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64634A - 네비게이션 서버, 네비게이션의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서버, 네비게이션의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4634A
KR20040064634A KR1020040001394A KR20040001394A KR20040064634A KR 20040064634 A KR20040064634 A KR 20040064634A KR 1020040001394 A KR1020040001394 A KR 1020040001394A KR 20040001394 A KR20040001394 A KR 20040001394A KR 20040064634 A KR20040064634 A KR 20040064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gestion
data
navigation
traff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네겐이치로
후지와라준스케
엔도요시노리
마치이기미요시
마츠오시게루
히로시게히데오
후시키다쿠미
요코타다카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가부시키가이샤 자나비 인포메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가부시키가이샤 자나비 인포메틱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40064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63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01C21/3694Output thereof on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네비게이션시스템에 있어서, 정체 다발지점 등의 정체통계정보나 정체의 신장·축소경향을 제공하는 것이다.
네비게이션 서버는, 교통정보제공센터로부터 배신되는 정체정보나 프로브카에 의한 정체정보 등을 축적하고, 계절이나 요일, 시간대별로 각 도로구간의 평균 정체시간이나 평균 정체도 등의 통계화 정보, 또는 그 통계화 정보에 관한 신뢰도 등의 정보를 구하여, 정체통계정보를 작성한다. 네비게이션장치는, 통신 등으로 정체통계정보를 교통정보센터로부터 취득하여, 지도상에 겹쳐서 표시한다.

Description

네비게이션 서버, 네비게이션의 표시방법{DISPLAY METHOD OF NAVI­SERVER AND NAVIGATION}
본 발명은 서버와 차량 탑재 단말로 이루어지는 네비게이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통정보를 관리하는 네비게이션 서버와, 및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와 데이터 통신함으로써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네비게이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FM 다중 방송이나 전파/광 비콘, 전화망 등을 거쳐 교통정보센터로부터 제공되는 정체나 교통규제 등의 정보를 문자나 간이도형으로 표시하거나, 지도상에 겹쳐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통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교통정보는, 도로의 옆에 정체되고 있는 도로와 평행한 선을 묘획(描畵)하여, 그 선의 색으로 정체도를, 선의 길이로 정체길이를 표현하고 있다. 또 상기 교통정보를 가미한 동적인 경로탐색을 행하여, 사용자에게 최단시간의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는 자기차량 위치 중심의 교통정보를 알 수 있어, 원활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교통정보는 가까운 과거의 소정 시각에 있어서의 교통정보로서, 정체 등이 이후 해소될지, 아니면 점점 정체가 악화될지 운전자는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일본국 특개2001-124577호 공보에서는, 이후 정체가 개선될 방향인지, 또는 악화될 방향인지를 애니매이션 표시하는 방법이나, 정체의 증가경향 및 감소경향을 나타내는 도형을 지도상에 표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정체의 신장경향은 화살표의 후단을 굵게 함으로써 나타내고, 축소경향은 화살표의 후단을 가늘게 함으로써 나타내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1-124577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제공된 정체정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정체인지, 아니면 사고나 공사 등에 의한 돌발적인 정체인지를 판단할 수 없다. 또 빈번하게 발생하는 정체이면, 통상 어느 정도의 시간으로 해소되는 정체인지 판단하는 것이 어렵다.
그런데 차량 탑재 단말에 사용되는 작은 디스플레이상에서, 사용자가 도형형상의 미묘한 차에 의하여 정체경향을 인식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리고 애니메이션 표시와 같은 것에서는, 운전자의 주의를 끌기 때문에 아이즈 프리(eyes free)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정체의 신장·축소경향을 화살표 등의 도형을 변형하여 표시하면, 텍스쳐 맵핑 등의 그래픽스 처리를 행하는 전용 그래픽 LSI 등이 필요하게 되어 단말의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정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점, 내지 도로구간, 또한 정체발생시간대 등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수단을 가지는 네비게이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제 2 목적은, 간이한 표시방법으로 알기 쉽게 정체지점 등을 표시하는 네비게이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통신형 네비게이션의 전체 시스템도,
도 2는 네비게이션 정보제공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네비게이션 단말 구성도,
도 4는 네비게이션 단말의 하드 구성도,
도 5는 네비게이션 단말의 교통정보 다운로드 설정화면예,
도 6은 네비게이션 단말의 교통정보 다운로드의 화면 천이예,
도 7은 네비게이션 단말의 교통정보 다운로드 처리 플로우,
도 8은 네비게이션 서버의 교통정보 다운로드 처리 플로우,
도 9는 배신 교통정보의 데이터 구성예,
도 10은 정체통계정보의 표시화면예,
도 11은 정체통계정보의 표시화면예,
도 12는 정체예측정보의 표시화면예,
도 13은 정체예측정보의 표시화면예,
도 14는 네비게이션 서버의 정체통계정보작성 처리 플로우,
도 15는 네비게이션 교통정보제공시스템의 구성도,
도 16은 지점 DB의 데이터 구성예,
도 17은 지점과 링크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체예,
도 18은 정체통계정보의 표시화면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교통정보제공센터 101 : 위성
102 : 사용자 차량 103 : 이동체 전화망
104 : 프로바이더 105 : 방송사업자
106 : IP 망 107 : 네비게이션 서버
108 : 고정전화망 109 : 사용자의 자택
110 : 퍼스널 컴퓨터 111 : 사용자 관리유닛
112 : 교통정보 관리유닛 113 :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
114 : 지도편집 유닛 115 : CGI
116 : 경로탐색 유닛 117 : 사용자 정보 등록·편집부
118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19 : 요금계산 유닛
120 : 정체예측부 121 : 정체통계처리부
122 : 사용자 단말 124 : 지도 컷 아웃부
125 : 지도 데이터베이스 126 : 옵션정보 데이터베이스
127 : 경로탐색 엔진 128 : 옵션정보설정·변경부
129 : 유도점 작성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시스템을 구성하는 네비게이션서버는, 축적된 과거의 교통정보를 기초로, 교차점 등의 소정 지점 또는 교차점 사이의 도로구간에 있어서의 정체의 발생빈도나 평균 정체도 등의 정체정보, 및 상기 정체정보의 신뢰도로 구성되는 정체통계정보를 작성하는 정체통계정보 작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사용한 네비게이션시스템의 상세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네비게이션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스템은 위성(101), 사용자 차량(1O2), 사용자 단말(122), 이동체 전화망(103), 인터넷과의 접속을 행하는 프로바이더(104),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데이터를 IP 망(106) 경유로 사용자에게 배신하는 방송사업자(105),방송사업자(105)와 프로바이더(104)와의 사이에서 배신된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IP 망(106)에 접속된 네비게이션 서버(107), 프로바이더(104)에 접속되어 IP 망(106), 또는 이동체 전화망(103)을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고정전화망(108), 각 사용자의 자택(109)에 있는 퍼스널 컴퓨터(110), VICS 센터, 일본 도로교통정보센터(JARTIC), 또는 ATIS 등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정보제공센터 (100)로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 차량(102)은 반드시 차량일 필요는 없고, 사용자 단말(122)이 휴대전화, PHS,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LAN, 또는 ETC 단말 등의 무선통신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인 경우에는 사람(보행자)이어도 된다.
다음에 도 2에 있어서, 상기한 네비게이션 서버(107)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네비게이션 서버(107)는, 사용자 차량(102)에 탑재된 사용자 단말(122)로부터 IP 망(106)을 통하여 보내져 온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도·경도, 사용자 단말의이동속도, 이동방향, 사용자 ID 번호, 인증 패스워드, 엔진의 회전수나 그 외 차량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와, 사용자가 원하는 요구서비스 ID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 후, CGI(Common Gate Interface)(115)에서 사용자 인증을 행한 후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관리 유닛(111), 지도편집 유닛(114), 경로탐색 유닛(116), 교통정보관리 유닛(112)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유닛에 대하여 상기의 보내져 온 데이터를 송신한다.
각각의 기능 유닛으로 수취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CGI(115), IP 망(106), 프로바이더(104), 이동체 전화망(103)을 통하여 (이 경로를 이하 「통신망」이라고 함) 사용자 차량(102)의 사용자 단말(122)에 보내진다. 또는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송신에 있어서, 방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CGI(115), IP 망(106), 방송사업자(105), 위성(101)의 경로를 통하여(이 경로를 이하 「방송망」이라고 함) 사용자 단말(122)에 송신한다. 또는 각 사용자의 자택(109)에 있는 퍼스널 컴퓨터(110)에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고정 전화망을 사용하게 되고, CGI(115), IP 망(106), 프로바이더(104), 고정전화망(108)을 통하여 각 사용자의 자택(109)에 있는 퍼스널 컴퓨터(110)에 보내진다.
다음에 상기한 각 기능 유닛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관리 유닛(111)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8), 사용자 정보 등록·편집부(117)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로부터 보내져 온 데이터 중에, 사용자 정보 등록·편집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사용자의 ID를 기초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8)와 대조하여, 해당하는 항목의 등록·편집을 행한다.
지도편집 유닛(114)은 지도 데이터베이스(125)와 지도 컷 아웃부(124)로 구성된다. 이는 사용자로부터 현재지 등 지정지 부근의 지도 데이터의 다운로드 요구가 보내져 온 경우에, 상기 지정지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범위의 지도 데이터를 지도 컷 아웃부(124)에서 지도 데이터베이스(125)로부터 판독하여, 사용자에게 송신한다. 또 뒤에서 설명하는 경로탐색 유닛(116)이 호출되었을 때에, 탐색경로상의 지도 데이터가 단말측에 다운로드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자동적으로 지도편집 유닛(114)이 호출되고, 해당하는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컷 아웃하여 사용자측에 다운로드한다.
경로탐색 유닛(116)은 옵션정보 데이터베이스(120), 경로탐색엔진(127), 옵션정보설정·변경부(128), 유도점 작성부(129)로 이루어진다. 경로탐색 유닛(116)에서는, CGI(115)에서의 사용자 인증 후, 사용자로부터 보내져 온 출발지(현재지)및 목적지, 또는 경유지의 정보에 의거하여, 또한 옵션정보(예를 들면, 일반도로/고속도로를 우선하여 이용하거나, 최단시간으로 도착할 수 있는 등)가 있으면 해당 정보를 기초로, 옵션정보설정·변경부(128)가 상기 옵션정보를 설정·변경하고, 그 후 경로탐색엔진(127)이 다이크스트라(Dijkstra)법 등의 경로탐색방법을 사용하여 자기차량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연산한다. 유도점 작성부(129)에서는, 경로탐색 엔진(127)에서 구한 경로상에서, 좌우회전하는 교차점이나 차선변경을 지시하는 지점을 추출하고, 추출한 각 지점에 있어서의 교차점 확대도나 차선 등의 간이도형, 유도를 위한 음성 데이터 등을 옵션 정보 데이터베이스(126)로부터 판독하여, 유도점 정보를 작성한다.
교통정보관리유닛(112)은, 교통정보 DB(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113), 정체예측부(120) 및 정체통계 처리부(121)로 이루어진다. 교통정보제공센터(100)로부터 정기적으로 보내져 오는 교통량, 정체, 여행시간, 사고·규제정보 등의 교통정보를 교통정보 DB(113)에 축적한다. 또 프로브카에 의한 수집정보(프로브정보)로부터 얻어지는 정체정보 등도 교통정보 DB(113)에 축적하여도 좋다. 축적한 교통정보를 사용하여, 정체통계 처리부(121)에서는, 교차점이나 도로구간별 정체의 발생빈도를 연산하여, 정체 다발지점 및 그 지점의 발생빈도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체통계 데이터를 작성한다. 정체 예측부(120)에서는, 축적된 정체정보와 실시간의 정체정보로부터 각 정체가 이후 신장경향에 있는지, 아니면 축소경향에 있는지, 또는 정체상황이 변화하지 않는지 등의 정체경향에 관한 예측 데이터(이하에서는 이것을 「정체 예측 데이터」라고 함)를 작성한다. 그리고 작성한 정체통계 데이터 및 정체 예측 데이터를 교통정보 DB(113)에 저장한다.
네비게이션 서버(107)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현재지 등 지정지 부근의 교통정보의 다운로드요구가 보내져 온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요구에 따라 교통정보제공센터(100)로부터 배신된 실시간의 교통정보나, 교통정보관리유닛(112)으로 가공·작성된 정체 예측 데이터, 정체 통계 데이터를 교통정보 DB(113)로부터 판독하여, 사용자에게 송신한다. 또 경로상의 교통정보가 요구된 경우에는, 사용자 관리 유닛(111)으로부터 경로 데이터를 취득하고, 경로상의 교통정보(지정지 부근과 동일한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송신한다.
요금계산 유닛(119)은, 차량 탑재 단말에 대한 서비스 요금의 과금처리를 행하는 부분이다. 지도 데이터나 경로 데이터, 교통정보 데이터 등의 컨텐츠에 대한 과금과, 통신 데이터의 패킷을 카운트하여 통신요금을 각각 차량 탑재 단말에 통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컨텐츠요금 및 통신요금 중 어느 하나가 월액 고정의 계약을 행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차량 탑재 단말에 통지할 필요는 없고, 차량 탑재기에의 해당 통지에 관한 통신량을 줄이기 위하여 달에 1회 정도로 억제하거나, 또는 전혀 통지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도 3에서, 사용자 차량(102)에 탑재된 사용자 단말(122)의 일례인 카 네비게이션(네비게이션) 단말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네비게이션 단말은, 본체(132)에 표시장치(130), GPS 수신기(131), 휴대전화(134), 마이크(137), 스피커(138)가 접속되고, 또 본체(132)에는 메모리 카드 슬롯(13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132)를 조작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135)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장치(130)는 액정화면 등의 그래픽스를 표시 가능한 디바이스이다. GPS 수신기(131)는 복수의 GPS 위성(136)으로부터의 위치측정신호를 수신하여, 단말의 위치를 정확하게 산출하는 장치이다. 본체(132)는 내부에 CPU, 메모리, 전원, 그래픽스 표시용 디바이스 등이 탑재된 장치이다. 이 상세에 대해서는, 뒤에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휴대전화(134)는 외부와의 통신, 즉 상기한 네비게이션 서버(107)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장치이다. 리모트 컨트롤러(135)는 사용자가 행하고 싶은 조작을 버튼으로 네비게이션 단말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또 마이크(137)를 사용하여 음성으로 코멘드를 보낼 수도 있다. 스피커(138)는 네비게이션 서버(137)로부터 수신한 정보, 네비게이션 조작시의 사용자 보조, 주의·경고시의 비프음 등의 음성출력을 행하는 디바이스이다.
메모리 카드 슬롯(133)은, 불휘발성 메모리나 소형의 하드 디스크 등을 사용한 메모리 카드로 대표되는 외부 기억매체를 접속하여, 네비게이션 서버(107)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를 축적하거나, 과거에 네비게이션 서버(107)로부터 다운로드한 정보를 네비게이션 단말에 로드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다. 메모리 카드 슬롯(133)은 단순한 기억장치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의 인증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네비게이션 단말을 탑재한 차량이, 렌터카 등의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차량(및 네비게이션 단말)인 경우는, 인증정보를 기록한 메모리 카드를 메모리 카드 슬롯(133)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타인의 네비게이션 단말을 사용하는 경우의 과금을, 단말 소유자가 아니라 단말 이용자에게 부과시킬 수 있게 되어, 편이성이 향상된다. 이 때, 네비게이션 단말에서 서비스를 받는 상한금액을 메모리 카드에 설정해 두면, 사용자의 예산에 맞춘 이용도 가능하게 된다. 또 메모리 카드 등에 미리 출발지점의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해 둠으로써, 사용자가 초기상태에서 지도 데이터를 네비게이션 서버(107)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시간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를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여, 일정 주기마다 네비게이션 서버(107)에 업 로드하고, 그것을 네비게이션 서버(107)측에서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빈도가 높은 정보의 배신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의 구성에서는, 통신기기로서 휴대전화(134)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다른통신기기로서,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LAN, 또는 ETC 등의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단말 등의 무선통신기능을 구비한 것, 또는 위성으로부터의 방송전파, 지상파 디지털을 사용한 방송전파, AM/FM 전파를 사용한 방송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 및 수신한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장치를 본체(132)에 부가하여도 좋다. 또 GPS 수신기(131) 대신에, PHS나 휴대전화를 사용한 위치동정 서비스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 도 3은 사용자 단말(122)의 일례로서 네비게이션 단말의 예를 나타낸 것이나, 그 중에 특히 네비게이션 본체(132)나 표시장치(130) 등은 PDA,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 등 어느 정도의 표시수단을 가지는 단말로 대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네비게이션 단말에 있어서의 본체(132)의 하드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CPU(141), 상기한 리모트 컨트롤러(135)로부터의 신호를 해석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드라이버(142), RS-232C 드라이버(143), 휴대전화 드라이버(144), 메모리 카드 슬롯(133)과의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45), 플래시 메모리(146), DRAM(147), 그래픽스 프로세서(148), 그래픽스 메모리(149), NTSC 인코더(150)로 이루어진다. 오디오 입출력은 음성인식용 마이크(137)로부터의 입력과, 스피커(138)로의 음성 가이드 출력에 사용한다.
이상으로 나타낸 구성은 네비게이션 서버(107)와의 데이터 수수를 통신으로 행하는 경우의 구성이나, 상기한 바와 같이 방송 미디어를 사용하는 경우의 구성으로서는,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의 인터페이스, 디코더 등을 필요로 한다. 또 일반적으로 표시장치(130)에의 신호는 NTSC가 사용되나, 방송에서 PAL 방식을사용하고 있는 지역, 또는 표시장치(130)가 PAL 방식 대응인 경우는 물론 NTSC 인코더(150)의 부분은 PAL 방식에 대응한 인코더가 된다.
다음에, 네비게이션시스템에서 행하는 교통정보제공서비스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의 네비게이션시스템을 사용하여, 사용자 차량(102)의 사용자 단말(122)에 정체·여행시간정보, 사고·규제정보, SA(서비스 영역)/PA(주차영역)정보, 주차장 정보 등의 실시간 정보, 또는 정체예측정보나 정체통계정보 등 가공된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교통정보를 다운로드하는 경우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35) 등의 조작부를 거쳐 교통정보의 요구를 입력하면, 차량(102)에 탑재된 사용자 단말(122)은 이동체 전화망(103), 프로바이더(104), IP 망(106)을 거쳐 교통정보의 다운로드 요구를 네비게이션 서버(107)에 송신한다. 여기서, 다운로드하고 싶은 요구 데이터 외에, 예를 들면 위도·경도 등으로 기술된 현재위치 등의 지정위치정보, 또는 지도 데이터나 교통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범위(영역)의 어느 하나, 및 사용자의 ID 정보, 네비게이션 서버(107)의 IP 망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IP 어드레스를 송신한다. 이들 정보를 이동체 전화망(103)을 통하여 프로바이더(104)에 전송한다.
프로바이더(104)는 사용자 단말(122)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로부터, 사용자단말이 지정한 네비게이션 서버(107)의 IP 어드레스를 인식하여, IP 망(106)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서버(107)에 엑세스한다.
네비게이션 서버(107)에서는, 교통정보제공센터(100)(복수 존재하여도 좋음)로부터 보내져 오는 교통정보를 축적하고, 각 도로구간 및 교차점의 정체발생빈도나 평균 정체도 등의 정체통계정보와, 지금까지의 정체의 변화를 분석하여, 가까운 미래에 있어서의 정체의 증감경향을 예측한 정체예측정보를, 각각 정체통계 처리부(121)와 정체예측부(120)에서 수시 작성한다. 사용자 단말(122)로부터 교통정보 다운로드의 요구가 보내져 오면, 네비게이션 서버(107)에서는 수신한 데이터 요구범위(영역)의 정체·여행시간정보, 사고·규제정보, SA(서비스 영역)/PA(주차영역) 정보, 주차장 정보 등의 실시간 정보, 또는 정체예측정보나 정체통계정보 등 가공된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교통정보를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판독한다.
다음에, 상기 판독된 교통정보를 방송사업자(105)에게 송신하고, 그곳에서 교통정보를 인코드, 패킷화한 후에 위성(101)을 향하여 송신한다. 사용자 차량(102)에 탑재된 사용자 단말(122)은, 위성(101)으로부터 보내져 온 데이터를 수신한 후, 디코드하여 얻어진 교통정보를 표시장치(130)나 스피커(138)에 출력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방송사업자(105)를 거쳐 교통정보를 네비게이션 단말에 다운로드하였으나, 다음 실시예에서는 통신만으로 교통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나타낸다. 사용자가 교통정보의 다운로드를 요구하면, 네비게이션 단말로부터 이동체 전화망(103)에 대하여, 앞서의 예와 마찬가지로 다운로드하고 싶은 요구 데이터 외에, 데이터를 요구하는 범위, 지정위치정보, 사용자 ID, 네비게이션 서버(107)의 IP 어드레스 등을 송신하고, 프로바이더(104), IP 망(106)을 통하여네비게이션 서버(107)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한다. 네비게이션 서버(107)에서는 앞서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 다운로드 요구가 있었던 교통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한 교통정보를, 차량(102)의 사용자 단말(122)의 IP 어드레스정보를 부여하여, 패킷으로 분할하여 IP 망(106), 프로바이더(104), 이동체 전화망(103)을 통하여 차량(102)의 사용자 단말(122)에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122)에서는 수신한 교통정보를 표시장치(130)나 스피커(138)에 출력한다.
또한 정체통계정보와 같이 빈번하게 데이터의 갱신을 행할 필요가 없는 정보는, 미리 하드디스크나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매체에 저장하여도 좋다.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다운로드 요구한 경우에, 네비게이션 서버(107)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기억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고쳐쓰기함으로써 갱신하여도 좋고, 또는 다른 데이터로서 보존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122)은 기억매체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적절히 판독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일 없이 언제라도 교통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교통정보의 다운로드처리에 대하여 상세를 설명한다. 도 5는, 사용자단말(122)측에서 사용자가 다운로드하고 싶은 교통정보를 선택하는 화면구성의 일례이다. 본 화면은, 현재의 정체상황을 나타내는 정체정보(201), 통행금지나 차선규제, 사고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사고·규제정보(202), 주차장의 만차 여부정보를 나타내는 주차장 정보(203), 각 도로구간의 정체가 신장경향인지, 축소경향인지를 나타내는 정체예측정보(204), 정체의 발생율 등의 통계정보를 나타내는 정체통계정보(205)의 각각 대하여,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35)나 마이크(13)를 거친 음성입력, 또는 네비게이션 본체(132)나 표시장치(130)에 구비된 하드 스위치 등의 조작부를 거쳐 각 항목의 옆에 배치되어 있는 ON 버튼(210) 또는 OFF 버튼(211)을 조작함으로써, 다운로드하고 싶은 교통정보를 선택하는 것이다. 교통정보 다운로드요구시에는, 본 화면에서 ON 버튼(210)이 선택된 교통정보를 네비게이션 서버(107)에 요구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화면과 같이 설정된 경우, 정체정보(201), 사고·규제정보(202), 정체예측정보(204), 정체통계정보(205)에 해당하는 각 교통정보를 네비게이션 서버(107)측에 요구하게 된다.
도 6은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위치를 지정하고, 그 지점 주변의 교통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화면 천이의 일례이다. 먼저, 현재위치를 표시하고 있는 화면(300)으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 등의 조작부를 거쳐, 사용자가 교통정보의 원하는 지점까지 지도를 스크롤(301)시킨다. 목적의 지점에 도착하면 리모트 컨트롤러 등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메뉴」버튼을 누름으로써 메뉴화면(302)을 표시시킨다. 다음에, 사용자가 메뉴 내의 교통정보 버튼(304)을 선택하면, 교통정보를 다운로드할지를 확인하는 메뉴화면(303)을 표시한다. "네" 버튼이 선택되면, 도 5와 같은 교통정보 다운로드 선택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항목의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개시한다. "아니오" 버튼이 선택된 경우는, 메뉴화면(302)으로 천이한다. 또한 사용자가 현재지 주변의 교통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싶은 경우에는, 현재지 및 현재지 주변의 지도가 표시되어 있는 상황에 있어서 지도를 스크롤(301)하는 일 없이 메뉴화면(302)을 표시시켜, 앞서 설명한 조작을 행함으로써 현재지 주변의 교통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7은, 교통정보를 다운로드할 때의 단말측 처리 플로우의 일례이다. 먼저, 정보요구위치판정에서는 다운로드하는 범위가 현재위치 주변인지, 아니면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요구위치를 설정한 지점 주변인지를 판정한다(S1000). 현재위치 주변의 교통정보가 요구된 경우에는, GPS나 자이로스코프 등의 위치검출수단으로부터 자기차량 위치의 위도·경도정보를 취득한다(S1001).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주변의 교통정보가 요구된 경우에는, 화면상에서 선택된 위치를 취득하여, 이것을 위도·경도정보로 변환한다(S1002). 그리고 얻어진 위도·경도정보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직사각형 크기의 영역을 데이터 요구범위로서 설정한다(S1003). 다음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교통정보 다운로드 설정화면에서 미리 선택된 교통정보의 종별을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요구 데이터 종별로 설정한다(S1004). 상기한 데이터 요구범위와, 요구 데이터 종별을 포함하는 교통정보요구 코멘드를 모뎀 등을 거쳐 네비게이션 서버(107)에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122)은, 상기 교통정보요구 코멘드에 대하여 네비게이션 서버(107)로부터 보내져 오는 교통정보를 수신하면 ,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회선을 절단한다(S1005). 그리고 교통정보를 표시장치(130)의 지도화면상에 표시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S1006), 다운로드한 교통정보를 기억매체로부터 판독하여, 저장한 교통정보를 지도상에 겹쳐서 표시한다(S1007). 또한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경로에 대한 경로유도화면(예를 들면, 디포메이션 맵과 같은 간이도형, 개략지도 등)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교통정보를 지도상에 겹쳐서 표시할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화면에도 다운로드한 교통정보를 표시하여도 좋다.
다음에, 교통정보관리유닛(112)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유닛에 있어서는, 정체통계정보와 정체예측정보의 작성처리를 행한다. 먼저, 정체통계정보 작성처리에 대하여 도 14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교통정보관리유닛(112)에서는, 교통정보제공센터(100)로부터 정기적으로 보내져 오는 각 링크 ID 마다의 정체정보를 수신하여 소정기간 축적된 정체정보 중, 지정한 기간(예를 들면, 현재부터 과거 1개월분 등)에 있어서의 정체정보를 판독한다(S1200). 여기서, 정체통계정보를 작성할 때에 사용하는 원래 데이터인 교통정보제공센터(100)로부터의 정체정보는, 차량감지기의 감지이상이나 고장 등에 의하여 이상값(특이값)이 혼재되어 있는 것이 고려되기 때문에, 정체통계정보를 더욱 고정밀도인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다음에 나타내는 통계적 방법을 사용한 2단계로의 이상값 검출·제거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제 1 이상값 검출·제거처리는, 하루중 대부분(예를 들면, 24시간 중 야간을 포함하는 20시간 이상)이 정체를 나타내고 있는 링크 ID의 데이터는, 차량감지기의 고장이나 이벤트(예를 들면, 도쿄 모터쇼) 등에 의한 특수사정이 고려되므로, 상기 링크 ID에 관한 그 날 하루의 데이터가 이상이라고 간주하고(S1201), 해당하는 하루의 데이터 전체를 정체통계정보작성에 사용하지 않도록 제거하는 것이다(S1202). 다음에, 제 1 이상값 검출·제거처리가 이루어진 나머지 데이터에 대하여 제 2 이상값 검출·제거처리를 행한다. 제 2 이상값 검출·제거처리는, 같은 시간대의 정체정보를 복수 일에 관하여 비교하여, 편차가 큰 데이터를 이상이라고 간주하고(S1203), 상기 데이터를 제거하는 것이다(S1204). 예를 들면, 소정 링크 ID의 도로에 관하여 평일 5일간에 있어서의오전 10시에서 오전 11시까지의 1시간당 정체발생시간이 각각 0분, 15분, 20분, 50분인 경우, 평균치(21분)로부터의 차가 큰 0분 및 50분의 데이터를 이상이라고 간주하고 제거한다. 이 편차가 큰 데이터를 검출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트림평균에 의한 방법과 같이 데이터 모수 중 소정비율(예를 들면 10 %)의 최상위 및 최하위 데이터를 무조건 제거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상기와 같은 2단계에서의 이상값 검출·제거처리가 행하여진 후에, 남은 데이터를 평균화함으로써 정체통계정보를 작성한다(S1205). 상기 S1201 내지 S1205의 처리를 모든 링크에 대하여 행한다(S1206). 그리고 작성된 각 링크의 정체통계정보를 사용자 단말이나 가정의 PC 등으로 배신하기 위한 포맷으로 하고, 다시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메시단위로 상기 데이터를 분할하는 등의 배신 포맷 편집을 행한다(S1207).
이상과 같이 하여 정체통계정보가 작성되나, 상기 정보는, 예를 들면 1개월에 한번 등 정기적으로 네비게이션 서버의 캘린더·시계기능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작성되도록 하여도 좋고, 또는 네비게이션 서버의 조작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정보를 작성하는 코멘드를 입력함으로써 작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의 정체통계정보작성에 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1207의 배신 포맷 편집처리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서버(107)에 있어서의 교통정보 데이터의 관리의 용이성을 고려한 관리단위에 대하여 예를 들면서 설명한다. 축적하는 정체정보는, 위도·경도로 지표면을 등간격으로 구획한 메시라 불리는 영역단위로 관리하고, 상기 메시마다 정체의 통계정보를 작성한다. 메시 이외의 관리방법으로서, 도도부현이나 시구읍면 단위, 또는 동(洞)가(街) 구획 단위 등별의 관리, 또는 고속도로, 국도, 현도(縣道)라는 도로종별마다, 또는 상기 복수의 관리단위에 의한 조합으로 관리하여도 좋다.
S1200의 교통정보 DB로부터 지정기간의 데이터 판독기능에 있어서, 예를 들면, 1개월마다의 교통정보를 축적하여, 교차점 등으로 구획되는 각 도로구간(링크)에 관한 정체발생시간의 총합이나 정체길이시간 등 정체의 정도나 빈도에 관한 지표를 대상으로 판독한다. 또한 판독할 정체정보를 요일별로 함으로써 요일별 정체통계정보를 작성하여도 좋고, 또는 평일·경축일별로 작성하여도 좋다. 또 골든위크나 명절, 연말연시 등 교통상황이 특수한 기간에 있어서는, 그것별로 작성하여도 좋다. 또한, 앞서 설명한 정체의 통계정보를 오전·오후, 또는 1시간 단위 등 시간대를 가미하여 작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맑음, 비, 눈 등의 날씨나, 건조, 습윤, 동결 등의 노면상황에 관한 정보를 기상정보제공센터(123)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정보를 가미하여 작성하여도 좋다.
S1205의 정체통계정보작성에 있어서, 평균화된 정체정보(정체발생시간)에 따라 정체발생빈도 등의 랭크를 나누어도 좋다. 예를 들면, 1시간 중 평균 정체발생시간이 0 내지 10분은 정체랭크 1(순조), 10 내지 30분은 정체랭크 2(혼잡), 30 내지 60분은 정체랭크 3(정체)으로 3단계로 나눈다. 또 데이터를 취득할 수 없거나, 또는 데이터 이상이 많아 유의(有意)한 평균 정체정보를 얻을 수 없었던 링크에 관해서는, 정체랭크 0(정체통계정보 미취득)으로 하여도 좋다.
도 14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낸 예에서는, 정체통계정보를 도로구간인 링크단위로 작성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다음에 정체통계정보를 교차점 등의 지점 단위로 작성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처리순서로서는, 도 14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의 S1200 내지 S1206까지는 동일하고, S1206의 처리가 종료한 후에 다음과 같은 지점 편집처리(S1208)가 추가된다. S1208에 있어서는, 도 16과 같은 미리 작성된 지점 DB에 의거하여 링크의 정체통계정보로부터 지점의 정체통계정보를 작성한다. 지점 DB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점(601)에 대하여 유입하는 링크(600)를 대상으로 하여 작성되고(601로부터 유출되는 링크는 대상으로 하지 않음), 지점의 좌표, 구성 링크수, 및 각 구성 링크 ID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링크의 정체통계정보로부터 지점의 정체통계정보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지점 DB에 의거하여 상기 지점에 유입하는 모든 링크를 대상으로 하여, 각 링크 ID에 있어서의 평균 정체발생시간 중 최대인 것을 채용한다. 또는 각 링크 ID에 있어서의 평균 정체발생시간의 평균치 등, 지점으로서의 정체 포텐셜을 나타내는 것을 채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해당 지점별 평균 정체발생시간에 따라 상기의 정체 랭크를 작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S12O7의 배신 포맷 편집처리에 있어서는, 상기 링크단위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하면, 지점 단위의 정체통계정보도 작성할 수 있다.
다음에, 정체예측정보 작성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정시간 전부터 현재까지(최근)의 정체지표의 변화를 축적·분석하고, 가까운 미래에 있어서의 정체의 증감경향정보인 정체예측정보를 작성한다. 예를 들면, 정체지표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가 정체증가방향이면 정체가 이제부터 신장한다고 판단하고, 감소경향이면 상기 정체는 축소방향이라고 판단한다. 상기 정체경향의 판단에 있어서는, 현재부터 소정시간 전까지의 최근에 있어서의 정체정보만을 사용하고 판단하여도 좋고, 또는상기 최근에 있어서의 정체정보에 더하여 1개월 등 소정기간 축적된 데이터의 평균치 등 통계처리된 정체통계 데이터를 사용하여 판단하여도 좋다. 또 정체지표의 분석결과에 있어서, 그 변화율의 대소에 의하여 정체의 증감경향을 랭크로 나누어도 좋고, 예를 들면, 정체증가경향 큼, 정체증가경향 작음, 정체감소경향 큼, 정체감소경향 작음 등으로 표현한다. 이에 의하여, 정체, 혼잡, 순조의 3 단계 등으로밖에 제공되지 않았던 현 정체정보에 대하여, 해당 정체가 이후 어떻게 변화될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어, 사용자는 주행경로선택을 하는 데에 있어서 더욱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주행경로의 전방 1 km의 도로구간이 동일한 “정체"라는 정보이어도, 정체감소경향이면 경로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정체되어 있는 도로를 주행하여도, 그곳에 도착할 쯤에는 정체가 해소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반대로 정체증가경향이면 경로를 변경하도록 네비게이션 서버(107)에 요구함으로써 정체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가 교통정보 다운로드를 요구하였을 때의 네비게이션 서버(107)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교통정보를 다운로드할 때의 네비게이션 서버측 처리 플로우의 일례이다. 네비게이션 서버(107)에 있어서, CGI(115)에서 사용자 인증을 행한 후, 교통정보관리유닛(112)에 요구 코멘드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송신된다. 교통정보관리유닛(112)은 네비게이션 단말로부터의 교통정보요구 코멘드를 수신하면(S1100), 상기 요구 코멘드를 해석하고, 상기 요구 코멘드 중으로부터 교통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직사각형 범위, 다운로드하는 데이터 종별(실시간 정체정보, 사고·규제정보, 주차장 정보, 및 정체통계정보, 정체 예측정보 등) 등을 추출한다(S1101).
요구범위변환(S1102)에서는, 상기 직사각형 범위를 포함하는 메시를 찾아내어, 해당하는 메시의 교통정보를 판독하여 대상으로 설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요구 데이터 판정(S1103)에서는 요구된 데이터 종별을 판정하고, 상기 데이터 종별의 데이터 판독처리(S1104 내지 S1108)로 분기시켜, 요구된 데이터 종별이 정체통계이면 정체통계 데이터를 판독하고, 요구된 데이터 종별이 실시간 정체정보이면 실시간 정체 데이터를 판독하고, 요구된 데이터 종별이 사고·규제가면 사고·규제정보 데이터를 판독하고, 요구된 데이터 종별이 정체예측정보이면 정체예측 데이터를 판독하고, 요구된 데이터 종별이 주차장이면 주차장 데이터를 판독한다.
판독종료판정(S1109)에서는, 요구된 모든 데이터 종별 교통정보의 판독이 종료하였는지 판정한다. 복수의 데이터 종별의 정보가 다운로드 요구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운로드할 데이터 종별을 갱신하고, 요구 데이터 판정(S1103)으로 천이한다. 모든 교통정보를 판독하면, 포맷변환(S1110)의 처리에서 판독된 교통정보에 각 정보 종별이나 데이터 크기 등의 헤더정보가 부가된 통신포맷형식으로 변환한다. 송신처리(S1111)에서는, 통신포맷형식으로 변환이 끝난 교통정보를 CGI(115), IP 망 등을 거쳐 사용자 단말(122)이나 가정의 PC(110)로 송신한다.
도 9는, 교통정보에 관한 통신 포맷의 일례이다. 관리 헤더부는, 통신 데이터의 총 데이터 크기와,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대상 영역의 메시 매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수, 각 메시 단위의 데이터에의 데이터 선두부터의 옵셋과 상기 데이터 크기 등으로 구성되는 교통정보관리 데이터이다.
메시 단위로 관리되는 교통정보는, 데이터 헤더부와 실시간 정체 데이터나 정체예측 데이터, 사고·규제 데이터, 정체통계 데이터, 주차장 데이터 등, 다운로드 요구된 데이터 종별의 데이터부로 구성된다.
데이터 헤더부는, 지표면을 위도·경도 좌표계로 등간격으로 구분한 영역마다 부가되는 유니크한 값인 메시 ID와, 본 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종별을 나타내는 저장 데이터 종별과, 각 데이터 종별의 데이터 선두까지의 옵셋, 저장 데이터수, 데이터 크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관리 데이터로 구성된다. 실시간 정체 데이터는, 도로구간마다 붙여져 상기 메시 내에서 유니크한 값인 링크 ID와, 상기 링크 ID에 대한 도로구간의 정체도나 정체길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체정보, 상기 링크 ID에 대한 위도·경도의 도로형상으로 하나의 정체정보가 구성되고, 이들이 관리부의 데이터수만큼 저장되어 있다. 정체예측 데이터는, 링크 ID와, 정체가 신장경향에 있는지, 축소경향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체경향 정보로 구성되고, 이들이 관리부에 기재되어 있는 데이터수만큼 저장되어 있다. 사고·규제 데이터는 사고나 규제가 발생하고 있는 장소를 나타내는 위도·경도의 지점좌표와, 사고·규제가 발생한 도로구간을 나타내는 링크 ID, 차선규제, 통행금지 등 사고·규제의 종류 및 그 원인을 나타내는 사고·규제 종별로 구성되고, 이들이 관리부에 기재되어 있는 데이터수만큼 저장되어 있다. 정체통계 데이터는, 정체가 다발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위도·경도의 지점좌표, 또는 정체가 다발하는 도로구간을 나타내는 링크 ID와, 해당 정체다발지점이 유효한 계절, 달, 요일, 오전·오후, 시간대 등을 나타내는 통계시간대, 정체의 발생빈도를 나타내는 정체발생빈도(또는 정체 랭크), 정체가 발생한 경우의 평균적인 정체도를 나타내는 평균 정체도, 데이터의 신뢰도 등의 정보로 구성되고, 이들이 관리부에 기재되어 있는 데이터수만큼 저장되어 있다. 주차장 데이터는 주차장의 장소를 나타내는 경도의 지점좌표와, 상기 주차장의 식별코드인 주차장 ID와, 상기 주차장의 만차 여부 상황이나 운영상황(영업중인지 폐쇄중인지) 등의 정보로 이루어지는 주차장 상태 등으로 구성되고, 이들이 관리부에 기재되어 있는 데이터수만큼 저장되어 있다.
다음에, 차량의 사용자 단말이나 가정의 PC 등의 단말에서의 정체통계정보의 표시예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a)는, 정체다발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정체발생빈도 등에 따른 반경의 원에 의하여, 정체다발지점 및 그 정도를 나타내는 원 도형(400)을 지도상에 겹쳐서 표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화면 왼쪽 위에 표시하고 있는 유효시간(401)은 지도에 겹쳐서 표시되어 있는 통계정보가 유효한 일시 및 시간대를 나타내고 있다. 화면 왼쪽 아래에 표시하고 있는 데이터작성시간 및 유효기한(404)은, 표시하고 있는 정체통계정보가 작성된 일시, 및 해당 정체통계정보가 유효한 기한을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유효시간(401)에서 지도상에 겹쳐서 표시하고 있는 정체통계정보가 1월의 평일, AM 9시에서 10시 사이의 통계정보이고, 이 시간대에서의 유효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데이터작성및 유효기한(404)에서는, 본 데이터가 2002년 6월에 작성되고, 2003년 6월까지 유효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O(a)와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도의 표시 스케일을 변경한 경우에는, 정체통계정보(400)의 표시형태를 변경하고 있다. 예를 들면,도 10(a)와 같이 지도가 확대(상세)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체발생빈도에 의하여 원의 크기를 변경하여 정체의 정도의 파악을 돕고, 지도가 축소(광역) 표시된 경우에는, 도 10(b)와 같이 미리 정해진 원의 크기로 정체발생빈도(410)를 표시하여, 정체발생부분의 식별을 돕고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원의 크기를 정체의 발생빈도로 선택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해당 지점에 있어서의 평균 정체도로 원의 크기를 결정하여도 좋다. 또는 정체상황에 관한 정보(발생빈도 또는 평균 정체도)에 따라 변화시키는 표시는, 원의 크기 대신에 원의 색이어도 좋고, 또 그 조합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정체상황에 관한 정보에 더하여 데이터 신뢰도를 가미하여, 표시하는 원의 원주부를 실선 또는 파선으로 표시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실선(400)은 데이터의 신뢰도가 비교적 높고, 파선(406)은 신뢰도가 비교적 낮은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데이터 신뢰도란, 통계정체정보의 재현성에 상당하고, 재현성이 높고 날에 따라 크게 변화할 확률이 적은 경우에는 신뢰도가 높아진다. 또한 신뢰도에 따라 선 종류를 점선, 파선, 일점쇄선, 이점쇄선 등으로 변경하여도 좋다. 또 시간대별 정체통계정보가 제공되고 있는 경우에는, 단말에서 가지고 있는 캘린더, GPS로부터 수신한 시각 데이터, 차량이 관리하고 있는 시각 데이터를 사용하여, 단말측에서 현재의 시간대 등에 가장 유효한 정체통계정보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표시하여도 좋고, 또는 정체정보의 유효시간(401)을 수동조작하는 수단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현재의 시간대 등과 다른 시간대의 정체통계정보를 표시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정체통계정보의 데이터 작성시간 및 유효기한(404)을 문자열로 표시하고 있으나, 현재의 일시가 유효기한을 지나면 유효시간(401)의 플레이트의 색을 변경하거나, 정체다발지점(400)의 표시색 등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본 정체통계정보의 데이터가 유효기한이 다 되었음을 통지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정체통계 데이터가 유효기한 내이면, 유효시간(401)의 플레이트의 색을 회색으로 표시하고, 유효기한을 경과하면, 유효시간(401)의 플레이트의 색을 적색으로 표시한다. 또 정체통계 데이터가 유효기한 내인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정체다발지점을 표시하고, 유효기한을 경과하면 정체다발지점을 나타내는 도형의 투과율이나 휘도, 색채를 변경하여 표시하거나, 도형의 크기를 작게 하는 등 정보의 질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게 표시한다.
그런데 정체통계정보가 제공되고 있지 않는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체통계정보가 제공되고 있는 영역과, 제공되고 있지 않는 영역을 다른 지도 배경색으로 표시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정체통계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은 통상의 지도배경색으로 묘획하고, 정체통계정보가 존재하는 영역은 통상의 지도배경색과 다른 색으로 묘획한다.
사용자 단말이나 가정의 PC 에서의 정체통계정보의 다른 표시예를 도 11에 나타낸다. 도 11(a)는 정체다발지점의 좌표를 이미지의 중심위치에 맞추어, 정체발생빈도 등에 의하여 아이콘(402)을 선택하여 표시하고 있다. 도 11(b)는, 정체통계정보가 교차점 등의 지점형이 아니라, 구간(링크) 단위로 표시하는 경우의 예이다. 정체가 다발하는 도로구간에, 도로 형상의 뒷면에 보다 굵은 선을 그리는 소위 쿠션으로 정체구간을 표시한 예이다.
먼저, 바다나 하천, 녹지 등의 배경 데이터를 묘획하고, 다음에 정체다발구간의 도로를 정체발생빈도에 따라 선의 색을 선택하여, 도로보다 굵은 선으로 묘획한다. 이 경우, 정체구간(403)은 적색으로, 정체구간(406)은 황색으로, 정체구간(408)은 주황색으로 묘획된다. 그 후, 도로나 명칭 등의 정보를 겹쳐서 묘획함으로써, 도 11(b)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서 나타낸 정체통계정보의 표시방법을 조합하여 상세한 지도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원형상으로 정체발생빈도(400)를 표시하고, 광역의 지도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정체다발지점을 나타내는 아이콘(402)을 표시하여도 좋다. 또 지점 단위의 정체통계정보와 구간 단위의 정체통계정보를 병용하여 상세한 지도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로구간마다의 정체통계정보(403)를 표시하고, 광역의 지도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정체다발지점을 나타내는 아이콘(402)을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목적지까지의 경로(405)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경로(405) 상의 정체통계정보(411)를 추출하여 표시하여도 좋다. 또 구간 단위의 정체통계정보표시에 있어서, 해당 구간에 진행방향을 식별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도 11(b)와 같은 굵은 선으로 묘획하는 대신에, 도로를 따르면서 왼쪽으로 약간 비키어 묘획하여도 좋다. 또한 도 10과 같은 지점 단위의 표시만으로는 구체적인 정체발생도로의 방향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도 11(d)와 같이 지점 단위와 구간 단위를 병용 표시하여도 좋다. 도 11(d)에 있어서, 400, 406은 교차점(지점)단위, 407, 408은 방향부착 구간(링크) 단위 각각의 통계정체정보를 지도상에 겹쳐서 표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각각에 대하여 정체발생빈도등의 정체정도에 따라 색이나 길이, 선의 굵기 등을 구별하여도 좋다. 또한 407은 실선, 4O8은 파선으로 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신뢰도의 고저에 따라 표시를 바꾸어도 좋다.
사용자 단말이나 가정의 PC 에서의 정체통계정보의 또 다른 표시예를 도 18에 나타낸다. 도 18(a)는, 정체다발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정체발생빈도 또는 평균정체도 등에 따른 반경의 원에 의하여 정체다발지점 및 그 정체발생빈도 또는 평균정체도와 발생시간대를 나타내는 원 그래프(700 및 701)를 지도상에 겹쳐서 표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발생시간대를 나타내는 원 그래프가 있기 때문에, 정체통계정보의 유효시간(401)에 대해서는 시간대에 관한 설명은 없다. 원 그래프는 바로 북쪽(바로 위) 방향을 오전 0시를 의미하고, 시계방향으로 1시간 단위에 24시간분의 정체통계정보에 관한 시간대가 새겨져 있고, 그래프의 색에 의하여 정체발생빈도 등이 구별된다. 예를 들면, 도면의 700a는 0시부터 6시(대)까지는 순조, 9시(대)까지는 정체, 16시(대)까지는 혼잡, 20시(대)까지는 정체, 23시(대)까지는 순조를 의미하고 있다. 또 도 18(b)는 정체다발도로구간(링크)의 위치를 나타내고, 또한 각 정체다발도로구간에 관한 정체정도와 발생시간대를 나타내는 원 그래프를 지도상의 해당 링크부근에 겹쳐서 표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700의 원 그래프의 원주가 실선인 데 대하여, 701이 파선으로 되어 있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정체통계정보의 신뢰도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사용자 단말 또는 가정의 PC 에서의 정체예측정보의 표시예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a)는, 테두리를 붙인 화살표(500)로 현재의 정체와 정체경향을 표시한 경우의 예이다. 화살표선의 길이로 정체구간을 나타내고, 화살표선의 안쪽의 색으로 현재의 정체도를, 화살표선 테두리를 붙인 색으로 정체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화살표선의 안쪽의 색을 순조를 녹색, 혼잡을 황색, 정체를 적색으로 표현한다. 또 화살표선 테두리를 붙인 색을, 정체축소경향을 청색, 정체신장경향을 보라색으로 표현하면, 현재 혼잡의 도로가 신장경향에 있는 데이터는, 보라색이고 테두리가 붙여진 중심이 황색인 화살표선(500)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정체구간이 축소경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선(504)은 청색으로 테두리가 붙여지고, 증감없음을 나타내는 화살표선(505)은 흰색으로 테두리가 붙여지고, 신장경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선(506)은 보라색으로 테두리가 붙여져 묘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도의 표시 스케일에 의하여 정체예측정보를 표시할지 선택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2(a)와 같이 지도가 확대(상세) 표시되어 있는 경우는, 정체정보와 함께 정체예측정보를 나타내는 화살표선(500)을 표시하고, 지도가 축소(광역) 표시된 경우에는, 도 12(b)와 같이 정체정보를 나타내는 선(501)을 지도상에 겹쳐서 표시하고 있다.
상기한 예에서는, 지도를 확대 표시한 경우만 정체예측정보를 표시하였으나, 지도의 표시 스케일에 의하여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다른 표시형태를 사용하여 정체예측정보를 표시하여도 좋다. 도 13(a)는, 화살표선(501)과 아이콘(502)에 의하여 현재의 정체상황과 정체경향을 표시한 경우의 예이다. 현재의 정체구간을 화살표선(501)의 길이로, 화살표선(501)의 색으로 정체도를 표시하고, 정체경향을 나타내는 아이콘(502)을 화살표선(501)상에 겹쳐서 표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체구간의 중간점에 아이콘(502)을 표시하고 있으나, 정체 말미에 아이콘(502)을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정체구간의 거리가 길 때 등 거리에 따라서는 복수 부분에 아이콘(502)을 표시하여도 좋다.
도 13(b)는, 현재의 정체상황을 화살표선(501)의 길이로 정체구간, 화살표선(501)의 색으로 정체도를 나타내고, 화살표선(501) 상에 정체경향을 나타내는 다른 선 패턴, 또는 등간격으로 아이콘을 표시한 선(503)을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화살표선의 색을, 순조를 녹색, 혼잡을 황색, 정체를 적색으로 표현하고, 정체축소경향을 청색의 원, 정체신장경향을 보라색의 원으로 표현하면, 현재 혼잡한 도로가 신장경향에 있는 데이터는, 황색의 화살표선(501) 상에 정체 선두로부터 등간격으로 보라색의 원(503)이 표시된다. 따라서, 정체구간이 축소경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선(507)에는 청색의 원이 나란히 묘획되고, 신장경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선(508)은 보라색의 원이 나란히 묘획된다.
이 밖에, 정체경향을 화살표선(501)의 선폭으로 표현하거나, 선의 스타일로 표현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정체경향이 신장경향이면 통상보다 굵은 선으로 화살표선을 묘획하고, 축소경향이면 통상보다 가늘게 화살표선을 묘획하기도 하고, 신장경향이면 이중선으로 화살표선을 묘획하고, 축소경향이면 파선으로 묘획하여도 좋다. 또 정체통계정보와 마찬가지로, 정체예측정보에 관한 신뢰도에 따라 선을 실선, 파선으로 나누어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도 10 등의 지도는 현재지 주변지도를 확대(상세) 표시하여, 현재지로부터 먼쪽의 지도를 축소(광역) 표시하는 형식의 지도, 즉, 조감도적으로 표시하는지도,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지도이어도 상관없다.
이상에 의하면, 지도상에 통계적인 정체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일상적, 만성적으로 정체되는 교차점이나 도로구간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계절이나 날씨, 노면상황, 또는 경축일·평일, 시간대별 정체의 통계정보를 제공 함으로써, 더욱 상세하게 정체가 다발하는 지점이나 평균적인 정체의 정도도 파악할 수 있다. 또 상기 통계정보의 신뢰도를 부가함으로써, 사용자는 제공된 정보를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을지의 판단의 목표로 할 수 있다. 또 현재의 정체가 이후 신장할지, 아니면 축소할지의 정체증감경향정보를 서버측에서 분석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정체를 회피할지의 여부의 판단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지도상에 통계적인 정체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일상적, 만성적으로 정체되는 교차점이나 도로구간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Claims (10)

  1. 교통정보제공센터로부터 정보의 제공을 받아, 상기 정보에 의거하여 작성된 정보를 단말에 제시 또는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버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제공센터로부터 제공을 받은 정보를 축적하는 제 1 축적수단과,
    상기 제 1 축적수단에 축적된 정보를 기초로, 소정 지점 또는 소정 구간에 있어서의 정체정보 및 상기 정체정보의 신뢰도를 포함하는 정체통계정보를 작성하는 정체통계정보 작성수단과,
    상기 정체통계정보 작성수단으로 작성된 정보를 축적하는 제 2 축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의거하여, 또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제 2 축적수단에 축적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시 또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차량 탑재용 네비게이션장치이고, 상기 소정 지점은 소정의 교차점이고, 상기 소정 구간은 소정의 도로구간이고, 상기 정체정보는 정체의 발생빈도 또는 평균 정체도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체통계정보 작성수단은, 상기 제 1 축적수단에 축적된 과거의 교통정보 및 기상정보제공센터로부터의 날씨 또는 노면상황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날씨 또는 노면상황 단위별로 상기 정체통계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버.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적된 과거의 교통정보를 기초로 이상값을 검출하여, 이상값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제거한 다음에 교차점 등의 소정 지점 또는 교차점 사이의 도로구간에 있어서의 정체의 발생빈도 또는 평균 정체도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정보인 정체정보 및 상기 정체정보의 신뢰도를 포함하는 정체통계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버.
  5. 제 4항의 정체통계정보 작성수단에 있어서의 이상값의 검출수단으로서, 제 1 검출수단은 소정 기간의 대부분이 정체를 나타낸 경우에는 상기 기간 전체의 데이터를 이상이라고 판정하고, 제 2 검출수단은 같은 시간대의 정체정보를 복수 일에 관하여 비교하여 편차가 큰 데이터를 이상이라고 판정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버.
  6. 도로지도나 교통정보를 관리하여 네비게이션장치에 정보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버와,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네비게이션장치로 구성되는 네비게이션시스템에 있어서,
    축적된 정체정보와 실시간의 정체정보로부터, 각 정체 이후의 정체경향에 관한 정체예측정보, 및 상기 예측정보의 신뢰도로 구성되는 정체예측정보를 작성하는 정체예측정보 작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버.
  7. 도로지도상에 자기차량 위치와 진행방향을 표시하고, 필요에 따라 유도경로를 표시하는 카 네비게이션의 표시방법에 있어서,
    정체정보 및 상기 정체정보의 신뢰도를 포함하는 정체통계정보를 상기 도로지도상에 겹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의 표시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체정보에 따라 정체지점에 원을 부가 표시하고,
    상기 원에 대해서 발생시간대에 따라 원 내부를 부채형으로 구획하여, 정체발생빈도 또는 평균 정체도에 따라 상기 부채형의 색을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의 표시방법.
  9. 도로지도상에 자기차량 위치와 진행방향을 표시하고, 필요에 따라 유도경로를 표시하는 카 네비게이션의 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도경로에 정체예측정보를 나타내는 도형을 부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의 표시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부가 표시된 도형의 윤곽선의 선종류를 신뢰도에 따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의 표시방법.
KR1020040001394A 2003-01-10 2004-01-09 네비게이션 서버, 네비게이션의 표시방법 Ceased KR200400646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03832 2003-01-10
JP2003003832 2003-0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634A true KR20040064634A (ko) 2004-07-19

Family

ID=3250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394A Ceased KR20040064634A (ko) 2003-01-10 2004-01-09 네비게이션 서버, 네비게이션의 표시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83837B2 (ko)
EP (1) EP1437573A3 (ko)
KR (1) KR20040064634A (ko)
CN (1) CN100376870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011B1 (ko) * 2006-12-21 2008-04-15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단말기, 그의 교통정보 안내방법, 교통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38651B1 (ko) * 2012-04-03 2014-09-12 주식회사 나우드림 기상재해정보 기반의 경로 안내 정보 및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5243B2 (en) 2003-03-27 2008-08-1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ceiving data from a satellite radio network
JP2005049138A (ja) * 2003-07-30 2005-02-24 Pioneer Electronic Corp 交通状況報知装置、その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134429A (ja) * 2003-10-28 2005-05-26 Pioneer Electronic Corp 交通状況報知装置、その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818380B2 (en) * 2003-12-15 2010-10-19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ing safety messages to a vehicle
US8041779B2 (en) * 2003-12-15 2011-10-18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remote location
US8452526B2 (en) * 2003-12-15 2013-05-28 Gary Ignatin Estimation of roadway travel information based on historical travel data
JP2005201793A (ja) * 2004-01-16 2005-07-28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経路探索方法
US7671764B2 (en) * 2004-04-06 2010-03-02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using traffic flow data to navigate a vehicle to a destination
US7222018B2 (en) 2004-04-06 2007-05-22 Honda Motor Co., Ltd. Bandwidth and memory conserving methods for a vehicle navigation system
US7366606B2 (en) * 2004-04-06 2008-04-29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refining traffic flow data
US7680594B2 (en) * 2004-04-06 2010-03-16 Honda Motor Co., Ltd.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a vehicle navigation system
US7319931B2 (en) * 2004-04-06 2008-01-15 Honda Motor Co., Ltd. Methods for filtering and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JP2007533004A (ja) 2004-04-06 2007-11-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情報に関する車両関連のメッセージの交換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7289904B2 (en) 2004-04-06 2007-10-30 Honda Motor Co., Ltd. Vehicl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s for incorporating user preferences into same
US7680596B2 (en) 2004-04-06 2010-03-16 Honda Motor Co., Ltd. Route calculation method for a vehicle navigation system
JP4627407B2 (ja) * 2004-04-19 2011-02-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配信システム
JP3842799B2 (ja) * 2004-06-15 2006-11-08 株式会社ザナヴィ・インフォマティクス 地図データ提供装置
US7518530B2 (en) * 2004-07-19 2009-04-14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ing audio and visual display messages to a vehicle
JP4211706B2 (ja) * 2004-07-28 2009-01-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交通情報提供装置
US7739029B2 (en) * 2004-09-08 2010-06-15 Aisin Aw Co., Ltd.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traffic ranking and display
US7643788B2 (en) * 2004-09-22 2010-01-05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ing data messages to a vehicle
NL1027284C2 (nl) * 2004-10-18 2006-04-19 Goudappel Coffeng B V Inrichting voor het analyseren van verkeersstromen.
GB0423793D0 (en) * 2004-10-27 2004-12-01 Ibm A method and system for gathering and processing data for road use charging
JP4255028B2 (ja) 2005-01-31 2009-04-15 株式会社ザナヴィ・インフォマティクス ナビゲーション装置、サーバ装置の交通情報送信方法
JP4486520B2 (ja) * 2005-02-03 2010-06-23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TWI258719B (en) * 2005-05-02 2006-07-21 Mitac Int Corp Driving route planning system and method
US7729335B2 (en) * 2005-05-18 2010-06-01 Lg Electronics Inc.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relating to a prediction of congestion status and using the same
ATE462178T1 (de) 2005-05-18 2010-04-15 Lg Electronics Inc Bereitstellung von verkehrsinformationen in bezug auf die vorhersage des staustatus und verwendung dieser
KR20060125449A (ko) * 2005-06-01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DE102005039807B4 (de) * 2005-08-22 2013-08-01 Astrium Gmbh Bereitstellung von Informationen in Satellitennavigationssystemen
US7949330B2 (en) * 2005-08-25 2011-05-24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warnings and alerts
US8046162B2 (en) * 2005-11-04 2011-10-25 Honda Motor Co., Ltd. Data broadcast method for traffic information
US20070130045A1 (en) * 2005-12-06 2007-06-07 Auction Answer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the progress of an auction
US9175977B2 (en) * 2005-12-20 2015-11-03 General Motors Llc Method for arbitrating between multiple vehicle navigation systems
US8014936B2 (en) * 2006-03-03 2011-09-06 Inrix, Inc. Filtering road traffic condition data obtained from mobile data sources
US7912628B2 (en) 2006-03-03 2011-03-22 Inrix, Inc. Determining road traffic conditions using data from multiple data sources
US20070239352A1 (en) * 2006-04-10 2007-10-11 Microsoft Corporation Embedded dynamic map generation
JP4177394B2 (ja) * 2006-08-16 2008-1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ナビ装置、ナビサーバおよびナビシステム
US9157760B2 (en) * 2007-01-12 2015-10-13 Aol Inc. Community mapping and direction indicating
JP4891792B2 (ja) * 2007-01-26 2012-03-0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交通情報配信方法および交通情報配信装置
JP2008209208A (ja) * 2007-02-26 2008-09-11 Denso Corp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080262710A1 (en) * 2007-04-23 2008-10-23 Jing Li Method and system for a traffic management system based on multiple classes
US7668653B2 (en) 2007-05-31 2010-02-23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filtering and providing event program information
US8385946B2 (en) 2007-06-28 2013-02-26 Apple Inc. Disfavored route progressions or locations
US9066199B2 (en) 2007-06-28 2015-06-23 Apple Inc. Location-aware mobile device
US8108144B2 (en) 2007-06-28 2012-01-31 Apple Inc. Location based tracking
US8099308B2 (en) * 2007-10-02 2012-01-17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service appointments based on diagnostic trouble codes
US20090106036A1 (en) * 2007-10-22 2009-04-23 Kazuya Tamura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automated appointments
US8355862B2 (en) * 2008-01-06 2013-01-15 Appl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location information
US20090265091A1 (en) * 2008-04-16 2009-10-22 Xanavi Informat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both statistical and real time data for a vehicle navigation system
US9534916B2 (en) 2008-05-02 2017-01-03 Tomtom International B.V.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emphasizing a map route
US9250092B2 (en) 2008-05-12 2016-02-02 Apple Inc. Map service with network-based query for search
AU2008358268A1 (en) * 2008-06-25 2009-12-30 Tomtom International B.V.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on that a parking facility is sought
US9202375B2 (en) * 2008-07-17 2015-12-01 Volkswagen Ag Naviga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9200908B2 (en) * 2008-07-17 2015-12-01 Volkswagen Ag Naviga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8135804B2 (en) * 2009-07-07 2012-03-13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scheduling and rescheduling vehicle service appointments
TWI409435B (zh) * 2009-10-09 2013-09-21 Mitac Int Corp 導航系統與導航方法
CN102243809B (zh) * 2010-05-12 2016-04-20 高德软件有限公司 一种展现实时交通信息的方法和装置
CN101872362B (zh) * 2010-06-25 2016-05-04 大陆汽车投资(上海)有限公司 动态语音标签信息查询系统及其信息查询方法
US8521424B2 (en) * 2010-09-29 2013-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vanced map information delivery, processing and updating
GB201113112D0 (en) 2011-02-03 2011-09-14 Tomtom Dev Germany Gmbh Method of generating expected average speeds of travel
JP5790224B2 (ja) * 2011-07-13 2015-10-07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地図表示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3069130A1 (ja) * 2011-11-10 2013-05-1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側システム
JP5803645B2 (ja) * 2011-12-15 2015-11-04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評価表示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564429A (zh) * 2011-12-28 2012-07-11 深圳市凯立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交通信息导航方法及装置
JP5456818B2 (ja) * 2012-03-27 2014-04-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ナビサーバ、ナビクライアント及びナビシステム
CN103546521B (zh) * 2012-07-17 2017-09-22 上海遥薇(集团)有限公司 一种车路协同卫星定位信息化系统
CN102879000A (zh) * 2012-09-20 2013-01-16 华为终端有限公司 导航终端、导航方法及远程导航服务系统
CN102865876A (zh) * 2012-09-25 2013-01-09 深圳华宏联创科技有限公司 导航方法和服务器及系统
CN102938215B (zh) * 2012-10-24 2015-09-23 安科智慧城市技术(中国)有限公司 一种指挥处警方法和系统
CN103888915A (zh) * 2012-12-24 2014-06-25 腾讯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气象信息更新方法及服务器
US9053636B2 (en) * 2012-12-30 2015-06-09 Robert Gordon Management center module for advanced lane management assist for automated vehicles and conventionally driven vehicles
US9286800B2 (en) * 2012-12-30 2016-03-15 Robert Gordon Guidance assist vehicle module
CN104050829A (zh) * 2013-03-14 2014-09-1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装置
JP6119387B2 (ja) * 2013-04-09 2017-04-26 株式会社デンソー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データ配信サーバ
US11481091B2 (en) * 2013-05-15 2022-10-25 Googl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ser interactions with non- designated locations on a digital map
US9251610B2 (en) 2013-05-29 2016-02-02 Globalfoundries Inc. Location info-graphics visualizations
JP6049551B2 (ja) * 2013-06-21 2016-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4282165B (zh) * 2013-07-12 2017-07-28 深圳市赛格导航科技股份有限公司 路段拥堵预警方法及装置
JP6098419B2 (ja) * 2013-07-29 2017-03-2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交通情報案内システム、交通情報案内装置、交通情報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5042171A1 (en) * 2013-09-18 2015-03-26 Jolata, Inc. Highly probable identification of related messages using sparse hash function sets
US9300417B2 (en) * 2014-01-06 2016-03-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selectable preset options and associated data for a vehicle onboard computer system
CN105387865B (zh) * 2015-10-16 2020-07-03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交通道路数据的路径规划方法及系统
US10109185B1 (en) * 2016-07-25 2018-10-23 360fl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monitoring based on traffic images
CN107967812A (zh) * 2016-10-19 2018-04-27 高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导航路线交通状态的确定方法及装置
WO2018223284A1 (zh) * 2017-06-06 2018-12-13 深圳市乃斯网络科技有限公司 智能交通中车辆违章点的分配方法及系统
CN108153827B (zh) * 2017-12-11 2022-02-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交通拥堵区域确定方法及装置
CN111238525A (zh) * 2018-11-29 2020-06-05 沈阳美行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车道的交通流量信息显示方法、装置及相关设备
CN116524707A (zh) * 2022-01-20 2023-08-01 博泰车联网(南京)有限公司 交通拥堵的预测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841752A (zh) * 2022-11-28 2023-03-24 北京红山信息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出行堵塞改良系统
CN118746306B (zh) * 2024-06-11 2025-03-18 三峡金沙江川云水电开发有限公司 一种综合巡检路径智能规划方法、系统及储存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3163A (en) * 1990-06-06 1994-03-08 Mazda Motor Corporation Navigation apparatus for vehicles
US5164904A (en) * 1990-07-26 1992-11-17 Farradyne Systems, Inc. In-vehicle traffic congestion information system
JPH04174894A (ja) 1990-11-08 1992-06-23 Nec Corp 道路渋滞情報表示装置
JPH06348997A (ja) * 1993-06-04 1994-12-22 Sumitomo Electric Ind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5539645A (en) * 1993-11-19 1996-07-23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Traffic monitoring system with reduced communications requirements
JP3472896B2 (ja) 1994-12-28 2003-12-02 オムロン株式会社 交通情報システム
JPH08221687A (ja) * 1995-02-20 1996-08-30 Nec Home Electron Ltd 道路渋滞認識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5874905A (en) * 1995-08-25 1999-02-23 Aisin Aw Co., Ltd. Navigation system for vehicles
JPH09113290A (ja) 1995-10-18 1997-05-02 Sumitomo Electric Ind Ltd 道路地図表示装置
JP3267842B2 (ja) * 1995-11-17 2002-03-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9180094A (ja) 1995-12-22 1997-07-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航法装置と情報提供システム
JP4108150B2 (ja) 1996-09-03 2008-06-25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道路情報送信装置及び道路情報表示装置
DE19643454C2 (de) * 1996-10-10 2003-08-21 Mannesman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mittlung von Daten zur Verkehrslagebeurteilung
EP0863381B1 (en) * 1997-03-07 2004-06-02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Navigation apparatus
JP3734594B2 (ja) * 1997-05-16 2006-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異常事象検出装置および交通流計測装置
DE19721750A1 (de) * 1997-05-24 1998-11-26 Daimler Benz Ag Verfahren zur Erfassung und Meldung von Verkehrslagedaten
DE69901809T2 (de) 1998-03-19 2002-11-28 Siemens Ag Navigationssystem zur verarbeitung von verkehrsereignissen
JPH11281378A (ja) * 1998-03-26 1999-10-15 Sanyo Electric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0235562A (ja) 1999-02-16 2000-08-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非数値化要因の数量化方法、装置、および非数値化要因数量化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399401B2 (ja) 1999-04-16 2003-04-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交通情報管理装置および交通情報管理方法
JP3562406B2 (ja) 1999-10-28 2004-09-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経路探索装置
DE10041099C2 (de) * 2000-08-22 2002-10-2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paketen zwischen Kraftfahrzeugen
JP2002090167A (ja) * 2000-09-19 2002-03-27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ルート案内方法
JP3965895B2 (ja) * 2000-10-03 2007-08-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型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2277265A (ja) 2000-12-27 2002-09-25 Aisin Aw Co Ltd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260145A (ja) 2000-12-27 2002-09-13 Aisin Aw Co Ltd 交通情報管理システム、交通情報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3849435B2 (ja) 2001-02-23 2006-1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ローブ情報を利用した交通状況推定方法及び交通状況推定・提供システム
JP2002162239A (ja) 2001-10-01 2002-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011B1 (ko) * 2006-12-21 2008-04-15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단말기, 그의 교통정보 안내방법, 교통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38651B1 (ko) * 2012-04-03 2014-09-12 주식회사 나우드림 기상재해정보 기반의 경로 안내 정보 및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7573A3 (en) 2009-07-29
US20050043880A1 (en) 2005-02-24
EP1437573A2 (en) 2004-07-14
CN1517680A (zh) 2004-08-04
CN100376870C (zh) 2008-03-26
US7983837B2 (en)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4634A (ko) 네비게이션 서버, 네비게이션의 표시방법
JP4528528B2 (ja) ナビサーバ,ナビゲーションの表示方法
US2023036052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Revised Jam Conditions
JP6284970B2 (ja) マップデータを生成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マップデータを用いて経路を決定する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805239B2 (en) Method of operating a navigation system to provide parking availability information
CN108604407B (zh) 用于生成预期行进速度的方法及系统
EP2104018A2 (en) Database creation system and database creation method
JP2011085431A (ja) 走行特性データ生成装置,車載装置及び車載情報システム
JP4466362B2 (ja) 交通状況提供システム及び交通状況提供方法
JP2004286456A (ja) 通過予想時刻表示機能を有する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通過予想時刻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1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7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