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72256A - 컨텐츠에 대한 사용 제한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한 통신단말기 및 컨텐츠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에 대한 사용 제한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한 통신단말기 및 컨텐츠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2256A
KR20040072256A KR1020030008251A KR20030008251A KR20040072256A KR 20040072256 A KR20040072256 A KR 20040072256A KR 1020030008251 A KR1020030008251 A KR 1020030008251A KR 20030008251 A KR20030008251 A KR 20030008251A KR 20040072256 A KR20040072256 A KR 20040072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mmunication terminal
encryption key
storage device
externa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2256A/ko
Priority to US10/774,560 priority patent/US20040158707A1/en
Publication of KR20040072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2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3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wherein the sending and receiving network entities apply symmetric encryption, i.e. same key used for encryption and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key distribution, e.g. centrally by trusted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컨텐츠에 대한 사용 제한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한 통신 단말기가 개시된다. 통신 단말기는, 설정된 제품정보와 고유번호 및 컨텐츠를 저장하고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의 암호화를 위한 암호키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 기기와 상호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부, 암호키를 이용하여 고유번호 및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암호부, 통신부를 통해 암호화된 컨텐츠를 외부 기기에 업로드하고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업로드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구신호를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제어부, 및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구신호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암호키를 이용하여 복호하는 복호부를 갖는다. 컨텐츠를 외부 저장장치에 업로드한 통신단말기만 추후에 업로드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음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에 대한 사용 제한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컨텐츠 보안 시스템{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TECTING COPYRIGHT AND RESTRICTING USING OF CONTENTS AND CONTENTS SECURITY SYSTEM USING THAT}
본 발명은 컨텐츠를 다운로드 및 업로드하는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에 대한 보안성을 유지하면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및 업로드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 단말기는 상대방과 음성 및 화상을 통해 상호 통화하는데 이용되는 것 외에도, 게임, 음악 감상, 노래방 기능, 및 캐릭터 이미지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고 이것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기존에 무선 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기능은, 컴퓨터에 저장된 컨텐츠를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 방향(one way)방식만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들은 컨텐츠서버를 운영하는 제공자에게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고, 컨텐츠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 이러한 비용 부담으로 인해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컨텐츠를 작성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으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이용하는 것을 유용하나질적인 면에서 컨텐츠 유료서비스에 비해 떨어지고 있다.
컨텐츠 유료서비스를 이용하여 다운 받은 컨텐츠들을 더 이상 저장할 공간이 무선 단말기에 남아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들은 자신들이 비용을 지불하고 유료로 다운 받은 컨텐츠들을 삭제한 후 새로운 컨텐츠들을 컨텐츠 유료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단말기로 다운로드할 수밖에 없다.
기존에 제공되는 유료 컨텐츠 서비스는 컨텐츠서버로부터 유료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 유료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필요에 따라 다운로드된 유료컨텐츠를 컨텐츠서버에 업로드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또한, 기존의 무선단말기는 PC링크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어 사용자들이 편집한 컨텐츠들을 다운로드하는 기능만을 제공한다. 이때, 무선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컴퓨터로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기능이 가능한 경우, 컴퓨터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모든 다른 무선단말기에도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유료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단말기에서 유료서비스로 다운로드 받은 유료컨텐츠들을 컴퓨터와 연계하여 다운로드 및 업로드할 때 유료컨텐츠들에 대한 사용 권한을 제한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단말기에 다운로드된 유료컨텐츠들이 저장된 컴퓨터에 접속된 임의의 무선단말기에 상기 유료컨텐츠들을 임의로 제공하는 것을 예방하여 유료컨텐츠들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유료컨텐츠 다운로드 및 업로드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컨텐츠 보안 시스템의 바람직할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보안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보호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그리고
도 4는 도 3에 의해 업로드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통신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음성처리부 130 : 제어부
140 : 키입력부 150 : 표시부
160 : 저장부 170, 260 : 암호부
180, 270 : 복호부 190 : 유선통신부
200 : 컴퓨터 210 : CPU
240 : 인터페이스 280 : 보조기억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컨텐츠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제공받아 외부 기기에 상기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설정된 제품정보와 고유번호 및 컨텐츠를 저장하고,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의 암호화를 위한 암호키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 기기와 상호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부; 암호키를 이용하여 고유번호 및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암호부; 통신부를 통해 암호화된 컨텐츠를 외부 기기에 업로드하고,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업로드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구신호를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제어부; 및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구신호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암호키를 이용하여 복호하는 복호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호키는 통신단말기의 제품정보와 고유번호, 및 외부 기기에 설정된 시간정보를 고려하여 생성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서버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업로드하는 통신단말기; 및 상기 통신단말기의 모델정보와 고유번호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암호키를 생성하고, 통신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암호화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외부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보안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는 암호키를 생성할 때, 외부 저장장치에 설정된 시간정보를 더 고려하여 암호키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외부 저장장치는 외부 저장장치에 설정된 시간정보와 통신단말기에 설정된 시간정보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각각의 시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암호키를 생성한다.
상기 통신단말기는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기 업로드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구신호를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하고,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구신호에 대응하여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암화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통신단말기 및 통신단말기의 요구에 따라 컨텐츠를 저장하는 외부 저장장치를 구비한 컨텐츠 보안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보호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컨텐츠 업로드 요구신호를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컨텐츠 업로드 요구신호에 대응하여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요구된 통신단말기의 모델정보 및 고유번호를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모델정보 및 고유번호가 고려되어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서 생성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업로드하기 위한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암호키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츠를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보안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보호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컨텐츠 보안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보호방법은, 통신단말기에서 업로드된 암호화된 컨텐츠가 암호키에 의해 암호화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암호화된 컨텐츠가 암호키에 의해 암호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암호화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 보안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보호방법은, 기 업로드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컨텐츠 다운로드 요구신호를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컨텐츠 다운로드 요구신호에 대응하여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인덱스정보 중 다운로드를 위한 컨텐츠 인덱스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 인덱스정보를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선택된 컨텐츠 인덱스정보에 대응하여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가 다운로드되면, 다운로드된 암호화된 컨텐츠를 암호키를 이용하여 복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암호키는 외부 저장장치에 설정된 시간정보가 더 고려되어 외부 저장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호키는 외부 저장장치에 의해, 외부 저장장치에 설정된 시간정보와 통신단말기에 설정된 시간정보의 일치 여부가 비교되어 각각의 시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를 외부 저장장치에 업로드할 때 대상 컨텐츠를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제공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컨텐츠를 외부 저장장치에 업로드함으로써, 컨텐츠를 외부 저장장치에 업로드한 통신단말기만 추후에 업로드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음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업로드한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구에 대응하여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받아 업로드시 암호화에 이용된 암호키(k)를 이용하여 복호함으로써, 컨텐츠의 업로드 시 이용된 암호키(k)에 의해서만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복호함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사용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단말기의 모델정보(M) 및 고유번호(N)를 포함하는 컨텐츠 다운로드를 요구함에 따라 다운로드를 요구한 컨텐츠가 통신단말기에 의해 기 업로드된 컨텐츠인지를 판별하여 선택적으로 컨텐츠를 통신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유료컨텐츠 다운로드 및 업로드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통신단말기(12)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유료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서버(22)에 접속하고, 선택된 신호에 따라 이동통신망(14)을 통해 컨텐츠서버(22)에 유료컨텐츠의 제공을 요구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무선통신서버(16)는 이동통신망(14)을 통해 전송된 유료컨텐츠 요구신호를 유선통신서버(18)에 전송한다. 이때 무선통신서버(16)는 이동통신망(14)에 접속되어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통신 채널을 제어하고, 요구되는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해당 단말기에 제공한다. 유선통신서버(18)는 유선통신망(20)에 접속되어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통신 채널을 제어하고, 요구되는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해당 단말기에 제공한다.
유선통신서버(18)는 통신단말기(12)의 유료컨텐츠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유료컨텐츠 요구신호를 유선통신망(20)을 통해 컨텐츠서버(22)에 전송한다. 컨텐츠서버(22)는 유료컨텐츠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요구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통신단말기(12)에 전송하도록 유선통신망(20)을 통해 유선통신서버(18)에 전송한다. 유선통신서버(18)는 컨텐츠서버(22)로부터 전송된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무선통신서버(16)에 전송한다. 무선통신서버(16)는 유선통신서버(18)로부터 전송된 컨텐츠를 이동통신망(14)을 통해 통신단말기(12)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통신단말기(12)는 유료컨텐츠 요구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받게된다. 통신단말기(12)는 수신된 컨텐츠를 설정 및/또는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화면에 표시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단말기(12)는 외부 컴퓨터(10)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저장된 컨텐츠를 컴퓨터(1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10)는 통신단말기(12)로부터 출력된 컨텐츠를 마련된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한다.
이러한 컨텐츠 다운로드 및 업로드를 위한 일반적인 통신시스템은 통신단말기(12)에 저장된 컨텐츠를 컴퓨터(10)와 같은 외부 저장장치에 업로드하여 통신단말기(12)의 한정된 저장 공간의 약점을 해소할 수 있으나, 컴퓨터(10)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보안성이 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컨텐츠 보안시스템의 바람직할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보안 시스템은 통신단말기(100) 및 외부 저장장치의 예로서 컴퓨터(200)를 갖는다.
통신단말기(100)는 안테나(50)를 통해 컨텐츠서버(22)에 컨텐츠를 요구하고,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부(160)에 저장하며, 저장부(160)에 저장된 컨텐츠를 유선통신부(190)를 통해 연결된 컴퓨터(200)에 업로드한다. 이때, 유선통신부(190)는 통신단말기(10)와 컴퓨터(200) 간에 근거리 내에서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기능을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로 대체할 수도 있다.
도시된 통신단말기(100)는 제어부(130), 무선통신부(110), 음성처리부(120), 키입력부(140), 표시부(150), 저장부(160), 및 유선통신부(190)를 갖는다.
제어부(130)는 통신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디바이스와 상호 통신을 위한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무선통신부(110)는 통신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와 상호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컨텐츠를 비롯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음성처리부(120)는 무선통신부(1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122)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처리부(120)는 마이크(124)에 독취된 음향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코딩한 후 송신부(118)로 출력한다.
키입력부(140)는 다수의 숫자키 및 문자키를 구비하며,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표시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통신단말기(100)의 상태정보 및/또는 동작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저장부(160)에는 제어부(130)의 제어 시 필요한 구동 프로그램 및 제어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160)에는 다운로드한 컨텐츠가 저장된다. 유선통신부(190)는 컴퓨터(200) 등과 같은 외부 통신장치와 유선으로 상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한편, 도면의 무선통신부(110)는, 듀플렉서(112), 수신부(114), 주파수합성부(116), 송신부(118)를 갖는다.
듀플렉서(112)는 안테나(50)에 수신되는 신호 중 설정된 주파수대역 신호를 추출하여 수신부(1140)로 출력한다. 또한, 듀플렉서(112)는 송신부(11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안테나(50)로 출력한다. 수신부(114)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음성처리부(120)로 출력하며, 음성신호가 아닌 데이터는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주파수합성부(116)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송신부(118)와 수신부(114)로 출력할 주파수를 발생하여 각각 출력한다. 송신부(118)는 음성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주파수합성부(11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송신을 위해 설정된 주파수대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보안 시스템의 통신단말기(100)에는 암호부(170) 및 복호부(180)가 마련된다. 암호부(170)는 컴퓨터(200)로부터 제공된 암호키(k)를 이용하여 통신단말기(100)의 고유번호(N) 및 저장부(160)에 저장된 컨텐츠 등을 암호화한다. 이때 암호화된 고유번호(N(k)) 및 컨텐츠(C(k))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유선통신부(190)를 통해 컴퓨터(200)에 전송, 즉 업로드된다. 복호부(180)는 컴퓨터(200)에 업로드된 컨텐츠(C(k))가 유선통신부(190)를 통해 수신되면,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컨텐츠(C(k))를 복호화한다.
따라서, 컨텐츠를 외부 저장장치에 업로드할 때 대상 컨텐츠를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제공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컨텐츠를 외부 저장장치에 업로드함으로써, 컨텐츠를 외부 저장장치에 업로드한 통신단말기만 추후에 업로드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음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한 제공자의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면의 컴퓨터(2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10), RAM(Random Access Memory)(220), ROM(Read-Only Memory)(230), 인터페이스(240), 입출력부(250), 암호부(260), 복호부(270), 및 보조기억장치(280)를 갖는다.
CPU(210)는 컴퓨터(200)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처리하기 위한 논리회로를 마련하고 있으며, 컴퓨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처리한다. RAM(220)은 컴퓨터(200) 프로세서가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운영체계, 응용프로그램 및 현재 사용중인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저장 장소이다. ROM(230)은 컴퓨터(200)에 미리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로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읽을 수만 있고 그 값을 변경할 수는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ROM(230)은 컴퓨터(200)를 켤 때마다 부팅되거나 재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인터페이스(240)는 외부 디바이스와 상호 데이터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240)는 통신단말기(100)의 유선통신부(190)와연결되어 통신단말기(100)와 컴퓨터(200) 간에 상호 데이터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입출력부(250)는 컴퓨터(200)에 연결된 키보드 및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CPU(210)에 제공하고, CPU(210)의 제어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컴퓨터(200)에 연결된 모니터 등과 같은 출력장치로 출력한다.
암호부(260)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된 통신단말기(100)의 모델정보(M), 고유번호(N), 및 컴퓨터(200)에 설정된 시간정보(T)를 기초로, 통신단말기(100)에 제공하기 위한 암호키(k)를 생성한다. 복호부(270)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된 암호화된 컨텐츠(C(k))를 복호화하여,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C(k))가 컴퓨터(200)에서 제공한 암호키(k)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츠인지를 체크한다.
보조기억장치(280)에는 통신단말기(100)의 모델정보(M), 고유번호(N), 및 컴퓨터(200)에 설정된 시간정보(T)를 기초로 암호부(260)에서 생성한 암호키(k)(282) 및 컴퓨터(1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C(k))(284)가 저장된다.
통신단말기(100)가 업로드한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컴퓨터(200)에 요구하는 경우, 컴퓨터(200)는 보조기억장치(280)에 저장된 컨텐츠(284)를 통신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이때 통신단말기(100)에 제공되는 컨텐츠는 암호키(k)로 암호화된 데이터이다. 이에 따라, 통신단말기(100)는 암호화된 컨텐츠가 수신되면, 컴퓨터(200)로부터 기 제공되어 저장부(160)에 저장된 암호키(k)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단말기(100)는 컴퓨터(200)에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요구할 때, 통신단말기(100)의 모델정보(M) 및 고유번호(N)를 포함하여 컴퓨터(200)에 컨텐츠 다운로드를 요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200)의 CPU(210)는 컨텐츠 다운로드 요구신호에 포함된 통신단말기(100)의 모델정보(M) 및 고유번호(N)를 통해, 다운로드를 요구하는 컨텐츠가 기존에 통신단말기(100)에서 업로드한 컨텐츠인지를 판별한다. 다운로드를 요구한 컨텐츠가 통신단말기(100)에서 업로드한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되면, CPU(210)는 보조기억장치(280)에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284)를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때, 다운로드를 요구한 컨텐츠가 통신단말기(100)에서 업로드한 컨텐츠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CPU(210)는 보조기억장치(280)에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284)를 통신단말기(100)에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업로드한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구에 대응하여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받아 업로드시 암호화에 이용된 암호키(k)를 이용하여 복호함으로써, 컨텐츠의 업로드 시 이용된 암호키(k)에 의해서만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복호함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사용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통신단말기(100)의 모델정보(M) 및 고유번호(N)를 포함하는 컨텐츠 다운로드를 요구함에 따라 다운로드를 요구한 컨텐츠가 통신단말기(100)에 의해 기 업로드된 컨텐츠인지를 판별하여 선택적으로 컨텐츠를 통신단말기(100)에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보안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보호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키입력부(140)에 마련된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컨텐츠를 업로드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컨텐츠 업로드 요구신호를 유선통신부(190)를 통해 컴퓨터(200)에 전송한다(S100). 컴퓨터(200)의 CPU(210)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업로드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단말기(100)의 모델정보(M) 및 고유번호(N)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S105).
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모델정보(M) 및 고유번호(N)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부(160)에 저장된 통신단말기(100)의 모델정보(M) 및 고유번호(N)를 유선통신부(190)를 통해 컴퓨터(200)에 전송한다(S110). 통신단말기(100)의 모델정보(M) 및 고유번호(N)가 수신되면, 컴퓨터(200)의 CPU(210)는 통신단말기(100)의 모델정보(M)와 고유번호(N), 및 컴퓨터(200)에 설정된 시간정보(T)를 이용하여 통신단말기(100)에서 컨텐츠를 암호화하는데 이용될 암호키(k)를 생성하도록 암호부(26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암호부(260)는 통신단말기(100)의 모델정보(M)와 고유번호(N), 및 컴퓨터(200)에 설정된 시간정보(T)를 기초로 암호키(k)를 생성한다(S120). 이때, CPU(210)는 암호부(260)에서 생성된 암호키(k)를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S130).
한편, 컴퓨터(200)의 암호부(260)에서 시간정보(T)를 고려하여 암호키(k)를 생성할 때, 암호부(260)는 컴퓨터(200)에 설정된 시간정보(T)와 통신단말기(100)에 설정된 시간정보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호부(260)는 컴퓨터(200)에 설정된 시간정보(T)와 통신단말기(100)에 설정된 시간정보가 다른 경우, 암호키(k)를 생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된 암호키(k)가 수신되면, 암호키(k)를 이용하여 통신단말기(100)의 고유번호(N)를 암호화하도록 암호부(17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암호부(170)는 암호키(k)를 이용하여 통신단말기(100)의 고유번호(N)를 암호화한다(S140). 이때, 제어부(130)는 암호부(170)에서 암호화된 통신단말기(100)의 고유번호(N(k))를 유선통신부(190)를 통해 컴퓨터(200)에 전송한다(S150).
통신단말기(100)에서 전송한 암호화된 통신단말기(100)의 고유번호(N(k))가 수신되면, CPU(210)는 수신된 고유번호(N(k))를 복호하도록 복호부(270)를 제어한다(S160). 이에 따라, 복호부(270)는 암호키(k)를 이용하여 고유번호(N(k))를 복호화한다. 이때, CPU(210)는 복호된 고유번호를 통해 통신단말기(100)에서 암호키(k)를 이용하여 고유번호(N)를 암호화하는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를 판단한다. 통신단말기(100)에서 암호키(k)를 이용하여 고유번호(N)를 정상적으로 암호화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CPU(210)는 컨텐츠 전송을 허락하는 명령을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S170).
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컨텐츠 전송 허락 명령이 수신되면, 저장부(160)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인덱스 정보를 전송한다(S180). 컨텐츠 인덱스 정보로는 컨텐츠의 종류, 명칭, 및 파일 형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컴퓨터(200)의 CPU(210)는 수신된 컨텐츠 인덱스 정보를 입출력부(25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고, 표시된 컨텐츠 인덱스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 인덱스 정보를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S190).
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컨텐츠 인덱스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부(16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인덱스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인출하고 인출된 컨텐츠를 암호화하도록 암호부(170)를 제어한다(S200). 이에 따라, 암호부(170)는 암호키(k)를 이용하여 제어부(130)에서 제공된 컨텐츠를 암호화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암호화된 컨텐츠(C(k))를 유선통신부(190)를 통해 컴퓨터(200)에 전송한다.
컴퓨터(200)의 CPU(210)는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C(k))가 암호부(260)에 의해 생성된 암호키(k)를 이용하여 암호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수신된 컨텐츠(C(k))를 복호화하도록 복호부(270)를 제어한다(S210). 이에 따라, 복호부(270)에서 복호된 컨텐츠가 암호키(k)에 의해 암호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CPU(210)는 암호키(k)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츠(C(k))를 보조기억장치(280)에 저장한다(S220).
따라서, 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 컨텐츠를 컴퓨터(200)에서 통신단말기(100)의 모델정보(M), 고유번호(N), 및 컴퓨터(200)에 설정된 시간정보(T)를 기초로 생성된 암호키(k)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컴퓨터(200)에 업로드함으로써, 임의의 통신단말기가 컴퓨터(200)에 저장된 컨텐츠(C(k))를 다운로드하여 복호할 수 없기 때문에 컨텐츠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의해 업로드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키입력부(140)로부터 업로드된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요구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컨텐츠 다운로드 요구신호를 유선통신부(190)를 통해 컴퓨터(200)로 전송한다(S300). 컴퓨터(200)의 CPU(210)는 보조기억장치(28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인덱스 정보를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S310).
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수신된 컨텐츠 인덱스 정보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다운로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다운로드 받기 위한 컨텐츠의 인덱스정보를 유선통신부(190)를 통해 컴퓨터(200)에 전송한다(S320). 컴퓨터(200)의 CPU(210)는 수신된 다운로드 받기 위한 컨텐츠의 인덱스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보조기억장치(280)로부터 인출하여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S330).
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복호하도록 복호부(180)를 제어한다(S340). 이에 따라, 복호부(18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암호키(k)를 이용하여 수신된 컨텐츠를 복호화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복호화된 컨텐츠를 저장부(160)에 저장한다(S350).
따라서, 컨텐츠의 업로드시에 컨텐츠를 암호화할 때 이용한 암호키(k)를 통해서만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복호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의 무분별한 제공을 막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를 외부 저장장치에 업로드할 때 대상 컨텐츠를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제공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컨텐츠를 외부 저장장치에 업로드함으로써, 컨텐츠를 외부 저장장치에 업로드한 통신단말기만 추후에 업로드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음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업로드한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구에 대응하여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받아 업로드시 암호화에 이용된 암호키(k)를 이용하여 복호함으로써, 컨텐츠의 업로드시 이용된 암호키(k)에 의해서만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복호함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사용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단말기의 모델정보(M) 및 고유번호(N)를 포함하는 컨텐츠 다운로드를 요구함에 따라 다운로드를 요구한 컨텐츠가 통신단말기에 의해 기 업로드된 컨텐츠인지를 판별하여 선택적으로 컨텐츠를 통신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컨텐츠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제공받아 외부 기기에 상기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설정된 제품정보와 고유번호 및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컨텐츠의 암호화를 위한 암호키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외부 기기와 상호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부;
    상기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고유번호 및 상기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암호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기기에 업로드하고,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업로드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구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구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상기 암호키를 이용하여 복호하는 복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키는 상기 제품정보 및 상기 고유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키는 상기 외부 기기에 설정된 시간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 컨텐츠서버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업로드하는 통신단말기; 및
    상기 통신단말기의 모델정보와 고유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암호키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암호화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외부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보안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저장장치는 상기 암호키를 생성할 때,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설정된 시간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암호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보안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저장장치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설정된 시간정보와 상기 통신단말기에 설정된 시간정보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각각의 상기 시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암호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보안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는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기 업로드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구신호를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구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상기 암화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보안 시스템.
  8. 컨텐츠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통신단말기 및 상기 통신단말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외부 저장장치를 구비한 컨텐츠 보안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보호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컨텐츠 업로드 요구신호를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업로드 요구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요구된상기 통신단말기의 모델정보 및 고유번호를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델정보 및 상기 고유번호가 고려되어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서 생성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업로드하기 위한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키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보안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보호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에서 업로드된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가 상기 암호키에 의해 암호화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가 상기 암호키에 의해 암호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보안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보호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기 업로드된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컨텐츠 다운로드 요구신호를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다운로드 요구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인덱스정보 중 다운로드를 위한 컨텐츠 인덱스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컨텐츠 인덱스정보를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컨텐츠 인덱스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가 다운로드되면, 상기 다운로드된 암호화된 컨텐츠를 상기 암호키를 이용하여 복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보안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보호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키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설정된 시간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보안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보호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키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의해,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설정된 시간정보와 상기 통신단말기에 설정된 시간정보의 일치 여부가 비교되어 각각의 상기 시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보안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보호방법.
KR1020030008251A 2003-02-10 2003-02-10 컨텐츠에 대한 사용 제한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한 통신단말기 및 컨텐츠 보안 시스템 KR20040072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251A KR20040072256A (ko) 2003-02-10 2003-02-10 컨텐츠에 대한 사용 제한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한 통신단말기 및 컨텐츠 보안 시스템
US10/774,560 US20040158707A1 (en) 2003-02-10 2004-02-09 Mobile terminal for use restriction and copyright protection for content, and content security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251A KR20040072256A (ko) 2003-02-10 2003-02-10 컨텐츠에 대한 사용 제한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한 통신단말기 및 컨텐츠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256A true KR20040072256A (ko) 2004-08-18

Family

ID=3282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251A KR20040072256A (ko) 2003-02-10 2003-02-10 컨텐츠에 대한 사용 제한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한 통신단말기 및 컨텐츠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40158707A1 (ko)
KR (1) KR200400722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767B1 (ko) * 2004-10-20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방송 컨텐츠의 백업 기능을 갖춘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백업 방법
WO2007133007A1 (en) * 2006-05-12 2007-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providing location of contents encryption key
KR20130048508A (ko) * 2011-11-02 2013-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기의 루트 키 생성 시스템 및 방법과 장치,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9602B1 (en) * 2005-03-10 2011-01-11 Sprint Spectrum L.P. User-based digital rights management
US8184811B1 (en) 2005-10-12 2012-05-22 Sprint Spectrum L.P. Mobile telephony content protection
JP4304300B2 (ja) * 2006-11-01 2009-07-29 日本電気株式会社 ユーザ装置、サーバ、アップグレードサービスシステム、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35876B1 (ko) * 2007-07-06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WO2009047691A2 (en) * 2007-10-08 2009-04-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installing an electronic device
CN103125103B (zh) * 2010-09-28 2016-04-13 英派尔科技开发有限公司 用于通信装置的数据过滤
US9578026B1 (en) * 2015-09-09 2017-02-21 Onulas, Llc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dependent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music content
ITUB20153847A1 (it) * 2015-09-24 2017-03-24 Cinello S R L Sistema elettronico e metodo di gestione di contenuti digitali relativi a opere d'arte idoneo a impedirne la diffusione incontrollata
US20180097622A1 (en) * 2016-09-30 2018-04-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621645B1 (ko) * 2019-03-12 2024-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198966A1 (en) * 2021-12-22 2023-06-22 Mastercard Technologies Canada ULC Protecting sensitive data in internet-of-things (io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3131A (en) * 1977-12-05 1980-03-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ryptographic verification of operational keys used in communication networks
US5054064A (en) * 1990-03-29 1991-10-01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Video control system for recorded programs
US7124302B2 (en) * 1995-02-13 2006-10-17 Intertrust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electronic rights protection
US6307940B1 (en) * 1997-06-25 2001-10-23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network for encrypting/deciphering communication text while updating encryption key, a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and a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JP3281920B2 (ja) * 2000-03-14 2002-05-13 東北大学長 アリルフラン化合物の製造方法
DE60128290T2 (de) * 2000-05-11 2007-08-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Vorrichtung zur Dateienverwaltung
JP2002074499A (ja) * 2000-08-24 2002-03-15 Sony Corp サービス提供方法
JP3568470B2 (ja) * 2000-09-21 2004-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シェル型データ端末装置
JP2002189801A (ja) * 2000-12-21 2002-07-05 Sony Corp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管理サーバ、サービスプロバイダ、端末装置、記録媒体発行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記録媒体
JP2002229861A (ja) * 2001-02-07 2002-08-16 Hitachi Ltd 著作権保護機能つき記録装置
JP4743984B2 (ja) * 2001-03-23 2011-08-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
JP2002288375A (ja) * 2001-03-26 2002-10-04 Sanyo Electric Co Ltd 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ライセンスサーバ
KR20020083851A (ko) * 2001-04-30 2002-11-04 주식회사 마크애니 디지털 컨텐츠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TWI308306B (en) * 2001-07-09 2009-04-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gital work protection system, record/playback device, recording medium device, and model change device
JP2003022219A (ja) * 2001-07-09 2003-01-24 Sanyo Electric Co Ltd コンテンツデータを容易に再取得できるデータ端末装置、その端末装置において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983179B1 (ko) * 2001-12-21 2010-09-20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프로그램 컨텐츠의 안전한 분배를 위한 방법 및 장비
US20040202291A1 (en) * 2002-08-27 2004-10-14 Skinner Davey Nyle Mobile phone with voice recording transfer fun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767B1 (ko) * 2004-10-20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방송 컨텐츠의 백업 기능을 갖춘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백업 방법
WO2007133007A1 (en) * 2006-05-12 2007-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providing location of contents encryption key
US8340297B2 (en) 2006-05-12 2012-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providing location of contents encryption key
KR20130048508A (ko) * 2011-11-02 2013-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기의 루트 키 생성 시스템 및 방법과 장치,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58707A1 (en) 200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477B1 (ko) 전자 콘텐츠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47213B1 (ko)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내의 보안 조건부 액세스 및 디지털권한 관리 기법
KR100689504B1 (ko) 컨텐츠 전송 보호 장치
KR20040072256A (ko) 컨텐츠에 대한 사용 제한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한 통신단말기 및 컨텐츠 보안 시스템
WO2010116845A1 (ja) 鍵情報管理方法、コンテンツ送信方法、鍵情報管理装置、ライセンス管理装置、コンテンツ送信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JP2005503081A (ja) ローカル・サーバーとローカル周辺機器間のデータ放送方法
KR100973576B1 (ko) 권한 객체 생성 방법 및 그 디바이스, 권한 객체 전송 방법및 그 디바이스와 권한 객체 수신 방법 및 그 디바이스
FI115356B (fi) Menetelmä audiovisuaalisen informaation käsittelemiseksi elektroniikkalaitteessa, järjestelmä ja elektroniikkalaite
KR20100088966A (ko) 디지털 저작권 관리 콘텐츠의 재생 및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10034297A (ko) 보안 데이터 통신 시스템
JP4987850B2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へのアクセスを管理するためのセキュリティ方法及びデバイス
EP1830296A1 (en) Portable telephone and program for sending and receiving encrypted electronic mail
US200500214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content copyright
KR20110047390A (ko) Drm 컨텐츠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854731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인증방법 및 그 장치
KR1008716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통해 컨텐트권리를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12921B1 (ko) 컨텐츠의 저장 및 재생 시간 단축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8006361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미리보기를 관리하는 장치및 방법
KR20070021461A (ko) 휴대단말기에서 신용카드결제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KR20100130847A (ko) 개인통신단말과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및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방법
CN102098312A (zh) 一种传送密钥的方法和装置
KR101538713B1 (ko) 멀티 세션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6457A (ko) 시간 코드 키 모듈 및 시간 제어 시스템
KR100703538B1 (ko) 휴대단말기의 컨텐츠 보호/회수장치 및 방법
KR20060119376A (ko) Drm을 이용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 편집 방법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7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