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5347A -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ccr3 길항제로서의n-{[(2s)-4-(3,4-디플루오로벤질)모르폴린-2-일]메틸}-2-{3-[(메틸설포닐)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드 - Google Patents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ccr3 길항제로서의n-{[(2s)-4-(3,4-디플루오로벤질)모르폴린-2-일]메틸}-2-{3-[(메틸설포닐)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95347A KR20040095347A KR10-2004-7015447A KR20047015447A KR20040095347A KR 20040095347 A KR20040095347 A KR 20040095347A KR 20047015447 A KR20047015447 A KR 20047015447A KR 20040095347 A KR20040095347 A KR 200400953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ula
- compound
- compounds
- suitably
- amino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65/28—1,4-Oxazines; Hydrogenated 1,4-oxazines
- C07D265/30—1,4-Oxazines; Hydrogenated 1,4-oxazine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5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f [({[(2S)-4-(3,4-디클로로벤질)모르폴린-2-일]메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메틸)=네틀릴벤즈아미드인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Hsc H H '(0) IIZZ V;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 이의 제조하기 위한 방법,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형 및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CCR3 길항제로서의 이의 치료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규 화합물, 이를 제조하는 방법,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형 및 이의 치료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조직 손상 또는 미생물 침습에 대한 1차 반응으로서, 내피로의 백혈구 유착, 혈관외유출 및 조직내에서의 활성화를 특징으로 한다. 백혈구 활성화는 독성 산소종 (예를 들어, 수퍼옥사이드 음이온)의 발생 및 과립 생성물 (예를 들어, 퍼옥시다제 및 프로테아제)의 방출을 일으킨다. 순환성 백혈구로는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단핵구 및 림프구가 있다. 다양한 형태의 염증은 다양한 유형의 침윤성 백혈구를 수반하며, 특정 프로파일은 조직내에서의 유착 분자, 사이토카인 및 화학주성 인자 발현의 프로파일에 의해 조절된다.
백혈구의 1차적인 기능은 침습하는 생물체, 예를 들어 세균 및 기생충으로부터 숙주를 방어하는 데에 있다. 조직이 손상되거나 감염되면, 백혈구를 순환으로부터 침범된 조직내로 국부적으로 동원하는 일련의 과정이 일어난다. 백혈구 동원은 외래 세포 또는 사멸 세포의 순차적인 파괴 및 식작용 후에 조직 복구 및 염증 침윤물의 분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조절된다. 그러나, 만성 염증 상태의 경우, 동원은 종종 부적절하고, 분해는 부적합하게 조절되며, 염증 반응은 조직 파괴를 일으킨다.
천식의 특징인 기관지 염증이 세포 매개성 면역의 특수한 형태를 나타낸다는 증거가 많아지고 있으며, 여기서 T-헬퍼 2 (Th2) 림프구에 의해 방출된 IL-4 및 IL-5와 같은 사이토카인 생성물은 과립구, 특히 호산구 및 보다 적은 정도로 호염기구의 축적 및 활성화를 조화시킨다. 세포독성 염기성 단백질, 향염증성 (pro-inflammatory) 매개물질 및 산소 라디칼의 방출을 통해, 호산구는 점막 상해를 발생시키고, 기관지 반응항진의 기초가 되는 메카니즘을 개시시킨다. 따라서, Th2 세포 및 호산구의 동원 및 활성화를 차단하는 것은 천식에서 항염증 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호산구는 비염, 습진, 과민성 대장증후군 및 기생충 감염과 같은 기타 질병 유형에 관련되어 왔다.
케모카인은 백혈구의 통행 및 동원에 관여하는 소형 단백질의 거대 패밀리이다 [참조: Luster, New Eng. J. Med., 338, 436-445 (1998)]. 이들은 아주 다양한 세포에 의해 방출되며, 호산구, 호염기구, 호중구, 대식구, T 및 B 림프구를 포함하는 다양한 세포 유형을 유인하여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케모카인의 두 가지 주요 패밀리는 CXC- (α) 및 CC- (β) 케모카인이며, 이는 케모카인 단백질의 아미노 말단 근처의 두 개의 보존되는 시스테인 잔기의 간격에 따라 분류된다. 케모카인은 G-단백질 커플링되는 7개의 막통과-도메인 단백질의 패밀리에 속하는 특정 세포 표면 수용체에 결합한다 (참조: Luster, 1998). 케모카인 수용체의 활성화는, 다른 반응들 중에서, 세포내 칼슘의 증가, 세포 모양의 변화, 세포 유착 분자의 발현 증가, 탈과립 및 세포 유주의 촉진 (화학주성)을 초래한다.
현재까지, 다수의 CC 케모카인 수용체가 확인되었고, 본 발명에 특히 중요한 것은 호산구 및 호염기구, 비만 세포 및 Th2 세포에서 주로 발현되는 CC-케모카인 수용체-3이다. RANTES, MCP-3 및 MCP-4와 같은 CCR-3에서 작용하는 케모카인은 호산구를 동원하고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CCR-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에오택신 및 에오택신-2 이다. CCR-3 케모카인의 위치결정 및 기능은 이들이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성 질환의 발생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함을 나타내준다. 따라서, CCR-3는 염증성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는 모든 주요 세포 유형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된다. CCR-3에서 작용하는 케모카인은 염증성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하여 이러한 세포 유형을 염증 부위로 동원하고 이 부위에서 이들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참조: Griffiths et al., J. Exp. Med., 179, 881-887 (1994), Lloyd et al., J. Exp. Med., 191, 265-273 (2000)]. 또한, 항-CCR-3 모노클로날 항체는 에오택신과 호산구의 상호작용을 완벽하게 억제하는 반면 [Heath, H. et al., (1997) J. Clin. Invest. 99 (2), 178-184], CCR-3 특이적 케모카인인 에오택신에 대한 항체는 천식의 동물 모델에서 기관지 반응항진 및 폐 호산구증가증 둘 모두를 감소시켰다 [Gonzalo et al., J. Exp. Med., 188, 157-167 (1998)]. 따라서, 다양한 계열의 증거는 CCR-3 수용체 길항제가 여러가지 염증 질환의 치료에 관해 치료적 용도를 지닐 것으로 보인다는 것을 나타내준다.
염증 질환에서의 중요한 역할 이외에, 케모카인 및 이들의 수용체는 감염성 질환에서도 역할을 한다. 포유류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포진 바이러스 및 폭스 바이러스는 케모카인 수용체 동족체를 발현하며, 이들은 RANTES 및 MCP-3 수용체와 같은 인간 CC 케모카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참조: Wells and Schwartz, Curr. Opin. Biotech., 8, 741-748, 1997]. 또한, CXCR-4, CCR-5 및 CCR-3와 같은 인간 케모카인 수용체는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HIV)와 같은 미생물에 의한 포유류 세포의 감염을 위한 보조 수용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CCR-3 길항제를 포함하는 케모카인 수용체 길항제는 HIV에 의한 CCR-3 발현 세포의 감염을 차단하거나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에 의한 면역 세포성 반응의 조작을 방지하는 데에 유용할 수 있다.
국제 특허 출원 공개 번호 WO 01/24786호 (Shionogi & Co. Ltd.)에는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한 특정 아릴 및 헤테로아릴 유도체가 기술되어 있다. WO 00/69830호 (Torrey Pines Institute for Molecular Studies)에는 특정 디아자시클릭 화합물, 및 생물학적 스크리닝을 위한 이들을 함유하는 라이브러리가 기술되어 있다. WO 00/18767호 (Neurogen Corporation)에는 도파민 D4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특정 피페라진 유도체가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6,031,097호 및 WO 99/21848호 (Neurogen Corporation)에는 도파민 수용체 리간드로서의 특정 아미노이소퀴놀린 유도체가 기술되어 있다. WO 99/06384호 (Recordati Industria Chimica)에는 하부 요로의 신경근 기능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피페라진 유도체가 기술되어 있다. WO 98/56771호 (Schering Aktiengesellschaft)에는 항염증제로서의 특정 피페라진 유도체가 기술되어 있다. WO 97/47601호 (Yoshitomi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에는 도파민 D-수용체 차단제로서의 특정한 융합 헤테로시클릭 화합물이 기술되어 있다. WO 96/39386호 (Schering Corporation)에는 뉴로키닌 길항제로서의 특정 피페리딘 유도체가 기술되어 있다. WO 96/02534호 (Byk Gulden Lomberg Chemische Fabrik GmbH)에는 헬리코박터 세균을 조절하는데 유용한 특정 피페라진 티오피리딘이 기술되어 있다. WO 95/32196호 (Merck Sharp & Dohme Limited)에는 5-HT1D-알파 길항제로서의 특정 피페라진, 피페리딘, 및 테트라히드로피리딘이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389,635호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에는 안지오텐신-II 길항제로서의 특정한 치환된 이미다졸이 기술되어 잇다. 유럽 특허 출원 공개 번호 0 306 440호 (Schering Aktiengesellschaft)에는 심혈관 작용제로서의 특정 이미다졸 유도체가 기술되어 있다.
CCR-3 길항제인 신규한 화합물이 밝혀졌다. 이러한 화합물은 호산구의 유주/화학주성을 차단함으로써 항염증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이러한 화합물은 특히 호산구, 호염기구, 비만 세포 및 Th2-세포 유형이 관련된 질병에서 이들 세포에 의해 유도되는 조직 상해를 방어하는 데에 있어서 잠재적 치료 이익을 지니며, 특히 상기 질병으로는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및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 알레르기성 질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자들은 N-{[(2S)-4-(3,4-디플루오로벤질)모르폴린-2-일]메틸}-2-{3-[(메틸설포닐)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드인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을 제공한다:
화학식(I)의 화합물의 적합한 염에는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생리적으로 허용되지 않을 수 있으나,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는 염이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 산 부가염이 무기 산 또는 유기 산, 예를 들어,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로브로마이드,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벤조에이트, 시트레이트, 숙시네이트, 락테이트, 타르트레이트, 푸마레이트, 말레에이트, 1-히드록시-2-나프토에이트, 파모에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포르메이트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용매화물의 예는 하이드레이트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를 구성하는 하기 기술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결합시킨 후, 필요에 따라
(i)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
(ii) 이와 같이 형성된 화합물의 적합한 염 또는 용매화물을 제조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선택적 단계를 수행한다.
화학식 (II) 및 (III)의 화합물의 결합은 통상적인 결합 조건하에서 요망되는 생성물의 적합한 형성 속도를 제공하는 임의의 온도에서 적합한 반응 시간, 예를 들어 12 내지 24 시간에 걸쳐, 카르보디이미드 시약, 예를 들어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같은 적합한 탈수제의 존재하에 임의의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극성 유기 용매에서, 그리고 선택적으로 적합한 활성제, 예를 들어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과 같은 활성화된 히드록시 화합물에서, 및 선택적으로 3차 이만, 예를 들어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서 수행된다.
적합한 반응 온도는 18℃ 내지 25℃의 범위를 포함한다.
반응 생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되고 정제된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의 설폰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설폰화는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수성 나트륨 카보네이트 존재하에 통상적인 설폰화제, 예를 들어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반응 (a), 반응 (b), 또는 반응 (c)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 (a).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과 A가 보호된 아미노기, 적합하게는 프탈이미도인 하기 화학식 (VI)의 화합물의 반응 후에 아미노기를 탈보호화시켜 하기 화학식 (IIR)의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후 화학식 (IIR)의 화합물의 최종 거울상이성질체로 분리한다:
또는;
반응 (b).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화학식 (V)의 화합물과 A가 화학식 (VI)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하기 화학식 (VIA)의 화합물의 반응 후에 아미노기를 탈보호화시켜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반응 (c). 하기 화학식 (VII)의 화합물을 가수분해한 후에 화학식 (IIR)의 화합물의 최종 거울상이성질체로 분리한다:
반응 (a) 및 (b) 둘 모두에 대해, 화학식 (V)의 화합물과 화학식 (VI) 또는 (VIA)의 화합물 간의 반응 중에서 중간체 디올 (IIBR) 및 (IIB)의 고리화는 일반적으로 하기와 같은 미츠노부 조건(Mitsunobu condition)하에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테트라히드로퓨란과 같은 적합한 용매 중 화학식 (V)의 화합물 및 화학식 (VI) 또는 화학식 (VIA)의 화합물의 혼합물을 불활성 분위기, 적합하게는 질소 분위기하에서 적합한 온도, 적합하게는 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적합하게는 20 내지 24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후 추가 용매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적합하게는 0 내지 5℃로 냉각시킨다. 적합한 포스핀, 적합하게는 트리페닐 포스핀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모든 고형물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이후 7℃ 미만의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적합한 아조 화합물, 적합하게는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를 일정한 시간, 적합하게는 10 내지 15 분에 걸쳐 첨가한다. 혼합물을 일정한 시간, 적합하게는 2 내지 3 시간 동안 정치한 후 적합하게는 20 내지 25℃로 가온시킨다. 추가 정치 시간, 적합하게는 4 내지 6 시간 후에, 추가로 포스핀 및 아조 화합물을 첨가한다. 추가 정치 시간, 적합하게는 20 내지 24 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거의 건조상태로 농축시킨다. 적합한 알코올, 적합하게는 프로판-2-올을 첨가하고 다시 농축 단계를 수행한다; 이후 알코올 첨가 및 농축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이후 추가 알코올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적합하게는 65 내지 75℃의 온도로 가열한다. 적합한 시간, 적합하게는 20 내지 45 분 후에, 생성된 슬러리를 적합하게는 20 내지 25℃로 냉각시킨 후 적합하게는 1.5 내지 3 시간동안 정치시키고, 이후 생성물을 여과시켜 분리한다. 여과층을 더욱 많은 알코올로 세척하고 이후 진공하에서 35 내지 45℃에서 건조시켜 화학식 (IIR)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보호된 형태를 각각 수득한다.
생성물로부터 보호기의 제거는 일반적으로 하기와 같이 수행된다. 적합한 극성 용매, 적합하게는 물 중 화학식 (IIR)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보호된 형태의 슬러리를 높은 온도, 적합하게는 70 내지 75℃로 가열한 후 농축된 무기질 산, 적합하게는 농축된 황산으로 적가하여 처리한다. 이후 혼합물을 높은 온도, 적합하게는 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적합한 시간, 적합하게는 20 내지 24 시간 동안 가열하고, 반응 후 혼합물을 20 내지 25℃로 냉각시키고 이후 적합한 비극성 용매,적합하게는 디클로로메탄으로 처리한다. 이후 온도를 20 내지 25℃로 유지하면서 염기, 적합하게는 0.880 암모니아 용액을 적가한다. 이후 추가 비극성 용매를 첨가한 후 수상을 분리하고 추가 비극성 용매로 추출한다. 합쳐진 유기상을 물로 세척한 후 증발건조시킨다. 잔류물을 다시 용해시키고 비극성 용매를 증발시켜 화학식 (IIR)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상술된 화학식 (IIR)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보호된 형태를 제조하는 방법은 또한 A가 화학식 (VI) 및 (VIA)에 대해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각각의 하기 화학식 (IIBR) 또는 하기 화학식 (IIB)의 중간체 화합물을 분리하는 것에서 두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같은 적합한 용매 중 화학식 (V)의 화합물 및 화학식 (VI) 또는 화학식 (VIA)의 화합물의 혼합물을 불활성 기체, 적합하게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적합한 온도, 적합하게는 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적합하게는 20 내지 24 시간 동안 교반한다. 추가로 화학식 (V)의 화합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불활성 기체, 적합하게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적합한 온도, 적합하게는 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적합한 시간, 적합하게는 3 내지 6 시간 동안 가열한다. 이후 반응혼합물을 적합하게는 20 내지 25℃로 냉각시키고, 화합물을 적합한 보조 용매, 적합하게는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를 첨가시키는 방법으로 침전시킨다. 화학식 (IIBR) 또는 화학식 (IIB) 각각의 화합물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추가 보조 용매로 세척하고 진공하에서 건조한다.
이후 화학식 (IIR)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보호된 형태는 포스핀 및 아조 화합물을 첨가하기 전에 환류를 생략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술된 바와 같이 화학식 (V) 및 화학식 (VI) 또는 (VIA) 간의 반응과 유사한 조건하에서, 화학식 (IIBR) 또는 화학식 (IIB)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반응 (c)는 일반적으로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및 물의 혼합물 중 화학식 (VII)의 화합물의 용액을 교반하고,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포타슘 카르보네이트를 첨가함으로써 수행된다. 혼합물을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20 내지 25℃에서 적합한 시간, 예를 들어 16 내지 20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하에서 유기 용매를 제거시킨다. 이후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합쳐진 유기상을 적합한 건조제, 예를 들어 나트륨 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용매를 증발시키기 전에 물 및 나트륨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한다. 이후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라세믹 생성물, 예를 들어 화학식 (IIR)의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분리는 당해 분야에 잘 알려진 기술, 예를 들어 제조용 키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키랄 HPLC)를 사용하거나 부분입체이성질체 염의 분별결정으로 이루어진다.
화학식 (V)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X)의 화합물로부터 에탄올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하게는 반응은 용매의 부재하에서 고온, 예를 들어 40 내지 60℃에서 수행된다.
화학식 (VI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III)의 화합물과 3,4-디플루오로벤질 클로라이드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VIII)의 화합물과 3,4-디플루오로벤질 클로라이드 간의 반응은 일반적으로 불활성 분위기, 예를 들어 질소 분위기 하에서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서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칼륨 카르보네이트 및 나트륨 요오드와 같은 활성화제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후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기 전에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20 내지 25℃에서 적합한 시간, 예를 들어 16 내지 20 시간 동안 교반한다.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은 불활성 분위기, 예를 들어 질소 분위기하에서 적합한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중 모르폴린-2-일메틸아민의 용액을 적합한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테르 중 에틸-α,α,α-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로 처리함으로써 제조된다. 이후 혼합물을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20 내지 25℃에서 적합한 시간, 예를 들어 20 내지 40 분 동안 교반하고, 휘발성 성분을 진공하에서 제거한다. 이후 잔류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휘발성 성분을 진공하에서 제거한다.
화학식 (IV) 및 (VI)의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화합물이며 공지된 공정, 예를 들어 합성 방법론에 관한 참고 문헌, 예를 들어 문헌 [Advanced Organic Chemistry, 3rd Edition (1985),Wiley Interscience]에 개시된 것과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I), (IIBR), (IIB) 및 (V)의 화합물은 신규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IIBR)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IIB)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V)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반응의 적합한 보호기들은 당해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다. 이러한 보호기들의 형성 및 제거 방법은 분자를 보호하기에 적절한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어, 합성 방법론에 관한 참고 문헌, 예를 들어 문헌 [P J Kocienski, Protecting Groups, (1994), Thieme ]에서 논의되는 방법들이다.
상기에서 언급된 반응 또는 방법에 있어서, 가열 및 냉각의 통상적인 방법예를 들어, 각각 전기 가열 맨틀 및 빙/염욕 방법들을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인 정제 방법, 예를 들어 결정화법 및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가 필요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 및 용매화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적합한 염 또는 용매화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검정에 따라 시험관내 생물학적 활성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
(a)
CCR
-3 결합 검정
CCR-3 경쟁 결합 SPA (신틸레이션 프록시머티 검정법: scintillation proximity assay)는 CCR-3에 대한 신규한 화합물의 친화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었다. 안정하게 CCR-3(2.5mg/웰)를 발현하는 K562 세포로부터 제조된 막을 0.25mg/웰 소맥세균 응집소 SPA 비드(아멀샴)와 혼합하고, 결합 완충액(HEPES 50 mM, CaCl21 mM, MgCl25 mM, 0.5% BSA)중에서 4℃에서 1.5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배양 후에, 20 pM의 [125I] 에오탁신(아멀샴:Amersham) 및 증가된 농도의 화합물(1pM 내지 30mM)을 첨가하고, 96 웰 플레이트에서 2시간 동안 22℃에서 배양한 후, 마이크로베타 플레이트 계수기로 수를 측정하였다. 총 검정 부피는 100 ㎕이었다. 경쟁 결합 데이타는 데이타를 네가지 파라미터의 병참 방정식에 대입함으로써 분석하였다. 데이타를 적어도 2개의 실험으로부터 산출한 평균 pIC50값([125I]에오탁신의 결합을 50%까지 저해하는 화합물의 농도에 대한 역로그값)으로 나타내었다.
(b) 과민성 호산구 화학주성 검정
화합물을 호산구 화학주성에 대한 억제효과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호산구를 밀테니(Miltenyi) 세포 분리 컬럼 및 이전에 설명되어 있는(Motegi & Kita, 1998; J. Immunology. 161:4340-6) 자기 수퍼 맥스 마그넷(magnetic Super Macs magnet)을 사용하여 표준 CD16 세포 고갈로 인간의 말초 혈액으로부터 정제하였다. 세포를 RPMI 1640/10% FCS 용액에서 재현탁하고, 칼세인-AM(몰레큐러 프로브)으로 37℃에서 30 분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호산구를 4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고, 2.2 million/ml의 RPMI/FCS에서 재현탁하였다. 그 후, 세포를 증가한 농도의 화합물(1 pM 내지 30 mM)의 존재 하에서 37℃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대조군 반응에 있어서, 세포를 단지 RPMI/FCS로 배양하였다. 길항제 에오탁신(EC80농도)을 96-웰 화학주성 플레이트(5㎛ 필터: 리셉터 테크놀로지즈)의 하위 챔버에 첨가하였다. 호산구(50ml의 2 million/ml 세포)를 필터 플레이트의 상위 챔버에 첨가하고, 37℃에서 45분간 배양하였다. 화학주성 필터의 상위에 잔존하는 세포를 제거하고, 이동한 호산구의 수를 형광 플레이트 판독기 상의 플레이트를 판독하여 정량하였다. 호산구 화학주성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억제 곡선은 데이타를 네가지 파라미터의 로그방정식에 대입함으로써 분석하였다. 함수 pKi값은 (fpKi) 하기 방정식(Lazareno & Birdsall, 1995. Br.J.Pharmacol 109: 1110-9)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CCR-3 결합 및/또는 호산구 화학주성 검정 (검정 (a) 및 (b))에서 시험하였다. CCR-3 결합 검정에 의해 시험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8.0의 pIC50 값을 가진다. CCR-3 호산구 화학주성 검정에 의해 시험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8.4의 fpKi 값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에 의해 잠재적으로 유익한 항염증 효과가 있는 질병의 예로는 호흡기질환 예를 들여, 기관지염(만성 기관지염을 포함함), 기관지확장증, 천식(알레르기 유도 천식반응을 포함함),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낭포성섬유증, 부비동염 및 비염을 포함한다.
또한 염증성 장질환(예를 들어 크론씨병 또는 궤양성대장염) 및 방사선 노출이나 알러젠 노출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하는 장 염증성 질환을 포함하는 장염증성 질환과 같은 위장관계 질환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은 신장염, 피부질환 예를 들여, 건선, 습진, 알레르기성 피부염 및 과민성 반응, 염증 컴포넌트(예를 들어 알츠하이머병, 수막염, 다발성경화증)를 가지는 중추신경계 질환, HIV 및 AIDS, 치매를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은 비강 용종증, 결막염 또는 소양증의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에 의해 잠재적으로 유익한 항염증 효과가 있는 또 다른 질병의 예로는 심장혈관계 질환, 예를 들여, 동맹경화, 말초혈관질환 및 특발성 과호산구증후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은 면역억제제로 유용할 수 있으므로 자가면역질환 예를 들어, 장기이식 후 동종조직 이식거부, 류마티즘성관절염, 및 당뇨병의 치료에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은 전이 억제에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주된 관심이 되는 질병인 천식, COPD 및 계절성, 다년성 비염을 포함하는 상부 호흡기의 염증성 질환을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여기에서의 치료법 또는 치료 요법에 대한 참조가 설정된 조건들의 치료법은 물론 예방법까지 연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활성 치료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 제공된다.
따라서 염증 질환, 예를 들어 천식 또는 비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염증 질환, 예를 들어 천식 또는 비염을 지닌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의 용도가 제공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서,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염증 질환, 예를 들어 천식 또는 비염을 지닌 인간 또는 동물 피검체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따른 화합물은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하나 이상의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여, 약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예를 들면, 경구, 호흡기, 비부 내, 협측, 비경구, 또는 직장 투여(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를 위해 처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정제 및 캡슐제는 결합제, 예를 들어, 시럽, 아카시아, 젤라틴, 소르비톨, 트래거캔스(tragacanth), 전분의 점액, 셀룰로즈 또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충전제, 예를 들어, 락토즈, 미정질 셀룰로즈, 설탕, 옥수수 전분, 칼슘 포스페이트 또는 소르비톨; 윤활제, 예를 들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탈크,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실리카; 붕해제, 예를 들어, 감자 전분,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 또는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또는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와 같은 습윤제와 같은 통상적인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코팅될 수 있다.
경구 액상 제제는 예를 들어, 수상 또는 오일상 현탁제, 액제, 희석제, 시럽또는 엘릭시르의 형태일 수 있거나 사용 전에 물 또는 다른 적합한 비히클과 함께 구성되는 건조물로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액상 제제는 현탁제, 예를 들어 소르비톨 시럽, 메틸 셀룰로즈, 글루코즈/설탕 시럽, 젤라틴,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즈,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즈,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젤 또는 수소화된 식용 지방; 유화제, 예를 들어, 레시틴, 소르비탄, 단일-올레에이트 또는 아카시아; 비-수성 비히클(식용 오일을 포함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아몬드 오일, 분별된 코코넛 오일, 오일성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에틸 알코올; 방부제, 예를 들어, 메틸 또는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또는 소르비산과 같은 통상적인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제제는 또한 적합한 완충 염, 착향제, 착색제 및/또는 감미제(예를 들어, 만니톨)를 함유할 수 있다.
구강 투여를 위해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화된 정제 또는 로젠지의 형태일 수 있다.
화합물은 또한 좌제, 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 또는 기타 글리세라이드와 같은 통상적인 좌제 베이스를 함유하는 좌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또한 식괴 주사 또는 연속적인 주입에 의해 비경구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단일 투여 형태, 예를 들어 앰플, 바이알, 소량 주입 또는 미리 충전된 시린지, 또는 첨가된 방부제와 함께 다중 투여 용기로 존재될 수 있다. 조성물은 수상 또는 비-수상 비히클 중에 액제, 현탁제 또는 에멀젼과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항산화제, 완충제, 항균제 및/또는 긴장 조절제와 같은 제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활성 성분은 사용 전에 적합한 비히클, 예를 들어 살균, 발열원-부재 물과 함께 구성되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건조 고형물 외형은 각각의 멸균 용기에 무균적으로 멸균 분말을 충전하거나 각각의 용기에 무균적으로 멸균 용액을 충전하고 냉동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다른 치료제, 예를 들어 항히스타민제, 항콜린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모메타손 푸로에이트, 트리암시노론 아세토나이드 또는 부데소나이드;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 예를 들어 나트륨 크로모글리케이트, 네도크로밀 나트륨, PDE-4 억제제, 루코트리엔 길항제, iNOS 억제제, 트립타제 및 엘라스타제 억제제, 베타-2 인테그린 길항제 및 아데노신 2a 작용제와 같은 항염증제; 또는 살메테롤, 살부타몰, 포르모테롤, 페노테롤 또는 테르부탈린 및 이의 염과 같은 베타 아드레날린제; 또는 항전염제, 예를 들어 항생제 및 항균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일반적으로 구강 또는 비강 경로로 투여되는 다른 치료제와 조합하여 투여되는 경우 최종 약제 조성물은 구강 또는 비강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0.001 내지 500 mg/kg 체중,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0 mg/kg 체중,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mg/kg 체중의 양으로 임의의 적합한 횟수, 예를 들어 하루에 1 내지 4 회로 투여될 수 있다. 정확한 투여 방법은 물론 치료상의 징후, 나이 및 환자의 상태, 및 선택된 투여의 구체적인 경로에 의존할 것이다.
문맥이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하기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단어 '포함하다', 및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과 같은 변형은 서술된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의 군의 포함을 내포하지만, 임의의 다른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 또는 단계의 군을 배제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실험 세부사항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법 (
LC
/MS) 시스템
하기 (LC/MS)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분당 3 ㎖의 흐름속도로 용매:A-물 중 0.1%v/v 포름산 + 0.077%w/v 암모늄 아세테이트; 및 B-95:5 아세토니트릴:물 + 0.05%v/v 포름산과 함께 용리하는 3 ㎛ ABZ + PLUS (3.3㎝ ×4.6㎜ 내경) 칼럼. 하기 구배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7 분 동안 100% A; 3.5 분에 걸쳐 구배 프로필이 0 내지 100%인 A+B 혼합물; 1.1 분 동안 100% B 유지; 0.2 분에 걸쳐 100% A로 전환.
고상
추출 (이온 교환)
'SCX'는 이솔루트 플래시(Isolute Flash) SCX-2 황산 고상 추출 카트리지를 칭한다.
모든 온도는 ℃이다.
실시예 1: N-{[(2S)-4-(3,4-디플루오로벤질)모르폴린-2-일]메틸}-2-{3-[(메틸설포닐
)아미노]페닐}
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1㎖) 중설명예 4의 화합물(0.0242g)의 교반된 용액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1㎖) 중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0304g),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0.0171g), 및설명예 3의 화합물(0.0243g)의 용액을 22℃에서 첨가하였다.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0368㎖)을 혼합물에 첨가한 후 22℃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메탄올로 미리 조절된 2g SCX 이온-교환 카트리지(IST Isolute Flash SCX-2)에 적용하였다. 카트리지를 메탄올과 메탄올 중 10% 0.880 암모니아 용액으로 용리하였다. 1차 암모니아 분획물을 진공하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200:8:1 디클로로메탄/에탄올/0.880 암모니아 용액으로 용리하는 실리카겔 상에서 Biotage™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하였다. 요망하는 분획물을 합치고 용매를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무색 유리질의표제 화합물(0.0353g)을 수득하였다. LC/MS:Rt=2.16 분, m/z 454 [MH+].
설명예 1: 2-(3,4-
디플루오로벤질아미노
)-에탄올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고 반응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냉각하면서 4-클로로메틸-1,2-디플루오로벤젠 (90.0g)(플루오로켐 케미칼스/Journal of Organic Chemistry,1961,(26),2353-2355)을 40℃에서 에탄올아민 (325.8㎖)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기 전에 약 50℃로 가열하면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분배하였다. 상들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추가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 (100㎖)으로 세척하였다. 합쳐진 수상을 에틸 아세테이트의 일부(100㎖)로 추가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물(2 ×500㎖)과 나트륨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톨루엔을 첨가한 후에 다시 농축하여 백색 고형물의 표제 화합물(92.5g)을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188 [MH+].
설명예 2: [4-(3,4-
디플루오로벤질
)
모르폴린
-2-일]
메틸아민
2-(옥시란-2-일메틸)-1H-이소인돌-1,3(2H)-디온 (166.8g)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80 내지 90℃에서 50 분에 걸쳐 교반된설명예 1의 화합물(128.12g)에 나누어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농축된 황산 (200㎖)을 40 분에 걸쳐 적가하기 전에 80 내지 90℃에서 추가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50℃로 가열하고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400㎖)로 세척하였다. 수상을 10℃로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나트륨 클로라이드 (400㎖)를 30 분에 걸쳐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추가로 포화 수성 나트륨 클로라이드 (400㎖)를 수상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500㎖)의 추가 부분으로 세척하였다. 수상을 10℃로 냉각시키고 10N 수성 나트륨 히드록사이드로 pH를 12 내지 13으로 조절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500㎖)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상을 'Hyflo' 보조 여과기를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물 (3 ×500㎖) 및 포화 수성 나트륨 클로라이드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톨루엔 (3 ×150ml)을 첨가한 후에 다시 농축(×3)하여 호박색 오일의표제 화합물(94g)을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243 [MH+].
설명예 3: 1-[(2S)-4-(3,4-
디플루오로벤질
)
모르폴린
-2-일]
메틸아민
설명예 2의 화합물(4.5g) (라세믹 혼합물)를 제조용 키랄-HPLC를 이용하여 단일 거울상이성질체로 분리하였다. 분리를 2" ×22cm 키랄팩 AD 20㎛ 칼럼, 머크 셀프 팩 DAC 시스템을 이용하고, 95:5:0.1(v/v) 헵탄:무수 에탄올:디에틸아민 (흐름속도:40분에 걸쳐 50㎖/분, UV 검출 220nm)으로 용리하여 수행하였다. 샘플 로드 제조물:10㎖ 1:1(v/v) 무수 에탄올:시스템 용리액 중 300㎎ 샘플. 용매를 진공하에서 요망하는 분획으로부터 제거하고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2N 수성 염산으로 분배하고, 상들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추가 2N 수성 염산(×2)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수성 추출물에 고형의 칼륨 카보네이트를 첨가하여 pH 12로 조절하고 용액을 고형의 나트륨 클로라이드로 포화시켰다. 용액을 디클로로메탄(×3)으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여 황색 오일의표제 화합물(1.84g)을 수득하였다.
제조용 HPLC 체류시간 28.5 분.
설명예 4: 3[(
메틸설포닐
)아미노]
페닐아세트산
탈이온화된 물 (36㎖) 중 3-아미노페닐아세트산(3.2g) 및 나트륨 카보네이트(5.44g)의 교반된 용액에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1.7㎖)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기 전에 85℃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된 염산으로 pH 2로 산성화시키고 4℃의 냉장고에서 하룻밤 동안 정치하였다. 침전된 고형물을 여과하고, 물 및 에테르로 세척하고 합쳐진 여과물 및 세척물을 진공하에서 증발건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뜨거운 물에 용해시키고 4℃의 냉장고에서 정치시켜 하룻밤 동안 재결정하였다. 결정을 여과하고, 소량의 냉각수로 세척하고 진공하에서 건조하여 무색 결정의표제 화합물(0.417g)을 수득하였다.
LC/MS : Rt=2.00분, m/z 228 [MH-], m/z 247 [MNH4 +]
Claims (9)
-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용매화물:
-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용매화물을 제조하는 방법:
- 치료제로 사용되는 제 1항의 화합물.
- 유효량의 제 1항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염증 질환에 걸리거나 걸릴 가능성이 있는 인간 또는 동물 피검체를 치료하는 방법.
- 제 1항의 화합물 및 이에 대한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 하기 화학식 (IIBR)의 화합물:상기 식에서, A는 보호된 아미노기이다.
- 하기 화학식 (IIB)의 화합물:상기 식에서, A는 보호된 아미노기이다.
-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GBGB0207449.0A GB0207449D0 (en) | 2002-03-28 | 2002-03-28 | Novel compounds |
GB0207449.0 | 2002-03-28 | ||
PCT/EP2003/003339 WO2003082291A1 (en) | 2002-03-28 | 2003-03-27 | N-{´ (2s) -4- (3, 4-difluorobenzyl) morpholin-2yl!methyl} -2-{3-' (methylsulphonyl) amino! phenyl}acetamide as ccr3 antagonist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condition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5347A true KR20040095347A (ko) | 2004-11-12 |
Family
ID=993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15447A Withdrawn KR20040095347A (ko) | 2002-03-28 | 2003-03-27 |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ccr3 길항제로서의n-{[(2s)-4-(3,4-디플루오로벤질)모르폴린-2-일]메틸}-2-{3-[(메틸설포닐)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드 |
Country Status (22)
Country | Link |
---|---|
US (1) | US20060058299A1 (ko) |
EP (1) | EP1487453B1 (ko) |
JP (1) | JP4490110B2 (ko) |
KR (1) | KR20040095347A (ko) |
CN (1) | CN1642553A (ko) |
AR (1) | AR039177A1 (ko) |
AT (1) | ATE454892T1 (ko) |
AU (1) | AU2003216905A1 (ko) |
BR (1) | BR0308719A (ko) |
CA (1) | CA2479910A1 (ko) |
DE (1) | DE60330952D1 (ko) |
ES (1) | ES2339436T3 (ko) |
GB (1) | GB0207449D0 (ko) |
IL (1) | IL163648A0 (ko) |
IS (1) | IS7415A (ko) |
MX (1) | MXPA04009458A (ko) |
NO (1) | NO20044098L (ko) |
PL (1) | PL372930A1 (ko) |
RU (1) | RU2004126145A (ko) |
TW (1) | TW200400823A (ko) |
WO (1) | WO2003082291A1 (ko) |
ZA (1) | ZA20040699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4028530A1 (en) | 2002-09-26 | 2004-04-08 | Bristol-Myers Squibb Company | N-substituted heterocyclic amines as modulators of chemokine receptor activity |
JP2009501792A (ja) * | 2005-07-21 | 2009-01-22 | アストラゼネカ・アクチエボラーグ | ケモカイン受容体のモジュレーターとしてのn−ベンジル−モルホリン誘導体 |
HUP0500877A2 (en) * | 2005-09-22 | 2007-05-29 | Sanofi Aventis | Amide derivatives as ccr3 receptor ligands, process for producing them,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their use and intermediates |
HUP0500886A2 (en) * | 2005-09-23 | 2007-05-29 | Sanofi Aventis | Amide derivatives as ccr3 receptor ligands, process for producing them,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their use |
CA2623317A1 (en) * | 2005-09-22 | 2007-03-29 | Sanofi-Aventis | Amino-alkyl-amide derivatives as ccr3 receptor liquids |
HUP0800478A2 (en) * | 2008-07-31 | 2010-03-01 | Sanofi Aventis | Substituted pyrrolidinyl-[1,3]thiazolo[4,5-b]pyridin derivatives as ccr3 receptor ligands |
US20140335083A1 (en) * | 2011-12-01 | 2014-11-13 | Glaxo Group Limited | Methods of treatment and prevention of eye diseases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2929A (en) * | 1979-06-21 | 1981-01-13 | Sumitomo Chem Co Ltd | Preparation of optically active cyclopentenolone |
US4870074A (en) * | 1986-04-30 | 1989-09-26 | Dainippon Pharmaceutical Co., Ltd. | Substituted benzamide derivatives, for enhancing gastrointestinal motility |
JPH01117882A (ja) * | 1987-10-30 | 1989-05-10 | Dainippon Pharmaceut Co Ltd | 複素環式カルボン酸アミド誘導体 |
JPH03291274A (ja) * | 1990-04-09 | 1991-12-20 | Yoshitomi Pharmaceut Ind Ltd | アミノアルキルモルホリン誘導体の製造法 |
JPH04270272A (ja) * | 1991-02-25 | 1992-09-25 | Yoshitomi Pharmaceut Ind Ltd | アミノアルキルモルホリン誘導体の製造法 |
TW223629B (ko) * | 1992-03-06 | 1994-05-11 | Hoffmann La Roche | |
US5219856A (en) * | 1992-04-06 | 1993-06-15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Angiotensin-II receptor blocking, heterocycle substituted imidazoles |
US6031097A (en) * | 1997-10-27 | 2000-02-29 | Neurogen Corporation | 1-(N-(arylalkylaminoalkyl) aminoisoquinolines; a new class of dopamine receptor subtype specific ligands |
EP1140834A1 (en) * | 1998-12-18 | 2001-10-10 | Du Pont Pharmaceuticals Company | Heterocyclic piperidines as modulators of chemokine receptor activity |
AR032135A1 (es) * | 1999-09-14 | 2003-10-29 | Aventis Pharma Inc | Compuestos derivados de etilo y propilo tienoisoxazol fenoxi no sustituidos utiles como antagonistas d4, composiciones farmaceuticas, procedimientos de preparacion, compuestos intermediarios y usos en la fabricacion de medicamentos |
ATE345331T1 (de) * | 2000-09-29 | 2006-12-15 | Glaxo Group Ltd | Verbindungen verwendbar für die behandlung von entzündungskrankheiten |
CA2423251A1 (en) * | 2000-09-29 | 2002-04-04 | Glaxo Group Limited | Morpholin-acet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
-
2002
- 2002-03-28 GB GBGB0207449.0A patent/GB0207449D0/en not_active Ceased
-
2003
- 2003-03-26 TW TW092106782A patent/TW200400823A/zh unknown
- 2003-03-27 IL IL16364803A patent/IL163648A0/xx unknown
- 2003-03-27 ES ES03712117T patent/ES2339436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3-27 EP EP03712117A patent/EP148745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3-27 BR BR0308719-0A patent/BR0308719A/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3-27 WO PCT/EP2003/003339 patent/WO200308229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3-03-27 DE DE60330952T patent/DE60330952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3-27 KR KR10-2004-7015447A patent/KR20040095347A/ko not_active Withdrawn
- 2003-03-27 AR ARP030101090A patent/AR039177A1/es unknown
- 2003-03-27 JP JP2003579828A patent/JP4490110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3-27 AT AT03712117T patent/ATE454892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3-27 MX MXPA04009458A patent/MXPA04009458A/es unknown
- 2003-03-27 CA CA002479910A patent/CA247991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3-27 AU AU2003216905A patent/AU200321690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3-27 CN CNA038068656A patent/CN1642553A/zh active Pending
- 2003-03-27 US US10/509,417 patent/US2006005829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3-27 RU RU2004126145/04A patent/RU2004126145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3-27 PL PL03372930A patent/PL372930A1/xx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
- 2004-08-19 IS IS7415A patent/IS7415A/is unknown
- 2004-09-01 ZA ZA200406990A patent/ZA200406990B/en unknown
- 2004-09-27 NO NO20044098A patent/NO20044098L/n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400823A (en) | 2004-01-16 |
NO20044098L (no) | 2004-10-04 |
JP2005525390A (ja) | 2005-08-25 |
IL163648A0 (en) | 2005-12-18 |
CN1642553A (zh) | 2005-07-20 |
DE60330952D1 (de) | 2010-03-04 |
MXPA04009458A (es) | 2005-07-27 |
IS7415A (is) | 2004-08-19 |
EP1487453A1 (en) | 2004-12-22 |
GB0207449D0 (en) | 2002-05-08 |
ES2339436T3 (es) | 2010-05-20 |
AU2003216905A1 (en) | 2003-10-13 |
ZA200406990B (en) | 2005-11-08 |
RU2004126145A (ru) | 2005-06-27 |
JP4490110B2 (ja) | 2010-06-23 |
ATE454892T1 (de) | 2010-01-15 |
EP1487453B1 (en) | 2010-01-13 |
CA2479910A1 (en) | 2003-10-09 |
AR039177A1 (es) | 2005-02-09 |
PL372930A1 (en) | 2005-08-08 |
US20060058299A1 (en) | 2006-03-16 |
WO2003082291A1 (en) | 2003-10-09 |
BR0308719A (pt) | 2005-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527688T3 (es) | Derivados de morfolin-acetamida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inflamatorias | |
KR100896838B1 (ko) | 모폴린 화합물 | |
JP2004509953A (ja) | 炎症性疾患の処置に有用な化合物 | |
ES2315519T3 (es) | Derivados de morfolinilurea para uso en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inflamatorias. | |
JP2005526807A (ja) | 炎症性症状の治療においてccr−3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アリールアルキルウレア基により2位が置換されたモルホリン誘導体 | |
KR20040095347A (ko) |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ccr3 길항제로서의n-{[(2s)-4-(3,4-디플루오로벤질)모르폴린-2-일]메틸}-2-{3-[(메틸설포닐)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드 | |
JP2005528342A (ja) | 抗炎症剤としてのピペラジン誘導体 | |
JP2005529094A (ja) | 炎症性疾患の治療に有用なccr−3拮抗薬としてのn−(モルホリン−2−イル)メチルアセトアミド誘導体 | |
JP2005527557A (ja) | 炎症性症状の治療においてccr−3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2位がヘテロシクリルアルキルウレア基で置換されたモルホリン誘導体 | |
WO2003099798A1 (en) | Morpholinylmethylureas ccr-3 receptor antagonist | |
JP2006504625A (ja) | 炎症疾患治療のためのccr−3拮抗薬として使用される2位に置換アセトアミド基を有するモルホリン誘導体 | |
JP2006504626A (ja) | モルホリン誘導体およびその中間体 | |
WO2003099287A1 (en) | Morpholin-acet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 |
JP2005527564A (ja) | 抗炎症性モルホリン−アセトアミド誘導体 | |
KR20040099375A (ko) |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서 ccr-3 길항제로서 사용되는모르폴린 우레아 유도체의 벤젠술포네이트 염 | |
KR20070017367A (ko) | 모폴린 화합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409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