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61120A -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1120A
KR20040061120A KR1020020086902A KR20020086902A KR20040061120A KR 20040061120 A KR20040061120 A KR 20040061120A KR 1020020086902 A KR1020020086902 A KR 1020020086902A KR 20020086902 A KR20020086902 A KR 20020086902A KR 20040061120 A KR20040061120 A KR 20040061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ever
button
operating
switch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971B1 (ko
Inventor
박범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6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971B1/ko
Priority to TW092127263A priority patent/TW200411357A/zh
Priority to US10/677,347 priority patent/US7176884B2/en
Publication of KR2004006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97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위치지지부와; 상기 스위치지지부에 상호 방사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그 중심을 향하는 각각의 작동버튼이 마련된 복수의 버튼스위치와; 상기 버튼스위치의 상기 작동버튼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작동돌기를 갖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가 방사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가이드와; 상기 조작레버의 슬라이딩에 저항하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레버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각 작동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각 작동돌기를 누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수평 및 수직방향의 스크롤바를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임 등의 실행시 모니터의 화면을 모니터에 나타나지 않는 영역으로 신속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장치 { Switch Apparatus }
본 발명은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방식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장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소정의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상하방향 혹은 좌우방향을 가압하는 동작을 통해 소정의 신호 및 전기적 동작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시소형 스위치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소형 스위치장치는 주로 전자렌지를 포함한 냉장고 등 가전제품들에 흔히 이용되며, 근래에는 이러한 가전제품이외에도 휴대용 컴퓨터에도 사용된다.
근래에 출시되는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윈도우 운영체계를 기본 운영체계로 사용하는데, 휴대용 컴퓨터에서도 기본 운영체계로 윈도우 운영체계를 사용한다.
윈도우 운영체계의 응용프로그램들은 대부분 윈도우 창 아래나 오른쪽에 마련되는 수평 및 수직방향의 스크롤바를 포함한다. 스크롤바는 문서가 현재 창의 프레임을 초과하여 보이지 않게 되었을 때, 이를 볼 수 있도록 조작하는 것이며, 이러한 스크롤바를 조작하는 스크롤 조작부가 휴대용 컴퓨터에서는 시소형과 같은스위치장치로 마련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다양한 컴퓨터용 게임이 개발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용 게임들 중에는 그 게임의 전체영역을 모니터에 세밀하게 나타낼 수 없기 때문에 그 일부분만 나타나게 되는데, 이렇게 모니터에 나타나지 않는 컴퓨터용 게임의 영역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신속하게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스위치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다양한 전자제품들 중, 휴대용 컴퓨터에서 윈도우 창의 스크롤바를 조작하는 스위치장치로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1은 종래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휴대용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를 비롯한 다수의 하드웨어를 내장하는 컴퓨터본체(101)와, 컴퓨터본체(101)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수령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102)를 포함한다.
컴퓨터본체(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3)과, 케이싱(103)내에 마련되며 중앙처리장치 및 램 등이 장착되는 도시하지 않는 메인보드를 비롯한 다수의 하드웨어와, 데이터 입력 등을 위한 키보드(104)를 포함한다.
케이싱(103)의 상부에는 윈도우 창에서 포인트(Point)를 이동시키기 위한 터치패드(105)와, 포인트가 위치하는 곳을 선택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한 쌍의 선택버튼(107)과, 한 쌍의 선택버튼(107)사이에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의 윈도우 창의 오른쪽에 마련되는 수직방향의 스크롤바를 조작하는 스크롤바 조작부인 시소형 스위치장치(110)가 마련된다.
종래 휴대용 컴퓨터에 마련된 스위치장치(11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위치지지부(120)와, 스위치지지부(120)상에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버튼스위치(130)와, 버튼스위치(130)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가압부(155)를 가지며, 버튼스위치(130) 상에 배치되는 조작레버(150)와, 조작레버(150)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동지지수단(170)과, 버튼스위치(130)와 조작레버(150) 사이에 개재되며 조작레버(150)가 안착되는 하우징커버(140) 및 조작레버(150)와 하우징커버(140) 사이에 개재되어 조작레버(1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스프링(161)을 포함한다.
스위치지지부(120)는 판상의 패널 PCB로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3) 내부에 마련되어 버튼스위치(130)를 지지하며, 버튼스위치(130)로부터의 스크롤 신호를 수령하여 도시하지 않는 메인보드로 전달한다.
버튼스위치(130)는 조작레버(150)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펄스신호를 송출하도록 이루어진 택트(Tact)스위치로 마련된다. 이에, 조작레버(150)가 가압되는 경우, 도시하지 않은 메인보드로 응용프로그램의 스크롤바를 조작하는 스크롤 신호를 송출한다.
조작레버(150)는 버튼스위치(130)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가압부(155)와, 배면에 마련되는 후술할 하우징커버(140)의 물림부(143)에 삽입되는 회동돌기(157)와,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 용이하도록 조작레버(150)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누름부(151)를 포함한다.
가압부(155)는 조작레버(150)의 배면에 판면으로부터 버튼스위치(130)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누름부(151)가 눌려지는 경우 각각의 버튼스위치(130)와 접촉한다.
회동돌기(157)는 조작레버(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영역에 판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하우징커버(140)의 물림부(143)와 맞물려 조작레버(150)를 하우징커버(140)로부터 회동 용이하게 한다.
회동지지수단(170)은 하우징커버(140)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조작레버(150)를 지지하는 레버지지대(171)와, 그 중앙부가 레버지지대(171)에 지지되며 양 끝단부가 조작레버(150)의 배면을 지지하는 비틀림코일스프링(175)을 포함한다.
하우징커버(140)는 버튼스위치(130) 상부 영역과 인접한 케이싱(103)에 일체로 마련되며, 버튼스위치(130)가 안착되는 하우징커버(140)와 조작레버(150)의 회동돌기(157)가 삽입되는 물림부(143)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우징커버(140)는 하우징커버(140) 연부 영역을 따라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조작레버(150)가 위치된다.
물림부(143)는 회동돌기(157)와 상호 맞물리도록 하우징커버(140) 양측 벽에 관통공으로 마련되어, 조작레버(150)의 회동을 돕는다.
한편, 하우징커버(140)와 조작레버(150)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161)이 마련된다.
코일스프링(161)은 일측이 하우징커버(140)의 상부면과 접촉되며 타단이 조작레버(150)의 배면과 접촉되어 조작레버(150)의 가압시 압축되어 가압부(155)와버튼스위치(130)를 접촉시킨다. 또한, 코일스프링(161)은 조작레버(150)의 가압 해제시 탄성부세하여 조작레버(1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를 위해, 하우징커버(140)와 조작레버(150) 중 어느 일측에는 코일스프링(161)의 유동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미도시)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휴대용 컴퓨터에서 응용프로그램의 스크롤바를 조작하는 스위치장치(11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스크롤바를 이동하기 위해 조작레버(150)의 누름부(151)를 가압하게 되면, 조작레버(150)가 회동지지수단(170) 및 회동돌기(157)를 축으로 회동하여 코일스프링(161)을 압축시킨다. 따라서, 조작레버(150)의 가압부(155)와 버튼스위치(130)가 접촉되며, 버튼스위치(130)는 스크롤신호를 스위치지지부(120)로 송출한다. 그리고, 버튼스위치(130)로부터 송출된 스크롤 신호는 스위치지지부(120)를 통해 메인보드로 전달되어 스크롤바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누름부(151)를 가압하던 힘이 제거되면, 코일스프링(161)이 수직방향으로 탄성부세하여 조작레버(1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에 마련된 스위치장치(110)는 회동지지수단(170) 및 한 쌍의 코일스프링(161) 등으로 구성된 시소형 스위치장치로 마련되어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의 윈도우 창의 오른쪽에 마련되는 수직방향의 스크롤바만을 조작할 수 있어, 수평 및 수직방향의 스크롤바를 조작할 수 없으며, 모니터의 화면을 모니터에 나타나지 않는 컴퓨터용 게임 등의 영역으로 신속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수평 및 수직방향의 스크롤바를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임 등의 실행시 모니터의 화면을 모니터에 나타나지 않는 영역으로 신속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스위치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스위치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위치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스위치장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스위치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장치의 작동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컴퓨터본체 2 : 모니터
3 : 케이싱 4 : 키보드
5 : 터치패드 7 : 실행버튼
9 : 체결보스 10 : 스위치장치
20 : 스위치지지부 21 : 스크루
30 : 버튼스위치 31 : 작동버튼
40 : 레버가이드 41 : 관통부
50 : 조작레버 51 : 작동돌기
53 : 스프링체결부 60 : 스프링부재
61 : 스프링지지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스위치지지부와; 상기 스위치지지부에 상호 방사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그 중심을 향하는 각각의 작동버튼이 마련된 복수의 버튼스위치와; 상기 버튼스위치의 상기 작동버튼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작동돌기를 갖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가 방사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가이드와; 상기 조작레버의 슬라이딩에 저항하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레버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각 작동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각 작동돌기를 누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스위치는 4개가 마련되며, 상기 조작레버에는 상기 버튼스위치의 상기 작동버튼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작동돌기가 4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레버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각 작동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각 작동돌기가 근접한 상기 두개의 작동버튼을 각각 동시에 누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부재는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중심부가 상기 4개의 작동돌기사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가이드의 배면에는 상기 스프링부재를 지지하는 4개의 스프링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스프링부재의 십자형상의 각 단부가 상기 각 스프링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각 버튼스위치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부재는 십자형상의 각 단부가 일측으로 90°절곡되어 상기 스프링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지지부는 PCB기판이며, 상기 버튼스위치는 택트(tact)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장치는, 휴대용 컴퓨터에 마련된 스위치장치를 일실시예로 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를 비롯한 다수의 하드웨어를 내장하는 컴퓨터본체(1)와, 컴퓨터본체(1)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수령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2)를 포함한다.
컴퓨터본체(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3)과, 케이싱(3)내에 마련되며 중앙처리장치 및 램 등이 장착되는 도시하지 않는 메인보드를 비롯한 다수의 하드웨어와, 데이터 입력 등을 위한 키보드(4)를 포함한다.
케이싱(3)의 상부에는 윈도우 창에서 포인트(Point)를 이동시키기 위한 터치패드(5)와, 포인트가 위치하는 곳을 선택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한 쌍의 선택버튼(7)과, 한 쌍의 선택버튼(7)사이에 마련되어 모니터(2)상에 나타난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의 윈도우 창의 아래 또는 오른쪽에 마련되는 수평 및 수직방향의 스크롤바를 조작하거나 게임 등의 실행시 모니터(2)의 화면을 모니터(2)에 나타나지 않는 영역으로 신속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스위치장치(10)가 마련된다.
스위치장치(1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지지부(20)와, 스위치지지부(20)에 상호 방사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그 중심을 향하는 각각의 작동버튼(31)이 마련된 복수의 버튼스위치(30)와, 버튼스위치(30)의 작동버튼(31)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작동돌기(51)를 갖는 조작레버(50)와, 조작레버(50)가 방사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가이드(40)와, 조작레버(50)의 슬라이딩에 저항하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60)를 포함하여, 조작레버(50)의 슬라이딩에 의해 각 작동버튼(31)에 대응하는 각 작동돌기(51)를 누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스위치지지부(20)는 판상의 PCB로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3) 내부에 마련되어 복수의 버튼스위치(30)와 결합하여 지지하며, 후술할 케이싱(3)의 배면에 마련된 복수의 체결보스(9)와 스크루(21)에 의해 체결된다. 그리고, 스위치지지부(20)는 버튼스위치(30)로부터의 작동신호를 수령하여 도시하지 않는 메인보드로 전달한다.
버튼스위치(30)는 4개가 마련되어 스위치지지부(20)에 결합되며, 각 버튼스위치(30)에는 조작레버(50)의 작동돌기(51)의 가압에 의해 눌려져 작동되는 작동버튼(31)이 마련된다. 그리고, 4개의 버튼스위치(30)는 스위치지지부(20)상에 90°의 각도를 이루며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며, 각 버튼스위치(30)에 마련된 작동버튼(31)은 스위치지지부(20)상에 배치된 4개의 버튼스위치(30)의 중심방향 즉, 각 버튼스위치(30)에 대향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버튼스위치(30)는 작동버튼(31)의 작동에 의해 전기적으로 펄스신호를 송출하도록 이루어진 택트(Tact)스위치이다.
이에, 조작레버(50)의 작동돌기(51)가 버튼스위치(30)의 작동버튼(31)을 가압하게 되면, 버튼스위치(30)는 PCB인 스위치지지부(20)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메인보드로 작동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메인보드는 모니터(2)상에 나타난 응용프로그램의 스크롤바를 조작하거나 게임 등의 실행시 모니터(2)에 나타나지 않는 영역으로 신속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조작레버(50)는 원형의 판상으로 레버가이드(40)에 방사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조작레버(50)의 배면에는 스위치지지부(20)상에 배치된 4개의 버튼스위치(30)의 작동버튼(31)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작동돌기(51)가 마련된다.
작동돌기(51)는 조작레버(50)의 배면 중앙영역에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외측으로는 버튼스위치(30)의 작동버튼(31)을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평평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각 작동돌기(51)사이에는 스프링부재(60)가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이 마련된 스프링체결부(53)가 마련된다. 그리고,각 작동버튼(31)에 대응하는 각 작동돌기(51)는 조작레버(50)의 슬라이딩에 의해 각 작동버튼(31)을 누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접한 두개의 버튼스위치(30)의 작동버튼(31)을 각각 누를 수 있게 된다.
레버가이드(40)는 버튼스위치(30) 상부 영역과 인접한 케이싱(3)에 일체로 형성되며, 조작레버(50)가 안착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게 조작레버(50)의 외경보다 더 크게 케이싱(3)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레버가이드(40)의 중앙에는 조작레버(50)의 작동돌기(51)가 통과하여 버튼스위치(30)의 작동버튼(31)을 가압할 수 있게 관통부(41)와, 레버가이드(40)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스프링부재(60)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스프링지지부(61)가 마련된다.
각 스프링지지부(61)의 단부에는 스프링부재(60)의 단부가 압입되어 체결되도록 소정의 간격이 마련된다.
스프링부재(60)는 조작레버(50)의 슬라이딩에 저항하는 탄성력을 갖도록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중앙부가 각 작동돌기(51)사이에 마련된 스프링체결부(53)에 압입되어 체결된다. 그리고, 스프링부재(60)의 각 단부는 일측으로 90° 절곡되어 레버가이드(40)의 배면에 마련된 스프링지지부(61)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부재(60)의 각 단부는 일측으로 90°절곡되는 것은 스프링부재(60)의 중앙부와 결합된 조작레버(50)의 슬라이딩작동에 의해 스프링부재(60)가 스프링지지부(61)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십자형상의 스프링부재(60)는 각 버튼스위치(30)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데, 이것은 스위치지지부(20)와 조작레버(50)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되는 스위치장치(10)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에, 스프링부재(60)는 조작레버(50)의 작동돌기(51)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체결부(53) 및 레버가이드(40)의 배면에 마련된 스프링지지부(61)에 의해 결합되어 조작레버(50)의 슬라이딩에 저항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조작레버(50)가 슬라이딩하지 않을 때에는 조작레버(50)의 작동돌기(51)가 버튼스위치(30)의 작동버튼(31)과 접촉하지 않게 그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된 스위치장치(10)의 작동과정을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조작레버(50)의 슬라이딩에 의해 4개의 작동돌기(51) 중 하나가 그에 대응하는 하나의 작동버튼(31)을 스프링부재(6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가압하여 누를 경우에는, 모니터(2)상에 나타난 스크롤바 등을 상하 및 좌우방향 중 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도 7a 참조). 그리고, 조작레버(50)의 슬라이딩에 의해 4개의 작동돌기(51) 중 근접한 두개가 그에 대응하는 두개의 작동버튼(31)을 스프링부재(6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가압하여 누를 경우에는, 게임 등의 실행시 모니터(2)에 나타나지 않는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하좌우로 4개가 마련된 버튼스위치(30)들 중에서 상측에 위치한 버튼스위치(30)와 우측에 위치한 버튼스위치(30)의 작동버튼(31)이 가압되면, 이러한 작동신호가 PCB인 스위치지지부(20)를 통해 메인보드로 전달되고, 메인보드에 마련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게임 등의 모니터(2)에 나타나지 않은 우상방향(우측과 상측의 사이방향)의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도 7b 참조).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장치(10)는 스크롤바의 조작이나 모니터(2)에 나타나지 않은 게임 등의 영역을 상하좌우의 4개의 방향뿐만 아니라, 우상방향(우측과 상측의 사이방향), 우하방향(우측과 하측의 사이방향), 좌상방향(좌측과 상측의 사이방향), 좌하방향(좌측과 하측의 사이방향)의 4개의 방향을 더 포함하여 총 8개의 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지지부(61)가 레버가이드(40)의 배면에 마련되나, 이러한 스프링지지부(61)가 스프링부재(60)의 단부와 결합가능하게 케이싱(3)의 배면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버튼스위치(30)가 4개로 마련되나, 조작레버(50)가 슬라이딩하여 가압가능하게 4개가 아닌 복수개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위치장치(10)가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 할 뿐, 휴대폰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버튼스위치(30)로 택트스위치가 사용되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택트스위치 이외에도, 푸쉬락(push lock)스위치 등 다양한 스위치로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장치는 스위치지지부와, 스위치지지부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스위치와, 버튼스위치를 작동할 수 있게 마련된 조작레버와, 조작레버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가이드와, 조작레버의 슬라이딩에 저항하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조작레버의 슬라이딩에 의해 각 버튼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스위치장치에 비해 그 구성이 간단하며, 스크롤바의 조작이나 모니터의 화면을 모니터에 나타나지 않은 게임 등의 영역으로 총 8개의 다양한 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며, 수평 및 수직방향의 스크롤바를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임 등의 실행시 모니터의 화면을 모니터에 나타나지 않는 영역으로 신속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스위치지지부와;
    상기 스위치지지부에 상호 방사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그 중심을 향하는 각각의 작동버튼이 마련된 복수의 버튼스위치와;
    상기 버튼스위치의 상기 작동버튼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작동돌기를 갖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가 방사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가이드와;
    상기 조작레버의 슬라이딩에 저항하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레버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각 작동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각 작동돌기를 누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스위치는 4개가 마련되며,
    상기 조작레버에는 상기 버튼스위치의 상기 작동버튼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작동돌기가 4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각 작동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각 작동돌기가 근접한 상기 두개의 작동버튼을 각각 동시에 누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중심부가 상기 4개의 작동돌기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이드의 배면에는 상기 스프링부재를 지지하는 4개의 스프링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스프링부재의 십자형상의 각 단부가 상기 각 스프링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각 버튼스위치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십자형상의 각 단부가 일측으로 90°절곡되어 상기 스프링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지지부는 PCB기판이며,
    상기 버튼스위치는 택트(tact)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KR1020020086902A 2002-12-30 2002-12-30 스위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23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902A KR100923971B1 (ko) 2002-12-30 2002-12-30 스위치장치
TW092127263A TW200411357A (en) 2002-12-30 2003-10-02 Displayed viewing area switching device in a computer
US10/677,347 US7176884B2 (en) 2002-12-30 2003-10-03 Displayed viewing area switching device in a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902A KR100923971B1 (ko) 2002-12-30 2002-12-30 스위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120A true KR20040061120A (ko) 2004-07-07
KR100923971B1 KR100923971B1 (ko) 2009-10-29

Family

ID=3270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9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3971B1 (ko) 2002-12-30 2002-12-30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76884B2 (ko)
KR (1) KR100923971B1 (ko)
TW (1) TW2004113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42Y1 (ko) * 2009-01-12 2011-01-13 스피드 테크 코포레이션 로우 프로파일 멀티 방향 키 유닛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9600B2 (en) * 2004-09-16 2010-03-16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Pointing device with extended travel
US20060232554A1 (en) * 2005-04-14 2006-10-19 Creative Technology Ltd. Scrolling interface for media player
CN102157286A (zh) * 2010-04-19 2011-08-17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的输入输出系统
US8526161B2 (en) * 2010-04-19 2013-09-03 Apple Inc. Button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KR101894951B1 (ko) * 2011-09-20 201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촉각 전달 장치 및 촉각 전달 장치의 동작 방법
JP5373236B1 (ja) * 2012-05-09 2013-12-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4051515A1 (en) 2012-09-26 2014-04-03 Razer (Asia-Pacific) Pte. Ltd. A game controller
JP5867423B2 (ja) * 2013-01-30 2016-02-24 株式会社デンソー メータ装置
US9831048B2 (en) 2015-02-17 2017-11-28 Marquardt Gmbh Switching-operation arrangement having a movable activating surface
US12285675B2 (en) 2017-07-27 2025-04-29 Razer (Asia-Pacific) Pte. Ltd. Slide button actuators
JP7073173B2 (ja) * 2018-04-03 2022-05-23 株式会社Fuji ノズル検査装置および製造作業機
CN111599767B (zh) * 2019-02-20 2022-03-11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功率模块封装结构
TWI756960B (zh) * 2020-12-02 2022-03-01 群光電子股份有限公司 觸控板模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7882A (ja) * 1994-09-02 1996-03-22 Aiwa Co Ltd スライド操作装置
JPH08249123A (ja) 1995-03-09 1996-09-27 Yoshinori Hiraiw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H09134248A (ja) 1995-11-08 1997-05-20 Toshiba Corp ポインティング入力装置およびこの入力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US6184868B1 (en) * 1998-09-17 2001-02-06 Immersion Corp. Haptic feedback control devices
JP2000267786A (ja) 1999-03-16 2000-09-29 Ntt Docomo Inc 情報通信機器
JP3732380B2 (ja) 2000-03-09 2006-01-05 ホシデン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3954270B2 (ja) 2000-03-14 2007-08-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ならびに検出装置
JP2001290590A (ja) 2000-04-11 2001-10-19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入力装置の自動復帰構造
JP3954776B2 (ja) 2000-06-16 2007-08-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US6976228B2 (en) * 2001-06-27 2005-12-13 Nokia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comprising intersecting scroll bar for selection of cont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42Y1 (ko) * 2009-01-12 2011-01-13 스피드 테크 코포레이션 로우 프로파일 멀티 방향 키 유닛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11357A (en) 2004-07-01
KR100923971B1 (ko) 2009-10-29
US7176884B2 (en) 2007-02-13
US20040135767A1 (en) 200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971B1 (ko) 스위치장치
US9880648B2 (en) Touch pad input device
KR101425949B1 (ko)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CN110323094B (zh) 键盘
EP2378398A2 (en) Movable touch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05069116A1 (en) A finger-controllable multi-directional switch
US20140034474A1 (en) Multi-pole single-throw dome switch assemblies
JP3359891B2 (ja) スイッチ付きタブレット入力装置
CN114185442A (zh) 触摸板模块及电子设备
JP2001318755A (ja) 2方向入力装置およびこの2方向入力装置を用いた操作装置
EP0941548A1 (en) Connecting device
EP3611600A1 (en) Keyboard
CN113345745B (zh) 按键结构及键盘
US20050264521A1 (en) Multimode key system
US809404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croll wheel control module
JP2010080330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4356050A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3991491B2 (ja)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217902950U (zh) 电子装置
JP2008305687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KR20020096645A (ko) 스위치장치
JP2005011746A (ja) 電子機器
KR200370673Y1 (ko) 조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단말기
CN2762465Y (zh) 借摆动壳体以执行一特定功能的遥控器
JPH11213795A (ja) ホールド機能付き押しボタン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