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06057A - 양이온폴리머와아크릴삼원중합체를포함한화장품조성물과상기조성물의케라틴물질처리용으로서의용도 - Google Patents

양이온폴리머와아크릴삼원중합체를포함한화장품조성물과상기조성물의케라틴물질처리용으로서의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057A
KR20000006057A KR1019990021479A KR19990021479A KR20000006057A KR 20000006057 A KR20000006057 A KR 20000006057A KR 1019990021479 A KR1019990021479 A KR 1019990021479A KR 19990021479 A KR19990021479 A KR 19990021479A KR 20000006057 A KR20000006057 A KR 20000006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s
weight
composition
quaternary
group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5256B1 (ko
Inventor
크리스띠안 뒤삐
Original Assignee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filed Critical 조지안느 플로
Publication of KR20000006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25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82Copolymers of 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 수성매체에 양이온 폴리머와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과 피부 또는 모발과 같은 케라틴 물질 처리용으로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계한다.
아크릴 삼원중합체는 다음을 포함한다.
a) α,β-모노에틸렌 불포화기를 함유한 카르복실산 20 내지 70중량%,
b) a)와는 상이한 모노에틸렌 불포화기를 함유한 비-계면활성제 모노머 20 내지 80중량%,
c) 모노히드릭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모노에틸렌 불포화기 함유 모노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생성물인 비이온 우레탄 모노머 0.5 내지 60중량%.
본 발명은 잔류 형태로 4차 또는 비-4차 비닐피롤리돈/디알킬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나 4차 비닐피롤리돈 및 비닐이미다졸 폴리머를 포함하는 모발제품에 관계한다.

Description

양이온 폴리머와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포함한 화장품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의 케라틴 물질 처리용으로서의 용도{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cationic polymer and an acrylic terpolymer, and use of this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keratinous material}
본 발명은 양이온 폴리머와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포함한 화장품 조성물과 케라틴 물질, 특히 모발 처리용으로서의 조성물의 사용에 관계한다.
양이온 폴리머는 모발에 부드러움, 유쾌함 및 손쉬운 풀림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고점도이며 스타일링 또는 케어 크림 또는 겔과 같이 잘 확산되는 농화액 상태의 양이온 폴리머 함유 모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필요하며, 조성물이 이마, 목덜미, 얼굴 또는 눈으로 흘러내리지 않으므로 이러한 성질은 소비자의 호평을 받는다.
이를 위하여 농화 또는 겔화 폴리머가 사용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농조화제에 양이온 폴리머의 도입은 유동화 및 투명성 손실 문제를 가져오므로 화장품 성능 수준이 종종 케어 제품용으로 불충분하다.
Goodrich 사 "Pemulen TR1" 또는 Rhom & Haas 사 "Acrysol"과 같이 지방쇄로 구성된 소수성 부분과 친수성 부분을 쇄에 포함하는 농화 또는 겔화 폴리머가 알려진다. 양이온 폴리머와 조합으로 사용된 폴리머 "Pemulen TR1"은 만족스러운 조직의 겔을 가져오지 못하므로 특히 고정력, 부드러움 및 감촉에 있어서 만족스러운 화장 결과를 가져오지 않는다. 양이온 폴리머와 조합으로 사용되는 폴리머 "Acrysol 44"은 흐릿한 액체 제품을 가져온다.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신규한 농화 또는 겔화 폴리머를 사용하고 양이온 폴리머와 조합함으로써 비교적 낮은 pH에서 만족스러운 점도를 가지며 페이스트성 또는 그리이스성이 아니며 잘 확산되며 양호한 고정성질을 가지면서 양호한 부드러움, 감촉 및 손쉬운 풀림성을 모발에 제공하는 화장품 조성물 수득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상은 양이온 폴리머와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미용 수성담체에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이다.
이 폴리머는 미용 용매 함유 겔화 또는 농화 헹굼 또는 잔류 수성-유기 또는 수성 조성물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3원 중합체의 장점은 전해질 매체에서 안정적이고 5.5 이상의 pH에서 양호한 농화력을 가지며 양호한 수준의 점도 달성과 고농도 알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아크릴 삼원중합체는 알카리에 가용성 또는 팽윤성이다. 이 삼원중합체는 다음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 α,β-모노에틸렌 불포화기 함유 카르복실산 20 내지 70중량%, 특히 25 내지 55중량%,
b) a)와 상이한 모노에틸렌 불포화기 함유 비-계면활성제 모노머 20 내지 80중량%, 특히 30 내지 65중량%,
c) 모노히드릭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모노에틸렌 불포화기 함유 모노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인 비이온 우레탄 모노머 0.5 내지 60중량%, 특히 10 내지 50중량%.
α,β-모노에틸렌 불포화기 함유 카르복실산 a)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또는 말레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메타크릴산이 선호된다. 수산화 나트륨, 알칸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또는 아미노메틸프로판디올과 같은 알카리성 화합물과 반응함으로써 농화효과를 주며 용해되는 폴리머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당비율의 산이 필수적이다.
삼원중합체는 또한 계면활성 성질이 없는 모노에틸렌 불포화기를 함유한 모노머 b)를 위에서 언급된 상당 비율로 포함한다. 선호되는 모노머는 단일중합될 때 불수용성인 폴리머를 제공하고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C1-C4알킬아크릴레이트나 대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로 대표되는 것이다. 사용가능한 기타 모노머로는 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및 염화 비닐리덴이 있다. 단일 에틸렌기가 중합 조건하에서 반응적인 유일한 기인 비-반응성 모노머가 선호된다. 그러나,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처럼 열의 작용하에서 반응적인 기를 포함한 모노머가 특정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비이온성 우레탄 모노머 c)를 수득하는데 사용되는 모노히드릭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잘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친수성 부분을 형성하는 알킬렌 옥사이드를 함유한 알콕실화 소수성 화합물이다. 소수성 부위는 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함유한 탄소쇄가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부위를 형성하는 지방족 알콜 또는 알킬페놀로 구성된다.
선호되는 모노히드릭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다음 화학식 1 을 가진다:
상기 화학식 1 에서 R은 C6-C30알킬 또는 C8-C30아르알킬기이고 R'는 C1-C4알킬기이고 n은 5 내지 150, m은 0 내지 50이며, 단 n은 m보다 크고 n+m=5-150이다.
선호되는 C6-C30알킬기로서 도데실 및 C18-C26알킬기가 있다. 아르알킬기로서 (C8-C13) 알킬페닐기가 특히 선호된다. 선호되는 R'는 메틸기이다.
비이온성 우레탄 모노머 c) 형성에 사용되는 모노에틸렌 불포화기 함유 모노이소시아네이트는 다양한 화합물로 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불포화기와 같은 공중합가능한 불포화기를 함유한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알릴 알콜에 의해 부여되는 알릴 불포화기가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선호되는 모노에틸렌 모노이소시아네이트는 α,α-디메틸-m-이소프로펜일-벤질이소시아네이트이다.
위에서 정의된 아크릴 삼원중합체는 특허출원 EP-A-0,173,109 에 기술된 성분 a), b) 및 c)의 수성 에멀젼 공중합에 의해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삼원중합체로서 성분 a)로서 메타크릴산, 성분 b)로서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성분 c)로서 비이온성 우레탄 마크로모노머의 반응생성물이 있으며, 이것은 다음 화학식 2 를 가진다:
상기 화학식 2 에서 p'는 6 내지 150이고, 특히 30이며, R2는 특허출원 EP-A-0,173,109 의 실시예 3 에 기술된 C8-C13알킬기이다.
본 발명에 따라 선호되는 아크릴 삼원중합체는 성분 a)로서 메타크릴산, 성분 b)로서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성분 c)로서 비이온성 우레탄 마크로모노머를 사용하며 수득되며, 다음 화학식 3 을 가진다:
상기 화학식 3 에서 p는 6 내지 150 이고 R'은 C18-C26, 특히 도코실기와 같은 C20-C24식물성 선형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서 아크릴 삼원중합체는 조성물 총량에 대해 0.01 내지 20중량%, 특히 0.1 내지 10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양이온 폴리머는 특허출원 EP-A-0,337,354, FR-A-2,270,846, 2,383,660, 2,598,611, 2,470,596 및 2,519,863 에 발표된 것이다.
"양이온 폴리머"는 양이온 기나 양이온기로 이온화 가능한 기를 함유한 폴리머를 말한다.
선호되는 양이온 폴리머는 폴리머 주쇄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부착된 측부 치환체를 가지는 일차, 이차, 3차 또는 4차 아민기 함유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머에서 선택된다.
사용된 양이온 폴리머는 500 내지 5 ×106, 특히 103내지 3 ×106의 분자량을 가진다.
양이온 폴리머로서 4차 단백질(또는 단백질 히드로실세이트), 폴리아민, 폴리아미노아미드 및 4차 폴리암모늄형 폴리머가 있다.
4차 단백질 또는 단백질 히드로실세이트는 쇄의 단부에서 4차 암모늄 기를 가지거나 거기에 그래프팅된 화학 변성 폴리펩티드이다. 이의 분자량은 1500 내지 10,000, 특히 2000 내지 5000이다. 이들 화합물 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Maybrook 사에 의해 "Quat-Pro E"로 판매되며 CTFA 사전에 "트리에토늄 가수분해된 콜라겐 에토술페이트"로 언급되는 제품과 같은 트리에틸암모늄기 함유 콜라겐 히드로실세이트;
- Maybrook 사에 의해 "Quat-Pro S"로 판매되며 CTFA 사전에 "스테아르트리모늄 가수분해된 콜라겐"으로 언급되는 트리메틸암모늄과 트리메틸스테아릴염화 암모늄기 함유 콜라겐 히드로실세이트;
- 폴리펩티드쇄상에 1 내지 18 탄소원자 함유 알킬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기를 가지는 단백질 히드로실세이트.
이러한 단백질 히드로실세이트 중에 다음과 같은 것이 언급될 수 있다:
- 4차 암모늄기가 C12알킬기를 포함한 "Croquat L";
- 4차 암모늄기가 C10-C18알킬기를 포함한 "Croquat M";
- 4차 암모늄기가 C18알킬기를 포함한 "Croquat S";
- 4차 암모늄 기가 1 내지 18개의 탄소원자 함유 알킬기를 포함하는 "Crotein Q".
(이들 제품은 Croda 사에 의해 판매된다.)
기타 4차 단백질 또는 히드로실세이트는 화학식 4 의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X-는 유기 또는 무기산의 음이온이고, A는 콜라겐 단백질 히드로실세이트로 부터 유도된 단백질 잔기이고, R5는 최대 3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 친유성기이고, R6은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 알킬렌기이다. Inolex 사에 의해 "Lexein QX 3000"으로 판매되며 CTFA 사전에 "코코트리모늄 콜라겐 히드로실세이트"로 칭하는 제품이 언급될 수 있다.
밀, 옥수수 또는 콩 단백질과 같은 4차 식물성 단백질이 언급될 수 있다. Croda 사에 의해 "히드로트리티큠 WQ, QM"으로 판매되며 CTFA 사전에서 "코코디모늄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로 칭하는 단백질, "라우리디모늄 가수분해된 밀단백질" 또는 CTFA 사전에서 "스테아르디모늄 가수분해된 밀단백질"로 칭하는 "히드로트리티큠 QS"과 같은 단백질이 4차 밀단백질로서 언급된다.
또다른 양이온 폴리머는 양이온 실리콘 폴리머이다. 그중 다음 폴리머가 언급될 수 있다:
(a) 화학식 5 의 실리콘 폴리머.
여기서 G1, G2, G3및 G4는 수소원자, 페닐기, OH기, C1-C18 알킬기(특히 메틸기), C2-C18알케닐기 또는 C1-C18알콕시기이며, a와 a'는 0 또는 1 내지 3 의 정수, 특히 0이고, b는 0 또는 1, 특히 1이며, m+n은 1 내지 2000, 특히 50 내지 150이고 n은 0 내지 1999, 특히 49 내지 149이고 m은 1 내지 2000, 특히 1 내지 10이고, R1, R2, R3및 R4는 일반식 CqH2qOsR5 tL 의 단가 라디칼이고 q는 1 내지 8, s 및 t는 0 또는 1, R5는 히드록실화 알킬렌기, L은 다음에서 선택된 4차 아민기이고:
여기서 R"는 수소, 페닐, 벤질 또는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함유 알킬기와 같은 단가 포화 탄화수소기초 라디칼이고 A-는 불소이온, 염소이온, 브롬이온 또는 요오드이온과 같은 할로겐족 이온이다.
여기서 정의된 제품으로 CTFA 사전에서 "아모디메티콘"으로 칭하며 화학식 5 에 해당하는 폴리실록산이 있다:
여기서, x' 및 y'는 분자량이 5000 내지 20,000이 되게 하는 정수이다.
화학식 4 에 해당하는 제품은 CTFA 사전에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티콘"으로 칭하며 다음 구조식에 해당하는 폴리머이다:
여기서 n과 m은 화학식 4 에서 정의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정의에 해당하는 상품은 Dow Corning 사에 의해 "Q2-8220"으로 판매되는 폴리디메틸실록산과 아미노에틸 아미노이소부틸기 함유 폴리디메틸실록산의 혼합물(10/90 중량비)이다.
이러한 폴리머는 특허출원 EP-A-95238 에 발표된다.
화학식 4 에 해당하는 다른 폴리머로는 다음 구조식에 해당하는 실리콘 기초 폴리머이다:
여기서 R7은 1 내지 18개의 탄소원자 함유 단가 탄화수소기초 라디칼, 특히 C1-C18알킬기 또는 C2-C18알케닐기(예, 메틸)이고;
R8은 C1-C18알케닐기와 같은 2가 탄화수소기초 라디칼, 또는 C1-C182가 알킬렌옥시 라디칼이고;
Q-는 할라이드 이온, 특히 염소이온이고;
r는 2 내지 20, 특히 2 내지 8이고;
s는 20 내지 200, 특히 20 내지 50이다.
이러한 폴리머는 미국특허 4,185,087 에 발표된다.
이러한 범주에 속하는 폴리머는 Union Carbide 사에 의해 "Ucar Silicone ALE 563"으로 판매되는 폴리머이다.
이러한 실리콘 기초 폴리머가 사용될 경우에 한가지 장점은 이들 폴리머를양이온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아모디메티콘 뿐만 아니라 다음 구조식의 제품 혼합물을 포함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구조식 C9H19-C6H4-(OC2H4)10-OH ("Nonoxynol 10")과 조합으로 포함하는 Dow Corning 사 "양이온 에멀젼 DC 929"와 같은 제품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R9는 수지지방산에서 유도된 C14-C22알케닐 또는 알킬기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또다른 상품은 화학식 4 의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티콘과 조합으로 "Octoxynol-40"으로 알려진 C8H17-C6H4-(OCH2CH2)n-OH (n=40)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Isolaureth-6"으로 알려진 C12H25-(OCH2-CH2)n-OH (n=6)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글리콜을 포함하는 Dow Corning 사 "Dow Corning Q2 7224"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폴리아민, 폴리아미노아미드 또는 폴리 4차 암모늄형 폴리머는 프랑스 특허 제 2,505,348 및 2,542,997 에 발표된다. 이들중 특히 다음과 같은 폴리머가 있다:
(1) ISP사 "Gafquat 734, 755 또는 HS100"이나 "코폴리머 937 또는 845"와 같은 4차 또는 비-4차 비닐피롤리돈/디알킬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프랑스 특허 제 2,077,143, 2,393,573).
(2) 프랑스 특허 1,492,597 에 발표된 4차 암모늄기 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유도체, 특히 Union Carbide 사의 "JR" (JR 400, 125, 30M) 또는 "LR"(LR 400, 30M)과 같은 폴리머. 이들 폴리머는 CTFA 사전에 트리메틸암모늄기로 치환된 에폭사이드와 반응시킨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4차 암모늄으로서 정의된다.
(3) 수용성 4차 암모늄 모노머로 그래프팅되며 미국특허 4,131,576 에 발표된 셀룰로오스 유도체나 셀룰로오스 공중합체와 같은 양이온 셀룰로오스 유도체, 특히 메타크릴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또는 디메틸디알릴암모늄 염으로 그래프팅된 히드록시메틸-, 히드록시에틸-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와 같은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이에 해당하는 상품은 National Starch 사의 "Celquat L 200"과 "Celquat H 100"이다.
(4) 미국특허 3,589,578 및 4,031,307 에 발표되는 구아르검과 같은 양이온 폴리사카라이드, 특히 Meyhall 사의 "Jaguar C 13 S", "Jaguar C 15" 및 "Jaguar C 17".
(5) 산소, 황 또는 질소원자나 방향족 또는 헤테로고리형 환이 삽입된 직쇄 또는 측쇄함유 2가 알킬렌 또는 히드록시알킬렌 라디칼과 피퍼라진밀 단위로 구성된 폴리머와 상기 폴리머의 산화 또는 4차화 생성물. 이러한 폴리머는 프랑스 특허 2,162,025 및 2,280,361 에 발표된다.
(6) 산성 화합물과 폴리아민의 중축합반응으로 제조되는 수용성 폴리아미노아미드; 이러한 폴리아미노아미드는 에피할로히드린, 디에폭사이드, 2무수물, 불포화 2무수물, 비스-불포화 유도체, 비스-할로히드린, 비스-아제티디늄, 비스-할로아실디아민, 비스-알킬 할라이드 또는 비스-할로히드린, 비스-아제티디늄, 비스-할로아실디아민, 비스-알킬 할라이드, 에피할로히드린, 디에폭사이드나 비스-불포화 유도체에 대해 반응적인 2작용기 화합물의 반응으로 생성된 올리고머를 써서 가교결합될 수 있다. 가교결합제는 폴리아미노아미드의 아민기 하나당 0.025 내지 0.35몰의 비율로 사용된다. 이러한 폴리아미노아미드는 알킬화 반응되거나 하나 이상의 3차 아민기를 함유한 경우 4차화 반응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는 프랑스 특허 2,252,840, 2,368,508 에 발표된다.
(7) 폴리알킬렌폴리아민과 폴리카르복실산의 축합과 2작용기 작용제를 사용한 알킬화 반응으로 생성된 폴리아미노아미드 유도체. 알킬기가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 특히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을 포함한 디알킬아미노히드록시알킬디알킬렌트리아민/아디프산 폴리머가 그 예이다. 이러한 폴리머는 프랑스 특허 1,583,363 에 발표된다.
이들 유도체중 특히 Sandoz 사에 의해 "Cartaretine F", "Cartaretine F4"로 판매되는 아디프산/디메틸아미노히드록시프로필/디에틸렌트리아민 폴리머가 선호된다.
(8) 2개의 일차아민기와 하나이상의 2차 아민기를 함유한 폴리알킬렌폴리아민과 디글리콜산 및 C3내지 C8포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반응으로 수득되며 폴리알킬렌폴리아민과 디카르복실산의 몰비가 0.8:1 내지 1.4:1인 폴리머. 결과의 폴리아미노아미드는 폴리아미노아미드내 2차 아민기에 대해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몰비가 0.5:1 내지 1.8:1에서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된다. 이러한 폴리머는 미국특허 3,227,615 및 2,961,347에 발표된다.
이러한 타입의 폴리머는 Hercules Inc.에 의해 "Hercosett 57", 아디프산/에폭시프로필/디에틸렌트리아민 공중합체의 경우에 Hercules 사에 의해 "PD 170" 또는 "Delsette 101"로 판매된다.
(9) 쇄의 구성요소로서 화학식 6 또는 화학식 6a 에 해당하는 단위를 포함한 폴리머와 같은 메틸디알릴아민 또는 디메틸디알릴암모늄 시클로폴리머:
여기서 k와 t는 0 또는 1이고 k+t는 1이고; R1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10및 R11은 C1-C22알킬기, 알킬기가 1 내지 5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 히드록시알킬기, 저급 아미도알킬기이거나 이들이 부착되는 질소원자와 함께 피페리딜 또는 모르폴린일과 같은 헤테로고리형 기를 형성하며, Y??는 브롬이온, 염소이온, 아세테이트, 보레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비술페이트, 비술파이트,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와 같은 음이온이다. 이러한 폴리머는 프랑스 특허 2,080,759 와 이의 첨가 증명서 2,190,406에 발표된다.
위에서 정의된 폴리머중에 Merk사에 의해 "Merquat 100"으로 판매되는 디메틸디알릴 염화암모늄 호모폴리머와 "Merquat 550"으로 판매되는 디메틸디알릴 염화암모늄과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가 언급될 수 있다.
(10) 화학식 7 에 대응하는 반복단위를 갖는 4차 디암모늄 폴리머:
여기서, R13, R14, R15및 R16은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함유 지방족, 지방족고리, 또는 아릴지방족 라디칼 또는 저급 히드록시알킬지방족 라디칼이거나 이들이 부착되는 질소원자와 함께 질소이외의 제 2 헤테로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거나 니트릴, 에스테르, 아실, 아미드 또는 -CO-O-R17-D 또는 -CO-NH-R17-D (R17은 알킬렌이고 D는 4차 암모늄기이다)로 치환된 선형 또는 측쇄형 C1-C6알킬 라디칼이며;
A1및 B1은 선형 또는 측쇄형, 포화 또는 불포화형이며 주쇄에 방향족환, 산소원자, 황원자, 술폭사이드, 술폰, 디술파이드, 아미노, 알킬아미노, 히드록실, 4차 암모늄, 우레이도, 아미드 또는 에스테르를 함유, 연결 또는 삽입한 2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함유 폴리메틸렌기이며;
X-는 무기 또는 유기산에서 유도된 음이온이고;
A1, R13및 R15는 이들이 부착되는 2개의 질소원자와 함께 피페라진 환을 형성할 수 있고, 만약 A1이 선형 또는 측쇄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렌 또는 히드록시알킬렌기인 경우에 B1은 (CH2)n-CO-D-OC-(CH2)n이고 D는 다음과 같다:
a) 일반식 -O-Z-O의 글리콜 잔기, 여기서 Z는 -(CH2-CH2-O)x-CH2-CH2또는 -[CH2-CH(CH3)-O]y-CH2-CH2또는 -[CH2-CH(CH3)-O]y-CH2-CH(CH3)-에 해당하는 기이거나 선형 또는 측쇄형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여기서 x와 y는 1 내지 4의 정수로서 평균 중합도를 나타내며;
b) 피페라진 유도체와 같은 비스-2차 디아민 잔기;
c) 일반식 -NH-Y-NH의 비스-일차 디아민 잔기,
여기서 Y는 선형 또는 측쇄형 탄화수소 기초 라디칼이거나 2가 라디칼 -CH2-CH2-S-S-CH2-CH2-이며;
d) 일반식 -NH-CO-NH-의 우레이렌기.
X-로 선호되는 음이온은 염소이온 또는 브롬이온이다.
이러한 폴리머는 1000 내지 100,000의 분자량을 가지며 프랑스특허 2,320,330, 2,270,846, 2,316,271, 2,336,434, 2,413,907 과 미국특허 2,273,780, 2,375,853, 2,388,614, 2,454,547, 3,206,462, 2,261,002, 2,271,378, 3,874,870, 4,001,432, 3,929,990, 3,966,904, 4,005,194, 4,025,617, 4,025,627, 4,025,653, 4,026,945, 4,027,020 에 발표된다.
(11) 화학식 8 의 단위로 구성된 폴리4차 암모늄 폴리머:
여기서, R18, R19, R20 및 R21은 수소원자, 메틸, 에틸, 프로필, β-히드록시에틸, β-히드록시프로필 또는 -CH2CH2(OCH2CH2)pOH이며,
p는 0 또는 1 내지 6이며, 단 R18, R19, R20 및 R21은 동시에 수소원자가 아니며,
r 및 s는 1 내지 6의 정수, q는 0 또는 1 내지 34의 정수이고,
X는 수소원자, A는 디할라이드 또는 -CH2-CH2-O-CH2-CH2-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특허출원 EP-A-122,324 에 발표되며 Miranol 사의 "Mirapol A 15", "Mirapol 10 AD1", "Mirapol AZ1" 및 "Mirapol 175"와 같은 제품이 있다.
(12)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에서 유도되며 다음 단위를 포함하는 호모폴리머 또는 공중합체:
여기서 R22는 H 또는 CH3이며, A2는 선형 또는 측쇄형 C1-C6알킬기이거나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 함유 히드록시알킬기이며, R23, R24, R25는 C1-C18알킬기 또는 벤질기이며, R26, R27은 수소 또는 C1-C6알킬기이고, X2 -는 메타술페이트, 염소이온 또는 브롬이온등의 할라이드와 같은 음이온이다.
코폴리머 제조에 사용가능한 코모노머는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및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와 질소상에서 치환된 저급알킬, 알킬에스테르,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산, 비닐피롤리돈 또는 비닐에스테르를 갖는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이다.
(13) BASF사에 의해 "Luviquat FC 905", "Luviquat FC 550"으로 판매되는 제품과 같은 4차 비닐피롤리돈과 비닐이미다졸 폴리머.
(14) CTFA 사전에 "폴리에틸렌 글리콜 탈로우 폴리아민"으로 칭하는 Henkel사 "Polyquart H"와 같은 폴리아민.
(15) 염화메틸로 4차화된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단일중합이나 아크릴아미드와 염화메틸로 4차화된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머와 같은 메타크릴 오일옥시에틸트리메틸 염화암모늄 가교결합 폴리머, 단일중합 또는 공중합후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올레핀 불포화기함유 화합물을 사용한 가교결합이 수행된다. 무기오일에 50중량%의 공중합체를 함유한 분산물 형태로 아크릴아미드/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염화암모늄 가교결합 공중합체(20/80)가 특히 선호된다. 이러한 분산물은 Allied Colloids 사에 의해 "Salcare SC 92"로 판매된다. 무기오일에 50중량%의 호모폴리머를 포함한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염화암모늄 가교결합 호모폴리머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산물은 Allied Colloids 사에 의해 "Salcare SC 95"로 판매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기타 양이온 폴리머는 폴리에틸렌아민과 같은 폴리알킬렌아민, 비닐피리딘 또는 비닐피리디늄 단위를 포함한 폴리머, 폴리아민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축합물, 4차 폴리우레일렌 및 키틴 유도체이다.
ISP사의 "Gafquat" (Gatquat 734, Gafquat 755, Gafquat HS 100) 또는 "공중합체 937"이나 "공중합체 845"와 같은 4차화 또는 비-4차화 비닐피롤리돈/디알킬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BASF사의 "Luviquat FC 905", "Luviquat FC 550" 및 "Luviquat FC 370"과 같은 4차 비닐피롤리돈 및 비닐이미다졸 폴리머가 잔류형(leave-in) 제품에서 선호되는 양이온 폴리머이다.
본 발명에서 라텍스 또는 불용성 폴리머 입자 분산물 형태의 양이온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양이온 폴리머는 조성물 총량의 0.01 내지 20%, 특히 0.1 내지 8중량%의 비율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미용에 적합한 수성매체를 포함하며 3.5 내지 11, 특히 5.5 내지 11, 더더욱 5.5 내지 8.5의 pH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미용에 적합한 매체는 물과 미용에 적합한 용매로 구성된다.
유기 용매는 조성물 총량의 0.5 내지 9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유기 용매는 친수성 유기용매, 친유성 유기용매, 양쪽성 용매 또는 그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친수성 유기용매 중에는 1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선형 또는 측쇄형 저급 모노알콜, 6 내지 80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올이 있다.
양쪽성 유기 용매로서 프로필렌 글리콜 및 지방산의 에스테르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 유도체, PPG-23 올레일 에테르 및 PPG-36 올레이트와 같은 지방알콜과 PPG의 유도체가 있다.
친유성 유기 용매로서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알킬 벤조에이트 및 디옥틸 말레이트와 같은 지방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더 유쾌하게 사용되도록 (적용시 부드럽고 자양분이 많도록) 조성물의 매체에 지방상을 첨가할 수 있다.
지방상은 조성물 총중량의 최대 50%이다.
이러한 지방상은 오일, 왁스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지방산, 지방알콜 및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오일은 동물, 식물, 광물 또는 합성 오일에서 선택되며 특히 액체 석유 젤리, 액체 파라핀, 이소파라핀, 폴리-α-올레핀, 불소 오일 및 과불소 오일에서 선택된다. 유사하게 왁스도 동물, 화석, 식물, 광물 또는 합성 왁스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표준 겔화제 또는 농조화제; 음이온 폴리머; 계면활성제; 가습제; 완화제; 세라미드와 같은 친수성 및 친유성 활성제; 자유라디칼 제거제; 격리제; 항산화제; 방부제; 산성 또는 염기성 작용제; 향료; 충진제; 염료; 변성 또는 비변성,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실리콘; 환원제와 같은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로션, 소포 분산물, 크림 또는 밀크와 같은 에멀젼(O/W, W/O, O/W/O, W/O/W), 수성 또는 수성-알콜 겔 또는 크림-겔 형태나 분말, 페이스트 형태로 존재하며 에어로졸로 포장되거나 무스 또는 스프레이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조성물은 크림-겔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헤어스타일을 유지, 펴기, 콘디셔닝 돌보기, 염색하기, 세척하거나 모발을 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재형성하기 위해서 헹굼 또는 잔류형 모발 제품으로서 사용된다.
본 조성물은 헤어세팅 로션, 블로우-드라잉 로션, 코팅 조성물 및 스타일링 조성물과 같은 스타일링 제품일 수 있다. 로션은 증발기, 펌프형 분배기병 또는 증발형이나 무스형태로 조성물을 적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용기에 포장될 수 있다. 모발 고정 또는 트리트먼트용 스프레이 또는 무스를 수득하는 것이 필요할 때 포장형태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샴푸질, 염색, 표백, 영구 파마 또는 스트레이트 파마 전후에 적용되는 샴푸, 헹굼 조성물 또는 잔류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얼굴, 손 또는 신체용 보호, 트리트먼트 또는 뷰티크림과 같은 건강 또는 케어제품, 보호 또는 케어 바디 밀크, 스킨케어 또는 스킨 클린징 로션, 겔 또는 무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클린징 비누를 구성하는 고체 제조물일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치약 및 구강세제와 같은 구강 케어제품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조성물은 얼굴 크림, 파운데이션,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립스틱 또는 네일 니스와 같은 화장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대상은 피부, 머리가죽, 모발, 속눈썹, 눈썹, 손톱 또는 점막의 비-치료적 처리 방법으로서 위에서 정의된 조성물이 크림, 겔, 유액, 로션 또는 밀크를 피부, 머리가죽 또는 점막에 적용하는 기술에 따라 케라틴 물질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 잔류형 헤어케어 겔
- 25% 수성분산물로서 에톡실화(40 EO)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레이트/비헤닐 디메틸메타이소프로펜일-
벤질이소시아네이트 삼원중합체 0.5g
- 40% 수용액으로서 비닐피롤리돈/
메틸비닐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공중합체(70/30)
(BASF사 "Luviquat FC 370") 0.5g
- pH 7.5로 조절된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AMP) qs
- 향료, 방부제, 염료 qs
- 탈이온수 100g
모발에 잘 확산되는 유체, 비-페이스트성, 비-그리이스성 겔이 수득된다. 이러한 겔 사용으로 모발의 감촉은 부드러워지고 풀림성이 용이하고 양호한 고정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삼원 중합체가 Rohm & Haas 사 "Acrysol 44" 폴리우레탄으로 대체되면 흐린 액체 제품이 수득된다.
상기 삼원중합체가 Goodrich 사에 의해 판매되는 가교결합형 아크릴산/C10-C30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Pemulen TR1"으로 대체되면 고정력이 나쁘고 부드러움 및 감촉이 열등한 페이스트형 겔이 수득된다.
실시예 2: 샴푸
- 2.2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한 나트륨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 15g
- 코코일베타인 2.5g
- 25% 수성 분산물로서 에톡실화(40 EO)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레이트/비헤닐 디메틸메타이소프로펜일-
벤질이소시아네이트 삼원중합체 1g
- 히드록시프로필구아르 트리에틸 염화암모늄
(Meyhall사 "Jaguar C13S") 0.1g
- 방부제, 향료 qs
- pH 6.5로 조절된 (NaOH) 물 100g
이 샴푸는 농화액이다. 이것은 포밍특성이 양호하며 샴푸후 모발이 매끈하고 풀림성이 좋다.
비교 실시예: 샴푸
- 2.2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한 나트륨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 15g
- 코코일베타인 2.5g
- 프로필렌글리콜/물 혼합물(60/40)에서 35% 용액으로서
알킬말단을 갖는 폴리에톡실화 폴리우레탄
(Rohm & Haas 사, "Acrysol 44") 1g
- 히드록시프로필구아르 트리에틸 염화암모늄
(Meyhall사 "Jaguar C13S") 0.1g
- 방부제, 향료 qs
- pH 6.5로 조절된 (NaOH) 물 100g
이 샴푸는 흐리고 유동성인 제품으로서 본 발명의 샴푸에 비해 열등한 성질을 가지며 건조된 모발이 매끄럽지 않고 풀림성이 좋지 않다.
실시예 4: 잔류형 스타일링겔
- 에탄올에 50% 농도로 디에틸 술페이트로 4차화된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ISP사, "Guafquat 734") 1g
- 25% 수성분산물로서 에톡실화(40 EO)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레이트/비헤닐 디메틸메타이소프로펜일-
벤질이소시아네이트 삼원중합체 1g
- 무수 에탄올 8.7g
- 향료, 방부제, 염료 qs
-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AMP) qs
- pH 7.5로 조절된 탈이온수 100g
모발에 잘 확산되는 비-페이스트형, 비-그리이스형 유체겔이 수득된다. 이 겔은 모발의 감촉을 부드럽게 하고 풀림을 용이하게 하고 고정력이 양호하다.

Claims (6)

  1. a) α,β-모노에틸렌형 불포화기를 함유한 20 내지 70중량%, 특히 25 내지 55중량%의 카르복실산;
    b) a)와는 상이한 모노에틸렌형 불포화기를 함유한 20 내지 80중량%, 특히 30 내지 65중량%의 비-계면활성제 모노머;
    c) 모노히드릭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모노에틸렌형 불포화기 함유 모노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인 0.5 내지 60중량%, 특히 10 내지 50중량%의 비이온성 우레탄 모노머를 포함한 아크릴 삼원중합체와 양이온 폴리머를 수성 미용용매에 포함하는 케라틴 물질 처리용 화장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 삼원중합체가 성분 a)로서 메타크릴산, 성분 b)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성분 c)로서 다음 구조식의 비이온성 우레탄 마크로 모노머로 부터 수성 분산물로서 수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여기서 p는 6 내지 150이고 R'은 도코실기와 같은 식물성 선형 C18-C26, 특히 C20-C24알킬기이다.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아크릴 삼원중합체가 조성물 총량의 0.01 내지 10%, 특히 0.1 내지 5중량%의 농도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3 항중 한 항에 있어서, 양이온 폴리머가 4차화된 단백질 또는 단백질 히드로실세이트, 실리콘 기초 양이온 폴리머, 4차화 또는 비-4차화 비닐피롤리돈/디알킬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차 암모늄기 함유 셀룰로오스 에테르 유도체, 양이온 셀룰로오스 유도체, 양이온 다당류, 피페라진일 단위와 2가 알킬렌 또는 히드록시알킬렌 라디칼로 구성된 폴리머, 산성화합물과 폴리아민의 중축합반응으로 제조된 수용성 폴리아미노아미드, 폴리알킬렌폴리아민과 폴리카르복실산의 축합과 2작용성 작용기를 사용한 알킬화 반응으로 수득되는 폴리아미노아미드 유도체, 2개의 일차아민 및 하나 이상의 2차 아민기를 포함한 폴리알킬렌폴리아민을 디카르복실산과 반응시켜 수득되는 폴리머, 메틸디알릴아민 또는 디메틸디알릴 암모늄 고리형 폴리머, 4차 디암모늄 폴리머, 폴리 4차 암모늄 폴리머, 아민 또는 4차 암모늄기를 함유한 기로 치환된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를 포함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 부터 유도된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4차 비닐피롤리돈 및 비닐이미다졸 폴리머, 폴리아민,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 염화암모늄 가교결합 폴리머 또는 그 혼합물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4차형 또는 비-4차형 비닐피롤리돈/디알킬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차 비닐피롤리돈 및 비닐이미다졸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양이온 폴리머를 포함하며 잔류형인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5 항중 한항에 있어서, 양이온 폴리머가 조성물 총량의 0.01 내지 20, 특히 0.1 내지 8중량%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990021479A 1998-06-15 1999-06-10 양이온 폴리머와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포함한 화장품 조성물과상기 조성물의 케라틴 물질 처리용으로서의 용도 Expired - Fee Related KR100335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7513 1998-06-15
FR9807513A FR2779640B1 (fr) 1998-06-15 1998-06-15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 polymere cationique et un terpolymere acrylique et utilisation de cette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057A true KR20000006057A (ko) 2000-01-25
KR100335256B1 KR100335256B1 (ko) 2002-05-03

Family

ID=952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479A Expired - Fee Related KR100335256B1 (ko) 1998-06-15 1999-06-10 양이온 폴리머와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포함한 화장품 조성물과상기 조성물의 케라틴 물질 처리용으로서의 용도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214326B1 (ko)
EP (1) EP0966947B1 (ko)
JP (1) JP3238910B2 (ko)
KR (1) KR100335256B1 (ko)
CN (1) CN1195477C (ko)
AR (1) AR019316A1 (ko)
AT (1) ATE208602T1 (ko)
BR (1) BR9902764B1 (ko)
CA (1) CA2274752C (ko)
CZ (1) CZ294076B6 (ko)
DE (1) DE69900453T2 (ko)
DK (1) DK0966947T3 (ko)
ES (1) ES2165225T3 (ko)
FR (1) FR2779640B1 (ko)
HU (1) HUP9901955A3 (ko)
PL (1) PL198410B1 (ko)
PT (1) PT966947E (ko)
RU (1) RU2179434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5363A (ko) * 2003-01-14 2004-07-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9647B1 (fr) * 1998-06-15 2000-08-0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 polymere anionique et un terpolymere acrylique et utilisation de cette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FR2790952B1 (fr) * 1999-03-17 2003-05-02 Oreal Composition sous forme d'emulsion huile-dans-eau contenant un terpolymere acrylique et ses utilisations notamment cosmetiques
FR2790951B1 (fr) * 1999-03-17 2003-08-08 Oreal Composition fluide sous forme d'emulsion huile-dans-eau contenant un terpolymere acrylique et ses utilisations notamment cosmetiques
FR2796271B1 (fr) 1999-07-15 2002-01-11 Oreal Composition sans cire structuree sous forme rigide par un polymere
DE19937386A1 (de) 1999-08-07 2001-02-15 Wella Ag Volumengebendes Haarbehandlungsmittel
FR2798849B1 (fr) * 1999-09-29 2001-11-23 Oreal Composition de lavage des matieres keratiniques, a base d'un agent tensio actif detergent, d'un homopolymere de dialkyl diallyl ammonium et d'un terpolymere acrylique
FR2798848B1 (fr) * 1999-09-29 2001-12-28 Oreal Composition de traitement antipelliculaire des cheveux et du cuir chevelu, a base d'un sel de pyridinethione, d'un agent de conditionnement insoluble et d'un terpolymere acrylique
ES2243219T3 (es) * 1999-12-28 2005-12-01 L'oreal Composicion de largo mantenimiento estructurada por un polimero y un cuerpo graso pastoso.
FR2803197B1 (fr) * 1999-12-30 2002-03-15 Oreal Composition pour la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polymere epaississant comportant au moins une chaine grasse et un alcool gras ayant plus de vingt atomes de carbone
FR2803195B1 (fr) * 1999-12-30 2002-03-15 Oreal Composition pour la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polymere epaississant comportant au moins une chaine grasse et un alcool gras mono-ou poly-glycerole
FR2804018B1 (fr) * 2000-01-24 2008-07-11 Oreal Composition sans transfert structuree sous forme rigide par un polymere
FR2810562B1 (fr) * 2000-06-23 2003-04-18 Oreal Emulsion solide a phase grasse liquide structuree par un polymere
US20020107314A1 (en) * 2000-12-12 2002-08-08 Carlos Pinzon Compositions containing heteropolymers and oil-soluble ester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7276547B2 (en) * 2000-12-12 2007-10-02 L'oreal S.A. Compositions comprising heteropolymers and at least one oil-soluble polymers chosen from alkyl celluloses and alkylated guar gums
FR2817740B1 (fr) * 2000-12-12 2006-08-04 Oreal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omposition cosmetique coloree de maquillage a transmittance controlee
US8080257B2 (en) * 2000-12-12 2011-12-20 L'oreal S.A.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 polymer and at least one film-forming silicone resin and methods of using
FR2817739B1 (fr) * 2000-12-12 2005-01-0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loree transparente ou translucide
US6881400B2 (en) * 2000-12-12 2005-04-19 L'oreal S.A. Use of at least one polyamide polymer in a mascara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adhesion of and/or expressly loading make-up deposited on eyelashes
US20020168335A1 (en) * 2000-12-12 2002-11-14 Nathalie Colli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wax and a polymer
US20030082126A9 (en) * 2000-12-12 2003-05-01 Pinzon Carlos O.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heteropolymers and oil-soluble cationic surfactant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6835399B2 (en) * 2000-12-12 2004-12-28 L'ORéAL S.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 blend
ATE385765T1 (de) * 2000-12-12 2008-03-15 Oreal Kosmetische zusammensetzung mit einem polymergemisch
US20020111330A1 (en) * 2000-12-12 2002-08-15 Carlos Pinzon Compositions containing heteropolymers and methods of using same
AU2002256544A1 (en) * 2000-12-12 2002-06-24 L'oreal Sa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polymer and at least one gelling agen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U2001225389A1 (en) * 2000-12-12 2002-06-24 L'oreal S.A.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heteropolymer and at least one inert filler and methods for use
WO2002047626A1 (en) * 2000-12-12 2002-06-20 L'oreal S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eteropolymers and a solid subst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AU2001225392A1 (en) * 2000-12-13 2002-06-24 L Oreal Composition structured with a polymer containing a heteroatom and an organogelator
FR2819400B1 (fr) * 2001-01-15 2004-12-0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 maquillage ou de soin des matie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melange de polymeres
FR2819399B1 (fr) * 2001-01-17 2003-02-2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 polymere et une huile fluoree
US7025953B2 (en) * 2001-01-17 2006-04-11 L'oreal S.A. Nail polish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
JP2002308738A (ja) * 2001-04-05 2002-10-23 Kao Corp 毛髪化粧料
US6716420B2 (en) * 2001-10-05 2004-04-06 L′Oreal Methods of use and of making a mascara comprising at least one coloring agent and at least one heteropolymer
FR2831809B1 (fr) * 2001-11-08 2004-07-23 Oreal Composition oxydante pour le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e silicone aminee particuliere
FR2831813B1 (fr) * 2001-11-08 2004-10-01 Oreal Utilisation de silicones aminees particulieres en pre-traitement de colorations directes ou d'oxydation de fibres keratiniques
AU2002301803B2 (en) * 2001-11-08 2004-09-09 L'oreal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n aminosilicone and a conditioner, and uses thereof
FR2831817B1 (fr) * 2001-11-08 2003-12-19 Oreal Composition reductrice pour le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e silicone aminee particuliere
FR2831805B1 (fr) * 2001-11-08 2004-08-06 Oreal Procede de deformation permanente des cheveux mettant en oeuvres des silicones aminees particulieres
FR2831802B1 (fr) * 2001-11-08 2004-10-15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e silicone aminee et un agent epaississant et leurs utilisations
AU2002301801B2 (en) * 2001-11-08 2004-09-30 L'oreal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n aminosilicone and a conditioner, and uses thereof
FR2831814B1 (fr) * 2001-11-08 2004-09-10 Oreal Utilisations de silicones aminees particulieres en pre- ou post-traitement de decolorations de fibres keratiniques
FR2831804B1 (fr) * 2001-11-08 2004-07-30 Oreal Procede de deformation permanente des cheveux mettant en oeuvre des silicones aminees particulieres
FR2831803B1 (fr) * 2001-11-08 2004-07-30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e silicone aminee et un agent epaississant et leurs utilisations
FR2831815B1 (fr) * 2001-11-08 2004-08-06 Oreal Composition reductrice pour le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e silicone aminee particuliere
FR2831818B1 (fr) * 2001-11-08 2004-07-16 Oreal Composition oxydante pour le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e silicone aminee particuliere
FR2832060B1 (fr) * 2001-11-09 2004-07-09 Oreal Composition contenant un ester n-acyle d'acide amine et un filtre uv structuree par un polyamide
US20080057011A1 (en) * 2001-12-12 2008-03-06 L'oreal S.A., Composition structured with a polymer containing a heteroatom and an Organogelator
DE10224024A1 (de) * 2002-05-31 2003-12-11 Beiersdorf Ag Getrübtes Pflegeshampoo
DE10224022A1 (de) * 2002-05-31 2003-12-11 Beiersdorf Ag Mildes Pflegeshampoo
US20040247549A1 (en) * 2002-06-12 2004-12-09 L'oreal S.A. Cosmetic emulsion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 polymer and at least one sunscree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50008598A1 (en) * 2003-07-11 2005-01-13 Shaoxiang Lu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 structuring agent, silicone powder and swelling agent
US20040042980A1 (en) * 2002-06-12 2004-03-04 L'oreal Cosmetic emulsion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 polymer and at least one sunscreen, and methods of using same
US7740873B2 (en) * 2002-06-28 2010-06-22 L'oreal Composition comprising a quaternary silicone and a liquid fatty alcohol and method of treatment
US20040120914A1 (en) * 2002-06-28 2004-06-24 L'oreal Composition containing a quaternary silicone, a cation and two cationic polymers and method of use
US7008629B2 (en) * 2002-07-22 2006-03-07 L'ORéAL S.A. Composi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heteropolymer and fib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40166133A1 (en) * 2003-01-21 2004-08-26 L'oreal Method of making a mascara composition comprising polyamide polymer and at least one solid substance having a melting point of 45oC or greater
WO2005003192A1 (en) * 2003-06-26 2005-01-13 Symyx Technologies, Inc. Synthesis of photoresist polymers
US20050152855A1 (en) * 2003-09-19 2005-07-14 Damian Hajduk Materials for enhanced delivery of hydrophilic active agents in personal care formulations
JP4892951B2 (ja) * 2004-12-24 2012-03-07 ライオン株式会社 練歯磨組成物
JP5416994B2 (ja) * 2009-03-06 2014-02-12 住友精化株式会社 化粧料
CN104721069B (zh) * 2015-04-09 2018-08-21 宋子奎 一种增深染发组合物
US11033478B2 (en) * 2017-11-29 2021-06-15 L'oreal Mascara compositions comprising a polymer having cyclic amide, cyclic amine and acrylamide functionality
US11452684B2 (en) 2019-03-29 2022-09-27 L'oreal Mascara compositions and methods
CN114805683B (zh) * 2022-04-25 2023-04-21 常熟理工学院 一种基于聚离子液体组合物及其在石墨烯色浆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76955A1 (ko) * 1977-03-15 1978-10-18
EP0062002B1 (de) * 1981-03-25 1986-06-04 Ciba-Geigy Ag Haarfixierungszubereitung,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in Aerosolsprays
LU84638A1 (fr) * 1983-02-10 1984-11-08 Oreal Composition capillaire contenant au moins un polymere cationique,un polymere anionique,un sucre et un sel
GB8320603D0 (en) * 1983-07-30 1983-09-01 Dow Corning Ltd Compositions for treating hair
US4514552A (en) 1984-08-23 1985-04-30 Desoto, Inc. Alkali soluble latex thickeners
US4744978A (en) * 1985-10-24 1988-05-17 Dow Corning Corporation Hair treating composition containing cationic organic polymer and carboxyfunctional silicone
GB8618634D0 (en) * 1986-07-30 1986-09-10 Unilever Plc Treatment of keratinous fibres
DE3627970A1 (de) * 1986-08-18 1988-02-25 Basf Ag Terpolymerisate, ihre verwendung in haarbehandlungsmitteln und diese enthaltende haarbehandlungsmittel
JPS63104909A (ja) * 1986-10-23 1988-05-10 Shionogi & Co Ltd 皮膚保護剤
FR2633930B1 (fr) 1988-07-07 1991-04-19 Coatex Sa Agent epaississant modificateur des caracteristiques rheologiques de compositions aqueuses chargees et/ou pigmentees, blanches ou colorees
EP0576598A1 (en) * 1991-03-19 1994-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are compositions having styling/conditioning agent and plasticizer
US5292843A (en) * 1992-05-29 1994-03-08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olymers containing macromonomers
CA2136976A1 (en) 1992-05-29 1993-12-09 Richard Duane Jenkins Complex hydrophobe compounds, macromonomers and macromonomer-containing polymers
FR2693203B1 (fr) 1992-07-01 1994-08-26 Coatex Sas Copolymère acrylique partiellement ou totalement hydrosoluble, réticulé ou non et son utilisation.
FR2699403B1 (fr) * 1992-12-18 1995-02-24 Oreal Compositions de conditionnement des matières kératiniques à base d'alkylpolyglycosides et leur utilisation pour le lavage et le conditionnement des cheveux.
FR2704771B1 (fr) * 1993-05-07 1995-07-13 Oreal Utilisation d'un terpolymère dérivé de vinyl lactame comme agent de moussage dans des compositions formant une mousse aérosol et composition de mise en Óoeuvre.
US5399618A (en) * 1993-06-28 1995-03-21 Union Carbide Chemical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rocesses for preparing aqueous polymer emulsions
RU2076694C1 (ru) * 1994-05-31 1997-04-1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ткрытого типа - Щелковское предприятие "Агрохим" Средство для мытья волос
US5656257A (en) * 1995-04-28 1997-08-12 Electronics Hair Styling, Inc. Shampoo and conditioning composition
US5674478A (en) * 1996-01-12 1997-10-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s
JPH09194337A (ja) * 1996-01-19 1997-07-29 Kao Corp 毛髪化粧料
SG67989A1 (en) * 1996-08-16 1999-10-19 Nat Starch Chem Invest Thickened personal care composition
US5977036A (en) * 1998-02-03 1999-1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yling shampoo composi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5363A (ko) * 2003-01-14 2004-07-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헤어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66947A1 (fr) 1999-12-29
DK0966947T3 (da) 2002-02-25
BR9902764B1 (pt) 2010-09-21
DE69900453D1 (de) 2001-12-20
PT966947E (pt) 2002-05-31
US6214326B1 (en) 2001-04-10
CN1195477C (zh) 2005-04-06
HUP9901955A2 (hu) 2000-08-28
CZ294076B6 (cs) 2004-09-15
BR9902764A (pt) 2000-05-09
PL333732A1 (en) 1999-12-20
AU712047B1 (en) 1999-10-28
CA2274752C (fr) 2006-12-19
HU9901955D0 (en) 1999-08-30
EP0966947B1 (fr) 2001-11-14
ES2165225T3 (es) 2002-03-01
AR019316A1 (es) 2002-02-13
CZ210199A3 (cs) 2000-01-12
KR100335256B1 (ko) 2002-05-03
FR2779640A1 (fr) 1999-12-17
HUP9901955A3 (en) 2000-11-28
JP2000007535A (ja) 2000-01-11
ATE208602T1 (de) 2001-11-15
JP3238910B2 (ja) 2001-12-17
CN1247736A (zh) 2000-03-22
PL198410B1 (pl) 2008-06-30
RU2179434C2 (ru) 2002-02-20
FR2779640B1 (fr) 2000-08-04
DE69900453T2 (de) 2002-06-06
CA2274752A1 (fr)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5256B1 (ko) 양이온 폴리머와 아크릴 삼원중합체를 포함한 화장품 조성물과상기 조성물의 케라틴 물질 처리용으로서의 용도
EP3463274B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anionic surfactant, an organosilane and polyoxyalkylenated or quaternised amino silicone, and cosmetic treatment process
KR100238340B1 (ko) 모발 보호용 세제 화장 조성물 및 용도
US6312677B1 (en) Cosmetic composition based on nonionic surfactants and cationic or amphoteric substantive polymers and its use as a dyeing or bleaching vehicle
KR100554552B1 (ko)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 및그의 용도
EP0853470B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au moins un polymere silicone greffe et au moins une association d'un polymere anionique et d'un polymere cationique
KR100296171B1 (ko) 모발보호용세제화장조성물및이의용도
US6153570A (en) Detergent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
JPH0859443A (ja) セラミド及びカチオン性基を含有する高分子を使用した頭髪及び皮膚の洗浄及び処理組成物
JP2004520340A (ja) 両性多糖類と不溶性コンディショニング剤を含む洗浄用化粧品組成物及びその用途
US6596675B2 (en) Washing composition containing alkylamido ether sulphates, anionic surfactants and cationic polymers
JP2003104829A (ja) メタクリル酸コポリマー、ジメチコーン、真珠光沢剤及びカチオン性ポリマーを含有する化粧品用組成物及びその用途
US20040037794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tarch betainate and a detergent surfactant
ES2307879T3 (es) Composicion cosmetica que contiene al menos un agente tensioactivo anionica, al menos un polimero cationico y al menos un copolimero acrilico de bloque, ramificado y anfifilo y procedimiento de tratamiento capilar que utiliza dicha composicion.
US7498022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anionic surfactant, at least one cationic polymer and at least one amphiphilic, branched block acrylic copolymer and method for treating hair using such a composition
MXPA99005506A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cationic polymer and an acrylic terpolime and use of this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queratini mat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