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65363A -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5363A
KR20040065363A KR1020030002306A KR20030002306A KR20040065363A KR 20040065363 A KR20040065363 A KR 20040065363A KR 1020030002306 A KR1020030002306 A KR 1020030002306A KR 20030002306 A KR20030002306 A KR 20030002306A KR 20040065363 A KR20040065363 A KR 20040065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monomer unit
composition
hair styling
sty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길
민두식
박현석
랑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0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5363A/ko
Publication of KR20040065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36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은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마이드 단량체 유니트 및 라우릴-디메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도암모늄 단량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터폴리머; 및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및 사급화 비닐이미다졸 단량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코폴리머;를 동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은 헤어 스타일의 유지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COMPOSITION OF HAIR STYLING SHAMPOO}
본 발명은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어 스타일의 유지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가 매우 우수한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발 및 두피의 오염을 제거하여 청결하고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모발 화장품은 세정 기능 이외에도 스타일링, 모발정돈, 모발 컨디셔닝, 손상방지, 비듬방지, 모발 보호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다양한 목적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다기능성 샴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세정을 행하는 것은 물론 스타일링과 컨디셔닝 등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음으로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연구 시도와 그 결과물들이 공개되고 있다.
헤어 스타일을 만들고, 이를 일정시간동안 유지 고정시키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로, 화학적 변화에 의한 방법으로서, 이는 모발의 결합 위치 변경에 의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파마’라고 명칭되는 것으로서,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스타일링이 유지되는 점에서 반영구적인 방법이라 볼 수 있다. 둘째로, 물리적 변화에 의한 방법으로서, 일시적 스타일 변화 및 유지 효과를 발현케 하며, 물 또는 샴푸에 의해 손쉽게 스타일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일시적 헤어 스타일 변화는 일반적으로 샴푸 사용 후에 스타일링 제품을 모발에 도포시켜 이루어진다. 스타일 유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품으로는 수지 또는 검으로부터 제조된 젤, 무스 또는 스프레이의 형태로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시적인 헤어 스타일링 제품은 사용자가 세정을 위한 샴푸를 행한 후 스타일링 제품을 별도로 도포 시켜야 하며, 스타일링 제품을 모발에 도포하는 경우에 손을 직접 이용하기 때문에 모발에 스타일링 제품을 도포시킨 후, 다시 손을 세정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일시적인 스타일링 제품을 사용한 후에는 모발이 점점 뻣뻣해지고, 딱딱해진다는 단점이 노출되고 있다. 셋째로, 샴푸 조성물에 스타일링 폴리머를 포함시켜 세정을 행함과 동시에 헤어 스타일링 기능도 제공하는 방법은 전술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제거했다는 점에서 최근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으나, 스타일링 폴리머의 특성에 기인하여 모발이 너무 뻣뻣하게 되거나, 또는 수용성 모노머로 구성된 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 세정에 의해 폴리머가 모발에 흡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스타일링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샴푸에 스타일링 기능을 부여하면서도 컨디셔닝 효과를 개선시키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마이드 단량체 유니트 및 라우릴-디메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도암모늄 단량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터폴리머; 및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및 사급화 비닐이미다졸 단량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코폴리머;를 동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터폴리머로는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60 내지 90 중량%,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마이드 단량체 유니트 5 내지 30 중량% 및 라우릴-디메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도암모늄 단량체 유니트 1 내지 30 중량%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코폴리머로는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50 내지 80 중량% 및 사급화 비닐이미다졸 단량체 유니트 50 내지 20 중량%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터폴리머와 코폴리머는 95:5 내지 50:5 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미국 특허 제6207778호에 개시된 라우릴-디메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도암모늄 단량체 유니트, 비닐 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및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마이드 단량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터폴리머는 수용성의 특성을 갖지만, 모발 표면에 스타일링 폴리머 필름을 형성한 후에는 외기의 습도와 물에 대한 저항성이 커서 모발 표면에 형성된 필름이 끈적거리지 않아서 모발이 뭉치지 않고 매끄러운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터폴리머는 우수한 스타일링 효과를 부여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6297203호에 개시된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및 비닐이미다졸 단량체 유니트로 구성된 코폴리머는 스타일링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코폴리머는 스타일링 폴리머의 수용성과 관련하여 흡착되는 스타일링 폴리머의 양에 한계가 있고, 세발 후 건조된 후에도 다습한 상태에서는 모발이 끈적이므로 모발이 뭉치거나 매끄럽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마이드 단량체 유니트 및 라우릴-디메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도암모늄 단량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터폴리머와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및 사급화 비닐이미다졸 단량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코폴리머를 동시에 함유하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이 스타일링 효과가 매우 우수하면서도 다습한 상태에서도 모발이 끈적이거나 모발이 뭉치지 않고 매끄럽게 되어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함을 밝혀내었다.
본 발명의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에 함유되는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마이드 단량체 유니트 및 라우릴-디메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도암모늄 단량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터폴리머는 예를 들어,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60 내지 90 중량%,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마이드 단량체 유니트 5 내지 30 중량% 및 라우릴-디메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도암모늄 단량체 유니트 1 내지 30 중량%의 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분자량은 200,000 ~2,0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에 함유되는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및 사급화 비닐이미다졸 단량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코폴리머로는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50 내지 80 중량% 및 사급화 비닐이미다졸 단량체 유니트 50 내지 20 중량%의 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분자량은 80,000 내지 1,000,000이이고 양이온성 전하밀도(Cationic Charge density)가 0.5 내지 3.5meq/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터폴리머와 코폴리머는 모발의 끈적임, 뭉침 등을 고려할 때 95:5 내지 50:5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에 함유된 터폴리머와 코폴리머의 총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샴푸의 점도가 증가하여 모발 끈적임 현상이 증가할 수 있고,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스타일링 폴리머의 작용이 미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샴푸의 제형화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샴푸 조성물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예컨대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전체 샴푸 총량 대비 5 내지 50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마그네슘,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플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야자유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는 샴푸 조성물로서의 기본적인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통상 사용되는 펄제, 방부제, 점증제 및 점도 조정제, pH 조정제, 향료, 염료, 컨디셔닝제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이중 외관 향상 펄제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모노- 또는 디-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지방산 글리콜류, 방부제로는 예를들어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및 메틸이소티아졸리논의 혼합물(상품명: Kathon CG, 제조회사: 미국 롬앤하스사)이 사용될 수 있고, 점증제 및 점도 조정제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이 사용될 수 있고, pH조정제로는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이 사용되고, 염료로는 수용성 타르색소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컨디셔닝제로는 하이드로카본오일(Hydrocarbon Oil), 알킬 또는 벤질 에스터류(Alkyl or Benzyl Esters), 추출물, 단백질 및 단백질 변형체, 키토산 및 키토산 유도체, 고급지방산(Fatty Acid), 실리콘으로 통칭되는 디메치콘, 디메치콘올, 아모디메티콘, 아모디메티콘올,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올등 통상의 모발 컨디셔닝 성분이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지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물에 30% 라우릴황산나트륨, 3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 에틸렌 올레일 에테르를 가하여 60℃가 될 때까지 가온한 후, 온도를 유지하면서 30분간 교반 시킨 다음, 45℃까지 교반 냉각시켰다. 이어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폴리쿼터늄-55(INCI : Polyquaternium-55, Trade Name : Styleze W-20 / ISP社), 폴리쿼터늄-16(INCI : Polyquaternium-16, Trade Name : Luviquat FC 370, Luviquat FC 550 / BASF社), 히드록시프로필키토산을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그런 다음, 혼합물에 색소, 방부제, 향료 및 구연산, 디메치콘을 가하여 30분간 교반시시킴으로써 샴푸 제품을 제조하였다.
원 료 명 비교예 실시예
1 2 3 1 2 3 4 5
라우릴황산나트륨(30%) 20 20 20 20 20 20 20 2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30%) 20 20 20 20 20 20 20 20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3.0 3.0 3.0 3.0 3.0 3.0 3.0 3.0
폴리옥시 에틸렌올레일 에테르 0.2 0.2 0.2 0.2 0.2 0.2 0.2 0.2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폴리쿼터늄-55 - 4.5 - 4.5 7.5 0.075 7.5 0.075
폴리쿼터늄-16 - - 0.5 0.5 2.5 0.025 0.025 2.5
히드록시프로필키토산 0.5 0.5 0.5 0.5 0.5 0.5 0.5 0.5
색소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방부제 0.2 0.2 0.2 0.2 0.2 0.2 0.2 0.2
향료 0.4 0.4 0.4 0.4 0.4 0.4 0.4 0.4
구연산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디메치콘 1.5 2.0 2.0 2.0 2.0 2.0 2.0 1.0
100 중량%가 될 때 까지 첨가.
상기 표 1에 따른 조성을 가지면서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샴푸 제품에 대해 스타일 유지력과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다음과 같이 각각 시험하였다.
스타일 유지력 시험
스타일 유지력에 대한 평가는 길이 20cm, 무게 0.8g의 모발타래를 5%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용액에 5분간 침적시킨 후, 흐르는 물로 1분간 헹구고 25℃, 상대 습도 50% 조건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이후, 상기 표 1의 실시예 1 내지 5의 샴푸액 5% 용액에 모발 타래를 5분간 침적시킨 다음, 흐르는 물로 1분간 헹군고, 항온 항습기(25℃, 50RH%)에 30분간 방치하여 물기를 제거하였다. 물기가 제거된 모발 타래를 나선형의 용수철(spiral)에 감아 항온 항습기(25℃, 30RH%)에서 5시간 건조시키고, 건조된 상태의 모발을 용수철(spiral)에서 조심스럽게 분리하여 항온 항습기(25℃, 50RH%)에 넣어 3시간 동안 시간의 경과에 따라 컬(Curl)이 늘어지는 정도를 비교하는 방법인 통상의 컬-리텐션(Curl Retention, J. Soc. Cosmetic Chemists. Dec 9, 1968))법으로 스타일링 유지 효과를 상대 비교하였다, 컬-리텐션을 구하기 위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컬-리텐션 값이 클수록 스타일 유지력이 우수함을 나타내며, 하기 표 2에는 3회 반복 측정한 평균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수학식 1에서, Lo는 시험에 사용한 최초의 모발의 길이이며, Lt는 t 시간후의 모발 타래(tress)의 길이이며, Ls는 전술한 방법으로 준비되어 테스트 하기 직전의 모발 타래(tress)의 길이(t=0)를 나타낸다.
구 분 스타일 유지력(Curl Retention %)
비교예 1 25%
2 40%
3 38%
실시예 1 79%
2 85%
3 65%
4 63%
5 59%
상기 표 2에 나타낸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폴리쿼터늄-55 및 폴리쿼터늄-16 모두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와 폴리쿼터늄-55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2 그리고 폴리쿼터늄-16만을 단독 사용한 비교예 3에 비하여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에서처럼 두 가지를 혼합 사용한 경우가 컬 유지력이 최소 2배 이상으로 관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폴리쿼터늄-55 및 폴리쿼터늄-16의 함량이 가장 많이 사용된 실시예 2의 경우가 가장 우수한 컬 유지력을 나타내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다.
모발 컨디셔닝(부드러움, 매끄러움) 효과
상기 표 1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준비된 샴푸에 대한 모발 컨디셔닝 효과의 평가는 하기 표 3의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으며, 피시험자가 제품을 사용하고 난후 느낌에 대하여 주관적인 점수에 대한 평균점수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피시험자는 20대 내지 30대의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한편, 동일한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행한 모발 매끄러움 평가에 대해서는 빗질력 시험기를 사용하였으며,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만을 이용하여 세정한 경우에 대비하여 상대적인 감소율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평점
컨디셔닝 효과가 매우 우수 5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 4
보통이다 3
컨디셔닝 효과가 거의 없다 2
컨디셔닝 효과가 전혀 없다 1
구 분 비교예 실시예
1 2 3 1 2 3 4 5
컨디셔닝 효과 2.9 3.1 2.9 4.2 3.9 3.6 3.5 3.3
구 분 비교예 실시예
1 2 3 1 2 3 4 5
빗질력감소율 18% 25% 22% 56% 53% 38% 30% 30%
상기 표 4 및 5 각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쿼터늄-55 및 폴리쿼터늄-16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인 비교예 1, 폴리쿼터늄-55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2, 폴리쿼터늄-16만을 단독 사용한 비교예 3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라 폴리쿼터늄-55 및 폴리쿼터늄-16을 적정하게 조성하여 혼합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에서 컨디셔닝 효과 및 빗질력 감소율 상대적으로 매우 우수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폴리쿼터늄-55 및 폴리쿼터늄-16의 함량을 가장 많이 사용한 실시예 2의 경우에서는 상대적으로 이들 함량이 적게 사용된 실시예 1의 경우에 비하여 컨디셔닝효과 및 빗질력 감소율이 작게 나타나고 있음도 알 수 있다. 이는 스타일링 폴리머의 함량이 일정 한도 이상 포함되는 경우에는 스타일링 폴리머가 갖는 끈적임 등으로 인해 컨디셔닝 효과와는 상충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스타일링 폴리머에 대한 적정량의 사용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는 것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폴리머와 코폴리머로 조성되는 스타일링 폴리머를 적정량으로 혼합 사용하는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을 이용하면, 세정효과는 당연하게 달성됨은 물론,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해소시키면서 헤어 스타일의 유지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후에도 모발을 뻣뻣하게 하는 등의 종래의 문제점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5)

  1.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마이드 단량체 유니트 및 라우릴-디메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도암모늄 단량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터폴리머; 및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및 사급화 비닐이미다졸 단량체 유니트로 이루어진 코폴리머;를 동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폴리머는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60 내지 90 중량%,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마이드 단량체 유니트 5 내지 30 중량% 및 라우릴-디메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도암모늄 단량체 유니트 1 내지 30 중량%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머는 비닐피롤리돈 단량체 유니트 50 내지 80 중량% 및 사급화 비닐이미다졸 단량체 유니트 50 내지 20 중량%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폴리머와 코폴리머는 95:5 내지 50:5 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폴리머와 코폴리머의 총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KR1020030002306A 2003-01-14 2003-01-14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Ceased KR20040065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306A KR20040065363A (ko) 2003-01-14 2003-01-14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306A KR20040065363A (ko) 2003-01-14 2003-01-14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363A true KR20040065363A (ko) 2004-07-22

Family

ID=3735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306A Ceased KR20040065363A (ko) 2003-01-14 2003-01-14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53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6288A (zh) * 2015-05-27 2016-12-07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增强毛发的蓬松感的毛发或头皮用组合物
WO2019066522A1 (ko) *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모발의 볼륨을 증진시키는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8396A (ko) * 2017-09-29 2019-04-08 (주)아모레퍼시픽 모발의 볼륨을 증진시키는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6403A1 (en) * 1992-09-22 1994-03-31 Colgate-Palmolive Company Hair conditioning shampoo
US5833968A (en) * 1993-06-23 1998-11-10 Wella Aktiengesellschaft Aqueous composition for fixing hair in the form of a high viscous sprayable gel
KR20000006057A (ko) * 1998-06-15 2000-01-25 조지안느 플로 양이온폴리머와아크릴삼원중합체를포함한화장품조성물과상기조성물의케라틴물질처리용으로서의용도
US6207778B1 (en) * 1999-05-07 2001-03-27 Isp Investments Inc. Conditioning/styling terpolymers
US6297203B1 (en) * 1997-05-05 2001-10-02 The Procter & Gamble Styling shampoo compositions containing cationic styling polymers and cationic deposition polymers
US6383477B1 (en) * 1999-08-07 2002-05-07 Wella Aktiengesellschaft Volume-imparting hair treatment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6403A1 (en) * 1992-09-22 1994-03-31 Colgate-Palmolive Company Hair conditioning shampoo
US5833968A (en) * 1993-06-23 1998-11-10 Wella Aktiengesellschaft Aqueous composition for fixing hair in the form of a high viscous sprayable gel
US6297203B1 (en) * 1997-05-05 2001-10-02 The Procter & Gamble Styling shampoo compositions containing cationic styling polymers and cationic deposition polymers
KR20000006057A (ko) * 1998-06-15 2000-01-25 조지안느 플로 양이온폴리머와아크릴삼원중합체를포함한화장품조성물과상기조성물의케라틴물질처리용으로서의용도
US6207778B1 (en) * 1999-05-07 2001-03-27 Isp Investments Inc. Conditioning/styling terpolymers
US6383477B1 (en) * 1999-08-07 2002-05-07 Wella Aktiengesellschaft Volume-imparting hair treatment composition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6288A (zh) * 2015-05-27 2016-12-07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增强毛发的蓬松感的毛发或头皮用组合物
WO2019066522A1 (ko) *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모발의 볼륨을 증진시키는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8396A (ko) * 2017-09-29 2019-04-08 (주)아모레퍼시픽 모발의 볼륨을 증진시키는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CN111163754A (zh) * 2017-09-29 2020-05-15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增强毛发的蓬松感的毛发或头皮用化妆品组合物
TWI787361B (zh) * 2017-09-29 2022-12-21 南韓商愛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增強毛髮的蓬鬆感的毛髮或頭皮用化妝品組合物及其用途
CN111163754B (zh) * 2017-09-29 2023-04-07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增强毛发的蓬松感的毛发或头皮用化妆品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1845B2 (ja) コンディショニング、カラープロテクティングおよびスタイリングポリマーを含むケラチン基質のための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US20110097278A1 (en) Hair styl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8551464B2 (en) Hair styling method
AU2009288042B2 (en) Hair styling method
US20110180093A1 (en) Hair styling method
US20110192414A1 (en) Hair styling method
US20100111886A1 (en) Hair styling composition
KR20040065363A (ko)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EP3060309B1 (en) Rinse-off volumizing hair compositions containing styling polymers and polycationic polymers
KR20040024268A (ko) 유사 다중 에멀젼 입자를 함유한 헤어케어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JPWO2018097304A1 (ja) ケラチン繊維処理組成物
JP2023021938A (ja) 化粧料組成物
KR100484435B1 (ko)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JPH0237322B2 (ko)
HK1123509B (en) Hair treatment compositions
HK1123509A1 (en) Hair treatment compositions
CN107496180A (zh) 包含表面活性剂、缩聚物以及一元醇的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1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9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6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