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949B1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5949B1 KR101425949B1 KR1020120092876A KR20120092876A KR101425949B1 KR 101425949 B1 KR101425949 B1 KR 101425949B1 KR 1020120092876 A KR1020120092876 A KR 1020120092876A KR 20120092876 A KR20120092876 A KR 20120092876A KR 101425949 B1 KR101425949 B1 KR 101425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sh button
- wall
- terminal
- housing
- terminal swi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4—Stationary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79—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contacts, e.g. interspersed fingers or helical networ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05—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s
- H01H2001/5816—Connections to flexible or curved printed circuit boar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01H2025/004—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the operating member being depressable perpendicular to the other dir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2—Interspersed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에 포함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에 포함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에 포함되는 밀기버튼과 누름버튼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밀기버튼이 일측으로 이동된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밀기버튼이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도전체가 단자스위치에 접촉되는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고정봉의 배열구조를 도시하는 수평단면도이다.
120 : 체결턱 200 : 밀기버튼
210 : 상단부 212 : 관통공
220 : 하단부 222 : 하향측벽
224 : 가이드돌기 300 : 연성인쇄회로기판
301 : 중심라인 302 : 제1 분기라인
303 : 제2 분기라인 310 : 단자스위치
312 : 양극단자 314 : 음극단자
320 : 돔키 330 : 커넥터단자
322 : 양극선 324 : 음극선
340 : 보호필름 400 : 도전체
410 : 돌출단 500 : 누름버튼
510 : 누름봉 520 : 안착부
600 : 탄성부재 700 : 커버
710 : 개구부 720 : 체결홈
Claims (28)
-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단자스위치와 상기 도전체가 이격되도록 상기 밀기버튼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기버튼은 외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향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과 마주보도록 상향 연장되는 고정벽이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향측벽과 상기 고정벽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과 상기 고정벽 외측면은,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연결되는 다수 개의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과 상기 고정벽 외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과 상기 고정벽 외측면은, 상기 단자스위치와 대응되는 측에 평면이 위치되고 이웃하는 두 개의 단자스위치 사이와 대응되는 측에 모서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삭제
-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단자스위치와 상기 도전체가 이격되도록 상기 밀기버튼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기버튼은 외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향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향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봉이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과 상기 복수의 고정봉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은,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연결되는 다수 개의 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은, 상기 단자스위치와 대응되는 측에 평면이 위치되고 두 개의 단자스위치 사이와 대응되는 지점에 모서리가 위치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봉은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공간 내에 위치되되 외측벽에 연성인쇄회로기판 또는 도전체가 구비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에는 체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체결턱의 끝단이 삽입되어 걸리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기버튼과 상기 커버 중 어느 일측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밀기버튼과 상기 커버 중 다른 일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밀기버튼의 자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과 이격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하향측벽을 구비하는 밀기버튼;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과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과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단자스위치와 상기 도전체가 이격되도록 상기 밀기버튼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삭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과 상기 하향측벽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면과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은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연결되는 다수 개의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면과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스위치는 상기 내측공간의 수직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스위치의 개수는 4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돔키를 구비하고,
상단이 상기 밀기버튼을 상향 관통하고 하단이 상기 돔키에 안착되는 누름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라인과, 상기 중심라인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중심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분기라인 및 제2 분기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스위치는 상기 중심라인에 형성되고, 상기 돔키는 상기 제1 분기라인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분기라인의 끝단에는 커넥터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은, 상기 밀기버튼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는 누름봉과, 수평면적이 상기 관통공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누름봉의 하단에 결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삭제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기라인의 끝단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스위치는 수평방향으로 교번으로 배열되는 부위를 갖도록 배열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체에는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단자스위치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은 상기 도전체의 외측면 전주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스위치가 형성된 지점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양극단자와 연결된 양극선과 상기 음극단자와 연결된 음극선이 각각 배치되며,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양극선 및 음극선이 배치된 구역을 덮도록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밀기버튼과 상기 하우징 중 어느 일측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밀기버튼과 상기 하우징 중 다른 일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밀기버튼의 자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스위치가 접속되었을 때 이동신호가 발생되되,
하나의 단자스위치가 접속되면 해당 단자스위치가 위치한 방향으로의 이동신호가 발생되고,
이웃하는 두 개의 단자스위치가 접속되면 상기 두 개의 단자스위치 사이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셋 이상의 단자스위치가 접속되면, 접속된 단자스위치들이 배치된 영역의 가운데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기버튼은, 상면의 가운데 부위보다 상면의 가장자리 부위가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2876A KR101425949B1 (ko) | 2012-08-24 | 2012-08-24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CN201380044305.6A CN104662632B (zh) | 2012-08-24 | 2013-08-23 | 滑动式信号输入装置 |
ES13831673.2T ES2676842T3 (es) | 2012-08-24 | 2013-08-23 | Dispositivo de entrada de señal de tipo deslizante |
EP13831673.2A EP2889888B1 (en) | 2012-08-24 | 2013-08-23 | Sliding-type signal input device |
PCT/KR2013/007555 WO2014030949A1 (ko) | 2012-08-24 | 2013-08-23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US14/423,370 US9874941B2 (en) | 2012-08-24 | 2013-08-23 | Sliding-type signal input device |
JP2015528400A JP5996113B2 (ja) | 2012-08-24 | 2013-08-23 | スライド式信号入力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2876A KR101425949B1 (ko) | 2012-08-24 | 2012-08-24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6014A KR20140026014A (ko) | 2014-03-05 |
KR101425949B1 true KR101425949B1 (ko) | 2014-08-05 |
Family
ID=5015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28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5949B1 (ko) | 2012-08-24 | 2012-08-24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9874941B2 (ko) |
EP (1) | EP2889888B1 (ko) |
JP (1) | JP5996113B2 (ko) |
KR (1) | KR101425949B1 (ko) |
CN (1) | CN104662632B (ko) |
ES (1) | ES2676842T3 (ko) |
WO (1) | WO2014030949A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9521Y1 (ko) * | 2015-01-07 | 2016-02-15 | 김기연 | 디지털 시건 장치 |
KR20200119643A (ko) | 2019-04-10 | 2020-10-20 | 주식회사 비엘디 |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WO2020213966A1 (ko) | 2019-04-17 | 2020-10-22 | 주식회사 비엘디 | 4차원 터치패드 모듈 |
KR102372938B1 (ko) | 2020-10-15 | 2022-03-08 | 현의섭 |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
KR20220049770A (ko) | 2020-10-15 | 2022-04-22 | 현의섭 |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
KR20220050460A (ko) | 2020-10-16 | 2022-04-25 | 현의섭 |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착탈식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
KR20230151497A (ko) | 2022-04-25 | 2023-11-01 | 주식회사 비엘디 | 배면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스마트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3342B1 (ko) * | 2014-11-03 | 2016-09-01 | (주)아이티버스 | 신호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장치 |
KR101637985B1 (ko) * | 2015-02-16 | 2016-07-08 | (주)아이티버스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KR102180169B1 (ko) * | 2017-05-19 | 2020-11-18 | (주)아이티버스 | 스마트 컨트롤러 |
CN107219936B (zh) * | 2017-05-26 | 2020-05-19 | 信阳师范学院 | 口含式鼠标 |
US10276324B1 (en) * | 2017-10-31 | 2019-04-30 | Google Llc | Keypad device with rocker button mechanism |
KR102176089B1 (ko) | 2018-04-17 | 2020-11-10 | (주)아이티버스 | 신호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CN112216546B (zh) * | 2020-10-30 | 2024-03-22 |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 一种电子开关 |
CN117153605B (zh) * | 2023-10-30 | 2024-01-16 | 深圳市今天国际物流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agv遥控装置的控制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15637A (ja) * | 1994-10-17 | 1996-05-07 | Sony Corp | 自動復帰式スライドスイッチおよびスライド構造 |
KR20020033583A (ko) * | 2000-10-31 | 2002-05-07 | 후루하시 켄지 | 슬라이드조작식 스위치 |
JP2010153159A (ja) | 2008-12-25 | 2010-07-08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多方向スライド式スイッチ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5857Y2 (ja) * | 1987-12-26 | 1995-10-18 | 旭光学工業株式会社 | スイッチ装置 |
JPH09231858A (ja) * | 1996-02-22 | 1997-09-05 |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 シートキーと操作ユニット |
JP3954784B2 (ja) * | 2000-08-22 | 2007-08-08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多方向入力装置 |
JP3652234B2 (ja) * | 2000-10-31 | 2005-05-25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
JP2003151404A (ja) * | 2001-11-14 | 2003-05-23 | Alps Electric Co Ltd | 多方向入力装置 |
JP4169983B2 (ja) * | 2002-02-15 | 2008-10-22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多方向入力装置 |
JP2004319182A (ja) * | 2003-04-14 | 2004-11-11 | Calsonic Kansei Corp | 多方向スイッチ |
JP4278529B2 (ja) * | 2004-02-13 | 2009-06-17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多方向入力装置 |
JP4721874B2 (ja) * | 2005-11-02 | 2011-07-13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
JP4674167B2 (ja) * | 2006-01-25 | 2011-04-20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
CN101743605B (zh) * | 2007-06-22 | 2014-11-05 | 英迪股份有限公司 | 用于电子产品的按钮 |
JP2009224212A (ja) * | 2008-03-17 | 2009-10-01 | Hosiden Corp |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
US20130032457A1 (en) * | 2011-08-05 | 2013-02-07 | Coactive Technologies, Llc. | Pushbutton switch |
US9741509B2 (en) * | 2012-10-19 | 2017-08-22 | Apple Inc. | Slide input component assemblies of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
-
2012
- 2012-08-24 KR KR1020120092876A patent/KR10142594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8-23 JP JP2015528400A patent/JP599611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8-23 WO PCT/KR2013/007555 patent/WO201403094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8-23 CN CN201380044305.6A patent/CN10466263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8-23 ES ES13831673.2T patent/ES2676842T3/es active Active
- 2013-08-23 EP EP13831673.2A patent/EP2889888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3-08-23 US US14/423,370 patent/US987494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15637A (ja) * | 1994-10-17 | 1996-05-07 | Sony Corp | 自動復帰式スライドスイッチおよびスライド構造 |
KR20020033583A (ko) * | 2000-10-31 | 2002-05-07 | 후루하시 켄지 | 슬라이드조작식 스위치 |
JP2010153159A (ja) | 2008-12-25 | 2010-07-08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多方向スライド式スイッチ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9521Y1 (ko) * | 2015-01-07 | 2016-02-15 | 김기연 | 디지털 시건 장치 |
KR20200119643A (ko) | 2019-04-10 | 2020-10-20 | 주식회사 비엘디 |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KR102236945B1 (ko) * | 2019-04-10 | 2021-04-05 | 주식회사 비엘디 |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WO2020213966A1 (ko) | 2019-04-17 | 2020-10-22 | 주식회사 비엘디 | 4차원 터치패드 모듈 |
KR20200122032A (ko) | 2019-04-17 | 2020-10-27 | 주식회사 비엘디 | 터치패드 모듈 |
US11366533B2 (en) | 2019-04-17 | 2022-06-21 | Bld Co., Ltd | Four-dimensional touch pad module |
KR102372938B1 (ko) | 2020-10-15 | 2022-03-08 | 현의섭 |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
KR20220049770A (ko) | 2020-10-15 | 2022-04-22 | 현의섭 |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
KR20220050460A (ko) | 2020-10-16 | 2022-04-25 | 현의섭 |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착탈식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
KR20230151497A (ko) | 2022-04-25 | 2023-11-01 | 주식회사 비엘디 | 배면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스마트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301614A1 (en) | 2015-10-22 |
EP2889888A1 (en) | 2015-07-01 |
ES2676842T3 (es) | 2018-07-25 |
WO2014030949A1 (ko) | 2014-02-27 |
KR20140026014A (ko) | 2014-03-05 |
JP5996113B2 (ja) | 2016-09-21 |
EP2889888A4 (en) | 2016-05-25 |
CN104662632B (zh) | 2018-07-17 |
JP2015529955A (ja) | 2015-10-08 |
CN104662632A (zh) | 2015-05-27 |
US9874941B2 (en) | 2018-01-23 |
EP2889888B1 (en) | 2018-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5949B1 (ko)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
US9880648B2 (en) | Touch pad input device | |
US7294795B1 (en) | Slide switch | |
US8710383B2 (en) | Thin film switch and press key/keyboard using the same | |
EP3133628B1 (en) | Input apparatus | |
US20160079014A1 (en) | Rotational operation type switch | |
CN210466335U (zh) | 开关模块 | |
KR100923971B1 (ko) | 스위치장치 | |
US8946569B2 (en) | Multi-directional butt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 |
US10671184B2 (en) | Signal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driving device using same | |
KR20160011516A (ko)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
KR102176089B1 (ko) | 신호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
KR200464163Y1 (ko) | 다방향 스위치 | |
CN103777808A (zh) | 操作装置 | |
CN218568715U (zh) | 一种实现翘板结构和按压按钮互锁的新型座椅调节开关 | |
US20160233861A1 (en) | Keyboard device | |
TWM584978U (zh) | 開關模組 | |
CN101996786A (zh) | 脚踏开关的改进结构 | |
KR20010056497A (ko) |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누름장치 | |
KR19980066866U (ko) | 전자제품 작동용 구형스위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08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