112)으로는 열전도가 극히 미약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더라도 안전상의 문제가 없게된다.
이는 메인구이판(111)과 보조구이판(112)이 분리된 상태에 있고, 이들이 서로 연접된 상태에 있더라도 분리면에 의하여 메인구이판(111)의 열이 보조구이판(112)으로 전도되지 않음으로서 가능하게 되며, 또한 상기 보조구이판(112)에 의하여 인너공간(IS)의 가장자리가 차단되어 화로(103)가 노출되지 않음으로서 화기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배제된다.
그러므로 상기 보조구이판(112)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수저나 그릇이나 잔과 같은 이용물품을 안치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워진 육류를 바로 섭취하지 않을 경우에는 메인구이판(111)의 양측에 열전도공(114,115)이 형성되지 않고 구비되는 재치공간(117)에 구워진 육류를 둠으로서 열의 간접적인 전도로 육류를 은은한 상태로 보온하는 형태가 됨으로서 장시간 두어도 육류가 딱딱하여지거나 타는 현상이 없이 처음 구운 것과 같은 맛을 유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구이판(110)에 형성되는 열전도공(114,115)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구워지는 육류나 마늘, 양파, 버섯등이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되고, 흘러내린 육류나 양념에 의하여 화로(103)에서 연기나 악취가 발생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육류의 섭취가 끝난 후에는 구이판(110)을 구성하는 메인구이판(111)을 이탈시킨 후 메인구이판(111)과 같은 크기를 가지면서 수용공간(122)을 달리한 찌게용기(120)를 안치시켜 국물이 있는 요리를 제공하여 밥과 함께 섭취할 수있도록 하면된다.
이 과정에서도 찌게용기(120)의 수용공간(122) 양측에 구비되는 재치판(123)에 국물이 있는 요리를 조리하거나 섭취하기 용이하도록 국자와 같은 조리기구를 안치할 수 있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육류를 굽는 과정이나 국물이 있는 요리를 하는 경우 모두 아웃공간(OS)에 안치된 테이블플레이트(125)의 상면에는 음식물 섭취에 필요한 반찬이나 술, 음료수등을 통상의 방법과 같이 안치하여 두면되는 것이다.
특히, 테이블플레이트(125)의 경우에는 구이판(110)과 마찬가지로 테이플프레임(101)의 상면과 평평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걸림현상이 없어 그릇 등이 유동하거나 엎질러지는 현상이 없어 편리함을 가질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테이블(100)의 경우에는 다리(102)가 접철되거나 높,낮이 조절되는 형태로 구비함으로서 일반적인 업소에서의 사용은 물론, 가정이나 야외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된다.
특히,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에도 조리테이블(100)에 육류를 굽는 것은 물론 국물이 있는 요리가 가능하고, 밥이나 반찬 및 음료나 술을 안치할 수 있기 때문에 불편함이 없으녀, 야간에 사용할 경우에는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조명(130)을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구이판을 개선하여 육류를 보다 용이하게 구울 수 있도록 하면서 육류와 구이판이 타는 것을 방지하여 육류의 맛을 증대시키도록 하는것은 물론, 조리테이블을 개선하여 숯불의 영향을 받지않도록 하면서 업소는 물론 가정과 야외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의 편익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Claims (5)

  1.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조리테이블(100)은, 중앙과 양측에 인너공간(IS)과 아웃공간(OS)을 가지고 구비되는 테이블프레임(101)과;
    상기 테이블프레임(101)의 저면에는 구비되는 다리(102)와;
    상기 인너공간(IS)의 중심부 중간위치에 숯불을 담은 화로(103)를 안치할 수 있도록 저면은 개방하고 사면을 차폐판(105)으로 마감하여 구비하는 화로안치대(104)와;
    상기 차폐판(105)의 양측에 형성하여 화로(103)로의 공기 유통을 조절하는 공기조절공(106)과;
    상기 화로(103)의 상방 인너공간(IS)에 안치되어 육류를 구울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이판(110)과;
    상기 메인구이판(111)과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어 국물이 있는 찌게류를 조리할 수 있도록 메인구이판(111)과 교환 가능하게 하는 찌게용기(120)와;
    상기 아웃공간(OS)에 테이블프레임(101)과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안치되는 테이블플레이트(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110)은 화로(101)의 직 상방에 위치하는 판상타입의 메인구이판(111)과;
    상기 메인구이판(111)의 양측에 위치하여 나머지 인너공간(IS)을 커버하는 보조구이판(112)으로 구성하고;
    상기 메인구이판(111)과 보조구이판(112)은 열전도를 서서히 받을 수 있도록 상당한 두께(5∼10㎜)를 가지는 금속재질의 베이스(113)에 열전도성을 높일 수 있도록 많은 수의 열전도공(114,115)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구이판(111)과 보조구이판(112)의 상면에는 열기에 의하여 육류와 양념등이 쉽게 타고, 표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면서 이형성(비접착성)이 뛰어난 테프론(Teflon; 불소수지)재질의 코팅층(116)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구이판(111)과 보조구이판(112)의 양측에는 구워진 육류의 보관과 기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열전도공(114,115)을 형성하지 않은 재치공간(117)을 더 형성하고;
    상기 메인구이판(111)과 보조구이판(112)은 인너공간(IS)형성되는 단턱(T)에 안치되어 테이블프레임(101)과 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메인구이판(111)에는 교환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손잡이(11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찌게용기(120)는 양측에 용이한 취급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손잡이(121)와;
    상기 찌게용기(120)의 중앙에 용량별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수용공간(122)과;
    상기 수용공간(122)의 양측 여유공간에 형성하여 수저나 국자등을 재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재치판(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프레임(101)에는 야간 사용시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통상적인 착탈타입의 조명(13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102)는 통상적인 접철 또는 높,낮이 조절수단에 의하여 접철 또는 높,낮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
KR1020040087992A 2004-11-01 2004-11-01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 Abandoned KR20040099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992A KR20040099212A (ko) 2004-11-01 2004-11-01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992A KR20040099212A (ko) 2004-11-01 2004-11-01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212A true KR20040099212A (ko) 2004-11-26

Family

ID=3737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992A Abandoned KR20040099212A (ko) 2004-11-01 2004-11-01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9212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50B1 (ko) * 2007-06-22 2008-10-28 조현도 숯불구이기의 2단 높이 조절용 다리
KR101051502B1 (ko) * 2008-10-07 2011-07-22 권복만 식당용 테이블
KR101068297B1 (ko) * 2010-02-01 2011-09-28 문도주 야외용 조리대
KR200469889Y1 (ko) * 2011-11-15 2013-11-11 부의식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KR200471962Y1 (ko) * 2012-06-21 2014-03-27 박종원 가스기기 연결용 어댑터를 구비한 레저용 테이블
CN107518780A (zh) * 2017-09-27 2017-12-29 浙江安立博休闲用品有限公司 一种烧烤桌
AU2018247280B2 (en) * 2007-04-16 2020-02-06 Aktiebolaget Electrolux Improved Barbecue and Barbecue Components
CN114206179A (zh) * 2019-07-03 2022-03-18 W.C.布拉德利公司 一种适应性烹饪炉排构造
CN117267759A (zh) * 2023-11-20 2023-12-22 佛山市南海科勇炉具实业有限公司 便携式炉具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247280B2 (en) * 2007-04-16 2020-02-06 Aktiebolaget Electrolux Improved Barbecue and Barbecue Components
KR100865450B1 (ko) * 2007-06-22 2008-10-28 조현도 숯불구이기의 2단 높이 조절용 다리
KR101051502B1 (ko) * 2008-10-07 2011-07-22 권복만 식당용 테이블
KR101068297B1 (ko) * 2010-02-01 2011-09-28 문도주 야외용 조리대
KR200469889Y1 (ko) * 2011-11-15 2013-11-11 부의식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KR200471962Y1 (ko) * 2012-06-21 2014-03-27 박종원 가스기기 연결용 어댑터를 구비한 레저용 테이블
CN107518780A (zh) * 2017-09-27 2017-12-29 浙江安立博休闲用品有限公司 一种烧烤桌
CN114206179A (zh) * 2019-07-03 2022-03-18 W.C.布拉德利公司 一种适应性烹饪炉排构造
CN117267759A (zh) * 2023-11-20 2023-12-22 佛山市南海科勇炉具实业有限公司 便携式炉具
CN117267759B (zh) * 2023-11-20 2024-02-02 佛山市南海科勇炉具实业有限公司 便携式炉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3529B1 (en) Improved two-way heating cooker
US9215949B1 (en) Modular griddle and grill frame with inserts
US20160106261A1 (en) Modular Grill Frame With Inserts
KR20040099212A (ko)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
KR100909072B1 (ko) 식탁용 조리기
KR20070099729A (ko) 구이와 부(附)요리의 복합 요리가 가능한 구이판
US20050045045A1 (en) Grill grate logo transfer apparatus
KR200471303Y1 (ko) 석쇠가 포함되는 프라이팬
US20100077929A1 (en) Apparatus for Cooking Bacon and Other Flat Strips of Food
JP2021078952A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
JP7627823B2 (ja) 串料理調理器具及び串料理の製造方法
KR200335328Y1 (ko) 양면 조리기구
KR200427541Y1 (ko) 테이블
KR200411800Y1 (ko) 테이블용 요리판 세트
US20250017419A1 (en) Dual-mode moo ka ta-style cookware with removable cooking/grilling surface
KR200314595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200025008A (ko) 화로용 조리기
KR200297015Y1 (ko) 닭갈비 구이판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200359184Y1 (ko) 구이기
KR20040053051A (ko) 다용도 구이용불판
KR200353434Y1 (ko) 고기 안착대가 형성된 솥뚜껑 구이판
CN2438395Y (zh) 改良结构的锅具
KR200369957Y1 (ko) 구이판
KR200370796Y1 (ko) 분리형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8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