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42375A - 젤리롤 전극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젤리롤 전극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375A
KR20040042375A KR1020020070653A KR20020070653A KR20040042375A KR 20040042375 A KR20040042375 A KR 20040042375A KR 1020020070653 A KR1020020070653 A KR 1020020070653A KR 20020070653 A KR20020070653 A KR 20020070653A KR 20040042375 A KR20040042375 A KR 20040042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 roll
electrode
tape
jell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규
전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0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2375A/ko
Publication of KR20040042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375A/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부에서 마감 테이프가 전해액에 의해 녹아 젤리롤이 풀어지는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는, 양극판, 세퍼레이터, 음극판이 차례로 권취되어 형성되는 전극 젤리롤; 및 상기 전극 젤리롤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극 젤리롤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전해액에 녹는 물질로 이루어진 마감 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젤리롤 전극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Jelly-roll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therewith}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부에서 마감 테이프가 전해액에 의해 녹아 젤리롤이 풀어지는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소형 전자기기의 전원으로서 각종의 전지가 이용되고 있는데, 휴대전화,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전원으로는, 소형이면서 대용량인 밀폐형 전지인 리튬 이온 이차전지 등의 전해액을 사용하는 전지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해액 전지로는 원통형, 사각형의 구조를 갖는 것이 이용되고 있다.
소형의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리튬 이온 전지에서는,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 각각에 활성물질을 도포한 후에, 그 사이에 세퍼레이터(separator)에 적층하여 권취한 젤리롤(jelly-roll) 전극 조립체를 전지 케이스 내에 수납하고 전해액을 주입하여 밀폐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지에는 젤리롤을 원통형 전지 케이스 내에 수납한 원통형 전지와 사각형의 전지 케이스 내에 수납한 사각형 전지가 이용되고 있지만, 주로 직사각형 형상의 전지 수납부를 갖는 소형, 박형의 기기에서는 사각형 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사각형 전지에서 젤리롤을 전지 케이스 내에 수납하기 위해서 젤리롤을 권취한 후에 젤리롤의 외면을 감싸도록 부착하는 마감 테이프로 고정하고 이를 압착하는데, 이러한 내용이 공개특허공보 제2001-0051959호 "비수전해액 이차전지"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감 테이프가 부착된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통상의 젤리롤 타입의 사각형 모양의 이차전지(1)는 젤리롤 전극 조립체(11)를 사각형 단면을 갖는 케이스(12)에 수납하고, 상기 케이스(12) 내에 전해액을 넣은 후에, 상기 케이스의 입구에 전극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캡 조립체(13)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젤리롤 전극 조립체(11)는 활성물질이 도포된 양극판 및 음극판과 그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가 적층하고 이들을 권취하여 전극 젤리롤(111)을 형성하고, 상기 전극 젤리롤(111) 전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마감 테이프(112)를 부착하고, 상기 마감테이프가 부착된 상기 전극 젤리롤(111)을 압착하여 형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는 전극 젤리롤을 권취한 후에 전극 젤리롤 전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마감 테이프를 부착한 후에 압착하므로, 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전극 젤리롤이 딱딱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해액 주입 시 전해액 함침 수준이 낮아지고, 전극 젤리롤의 수명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 내부에서 마감 테이프가 전해액에 의해 녹아 젤리롤이 풀어지는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마감 테이프가 부착된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에서 권취되어 종단부 테이프가 부착된 전극 젤리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전극 젤리롤이 압착되어 하단부 테이프가 부착된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가 케이스 및 캡 조립체에 수납되어 이차전지를 형성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이차전지11, 21: 젤리롤 전극 조립체
12, 22: 케이스13, 23: 캡 조립체
111, 211: 전극 젤리롤112, 212: 마감 테이프
2111: 권취 종단선2121: 종단부 테이프
2122: 하단부 테이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는,
양극판, 세퍼레이터, 음극판이 차례로 권취되어 형성되는 전극 젤리롤; 및 상기 전극 젤리롤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극 젤리롤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전해액에 녹는 물질로 이루어진 마감 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 테이프가 상기 전극 젤리롤의 권취가 끝나는 권취 종단선을 따라 부착되는 종단부 테이프와, 상기 전극 젤리롤의 외면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부착되는 하단부 테이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이차전지는,
양극판, 세퍼레이터, 음극판이 차례로 권취되어 형성되는 전극 젤리롤 및 상기 전극 젤리롤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극 젤리롤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전해액에 녹는 물질로 이루어진 마감 테이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젤리롤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젤리롤 전극 조립체가 수납되는 것으로,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캡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에서 권취되어 종단부 테이프가 부착된 전극 젤리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전극 젤리롤이 압착되어 하단부 테이프가 부착된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이차전지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리튬 이온의 이동에 의해 충, 방전을 일으키는 젤리롤 타입의 각형 이차전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21)는, 전극 젤리롤(211)과 마감 테이프(2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극 젤리롤(211)은 양극판, 세퍼레이터, 음극판이 차례로 권취되어 형성되고, 상기 마감 테이프(212)는 상기 전극 젤리롤(211)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극 젤리롤(211)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전해액에 녹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 테이프(212)는 종단부 테이프(2121)와 하단부 테이프(212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종단부 테이프(2121)는 상기 전극 젤리롤(211)의 권취가 끝나는 권취 종단선(2111)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하단부 테이프(2122)는 상기 전극 젤리롤(211)의 외면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 젤리롤(211)은 양극판 및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과 상기 음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개재되도록 권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은 이차전지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금속 기재에 활성물질을 도포 및 충전하고 이를 건조, 롤 프레스 및 절단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활성물질로는 양극판에는 리튬-천이금속 산화물이 사용되고, 음극판에는 탄소 및 탄소 복합체가 사용된다.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은 그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하고 맨드릴을 이용하여 원형으로 권취한 후에 권취가 끝나는 상기 권취 종단선(2111)을 따라 상기 종단부 테이프(2121)를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하여 상기 전극 젤리롤(211)을 고정한다(도 2a). 또한, 상기 전극 젤리롤(211)을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압착하고, 상기 하단부 테이프(2122)를 상기 압착된 전극 젤리롤(21)의 외면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부착하여(도 2b) 케이스에 수납한다.
이때, 상기 종단부 테이프(2121)는 권취된 상기 전극 젤리롤(211)의 권취가 다시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여 압착시킨 후에 용이하게 케이스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단부 테이프(2122)는 압착된 상기 전극 젤리롤(211)이 케이스 주입구를 통하여 케이스에 삽입될 때, 전지의 케이스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니켈 도금 연강 등의 금속 내면과의 슬라이딩성을 개선하여, 삽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전극 젤리롤(211)의 권취가 전지 케이스 내면과의 마찰 등에 의해 죽순 형상으로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상기 종단부 테이프(2121)와 상기 하단부 테이프(2122)는 상기 전극 젤리롤(211)이 케이스에 수납된 후에 주입되는 전해액에 녹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마감 테이프(212)가 전해액에 의해 녹아 젤리롤이 풀어지므로, 젤리롤 전극 조립체(21)가 케이스 내부에 삽입된 후에 케이스 내부공간을 여유 있게 차지하고, 전해액 주입시 전해액의 함침 수준이 높아지고, 케이스 내부에서 젤리롤이 원형 상태를 유지하므로 수명특성을 개선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마감 테이프(212)는 케이스 내에 수납된 후에 전해액이 주입되면 전해액에 녹아 없어져야 하므로, 상기 종단부 테이프(2121)와 상기 하단부 테이프(2122)로 나뉘어 상기 전극 젤리롤(211) 위에 반드시 필요한 부위에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 인하여 소요되는 테이프의 양도 줄어들어 전지의 제작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전해액은 전지 내부의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서 리튬 이온이 이동 될 수 있도록 주입되는 염을 함유한 유기 액체로서, 이와 같은 전해액은 유기용매와 LiPF6, LiBF4, LiClO4등의 리튬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테이프(212)의 재질은 상기 전해액에 녹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가 케이스 및 캡 조립체에 수납되어 이차전지를 형성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조립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이차전지는, 젤리롤 전극 조립체(21)와, 케이스(22), 및 캡조립체(2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젤리롤 전극 조립체(21)는 양극판, 세퍼레이터, 음극판이 차례로 권취되어 형성되는 전극 젤리롤(211)및 상기 전극 젤리롤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극젤리롤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전해액에 녹는 물질로 이루어진 마감 테이프(2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22)는 상기 젤리롤 전극 조립체(21)가 수납되는 것으로, 일 측에 개구부(221)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캡조립체(23)는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221)를 밀봉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감 테이프(212)는 종단부 테이프(2121)와 하단부 테이프(212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젤리롤 전극 조립체(21)는 상기 하단부 테이프(2122)가 부착된 하단부부터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221)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22)에 수납된다.
이때, 상기 캡조립체(23)는 인출 단자(231)와, 단자 플레이트(232)와, 단자 플레이트(23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캡 플레이트(233)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충전되는 압력을 배출하는 안전변(234)과 전해액을 주입하는 전해액 주입구(235)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주입구(221)에 용접 등의 연결수단에 의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22)를 밀봉한다.
또한, 상기 인출 단자(231)는 상기 캡 플레이트(233)에 절연판(미도시) 및 가스켓(미도시)을 개재하여 절연 및 결합되고, 상기 젤리롤 전극 조립체(21)의 음극판으로부터 인출되는 음극탭(24)과의 접속성을 위해 상기 단자 플레이트(232)를 개재하여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젤리롤 전극 조립체(21)의 양극판으로부터 인출되는 양극탭(25)은 상기 캡 플레이트(233) 혹은 상기 케이스(22)에 접속된다.
이때,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부터 각각 양극탭, 음극탭을 통하여 인출되는 각각의 전극의 극성은 전지의 구성에 따라 상호 바뀌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차전지(2)는 상기 젤리롤 전극 조립체(21)를 상기 케이스(22) 내부에 수납하여, 케이스 상측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221)에 상기 안전변(234)과 상기 전해액 주입구(235)가 형성되는 상기 캡 조립체(23)를 용접하여 설치하고, 상기 전해액 주입구(235)를 통하여 전해액을 주입한 후 밀봉하여,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차전지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조립체가 적용되는 이차전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조립체는 본 실시예에서의 이차전지 외에 다양한 형태의 이차전지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는,
케이스 내부에서 마감 테이프가 전해액에 의해 녹아 젤리롤이 풀어지므로, 젤리롤 전극 조립체가 케이스 내부에 삽입된 후에 케이스 내부 공간을 여유 있게 차지하고, 전해액 주입시 전해액의 함침 수준이 높아질 것이다.
또한, 케이스 내부에서 젤리롤이 원형 상태를 유지하므로 수명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양극판, 세퍼레이터, 음극판이 차례로 권취되어 형성되는 전극 젤리롤; 및
    상기 전극 젤리롤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극 젤리롤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전해액에 녹는 물질로 이루어진 마감 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테이프가 상기 전극 젤리롤의 권취가 끝나는 권취 종단선을 따라 부착되는 종단부 테이프와, 상기 전극 젤리롤의 외면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부착되는 하단부 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젤리롤 전극 조립체.
  3. 양극판, 세퍼레이터, 음극판이 차례로 권취되어 형성되는 전극 젤리롤 및 상기 전극 젤리롤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극 젤리롤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전해액에 녹는 물질로 이루어진 마감 테이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젤리롤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젤리롤 전극 조립체가 수납되는 것으로,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캡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020070653A 2002-11-14 2002-11-14 젤리롤 전극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20040042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653A KR20040042375A (ko) 2002-11-14 2002-11-14 젤리롤 전극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653A KR20040042375A (ko) 2002-11-14 2002-11-14 젤리롤 전극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375A true KR20040042375A (ko) 2004-05-20

Family

ID=3733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653A KR20040042375A (ko) 2002-11-14 2002-11-14 젤리롤 전극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237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3480B2 (en) * 2006-10-27 2010-09-28 Samsung Sdi Co., Ltd. Prismatic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US9761845B2 (en) 2013-10-16 2017-09-1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9917283B2 (en) 2012-12-18 2018-03-13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O2022035270A1 (ko) * 2020-08-14 2022-02-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KR20220105459A (ko) *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6744A (ja) * 1992-12-01 1994-06-24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密閉式蓄電池
JPH07142089A (ja) * 1993-11-17 1995-06-02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H10241744A (ja) * 1997-02-25 1998-09-11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20000020533A (ko) * 1998-09-22 2000-04-15 손욱 이차전지
KR20000042974A (ko) * 1998-12-28 2000-07-15 김순택 이차전지의 전극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6744A (ja) * 1992-12-01 1994-06-24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密閉式蓄電池
JPH07142089A (ja) * 1993-11-17 1995-06-02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H10241744A (ja) * 1997-02-25 1998-09-11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20000020533A (ko) * 1998-09-22 2000-04-15 손욱 이차전지
KR20000042974A (ko) * 1998-12-28 2000-07-15 김순택 이차전지의 전극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3480B2 (en) * 2006-10-27 2010-09-28 Samsung Sdi Co., Ltd. Prismatic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US7803479B2 (en) * 2006-10-27 2010-09-28 Samsung Sdi Co., Ltd. Prismatic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US9917283B2 (en) 2012-12-18 2018-03-13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9761845B2 (en) 2013-10-16 2017-09-1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O2022035270A1 (ko) * 2020-08-14 2022-02-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EP4199171A4 (en) * 2020-08-14 2025-01-15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KR20220105459A (ko) *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WO2022158853A1 (ko) * 2021-01-20 2022-07-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826B1 (ko) 이차전지
US8993148B2 (en) Rechargeable lithium ion button cell battery
US6797429B1 (en) Non-aqueous electrolytic secondary cell
JP2000100466A (ja) 電極ロ―ル用固定部材をもつ二次電池
US7858225B2 (en)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4611852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EP3067958B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electrode assembly
JP2001345084A (ja)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40097252A1 (en)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JP2000164257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20210157726A (ko) 이차 전지
KR100670482B1 (ko) 젤리롤 전극 조립체와 이를 채용하는 이차전지
JP2000353502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20040042375A (ko) 젤리롤 전극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20240169101A (ko) 에너지 저장 전지 및 제조 공정
KR100528900B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173953Y1 (ko) 이차전지의 전극
JP2002117814A (ja) 角形外装缶とこれを用いる電池
KR100522681B1 (ko) 밀폐전지
KR100573102B1 (ko) 밀폐 전지의 케이스
KR20030053601A (ko) 이차전지
KR100529067B1 (ko) 리튬 이차전지와 그의 제조방법
KR100624936B1 (ko) 이차 전지
JP3196223B2 (ja) 組電池
JP2000277067A (ja) 密閉型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8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1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8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21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0808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90803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41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020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8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125

Appeal identifier: 2009101008201

Request date: 20090902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91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4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0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110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902

Effective date: 20110125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12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90902

Decision date: 20110125

Appeal identifier: 2009101008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