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945B1 -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Google Patents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6945B1 KR102236945B1 KR1020190042113A KR20190042113A KR102236945B1 KR 102236945 B1 KR102236945 B1 KR 102236945B1 KR 1020190042113 A KR1020190042113 A KR 1020190042113A KR 20190042113 A KR20190042113 A KR 20190042113A KR 102236945 B1 KR102236945 B1 KR 1022369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fpcb
- button
- mouse
- touch p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101001045744 Sus scrofa Hepatocyte nuclear factor 1-beta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48 laser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의 분해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의 주요구성을 분리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의 단면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4의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의 단면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1의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의 회로 계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1의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의 포인팅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의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의 FPCB 관련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의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의 사이드버튼의 배선도를 도시한 것이다.
112 : 하단 FPCB접점 113 : 결합홀
120 : 이동접촉부 121 : 하단 접촉부
122 : 상단 접촉부 130 : 이동버튼부
131 : 하단접속링 132 : 외측접속링
133 : 이동버튼 134 : 가압구
135 : 관통홀
140 : 터치패드 141 : 터치패드 배선
150 : 하부 하우징 151 : 이동접촉부 안착구
152 : 연결구 160 : 상부 하우징
161 : 사이드버튼 슬라이드홀 170 : 탄성패드
181 : 스크롤다운 버튼 182 : 스크롤업 버튼
183 : 우클릭 버튼 184 : 기능버튼
Claims (14)
- 상면에 방사상 형태로 대칭적으로 배열되고 일측에는 각각의 좌표인식라인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공통라인이 상호 연결된 8개 이상의 상단 FPCB접점과, 저면에 방사상 형태로 대칭적으로 배열된 8개 이상의 하단 FPCB접점이 각각 형성된, 원판 형상의 FPCB;
상기 FPCB의 테두리 외곽에 상기 하단 FPCB접점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단 FPCB접점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분할 형성된 도전성 하단 접촉부와, 상기 하단 접촉부 상단에 이격되어 링형상으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각 상단 FPCB접점의 상기 공통라인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성 상단 접촉부로 구성되는, 이동접촉부;
상기 FPCB 상단에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링형상의 이동버튼과,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 FPCB접점의 상기 좌표인식라인과 상기 공통라인과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성 하단접속링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접촉부의 상기 하단 접촉부와 상기 상단 접촉부와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성 외측접속링으로 구성되는 이동버튼부;
상기 이동버튼부의 상기 이동버튼 내측에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터치패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버튼부와 상기 FPCB와 상기 이동접촉부가 순차적으로 수용되며, 상면에 상기 하단 접촉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상단 접촉부가 결합되는 링형상의 이동접촉부 안착구가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 하우징; 및
내측에 상기 이동버튼부 및 상기 터치패드를 수용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을 커버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FPCB의 외곽영역에는, 탄성적인 사이드버튼 접점과 해당 도전성 라인이 각각 배선되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버튼 접점과 접촉하는 해당 사이드버튼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곽영역에 형성되는 사이드버튼 슬라이드홀을 통해 가이드되고,
원거리 포인팅시, 상기 이동버튼부의 가압에 의한, 상기 하단접속링과 상기 상단 FPCB접점의 접촉시간, 및 상기 외측접속링과 상기 하단 접촉부/상기 상단 접촉부의 접촉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상단 FPCB접점 및 상기 하단 FPCB접점의 해당 좌표인식방향으로 포인팅을 수행하고,
근거리 포인팅시, 상기 터치패드에 의해 포인팅을 수행하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FPCB접점과 상기 하단 FPCB접점은 상호 엇갈려 형성되어, 16방위 이상의 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의 저면 일측에 연결된 터치패드 배선이 상기 이동 버튼부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각 좌표인식라인은 호형상으로 배열되고 회로라인으로 집적되어, 상기 터치패드 배선 및 상기 회로라인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기 이동접촉부 안착구 일측에 개구된 연결구를 통해 외부기기의 연결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인식라인의 종단은 ㄷ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통라인의 종단은 상기 좌표인식라인과 교차하는 ㅌ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PCB의 내측영역에는 방사형으로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 상면에는 상기 결합홀과 각각 결합하는 결합구가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버튼부와 상기 FPCB 사이에는 중공이 형성된 일정 두께의 탄성패드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저면에는 진공 흡착판 또는 부착패드가 형성되어 스마트폰, 스마트폰케이스, 태블릿 또는 리모트컨트롤러에 부착되어 무선으로 또는 상기 연결단자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케이스 또는 상기 리모트컨트롤러 자체에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포인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접촉부의 일단은 ㄴ자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단 FPCB접점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상단 접촉부의 일측은 ㄴ자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각 상단 FPCB접점의 상기 공통라인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버튼 접점은, 스크롤다운 버튼접점과 스크롤업 버튼접점과 우클릭 버튼접점과 뒤로가기/홈/바로가기의 선택적 부가기능을 구비한 기능버튼접점으로 동등간격으로 4분할되어 구성되고,
대응하여 상기 사이드버튼은, 대향하는 스크롤다운 버튼과 스크롤업 버튼, 및 대향하는 우클릭 버튼과 기능버튼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접촉부 및 상기 상단 접촉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저면 및 상기 이동접촉부 안착구 내측면에 레이저인쇄 전도체 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PCB의 중앙에는 좌클릭 버튼접점이 배선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동버튼부의 저면에는 상기 좌클릭 버튼접점에 대응하는 가압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우클릭 버튼 상단에는 단일의 반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능버튼 상단에는 한 쌍의 반구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2113A KR102236945B1 (ko) | 2019-04-10 | 2019-04-10 |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2113A KR102236945B1 (ko) | 2019-04-10 | 2019-04-10 |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9643A KR20200119643A (ko) | 2020-10-20 |
KR102236945B1 true KR102236945B1 (ko) | 2021-04-05 |
Family
ID=7302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2113A Active KR102236945B1 (ko) | 2019-04-10 | 2019-04-10 |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694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048251A1 (ko) * | 2023-08-31 | 2025-03-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돌출 영역이 마련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6950B1 (ko) * | 2019-04-17 | 2021-04-06 | 주식회사 비엘디 | 터치패드 모듈 |
CN113778242B (zh) * | 2021-08-11 | 2023-10-13 |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控制方法、遥控设备及存储介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5949B1 (ko) * | 2012-08-24 | 2014-08-05 | (주)아이티버스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KR101845975B1 (ko) * | 2016-10-26 | 2018-05-18 | (주)에이치더블유엘 | 다이얼 리모콘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6387B1 (ko) * | 2011-02-10 | 2012-11-05 | 한국철강 주식회사 | 집적형 박막 광기전력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358357B1 (ko) * | 2012-02-27 | 2014-02-06 | 주식회사 디오시스템즈 | 리모컨 |
KR20150085396A (ko) * | 2014-01-15 | 2015-07-23 | 한상현 |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
KR102180169B1 (ko) | 2017-05-19 | 2020-11-18 | (주)아이티버스 | 스마트 컨트롤러 |
-
2019
- 2019-04-10 KR KR1020190042113A patent/KR10223694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5949B1 (ko) * | 2012-08-24 | 2014-08-05 | (주)아이티버스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KR101845975B1 (ko) * | 2016-10-26 | 2018-05-18 | (주)에이치더블유엘 | 다이얼 리모콘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048251A1 (ko) * | 2023-08-31 | 2025-03-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돌출 영역이 마련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9643A (ko) | 2020-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333090B2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 |
US7339577B2 (en) | Input device capable of button input and coordinate input on the same operating surface | |
EP2023233B1 (en) | Input device | |
AU2007279515B2 (en) | Data input device | |
US7321361B2 (en) | Coordinate input device having non-flat operation surfa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102236945B1 (ko) |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
US20020196239A1 (en) | Joy-dial for providing input signals to a device | |
US7737374B2 (en) |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ame | |
CN105049570A (zh) | 一种多功能手机旋转按钮结构 | |
KR101073218B1 (ko) | 터치패드모듈 | |
JP2008153233A (ja) | 入力装置及び移動端末 | |
US11366533B2 (en) | Four-dimensional touch pad module | |
KR101106278B1 (ko) |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 |
JP2011517833A (ja) | 携帯用端末機の多方向スライド入力装置 | |
KR102468942B1 (ko) |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 |
KR100718988B1 (ko) | 전자기기의 입력장치 | |
JP4729991B2 (ja) | 電子機器 | |
JP3926590B2 (ja) | 座標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 |
KR102187092B1 (ko) | 포스 센서 스위치를 이용한 제스처 감지 장치 | |
KR20070041094A (ko) | 방향 감지용 버튼 구조 | |
KR102176089B1 (ko) | 신호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
CN101490778A (zh) | 用于光标控制的简单多向键 | |
KR20110103313A (ko) | 입력 장치 및 전자 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