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822A - 무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55822A KR20040055822A KR10-2004-7008330A KR20047008330A KR20040055822A KR 20040055822 A KR20040055822 A KR 20040055822A KR 20047008330 A KR20047008330 A KR 20047008330A KR 20040055822 A KR20040055822 A KR 200400558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er
- connection
- service request
- party
- terminal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당사자들(12.1, 12.2)간에 선택된 베어러(25)를 사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10, 11)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두 당사자들 중 한 당사자(12.1)는 그 자체로 알려져 있고 적어도 하나의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14)이 구비된 이동국 단말기(13.1)를 가진, 서비스 요청을 행하는 당사자이고, 다른 당사자(12.2)는 서버 환경이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제어부(20) 및 상기 액세스 제어부와 관련하여 준비된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부(dB)(22)를 포함하는 동작 감시 기능; 서버 환경 관리 기능(19);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들(23); 및 상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송신될 정보(18.1, 18.2, 18.3)가 준비되어 있는 이동국 단말기(13.2)를 구비하는, 상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는 당사자이다. 적어도 상기 서버 환경(13.2)과 관련하여 접속 설정 및 제어 기능(24)은 선택된 패킷-교환 정보 베어러(10, 11)를 통해 접속을 준비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이동국 단말기 환경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접속 가입자의 공개적이거나 개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저장하기 위한 어떤 사용자-친화적이고 단순한 방법에 의해 구현된 방법들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유형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몇몇의 매우 단순한 해법들이 알려져 있지만, 그들은 그 자체로 어렵다. 상기 단말기 장치의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는 예를 들어 접속 가입자에 의해 수신된 짧은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들과 같은 개인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장치의 메모리는 또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저장된 데이터는 OTA(Over the Air) 원격 동작으로서 상기 단말기 장치의 전화 메모에 의해 또는 PC 접속 기능들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목적에 적합한 단말기 장치들에 이용가능한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서비스들은 예를 들어 설정된 주소로부터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하도록 허용하는 이동국 기술에서 이전에 알려져 있는 기술을 나타낸다. 그 수와 응용 분야가 끊임없이 성장하고 있는 WAP 서비스의 이용은 상기 단말기 장치에 준비된 WAP 표준에 따른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을 대신한다.
WAP은 프로토콜들의 집합이고, 그 프로토콜의 하나의 목적은 무선 통신을 후원하는 것이다. WAP은 SMS, 비구조화 보충 서비스 데이터(USSD: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s Data), 회선 교환 데이터(CSD: Circuit Switched Data) 및 예를 들어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등과 같은 패킷 교환 베어러들과 같은 이동 네트워크 기술에서의 다양한 베어러들 뿐만 아니라 이동국들, 스마트 폰 및 PDA(개인 디지털 보조 장치) 장치와 같은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 장치들을 배려하도록 설계된다.
기존의 WAP 기술에서 이동국 단말기 장치의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 장치의 WAP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이동 네트워크를 통해 가능한 WAP 게이트웨이로 중계된 서비스 요청을 접속 설정에 정의된 주소로 전송한다. 상기 WAP 게이트웨이는 상기 서비스 요청을 무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이해되는 형태에서 예를 들어 인터넷에 위치한 WWW 서버에 의해 이해되는 형태로 구체화하고 추가로 그것을 상기 요청의 대상에 대응하는 당사자의 WWW 서버로 중계한다. 기존의 인터넷 프로토콜들이 상기 WAP 게이트웨이와 상기 WWW 서버간에 사용된다. 어떤 WAP 게이트웨이도 갖고 있지 않은 해법들은 예를 들어 WAP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가지고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WAP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정보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장치의 WAP 브라우저에 의해 직접 다운로드될 수 있다.
하지만, WAP 서버들은 아주 크고 집중화된 해법들로서 구현되고, 그들은 주로 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뉴스 및 날씨 예측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품 및 서비스 거래를 위해 사용된다.
이동국들의 사적인 사용자들은 또한 예를 들어 그들 자신들의 WAP 홈페이지들을 통해 자신들에 대한 공개적인 정보를 제공할 가능성을 갖는다. 이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의해 유지되는 WWW 서버에서 준비될 수 있는데, 그것은 WAP 단말기 장치 사용자들에 의해 예를 들어 단말기 장치의 WAP 브라우저로 브라우징될 수 있다. 심지어 그때에도 페이지들을 브라우징하는 것은 가능한 WAP 게이트웨이에 의해 상술된 방식으로 발생한다. 하지만, 심지어 그때에도 시스템은 서버에 강력하게 집중되는데, 정보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를 위해 그것의 갱신 능력은 어렵고 특히 결과로서 생기는 접속 비용으로 인하여 브라우저의 관점에서 그것은 또한 불리하다. 더욱이, 공개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예를 들어 WAP 페이지들을 연구하는 노련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상기에 제공된 이들 제공 방법 이외에, 무선 단말기 장치들에 준비된 특정 서버 기능들이 또한 개발되었다. WO 공보 01/84871은 소정의 가입자 아이덴티티가 사용자의 개인 WEB 페이지에 참가하는 해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개인적인 사용자 정보만이 서버를 사용하여 제공된다. 상기 구현의 기술적인 특징들은 동시에 단지하나의 단말기 장치에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게 하거나, 다수의 접속 당사자들을 가진 경우 적어도 본질적으로 준비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이 경우에 또한 신뢰성 및 데이터 보안(인증)에 관하여 해결되지 않은 단점들이 남아 있다. 다른 한편으로, 회선 교환 구현에 기반한 이러한 시스템은 또한 기존의 이동국 기반 구조에 매우 의존한다.
공보 EP - 0 918 423 A2는 또한 이동국 단말기에 준비된 WEB 서버를 제공한다. 이 경우 또한 상기 서버의 동작은 상기 이동국 기반 구조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접속은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예를 들어 이동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다른 단말기 장치로부터가 아니라 인터넷 상에 준비된 중앙 기계(예를 들어 의료 서비스 또는 자동차 수리점의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와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된 이 정보(예를 들어, 그 데이터 크기가 다소 작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의 특징 때문에 상당한 비용이 발생할 것인데, 이것은 접속이 각 데이터 전송 세션동안 상기 장치들간에 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상기 서버는 몇몇 당사자들이 상기 서버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과 동시 접속하는 것을 적어도 매우 쉽지 않게 허용하지 않는데, 이것은 접속들의 차이를 안전하게 하는 것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기 때문일 것이다. 양쪽 공보의 경우 이것은 예를 들어 P2P 애플리케이션들의 성능과 관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 당사자들간에 선택된 베어러를 사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두 당사자들 중 적어도 한 당사자는 그 자체로 알려져 있고 적어도 하나의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준비된 가능한 접속 설정이 구비되는 이동국 단말기를 가진, 서비스 요청을 하는 당사자이고, 다른 당사자는 서버 환경이 구비되며,
-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제어부 및 상기 액세스 제어부와 관련하여 준비된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부(dB)를 포함하는 동작 감시 기능,
- 상기 서버 환경을 위한 관리 기능,
-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들 및
- 상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될 정보가 준비된 이동국 단말기를 구비하는, 상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는 당사자이며,
- 가능한 접속 설정에 따라 자신의 단말기 장치를 가지고 상기 서비스 요청을 행하는 상기 당사자는 상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는 상기 당사자의 상기 서버 환경과 접속을 설정하고,
- 상기 서버 환경은 상기 서비스 요청을 행하는 상기 당사자를 선택된 방식으로 식별하며,
- 상기 서비스 요청을 행하는 상기 당사자는 자신의 단말기 장치를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행하고,
- 상기 서버 환경은 상기 서비스 요청을 해석하며, 대응하는 콘텐츠를 구성하여 그것을 상기 서비스 요청을 행하는 상기 당사자의 상기 단말기 장치로 송신하고,
- 상기 서비스 요청을 행하는 상기 당사자는 자신의 단말기 장치로 상기 정보를 수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적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구현하는 단말기 장치의 논리 구성 요소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서버 환경이 범위 밖에 있는 경우 정보 제공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에드 혹 구현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본질적으로 더 단순하고, 더 유리하며 더 사적인 시스템을 야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특징들은 청구항 1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이동국 단말기로 서버 환경이 구비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데, 상기 서버 환경을 가지고 다른 이동국 사용자들은 무선 패킷 교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들의 적용가능한 단말기 장치들과 접속할 수 있다.
더 진보된 실시예에 의하면, 단거리에서 무선 랜 기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또는 WLAN(무선 랜)과 같은 베어러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 장치로의 정보의 전송 그리고 상기 단말기 장치로부터 상기 서버로의 정보의 전송은 이에 의하여 전적으로 이동 네트워크와 상관없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말기 장치들은 이에 의하여 비구조화된 에드 혹(ad hoc) 네트워크로서 자신들을 구성할 수 있다.
단말기 장치들간의 통신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가지고 아주 새로운 방식이 달성된다. 상기 단말기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쪽으로 일어나는 데이터 전송 이외에, 또한 상대편 당사자는 이제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더욱이,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말기 장치가 범위 밖에 있을 때, 접속은 어떤 다른 곳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호출하는 당사자에게는 예를 들어 호출되는 당사자에게 메시지를 남기거나 재 호출 요청을 하기 전보다 훨씬 더 많은 다방면의 가능성이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에 제공하기 위해 준비된 콘텐츠는 또한 어떤 다른 곳에 제공된다. 게다가, 상기 시스템과 관련하여 효율적인 검색 서비스를 준비하는 것이 가능한데, 검색 동작들은 상기단말기 장치들에 의해 배포된 콘텐츠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을 가지고 달성되는 부가적인 이점들은 분산된 서버 기능과 따라서 콘텐츠의 용이한 갱신과 최신의 중앙-서버-기반 시스템 및 일반적으로 이동국 기반 구조의 독립성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상기 에드 혹(ad hoc) 유형의 네트워킹과 같은 단말기 장치들의 네트워킹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가지고 달성되는 다른 부가적인 이점들은 설명 부분에 나타나고, 반면에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나타난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하기에 제공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이 무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10)에서 사용되는 방법의 적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들(12.1 - 12.5)은 예를 들어 WAP 표준을 지원하는 단말기 장치들(13.1 - 13.5)을 구비한다. 상기 예에 의한 이동국들,PDA 단말기 장치들 또는 대응하는 유형의 "스마트 폰들"일 수 있는 상기 단말기 장치들(13.1 - 13.5)은 예를 들어 GSM 네트워크(10)와 같은 이동 네트워크의 세력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그들은 그 자체로 알려져 있는 패킷 교환 베어러들에 의해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s) 및 CDMA2000 1x는 이러한 베어러들의 예를 나타낸다. 지금 개발중인 다른 IP 기반 차세대 이동 통신망(ALL-IP) 구현들이 또한 가능하다(3G).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 단말기들(13.1 - 13.5)에는 또한 예를 들어 블루투스 접속(11)과 같은 랜 통신 특징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들(12.1 - 12.5)은 반드시 상기 이동 네트워크(10)의 통신 가능 구역내에 위치할 필요가 없다. 상기 블루투스 접속(11)의 통신 가능 구역은 오늘날 대략 10 미터인 단말기 장치들(13.1 - 13.5)의 근접 구형 영역이다. 근거리로부터의 통신을 허용하는 베어러의 다른 예는 오늘날 100 미터의 필드 세기를 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WLAN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구현하는 이동국 단말기(13.2)의 논리 구성 요소들을 도시하고 그들의 상호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서 핵심은 내장된 서버 환경을 상기 이동국 단말기(13.2)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기 예에서, 상기 단말기 장치(13.2)에 의해 작동되는 서버 환경은 무선 이동 장치들을 위해 설계된 콘텐츠 제공 표준인, WAP 프로토콜에 따라 형성된다. 기존의 콘텐츠 제공 방법들 또는 개발중인 방법들이 물론 또한 가능하다.
WAP 서버로서 기능하는 상기 단말기 장치(13.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16)를 포함하는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들(12.1, 12.3 - 12.5)은 상기 단말기 장치(13.2)를 위해 준비된 콘텐츠들 및 기능들에 관한 서비스 요청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6)와 관련하여 또한 예를 들어 WAP 또는 WEB 브라우저(내장된 클라이언트)와 같은,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2)에 내장된 WAP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14)이 존재한다.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14)은 또한 예를 들어 사용될 데이터 전송 포맷을 결정하는 세션 계층에 따라 텍스트-기반일 수 있다. 또한 객체 요구 매개자(ORB: Object Request Broker)와 같은, 자바(JAVA) 애플리케이션 또는 메시지 라우터 구현은 가능한 브라우저 실시예들(미도시)이 될 수 있다.
상기 WAP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14)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2)의 가입자(12.2)의 주소 메모(dB)(15)가 존재하는데, 어떤 관련된 접속 설정들 뿐만 아니라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2)의 사용자(12.2)의 선호하는 링크들이 저장된다. 더욱이,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14)과 관련하여 상기 단말기 장치(13.2)의 전송 및 네트워크 프로토콜 모듈들(23)이 존재하고 이들과 관련하여 이용가능한 패킷 교환 베어러들(25)에 대한 데이터 전송 루틴들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접속 제어 및 설정 모듈들(24)이 존재한다.
접속(24)을 설정하기 위하여 핸드셰이킹하는 당사자의 식별을 허용하는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상기 점 대 점 프로토콜(PPP: Point-to-Point Protocol)은 이러한 프로토콜의 예로서 언급될 수 있다. PPP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사용자 아이덴티티 및 패스워드에 기반한 패스워드 인증 프로토콜(PAP: Password Authentication Protocol) 또는 챌린지 핸드셰이크 인증 프로토콜(CHAP: 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은 사용될 베어러(25)에 따라 인증 방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인증 프로토콜들로부터의 지원으로,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2)는 안전하게 모든 표준-기반 네트워크들에 접속될 수 있고, 성능 파워는 여전히 최적으로 유지된다. 인증 후에, 접속이 설정되고 그것은 예를 들어 상기 접속의 소켓 인터페이스에서 제어된다.
상기 접속 및 제어부(24)에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결합된 VPN/방화벽 기능(24.1)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 내장된 서버 애플리케이션(19)과 본질적으로 분리된 이러한 기능을 가지고, 단말기 장치들간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특히 안전한 상태가 야기되는데, 몇몇 단말기 장치들(13.1, 13.3 - 13.5)은 상기 서버(13.2)에 의해 제공되는 자원들내에서 서버로서 기능하는 상기 단말기 장치(13.2)의 상이한 서비스들(18.1 - 18.3)에 동시에 접속될 수 있다.
전송 및 네트워크 프로토콜들(23)은 상기 데이터 전송을 맡는다. 이들은 예를 들어,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및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UDP/IP: User Datagram Protocol/Internet Protocol)과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들 또는 아마도 WAP 트랜잭션 프로토콜(WTP: WAP Transaction Protocol) 및 WAP 데이터그램 프로토콜(WDP: WAP Datagram Protocol)과 같은 WAP 프로토콜이다. 원칙적으로, 상기 IP 주소들은 상기 단말기 장치들(13.1 - 13.5)간의 서비스 요청들의 어드레싱에 중요하지 않다. 이에 의하여 단말기 장치가 다른 단말기 장치와 접속할 때, 어떤 것(예를 들어 디폴트/임시 IP 주소)이 사용되고 있는 한 어떤 IP 번호가 사용되는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어 에드 혹(ad hoc) 네트워크에서 호를 라우팅하기 위하여 IP 주소가 사용될 때 그것은 상기 단말기 장치(13.1 - 13.5)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단말기 장치(13.2)의 서버 및 관리 기능은 내장된 서버(19)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그것을 사용함으로써 구현된다. 또한 이것에 연결된 것은 이미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14)과 관련하여 언급된 서비스 인터페이스(17), 액세스 제어부(20)와 접속 제어/설정 기능(24) 및 전송/네트워크 프로토콜들(23)이다.
상기 액세스 제어부(20)에 연결된 것은 또한 가능한 로그 파일(21)인데,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2)의 예를 들어 접속 설정, 수신된 서비스 요청 및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2)로 행해진 데이터 전송들과 같은 이벤트들이 입력된다. 상기 액세스 제어부(20)는 또한 예를 들어 서버(13.2)와 접속을 설정할 자격이 있는 당사자들, 그들의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와 또한 그들의 주소들 및 접속 매개 변수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dB)(22)를 구비한다. 제공된 서비스들은 또한 충분한 사용하고 있지 않은 자원들이 상기 서버 애플리케이션(19)을 작동시키는 상기 단말기 장치(13.2)에서 이용가능한지에 따라 접속 및 사용자에 대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누가 상기 서버와 접속할 권리를 갖고 있는지, 서버(13.2)와 접속된 각 당사자(12.1, 12.3 - 12.5)가 어떤 유형의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기 위하여 액세스되는지, 그리고 예를 들어 누가 상기서버(13.2)로 데이터를 전송할 권리를 갖고 있는지와 같은 권리들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데, 이것은 이에 의하여 상기 접속 비용의 일부가 서버(13.2)의 가입자(12.2)에 의해 지불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내장된 브라우저 및 서버 애플리케이션(14, 19)은 서비스 인터페이스(17)와 관련하여 준비된다. 상기 서버 애플리케이션(19)은 상기 단말기 장치(13.2)에 상이한 포맷으로 도착할 수 있는, 그것에 송신된 서비스 요청에 응답한다. 서버 애플리케이션(19)은 서비스 인터페이스(17)를 통해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집하고 응답으로서 호출하는 단말기 장치로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콘텐츠 또는 기능을 전송한다.
공용 데이터(접촉 정보를 갖는 방문 카드)와 같은 예를 들어 사용자(12.2)에 의해 의도된 데이터(18.1)가 제공되는 콘텐츠는 상기 서비스 인터페이스(17) 뒤에 준비된다. 더욱이, 서버(13.2)에 접속된 다른 당사자들(12.1, 12.3 - 12.5)에 의해 그들 자신의 단말기 장치들(13.1, 13.3 - 13.5)을 가지고 원격 시동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17) 뒤에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국 애플리케이션들(18.2)의 예들은 상기 단말기 장치(13.2)의 백라이트의 섬광 또는 디스플레이상의 이미지의 출력이다. 더욱이, 사용자들간에 활성화될 수 있는 채팅 접속과 같은, 인터페이스(17) 뒤의 P2P 애플리케이션들(18.3)(동등 대 동등 컴퓨팅)이 존재할 수 있다. 이들 P2P 애플리케이션들의 구현의 관점으로부터 명백하게 상기 접속 설정 및 제어 모듈들(24)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은 패킷 교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들(10, 11)에서 특히 상기 시스템의 기능화를 허용한다.
공용 사용자 정보(18.1)는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6)와 직접 관련하여 준비될 수 있어서, 그것은 어떤 액세스 제어 루틴들(20)없이 "외부인들"에 의해 브라우징될 수 있다.
마크업 언어-기반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할 때, 상기 서비스 인터페이스(17)는 예를 들어, 스크립트들, 자바(JAVA) 또는 URL-제어 파일들 및 서비스 개시들을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2)가 어떤 명령열들을 식별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공식적인 명령 스트링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통 객체 요구 매개자 구조(CORBA: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에 의한 원격 호들이 이용될 수 있는데, 상기 객체 요구 매개자 코어는 상기 호를 해석될 수 있는 명령으로 중계한다.
도 3은 접속을 설정하려고 하는 호출 당사자(12.1)가 어떤 이유로 호출된 당사자(12.2)의 단말기 장치(13.2)에서 접속이 성공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유리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예를 들어 호출된 당사자(12.2)의 단말기 장치(13.2)가 전적으로 꺼져 있거나 그것이 제공하는 자원들이 모두 적재된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응용 예에 의하면,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예에 의한 경우에 GSM 네트워크(10)와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의 이동 서비스 교환국(MSC: 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re)은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2)가 범위 밖에 있거나 통화 중이라는 것을 탐지한다. 상기 교환국은 그 자체로 알려진 유형의 전환 서비스를 활성화할 것이고, 그것에 의해 접속 설정 시도는 예를 들어 인터넷 오퍼레이터 즉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의해 유지되는 원격 서버(26)로 전환된다.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2)로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시도가 WAP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14)이 구비된 단말기 장치(13.1)를 가지고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환 서비스는 상기 ISP에 대해 구현된다. 예를 들어, 호출되는 당사자(12.2)의 WAP 홈페이지는 이에 의하여 상기 호출 당사자(12.1)의 단말기 장치(13.1)의 WAP 브라우저에서 상기 ISP의 원격 서버(26)로부터 다운로드된다. 유사하게, 상기 호출 당사자(12.1)가 메시지들/패킷들을 수신하도록 이용가능하지 않은 서버 단말기 장치(13.2)로 메시지들/패킷들을 송신하려고 한다면, 그들은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ISP의 원격 서버(26)로 전환될 수 있고, 그다음 예를 들어 다음 동기와 관련하여 그들은 (유사하게 예를 들어 SMS 서비스에서와 같이)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2)로 전송될 것이다.
이에 의하여 상기 원격 서버(26)에 준비된 것은 적어도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2)의 가입자-보유자(12.2)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dB)(22') 및 공개 제공을 위해 설정된 사용자 데이터(18.1')이다. 이들은 예를 들어 설정된 간격 또는 어떤 다른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2)로부터 상기 원격 서버(26)로 동기된다.
더욱이, 원격 서버(13.2)에 준비된 기능은 특히 ISDN 번호 및 IP 주소에 대한 연결 기능 뿐만 아니라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2)의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액세스 제어 및 동기 기능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ISP는 예를 들어 VoIP(IP를 통한 음성) 게이트웨이로서 기능할 수 있고, 인터넷(28)을 통해 중계된 호는 상기원격 서버(26)에 도착하고 단말기 장치(13.2)의 사용자(12.2)는 데이터 네트워크(10)와 접속된다.
더욱이, ISP는 또한 상기 P2P 원리에 따라 기능하는 다양한 검색 및 네트워킹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을 야기하기 위하여, 결정된 인터페이스는 몇몇 ISP들(26, 29)간에 준비되어야 한다. 상기 서비스들은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실제 로컬 검색이 수행되는, 상이한 ISP들(26, 29) 또는 서버 단말기 장치들(13.1 - 13.5)의 콘텐츠/애플리케이션 인덱스 정보를 동기시키는 서버 에이전트들, 즉 서번트들(servents)(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ISP들은 그들간에 인덱스 정보를 이동시키는 상호간에 비구조화된 에드 혹(ad hoc) 네트워크로서 기능한다. 많은 WAP 페이지들이 상기 ISP와 관련하여 준비된 상기 원격 서버(26)에 저장되는 경우, 예로서 사용자 정보로부터 검색 서비스를 언급할 때, 예를 들어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기술과 유사한 방식으로 검색 서비스들을 준비하는 것이 무선 마크업 언어(WML: Wireless Markup Language)로 된 그들의 페이지들에서 가능하다.
도 4는 패킷 교환 블루투스(11) 또는 무선 랜(WLAN)과 같은 무선랜 기술을 사용하여 에드 혹 구현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무선 에드 혹 구현은 비구조화되어 있고 그안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 장치들(13.4 - 13.8)은 어떤 고정된 물리 네트워크 구조없이 서로 논의한다. 상기 에드 혹 구현(11)에 있어서 각 단말기 장치(13.4 - 13.8)는 상기 단말기 장치들(13.4 - 13.8)의 상기 접속 설정 및 제어부(24)에 준비된, 서로의 트래픽을 중계하는데 요구되는 경우 강요된다. 상기 단말기 장치(13.5)는 예를 들어 서로의 통신가능 범위 바깥에 위치한 두개의 단말기 장치들(13.4, 13.7)이 서로 논의하기를 원하는 경우, 라우터가 된다. 이에 의하여 이들 두개 사이에 위치한 단말기 장치들은 그들간에 트래픽을 중계해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 한 단말기 장치로부터 다른 단말기 장치로의 경로가 셀룰러 네트워크와 상이하게 몇몇 링크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기지국 송수신기는 항상 이동하는 단말기 장치와 직접 링크를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단말기 장치(13.7)는 상기 단말기 장치들(13.5, 13.6) 및 그것의 통화 가능 구역내에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13,8)와 접속되어 있는데, 그것을 통해 예를 들어 인터넷(28)과의 접속이 존재한다. 상기 단말기 장치(13,7)는 그것의 이웃하는 단말기 장치들(13.5, 13.6)을 조사하고 능동적으로 경청한다. 네트워크(11)로 전송된 IP 주소가 이웃하는 단말기 장치(13.5, 13.6)와 호환하는 경우, 그것은 액세스 포인트(13.8) 또는 인터넷(28)이 아니라 상기 IP 주소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로 직접 중계될 것이다.
상기에 의하면, 상기 단말기 장치들은 서버 기능(19) 이외에, 특히 무선 랜(11)의 경우, 예를 들어 접속 설정 및 제어 모듈(24)에서 구현될 수 있는 게이트웨이 유형의 기능을 포함한다.
어떤 최신 액세스 포인트(13.8)없이 서로에 대한 검색 동작 및 네트워크의 연결은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활성 서버 에이전트들 또는 서번트들이 서비스 요청의 분배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의 하나의 예는 동등 대 동등 네트워크 구현에 기초한 그누텔라(Gnutella) 유형의 파일 교환 네트워크, 즉어떤 유형의 검색 서비스 조직이다. 이러한 상기 그누텔라 유형의 구현 방식은 어떤 실제 중앙 유닛없이 단말기 장치들간에 파일 분배를 허용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어떤 식으로든 서버-지향 구현에서 발생하는 바와 같은 "네트워킹의 기점"을 제공하거나 특정화하지 않지만, 그것은 요구되는 정의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에서 각 당사자에 달려있다. 상기 구현은 또한 상기 서비스 요청이 상기 네트워크의 어떤 부분으로부터 송신되고 있는지를 어떤 방식으로 특정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이것은 단순한 방식으로 발생하는데, 이것은 상기 서비스 요청이 서로 경청하는 통화 가능 구역내에 위치한 단말기 장치들로 송신되기 때문이다.
파일 시스템에서의 분배의 특정화 이외에,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들 및 일반적으로 몇몇 단말기 장치들을 위해 준비된 기능을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정이 그러하여 '콘텐츠'라는 용어는 사실 매우 넓게 이해될 수 있다. 이것은 이동국 단말기의 내장된 서버가 상기 서버 기능의 원격 사용만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WML 마크업 언어의 해석 및 이동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서비스 인터페이스로서 준비된다는 사실을 가능하게 한다.
GPRS 및 WLAN 베어러들의 경우에, 구현 방식은 단말기 장치들간에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10, 11)에 준비된 서비스 제공자(서버)일 수 있다. WLAN의 경우, 이것은 정확하게 상술된 "액세스 포인트"이고, GPRS의 경우 예를 들어 이동 서비스 교환국에 준비된 서버이다.
하기에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동작이 응용 예로서 설명될 것인데, 두개의단말기 장치들은 블루투스(11)와 같은 무선 랜 접속 및 GPRS 베어러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허용하는 GSM 네트워크(10)와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도 1의 우측 절반은 블루투스 접속을 사용하는 단말기 장치들간의 접속 설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WAP 브라우저 및 BT 접속 특징이 구비된 단말기 장치의 사용자(12.4)는 자신의 단말기 장치(13.4)의 통화 가능 구역내에 블루투스 특징이 구비된 이러한 다른 단말기 장치들이 존재하는 지를 아는 것에 관심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단말기 장치에 구비된 상술된 WAP 서버 환경은 아마도 작동한다. 이 문제는 사용자(12.4)가 자신의 단말기 장치(13.4)에서 조사하는 상기 단말기 장치상에서 스위칭하는 방식으로 검사되는데, 이것은 아마도 상기 BT 특징이 구비된 이러한 다른 단말기 장치(13.5)를 발견할 것이고, 상기 서버 환경이 그안에서 발견되는 경우 이것을 가지고 사용자(12.4)는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접속 설정이 시도될 때 호출되는 서버 단말기 장치(13.5)의 액세스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 장치(13.5)의 데이터를 위한 사적 기밀 레벨의 선택에 사용되는, 로그인 사용자(12.4)의 블루투스 인증 또는 PIN 부호 또는 원격 액세스 서버(RAS: Remote Access Server) 패스워드를 요구하도록 활성화된다. 상기 RAS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결과로서 생기는 통신 비용의 일부에 관여하기 위하여 호출되는 당사자(13.5)의 수락이 준비될 수 있다. 정확한 PIN 부호가 입력되면, 상기 호출 당사자(12.4)는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5)의 소유자(12.5)에 의해 그것에 허가되는 그것의 가능한 사적 저장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시된 상기 PIN 부호가 틀린 경우, 예를 들어 서버 단말기 장치(13.5)의 공용 저장 영역으로 접속이 전환될 것이다. 데이터는 WML 포맷으로 되어 있는 상기 단말기 장치(13.4)의 WAP 브라우저에 의해 상기 저장 영역을 통해 브라우징될 수 있고 상기 저장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 장치(13.5)의 소유자(12.5)에 의해 설계되고 생성되는데, 그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단말기 장치(13.5)는 또한 제공될 콘텐츠에 대해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패킷(미도시)을 포함한다. 이것은 만들어져 있는 콘텐츠 기반, 페이지 모델들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해 생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또한 WML 생성기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우징된 대상들은 예를 들어 소유자(12.5)의 홈페이지들, 선호하는 링크들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말기 장치(13.5)는 애플리케이션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해제를 요구하는 만들어져 있는 CGI 스트립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채팅, 게시판, 파일 다운로드 같은, 더 진보된 서비스들이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5)에 이용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 영역은 또한 자기 자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어 자바(Java) 미들렛(middlet)에 의해 구현되는 파일 관리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예를 들어 도 1의 좌측 절반에서와 같이, GSM/GPRS 접속 설정 방법을 사용할 때, 상기 접속은 호출 당사자(12.1)에 의해 행해진 호출에 의해 개시된다. 이것은 소위 WAP 호출일 수 있는데, 상기 단말기 장치(13.1)는 사용자(12.1)를 위해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14)을 시작할 것이다. 상기 패스워드는 요청되고, 그다음 이용가능한 기능 대안들이 상기 단말기 장치(13.1)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이들은 예를 들어 "음성 호를 NN에 접속하라", "내 홈페이지를 보아라", 내 달력에서 미팅 시간을 예약하라" 등 일 수 있다. 상기 호출 당사자의 WAP 브라우저에 우선 다운로드될 WML 페이지는 패스워드가 정확하든지 잘못되었든지, 그에게 허락된 사적 기밀 레벨 또는 그에게 주어진 패스워드에 의존한다. 그다음 동일한 서비스들이 상술된 BT 접속에서와 같이 이용가능해질 것이다. 그의 단말기 장치에 상기 서버 특징을 소유하는 상기 호출된 당사자가 우연히 통화중이거나 다른 이러한 상황에 있는 경우, 보통의 전화 호는 또한 자동으로 WAP 호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호출 당사자(12.1)의 단말기 장치(13.1)에 준비된 기능은 그 자체로 알려진 유형의 단순한 브라우저 기능(14) 이외에, 또한 "클라이언트" 유형의 일종의 기능을 포함하는데, 그것은 또한 통신 세션의 설정, 단말기 장치들에 제공된 서비스들의 사용 및 동시에 자기 자신의 단말기 장치(13.1)의 서비스의 해제를 맡는다. 이 기능은 무선 랜 구조의 경우에 명백히 특별하게 중요한데, 이것은 접속의 유지 보수가 전적으로 상기 랜을 형성하는 단말기 장치들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이 기능은 상기 단말기 장치들에 의해 형성된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10, 11)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어떤 유형의 서비스 제공자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의 소유자(12.1)는 다른 당사자(12.2)가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수행할 때 통보받을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상기 서버단말기 장치(13.1)의 디스플레이상에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를 소유하는 당사자(12.1)는 그가 접속을 끊고 싶다면, 그의 단말기 장치 서버(13.1)에 접속된 상기 당사자(12.2)의 접속을 끊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특히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1)의 소유자(12.1)가 상기 접속 비용을 분담해야 하는 경우 사실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가지고 본질적으로 신뢰성있고 안전한 데이터 전송이 단말기 장치에 준비된 서버 및 필요한 기능들을 포함하는 그것에 접속된 이러한 하나 이상의 단말기 장치들간에 달성된다. 상기 서버(19)로부터 본질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된 접속 제어 및 설정 구성요소(24)를 사용하여 신뢰성있는 접속을 설정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 및 무선 랜에서 본질적으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게이트웨이 및 VPN/방화벽 유형의 기능이 야기된다.
상기한 설명 및 그것과 관련된 도면들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단지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임은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 제공된 실시예들 또는 청구항들에 정의된 것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진보적인 아이디어의 범위내에서 가능한, 본 발명의 많은 이러한 유형의 변경 및 변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5)
- 적어도 두 당사자들(12.1, 12.2)간에 선택된 베어러(25)를 사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10, 11)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두 당사자들 중 한 당사자(12.1)는 서비스 요청을 행하며, 그 자체로 알려져 있고 적어도 하나의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14) 및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준비된 가능한 접속 설정이 구비되는 이동국 단말기(13.1)를 가지며, 반면에 다른 당사자(12.2)는 상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고 서버 환경이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제어부(20) 및 상기 액세스 제어부와 관련하여 준비된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부(dB)(22)를 포함하는 동작 감시 기능,- 서버 환경 관리 기능(19),-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들(23) 및- 상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송신될 정보(18.1, 18.2, 18.3)가 준비된 이동국 단말기(13.2)를 가지며,- 가능한 접속 설정에 따라 자신의 단말기 장치(13.1)를 가지고 상기 서비스 요청을 행하는 상기 당사자(12.1)는 상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는 상기 당사자(12.2)의 상기 서버 환경(13.2)과 접속을 설정하고,- 상기 서버 환경(13.2)은 상기 서비스 요청을 행하는 상기 당사자(12.1)를 선택된 방식으로 식별하며,- 상기 서비스 요청을 행하는 상기 당사자(12.1)는 자신의 단말기장치(13.1)를 사용하여 서비스 요청을 행하고,- 상기 서버 환경(13.2)은 상기 서비스 요청을 해석하며, 대응하는 콘텐츠를 구성하여 그것을 상기 서비스 요청을 행하는 상기 당사자(12.1)의 상기 단말기 장치(13.1)로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을 행하는 상기 당사자(12.1)는 자신의 단말기 장치(13.1)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적어도 상기 서버 환경(13.2)과 관련하여 접속 설정 및 제어 기능(24)은 선택된 패킷-교환 정보 베어러(10, 11)를 통하여 접속을 준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환경(13.2)은 WAP 표준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10)는 이동 네트워크이고, 상기 베어러는 예를 들어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접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술에 기반한 것과 같은 무선 랜(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11)는 예를 들어 에드 혹(ad hoc) 네트워크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구조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어 및 설정 기능(24)은 하나의 부-기능으로서 게이트웨이 구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을 설정하는데 사용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예를 들어, 점 대 점 프로토콜(PPP: Point-to-Point Protocol))은 상기 서비스 요청을 행하는 상기 당사자의 식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인터넷 또는 WAP 프로토콜이 상기 전송 및 네트워크 프로토콜(23)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별을 위해 예를 들어 인증 부호 또는 블루투스 기술의 PIN 부호가 사용되거나 원격 액세스 서버(RAS: Remote Access Server) 패스워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은 결과로서 생기는 통신 비용의 적어도 일부에 관여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는 상기 당사자(12.2)를 수락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설정 및 제어 기능(24)은 부-기능으로서 VPN 구현(2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환경(13.2)은 상기 정보(18.1)에 의해 제공될 상기 정보(18.1)에 대한 것을 생성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는 상기 당사자(12.2)의 상기 단말기 장치(13.2)가 통신가능 범위 바깥에 있는 상태일 때, 상기 접속은 상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는 상기 당사자(12.2)에 의해 설정된 식별자로 전환되고, 상기 식별자는 예를 들어 콘텐츠(18.1') 및 사용자 데이터(22')가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13.2)로부터 동기화되어, 상기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10)와 관련하여 준비되는 원격 서버(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는 상기 당사자(12.2)에 의해미리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요청을 행한 상기 당사자(12.1)의 상기 단말기 장치(13.1)에서 상기 원격 서버(26)로부터 다운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서버들(26, 29)과 관련하여 검색 및 네트워킹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 단말기 장치들(13.1 - 13.5)의 동기화된 콘텐츠/애플리케이션 인덱스 정보를 서버 에이전트들(서번트(servent))(30)에 의해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I20015050A FI20015050A (fi) | 2001-12-13 | 2001-12-13 | Järjestelmä langattomassa tiedonsiirtoverkossa informaation siirtämiseksi |
FI20015050 | 2001-12-13 | ||
PCT/FI2002/001010 WO2003051012A1 (en) | 2001-12-13 | 2002-12-12 | System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5822A true KR20040055822A (ko) | 2004-06-29 |
Family
ID=856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08330A KR20040055822A (ko) | 2001-12-13 | 2002-12-12 | 무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시스템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050125547A1 (ko) |
EP (1) | EP1454469A1 (ko) |
KR (1) | KR20040055822A (ko) |
CN (1) | CN1602612A (ko) |
AU (1) | AU2002350772A1 (ko) |
FI (1) | FI20015050A (ko) |
WO (1) | WO2003051012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4311B1 (ko) * | 2004-10-22 | 2007-02-1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고속 휴대 인터넷 망에서의 이동 단말기간의 통신 지원방법 |
KR100735384B1 (ko) * | 2005-09-12 | 2007-07-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간에 부모-자식 관계 설정시스템 및 방법 |
KR100871198B1 (ko) * | 2005-03-07 | 2008-1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모바일 환경에서의 데이터 직접 억세스 서비스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0002572D0 (sv) * | 2000-07-07 | 2000-07-07 | Ericsson Telefon Ab L M | Communication system |
TWI269596B (en) * | 2002-07-31 | 2006-12-21 | Interdigital Tech Corp | Wireless personal communicator and communication method |
US20090075642A1 (en) * | 2003-10-27 | 2009-03-19 | Olli Rantapuska | Method and devices for relayed peer-to-peer communications between terminals in mobile networks |
US20060080555A1 (en) * | 2004-10-12 | 2006-04-13 | Mitac Technology Corp. | Data synchroniz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DAS |
GB2427978A (en) * | 2005-06-30 | 2007-01-10 | Nokia Corp | Setting up a direct link between peripheral and device in a WLAN |
WO2007104868A2 (fr) * | 2006-03-15 | 2007-09-20 | Anyware Technologies |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unication entre un equipement et un serveur |
US7992002B2 (en) * | 2006-07-07 | 2011-08-02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Data depository and associated methodology providing secure access pursuant to compliance standard conformity |
JP6001821B2 (ja) * | 2007-12-20 | 2016-10-05 |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 モバイル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テレマティクスサービスの提供 |
KR101587003B1 (ko) * | 2010-09-07 | 2016-01-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와이 파이 연결 확인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CN104427636A (zh) * | 2013-08-28 | 2015-03-18 | 京宏科技股份有限公司 | 无线通信系统与其设定方法 |
US11765052B1 (en) | 2022-03-11 | 2023-09-19 | T-Mobile Usa, Inc. | User equipment hosting for customizable 5G services |
KR20240039850A (ko) * | 2022-09-20 | 2024-03-27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관심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들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08915A (en) * | 1996-11-08 | 1998-09-15 | Hewlett-Packard Company | Method for reducing the memory required to simulating a circuit on a digital computer |
JP3141820B2 (ja) * | 1997-07-18 | 2001-03-07 | 日本電気株式会社 | アドホック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 |
EP0918423B1 (de) * | 1997-10-15 | 2004-03-10 | Nokia Corporation | Mobiles Telefon für Internet-Anwendungen |
US6154716A (en) * | 1998-07-29 | 2000-11-28 | Lucent Technologies - Inc. |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electronic circuits |
US6292798B1 (en) * | 1998-09-09 | 2001-09-1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data resources and protecting computing system resources from unauthorized access |
US6614774B1 (en) * | 1998-12-04 | 2003-09-02 | Lucent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mobile server and peer-to-peer services with dynamic DNS update |
WO2001041398A1 (en) * | 1999-11-30 | 2001-06-07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Accessing ad hoc bluetooth devices from a java application |
FI108592B (fi) * | 2000-03-14 | 2002-02-15 | Sonera Oyj | Laskutus langatonta sovellusprotokollaa käyttävässä matkapuhelinjärjestelmässä |
WO2001084871A1 (en) * | 2000-05-04 | 2001-11-08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Personal information server for a mobile phone |
US7278023B1 (en) * | 2000-06-09 | 2007-10-02 |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network acess and control enabling high availability, security and survivability |
US7072650B2 (en) * | 2000-11-13 | 2006-07-04 | Meshnetworks, Inc. | Ad hoc peer-to-peer mobile radio access system interfaced to the PSTN and cellular networks |
US6954790B2 (en) * | 2000-12-05 | 2005-10-11 | Interactive People Unplugged Ab | Network-based mobile workgroup system |
EP1421509A4 (en) * | 2001-08-07 | 2009-12-02 | Tatara Systems Inc | METHOD AND DEVICE FOR INTEGRATING CHARGING CALCULATION AND AUTHENTICATION FUNCTIONS IN LOCAL AND LARGE AREA WIRELESS DATA NETWORKS |
US7292587B2 (en) * | 2001-09-27 | 2007-11-06 | Inte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connectivity between arbitrary networks using a mobile device |
US7180875B1 (en) * | 2001-12-20 | 2007-02-20 | Meshnetworks, Inc. |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acro-diversity selection and distribution of routes for routing data packets in Ad-Hoc networks |
-
2001
- 2001-12-13 FI FI20015050A patent/FI20015050A/fi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2
- 2002-12-12 KR KR10-2004-7008330A patent/KR2004005582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2-12-12 AU AU2002350772A patent/AU200235077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2-12-12 US US10/497,834 patent/US2005012554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2-12-12 EP EP02785465A patent/EP1454469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2-12-12 WO PCT/FI2002/001010 patent/WO2003051012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2-12-12 CN CNA028245393A patent/CN1602612A/zh active Pending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4311B1 (ko) * | 2004-10-22 | 2007-02-1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고속 휴대 인터넷 망에서의 이동 단말기간의 통신 지원방법 |
KR100871198B1 (ko) * | 2005-03-07 | 2008-1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모바일 환경에서의 데이터 직접 억세스 서비스 시스템 |
KR100735384B1 (ko) * | 2005-09-12 | 2007-07-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간에 부모-자식 관계 설정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FI20015050A0 (fi) | 2001-12-13 |
US20050125547A1 (en) | 2005-06-09 |
FI20015050A (fi) | 2003-06-14 |
CN1602612A (zh) | 2005-03-30 |
AU2002350772A1 (en) | 2003-06-23 |
EP1454469A1 (en) | 2004-09-08 |
WO2003051012A1 (en) | 2003-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I112897B (fi) | Menetelmä tiedonsiirtoverkossa ja tiedonsiirtolaite | |
EP1954086B1 (en) | (U)SIM card in server mode, and communication method with client | |
US8458359B2 (en) | System for the internet connections, and server for routing connection to a client machine | |
EP1451984B1 (en) |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information distribution to mobile stations | |
CN100388151C (zh) | 与ip网络接入相关的装置和方法 | |
KR100978336B1 (ko) | 리모트 액세스 | |
US2004018691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atching incoming data in a multi-application terminal | |
KR20040055822A (ko) | 무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시스템 | |
US8831576B2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over the air provisioning of a single PDP context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 |
WO2002082725A1 (en) | Framework for a dynamic management system | |
US840094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mmon location-related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 |
JP3955268B2 (ja) | 統合ウェブブラウジングサービス装置及びそのサービス方法 | |
EP2491732B1 (en) | Wireless access point | |
US854801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based synchronization of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 |
US689186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multiple bandwidth-limited connections for a communication device | |
Kanter | An open service architecture for adaptive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 |
US20040199643A1 (en) | Distributed service component systems | |
CA2525169C (en) | System and method for over the air provisioning of a single pdp context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 |
EP172614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transferring data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 |
JP2004201087A (ja) | 携帯電話機によるダイヤルアップ接続方法 | |
Winiker et al. | Integration of Cellular Assisted Heterogeneous Networking and Bluetooth Service Discovery Protoc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405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