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14311A - 안료와 그밖의 고형물을 처리하는 분산제로서 구배공중합체의 용도 - Google Patents

안료와 그밖의 고형물을 처리하는 분산제로서 구배공중합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4311A
KR20040014311A KR1020030054423A KR20030054423A KR20040014311A KR 20040014311 A KR20040014311 A KR 20040014311A KR 1020030054423 A KR1020030054423 A KR 1020030054423A KR 20030054423 A KR20030054423 A KR 20030054423A KR 20040014311 A KR20040014311 A KR 20040014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monomers
hydrophobic
gradient copolymer
h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4561B1 (ko
Inventor
괴벨트베른드
하우벤네스텔칼하인즈
크래피우도
델라발렌티나페트라
Original Assignee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14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56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0Aqueous medium with the aid of macromolecular disper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1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in aqueous me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4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09D5/027Disper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5Anti-settl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007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14Derivatives of phosphor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16Amines or 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54Silic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38/00Living radical polymerisation
    • C08F2438/01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or reverse ATR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38/00Living radical polymerisation
    • C08F2438/02Stable Free Radical Polymerisation [SFRP]; Nitroxide Mediated Polymerisation [NMP] for, e.g. using 2,2,6,6-tetramethylpiperidine-1-oxyl [TEMP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38/00Living radical polymerisation
    • C08F2438/03Use of a di- or tri-thiocarbonylthio compound, e.g. di- or tri-thioester, di- or tri-thiocarbamate, or a xanthate as chain transfer agent, e.g . Reversible Addition Fragmentation chain Transfer [RAFT] or Macromolecular Design via Interchange of Xanthates [MADI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a) 단량체(I)을 반응 하에서 단량체(II)로 연속 공급하거나, 또는
b) 반응 베슬로 단량체(I)과 단량체(II)를 서로 다른 속도로 연속 공급함으로써,
(이 때 단량체(I) 또는 단량체(II) 중 어느 하나가 분산될 고형물과 있는 그대로의 구배 공중합체 상태에서 또는 추가 화학 반응을 한 후의 구배 공중합체 상태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구배 공중합체 기 내로 도입되고, 나머지 단량체가 액상 또는 고상 분산 매체와 혼화가능한 구배 공중합체 기 내로 도입되고,
한편으로 단량체(I) 또는 단량체(I)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한편으로 단량체(II) 또는 단량체(II)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 중 어느 하나가 소수성 성질을 띠고, 이들 각각의 나머지 단량체 또는 이들 각각의 나머지 단량체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이 친수성 성질을 띠고, 소수성 및 친수성 성질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친수성 성질은 용해도 매개변수(solubility parameter)가 22 J1/2/cm3/2이상일 때 존재하며, 소수성 성질은 용해도 매개변수가 22 J1/2/cm3/2미만일 때 존재한다.
용어 "단량체(I)"과 "단량체(II)"는 한편으로 단량체(I)의 혼합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단량체(II)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중합체 사슬을 따라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전이하는 성질을 갖고 비중합성 단일 작용성 개시제를 이용하는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의 리빙 제어 중합(living controlled polymerization)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구배 공중합체의 분산제로서의 용도.

Description

안료와 그밖의 고형물을 처리하는 분산제로서 구배 공중합체의 용도{USE OF GRADIENT COPOLYMERS AS DISPERSANTS TO TREAT PIGMENTS AND OTHER SOLIDS}
본 발명은 중합체 사슬을 따라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전이하는 성질을 갖는 구배 공중합체(gradient copolymer)의 분산제(dispersant)로서의 용도, 특히 안료 및 그밖의 고형물을 처리하는 분산제로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중합체 사슬을 따라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전이하는 성질을 갖는 구배 공중합체를 분산제로서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과 몰딩(moulding)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중합체인 코팅 원료, 수성 안료 분산액 또는 몰딩 화합물 등에서와 같이, 액상 또는 고상 매체(medium) 내에 고형물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또한 이들을 안정시키기 위하여는, 분산제를 보조물(auxiliary)로서 첨가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목적의 보조물은 상이한 두 가지 성질을 가져야 한다. 첫 번째 성질은 젖음성(wetting)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고형물의 표면과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부착기(attachment group)라 하는 특정 화학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친수성 부착기의 예로는 3급 아민류, 암모늄염류, 인산 에스테르류, 카르복실산기, 및 아미드, 우레탄 또는 우레아 구조 등을 들 수있다. Adv. Mater. 1988, 10, 1214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성 분산액에서는 소수성 구조 예컨대 알킬기, 페닐 구조 및 벤질 구조의 부착기를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 성질은 분산제가 매체와 잘 혼화할 수 있는(compatible) 분자 내 영역을 가지는 것이다. 유기 매체에서 그러한 영역은 예를 들어 소수성 구조 예컨대 알킬 또는 아릴 구조이다. 수성 매체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용성인 친수성 구조, 예컨대 염 형태로 전환된 카르복실산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류가 만들어져야 한다.
액상 또는 고상 매체와 혼화가능한 분산제의 일부를 구성하는 단량체를 이하에서는 "단량체 A"라 한다. 분산될 고형물의 표면과 상호작용하는 부착기 또는 작용부(functionality)를 운반하는 단량체를 이하에서는 "단량체 B"라 한다. 또한 상기 작용부 또는 부착기는 중합 후의 화학 반응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사용된 분산제는 대개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 예컨대 메트아크릴레이트류, 아크릴레이트류 또는 스티렌류 등을 기재로 한 중합체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중합체는 자유 라디칼 중합(free radical polymerization)에 의하여 얻어진다. 상기 반응에서는 중합체 사슬 중에 단량체 A와 B를 불규칙(random) 분포시킬 수 있을 뿐이다. 그러한 화합물은 US 5,688,858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제어 및 리빙 중합(controlled and living polymerization) 기술의 개발과 함께, 간편하게 구조 중합체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기 이동 중합(group transfer polymerization, GTP)과 함께, 예를 들어 AB 블록 공중합체를 기재로 한 분산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들의 예는 EP 0 218 436 A호, EP 0 329 873 A호, EP 0 518 225 A호, EP 0 323 181 A호 및 US 4,925,765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다수의 단량체를 중합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중합법 중 하나는 WO 96/30421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이다. ATRP를 이용하여 중합 또는 공중합될 수 있는 다양한 단량체의 예들이 Chem. Rev. 2001, 101, 2921 등에 기재되어 있다. ATRP에 의하여 제조된 선형 중합체의 분산제로서의 용도는 WO 00/40630호와 WO 01/44389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분산제의 신규 개발에도 불구하고, 개선된 분산제의 필요성이 절박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우수한 분산액, 특히 거품을 적게 생기게 하는 성질의 분산액, 특히 코팅 조성물에서 작은 얼룩(speck)을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광택성(gloss)이 높고, 투명도(transparency)가 우수하며, 클라우딩(clouding) 성향이 적은 분산액을 제공하는 수단을 발견하는 데 있다.
놀랍게도 상기 목적은,
a) 단량체(I)을 반응 하에서 단량체(II)로 연속 공급하거나, 또는
b) 반응 베슬로 단량체(I)과 단량체(II)를 서로 다른 속도로 연속 공급함으로써,
(이 때 단량체(I) 또는 단량체(II) 중 어느 하나가 분산될 고형물과 있는 그대로의 구배 공중합체 상태에서 또는 추가 화학 반응을 한 후의 구배 공중합체 상태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구배 공중합체 기 내로 도입되고, 나머지 단량체가 액상 또는 고상 분산 매체와 혼화가능한 구배 공중합체 기 내로 도입되고,
한편으로 단량체(I) 또는 단량체(I)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한편으로 단량체(II) 또는 단량체(II)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 중 어느 하나가 소수성 성질을 띠고, 이들 각각의 나머지 단량체 또는 이들 각각의 나머지 단량체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이 친수성 성질을 띠고, 소수성 및 친수성 성질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친수성 성질은 용해도 매개변수(solubility parameter)가 22 J1/2/cm3/2이상일 때 존재하며, 소수성 성질은 용해도 매개변수가 22 J1/2/cm3/2미만일 때 존재한다.
용어 "단량체(I)"과 "단량체(II)"는 한편으로 단량체(I)의 혼합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단량체(II)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중합체 사슬을 따라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전이하는 성질을 갖고 비중합성 단일 작용성 개시제(monofunctional initiator)를 이용하는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의 리빙 제어 중합(living controlled polymerization)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구배 공중합체의 분산제로서의 용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을 밝혀냈다.
용해도 매개변수의 경험적으로 측정된 값과 계산 방법(Hoftyzer-VanKrevelen의 증분법)은 US 6362274 B1호, J. Applied Polym. Sci. 2000, 78, 639 및 하기 전공 논문에 설명되어 있다: D.W. van Krevelen, "Properties of polymers. Their correlation with chemical structure; their numerical estimation and prediction from additive group contributions", 3rd edition, Elsevier, 1990, pp. 189-225.
용해도 매개변수는 단량체(I), 단량체(I)의 혼합물 또는 이들 단량체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에서만 생기거나, 또는 단량체(II), 단량체(II)의 혼합물 또는 이들 단량체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에서만 생기는 추정(hypothetical) 중합체에 적용된다.
용어 "이들 단량체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이라 함은 중합체 내로 통합되고(incorporated) 하나 이상의 추가 화학 반응의 결과로서 생겨나는 단량체를 의미한다. 일예로, 단량체로서 중합되어 목적하는 메타크릴산으로 가수분해되는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반응 생성물로서 메타크릴산 중합체 내로 도입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될 용해도 매개변수는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용해도 매개변수가 아니라, 메타크릴산의 용해도 매개변수이다.
중합체 사슬을 따라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전이하는 성질을 갖는 이들 분산제는 불규칙(random) 공중합체 및 블록(block) 공중합체보다 우수한 분산 성질을 나타낸다. 친수성 및 소수성 성질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 기재 분산제와 비교하여 볼 때, 구배 구조를 갖는 분산제는 거품 안정화 효과가 매우 적다. 분산 장치 내에서 거품은 밀베이스(millbase)를 위한 용적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처리량(throughput)을 감소시키므로 분산제 부분에 대한 거품 안정화 수준이 낮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구배 공중합체는 예컨대 개개의 사슬 내에 사슬을 따라 단량체 단위(unit)의 분포에 구배가 있는 두 종류의 단량체 A와 B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이다. 사슬의 한쪽 말단은 A 단위가 풍부하고, 다른쪽 말단은 B 단위가 풍부하다. 이들 중합체는 리빙 제어 중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중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WO 98/58974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합 조절제(polymerization regulator)로서 잔토지네이트류(xanthogenates)를 갖는 제어된 자유 라디칼 중합(controlled free-radical polymerization),
2) WO 98/01478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합 조절제로서 디티오에스테르류(dithioesters)를 갖는 제어된 자유 라디칼 중합,
3) WO 99/31144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합 조절제로서 디티오카르바메이트류(dithiocarbamates)를 갖는 제어된 자유 라디칼 중합,
4) Chem. Rev. 2001, 101, 3661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합 조절제로서 니트록실(nitroxyl) 화합물을 갖는 제어된 자유 라디칼 중합 (NMP),
5) Macromol. Symp. 1996, 111, 63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트라페닐에탄(tetraphenylethane)을 갖는 제어된 자유 라디칼 중합,
6) Macromolecular Rapid Communications, 2001, 22, 700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합 조절제로서 1,1-디페닐에텐(1,1-diphenylethene)을 갖는 제어된 자유 라디칼 중합,
7) WO96/30421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 (ATRP),
8) Makromol. Chem. Rapid. Commun. 1982, 3, 127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시이동종결제(iniferter)를 갖는 제어된 자유 라디칼 중합,
9) O.W. Webster in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ume 7, H.F. Mark, N.M. Bikales, C.G. Overberger and G. Menges, eds., Wiley Interscience, New York 1987, page 580 ff.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 이동 중합 (GTP),
10) J. Am. Chem. Soc. 1984, 116, 7963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기코발트 착물(organocobalt complexes)을 갖는 제어된 자유 라디칼 중합.
중합법 1) ~ 3)은 이하에서 RAFT 중합라고 한다.
구배 공중합체의 제조예는 WO 97/18247호 및 J. Phys. Org. Chem. 2000, 13, 775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두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모든 단량체를 처음에 도입하고 단량체의 서로 상이한 공중합 매개변수를 이용함으로써 그 중합체 사슬을 따라 구배를 생성시킨다.
2) 하나의 단량체를 반응 동안 나머지 단량체에 연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또는 두 단량체의 미터링 속도(metering rate)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그 중합체 사슬을 따라 구배를 생성시킬 수 있다.
방법 2)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배 공중합체 구조를 갖는 분산액을 제조할 수 있다. 단량체의 공급 속도의 선택을 통하여 구배가 제어되고, 따라서중합체 사슬에 따른 친수성 성질에서 소수성 성질로의 전이를 특정 요구조건에 맞추기 위하여 더욱 차별화된 구배 공중합체를 설계할 수 있다.
상기 구배는 하나의 사슬 말단이 소수성이고 나머지 하나의 사슬 말단이 친수성이다. 상기 구배의 사면(slope)을 경사지게 하기 위하여, 친수성 사슬 말단과 소수성 사슬 말단 간의 용해도 매개변수의 차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중합체 사슬을 따라 단량체가 다르게 분포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배 공중합체는 단량체 A와 B 사이의 유체 전이(fluid transition)로 말미암아, 블록 공중합체와는 구분지어진다. 블록 공중합체에서는 중합체 사슬 중의 단량체 사이에 갑작스런 전이(sudden transition)가 일어나는데, 이는 개개의 블록 간의 경계로서 정의된다. 또한 블록 공중합체는 다른 경로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AB 블록 공중합체는 먼저 단량체 A를 중합시킨 다음, 단량체 B를 나중에 첨가하여 제조된다. 반응 베슬에 배치방식(batchwise)으로 첨가하는 것 외에, 두 단량체를 계속해서 첨가하는 동안의 어떠한 특정 시점에서 두 단량체의 조성을 갑작스럽게 변화시킴으로써 비슷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단량체(I)을 반응 하에서 단량체(II)로 연속 공급하거나, 또는
b) 반응 베슬로 단량체(I)과 단량체(II)를 서로 다른 속도로 연속 공급함으로써,
(이 때 단량체(I) 또는 단량체(II) 중 어느 하나가 분산될 고형물과 있는 그대로의 구배 공중합체 상태에서 또는 추가 화학 반응을 한 후의 구배 공중합체 상태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구배 공중합체 기 내로 도입되고, 나머지 단량체가 액상 또는 고상 분산 매체와 혼화가능한 구배 공중합체 기 내로 도입되고,
한편으로 단량체(I) 또는 단량체(I)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한편으로 단량체(II) 또는 단량체(II)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 중 어느 하나가 소수성 성질을 띠고, 이들 각각의 나머지 단량체 또는 이들 각각의 나머지 단량체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이 친수성 성질을 띠고, 소수성 및 친수성 성질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친수성 성질은 용해도 매개변수(solubility parameter)가 22 J1/2/cm3/2이상일 때 존재하며, 소수성 성질은 용해도 매개변수가 22 J1/2/cm3/2미만일 때 존재한다.
용어 "단량체(I)"과 "단량체(II)"는 한편으로 단량체(I)의 혼합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단량체(II)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중합체 사슬을 따라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전이하는 성질을 갖고 비중합성 단일 작용성 개시제를 이용하는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의 리빙 제어 중합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구배 공중합체의 분산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으로 사용되는 비중합성 단일 작용성 개시제는 한쪽 방향으로만 성장하는 중합체 사슬에서 시작한다. 각각의 리빙 제어 중합법에서 사용되는 단일 작용성 개시제는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체의 단일 작용성 개시제는 예를 들어 1 ~ 10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할로알칸류, 예컨대 카본 테트라브로마이드와 1,1,1-트리클로로에탄; 2 ~ 10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할로알코올류, 예컨대 2,2,2-트리클로로에탄올; 2 ~ 20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2-할로카르복실산과 그 에스테르류, 예컨대 클로로아세트산, 2-브로모프로피온산, 메틸 2-브로모프로피오네이트, 메틸 2-클로로프로피오네이트, 에틸 2-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와 에틸 2-클로로이소부티레이트; 2 ~ 10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2-할로카보니트릴류, 예컨대 2-클로로아세토니트릴와 2-브로모프로피오니트릴; 2 ~ 10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칸- 및 아렌설포닐 클로라이드류, 예컨대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와 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 및 7 ~ 20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1-아릴-1-할로알칸류, 예컨대 벤질 클로라이드, 벤질 브로마이드와 1-브로모-1-페닐에탄 등이 있다.
중합 기술 1) ~ 4), 6) 및 10)에 사용되는 개시제는 예를 들어 아조 개시제, 예컨대 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 퍼옥사이드 화합물, 예컨대 디벤조일 퍼옥사이드와 디쿠밀 퍼옥사이드 및 퍼설페이트류, 예컨대 칼륨 퍼옥소디설페이트 등이 있다.
또한 어떤 중합법의 경우에 중합 조절제와 함께 개시제의 부가물(adduct)을 사용하는 것, 예컨대 NMP의 경우 알콕시아민류를 사용하는 것은 선행 기술에 불과하다. 이러한 예들은 Chem. Rev. 2001, 101, 3661, "V. Approaches to alkoxyamines"에 기재되어 있다.
GTP의 경우, 개시제는 실릴 케텐 아세탈류, 예컨대 [(1-메톡시-2-메틸-1-프로페닐)옥시]-트리메틸실란을 포함한다. 추가예들은 US 4,822,859호와 EP 0184692 B1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분산제로서의 용도를 갖는 구배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 Mn은 2,000 내지 20,000 g/mol이다.
WO 97/2820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소수성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친수성 단량체의 용해도 매개변수는 22 J1/2/cm3/2이상이다. 소수성 단량체의 용해도 매개변수는 22 J1/2/cm3/2미만이다.
분산제의 적용 여하에 따라, 임의의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와 이들 단량체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은 원칙적으로 A 또는 B 단량체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이 때 단량체 A가 소수성이고 단량체 B가 친수성이거나, 또는 단량체 A가 친수성이고 단량체 B가 소수성일 수 있다. 무극성 매체에서, 예를 들어 소수성 단량체는 A 단량체로서 사용되고 친수성 단량체는 B 단량체로서 사용된다. 수성 시스템의 분산제는 고형물에 부착되어 있는 친수성 단량체를 A 단량체로서 함유하고 소수성 단량체를 B 단량체로서 함유한다.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의 예는 다음과 같으며, 용어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와 메트아크릴레이트 둘다를 포함한다:
1 ~ 22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가지형 또는 시클로지방족 알코올류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류, 예컨대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렐리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류, 예컨대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페닐 아크릴레이트, 각 경우에 4 번까지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릴 라디칼, 예컨대 4-니트로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말레산 및 이들의 염;
무수물, 예컨대 말레 무수물;
2 ~ 36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가지형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올류의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류, 예컨대 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3,4-디히드록시부틸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5-디메틸-1,6-헥산디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5 ~ 80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에테르류, 폴리에틸렌 글리콜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류 또는 혼성(mixed) 폴리에틸렌/프로필렌 글리콜류의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류,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부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옥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옥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푸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옥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에톡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메틸 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메틸 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 2 ~ 8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가지형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올류에서 유도된 히드록시 (메트)아크릴레이트류로서, 평균 분자량 Mn이 220 ~ 1,200인 카프로락톤- 및/또는 발레로락톤-변형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류;
아미노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류, 예컨대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클로라이드 및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할로겐화 알코올의 (메트)아크릴레이트류, 예컨대 6 ~ 20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퍼플루오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옥시라닐 (메트)아크릴레이트류, 예컨대 2,3-에폭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및 치환된 스티렌, 예컨대 4-메틸스티렌, 4-비닐벤조산 및 나트륨 4-비닐벤젠설포네이트;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및 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류, 예컨대 4-비닐피리딘 및 1-[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이미다졸이디논;
인산을 함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에틸렌 불포화 설폰산 및 설포네이트류 및 이들의 염, 예컨대 칼륨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설포네이트 및 암모늄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설페이트;
1 ~ 20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류,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1 ~ 22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가지형 또는 시클로지방족 알킬기를 갖는 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및 N-치환된 말레이미드류, 예컨대 N-에틸말레이미드 및 N-옥틸말레이미드;
(메트)아크릴아미드;
1 ~ 22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가지형 또는 시클로지방족 알킬기를 갖는 N-알킬- 및 N,N-디알킬-치환된 아크릴아미드류, 예컨대 N-(t-부틸)아크릴아미드 및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실릴-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류,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트리메틸실릴 에스테르 및 메트아크릴산 3-(트리메틸실릴)프로필 에스테르.
중합체 사슬을 따라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전이하는 성질을 갖는 구배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단량체 A 또는 단량체 B는 중합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그밖의 성분들, 예컨대 단일 작용성 개시제 및 촉매 또는 중합 조절제와 함께 도입되고, 각기 다른 단량체는 일정 속도로 미터링될 수 있다. 단량체 A 및 B 모두는 다른 단량체와 혼합될 수 있고 추가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ATRP의 경우 촉매로는 예를 들어 질소 리간드를 갖는 염화구리 착물 또는 브롬화구리 착물, 예컨대 2,2'-비피리딘 또는 N,N,N',N'',N''-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를 들 수 있으며, 이것은 구리 금속, 리간드 및 개시제로부터 본래의 위치에서(in situ) 생성될 수 있다. 그밖의 촉매는 Chem. Rev. 2001, 101, 2921에 열거되어 있다.
GTP의 경우 사용되는 촉매는 US 4,659782호에 기재된 불화물류, US 4,588,795호에 기재된 산소음이온류(oxyanions) 등이 있다. GTP의 경우 바람직한 촉매는 테트라부틸암모늄 m-클로로벤조에이트이다. 중합 기술 1) ~ 6), 8) 및 10)에서 사용되는 중합 조절제의 예들은 인용문헌에 열거되어 있다; NMP에서 사용되는 조절제는 예컨대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옥실 (TEMPO) 또는 N-터트-부틸-N-[1-디에틸포스포노(2,2-디메틸프로필)]니트록실; 중합 기술 6)에서 사용되는 조절제는 예컨대 1,1-디페닐에텐; RAFT에서 사용되는 조절제는 예컨대 티오카르복실 에스테르류 또는 잔토지네이트류.
중합체 사슬을 따라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전이하는 성질을 갖는 구배 중합체의 또다른 적당한 제조방법은 용매를 비롯하여 중합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그밖의 성분들을 함유하는 반응 베슬로 단량체 A와 단량체 B를 서로 다른 속도로 개별 적용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경우 양 단량체 - 단량체 A 및 단량체 B는 다른 단량체와 혼합될 수 있고, 이들은 추가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단량체 B의 바람직한 양은 중합체의 10 ~ 50 중량%이다.
미터링 속도는 중합화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바람직하게는 초기 투입량(initial charge)에 포함되어 있는 단량체에 두번째 단량체를 가하는 말기 또는 보다 느린 미터링 속도로 단량체를 가하는 말기에, 초기에 도입된 첫번째 단량체 또는 보다 빠른 미터링 속도로 반응에 공급된 첫번째 단량체가 소모되도록 미터링 속도를 선택하여야 한다.
중합법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적당한 반응 조건, 단량체 및 용매를 선택한다.
중합시, 중합체는 예컨대 부착기를 생성하기 위하여 중합체-유사 반응에서 잇달아 변형될 수 있다.
중합체 내의 산 작용부, 예컨대 카르복실산 및 인산 에스테르류를 염기와 함께 반응시킬 수 있다.
염기의 예는 다음과 같다:
아민류, 예컨대 디메틸아미노에탄올,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2-(디메틸아미노)프로판-1-올, 트리에틸아민, 부틸아민 및 디부틸아민;
1 ~ 3 족 금속의 히드록사이드류, 옥사이드류, 카보네이트류 및 수소카보네이트류, 예컨대 나트륨 히드록사이드, 칼륨 히드록사이드,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및 나트륨 수소카보네이트; 및
헤테로사이클 질소 화합물, 예컨대 이미다졸.
US 6,111,054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이, 또한 카르복실산, 설폰산 또는 인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류를 이용하여 중합체에 부착된 아민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벤질 클로라이드를 이용한 알킬화 반응에서 아민류를 4급 암모늄염(quaternary ammonium salts)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3급 아민류는 산소, 퍼옥소 화합물, 예컨대 퍼카르복실산과 수소 퍼옥사이드를 이용하여 아민 옥사이드류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는 부가적으로 염산 등의 산을 이용하여 염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중합체 내의 옥시란(oxirane) 구조는 친핵체(nucleophiles), 예컨대 4-니트로벤조산, 아민류, 예컨대 에탄올아민 또는 디부틸아민, 또는 폴리인산과 반응할 수 있다. 중합체 내의 히드록시 작용부는 폴리인산과 반응하여 인산에스테르류를 생성하거나 또는 락톤류, 예컨대 ε-카프로락톤과 반응하여 폴리에스테르류를 생성할 수 있다.
중합 사슬을 따라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전이하는 성질을 갖는 구배 공중합체 기재 분산제는 공지된 분산제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의 상황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이들 분산제를 포함하는 안료 분산액은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바인더(binder)와 일반적인 코팅 보조물의 존재 하에 유기 용매 및/또는 물 내에서의 고형물의 분산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 내에서의 고형물의 분산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산제는 착색(pigmented) 코팅 조성물, 예컨대 페인트류, 페이스트류 및/또는 몰딩 화합물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예를 들어 페인트 바인더 및/또는 용매 및 고형물, 즉 안료, 바람직하다면, 충전재(filler) 및 일반적인 보조물을 혼합한 경우에 착색 페인트(pigmented paint)를 제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페인트 바인더는 필름을 형성하는 거대분자 형성제(former)이거나 거대분자성 물질이다. 적합한 코팅재(coating material)로는 예를 들어 2 성분 반응 코팅재, 공기건조 코팅재, 수분경화 코팅제, 산경화 코팅재, 광경화 코팅재, 에멀젼 페인트 또는 베이킹 에나멜 등이 있다. 언급될 수 있는 예들로는 비닐 에스테르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스테르/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합물(combination),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에폭시 수지 에스테르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폴리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류,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부티레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이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이덴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염화 고무, 시클로 고무, 실리콘 중합체,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 폴리부타디엔류 등, 그리고 상기 물질들의 혼합물이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바인더에는 두 개의 컨쥬게이트되지 않은(nonconjugated) 에틸렌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가교(crosslinking) 단량체가 존재할 수 있다. 이들 예로는 디비닐벤젠, 알킬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3-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2-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알릴 말레이트, 트리알릴시아누르산 또는 트리알릴이소시아누르산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착색 몰딩 화합물 또는 다른 고형물로 충전된 몰딩 화합물의 제조 및 착색 페인트가 하지(substrate)에 도포된 다음 베이킹(baking), 경화, 또는 가교되는 하지(substrate) 상의 착색 도료 제조에 있어서 상술한 구배 공중합체의 분산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분산제는 단독으로 또는 작용 부착기가 없는바인더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분산제와 함께 운반물질(carrier material)로서 왁스(wax)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구배 공중합체의 분산제로서의 용도는 분산제로 코팅된 분산가능한 안료를 제조하는 데 있다. 이러한 방법의 안료 코팅은 EP-A-0270126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수행된다.
안료 분산액의 용도는 WO 00/40630호, 제 3면 제 15행 내지 제 30행에서 추가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분산제는 유기 안료, 예컨대 아조 및 디아조 응축물(condensate) 및 이들의 금속 착물, 예를 들어 프탈로시아닌류, 퀴나크리돈류, 인돌류, 티오인돌류, 퍼릴렌류, 안트라퀴논류, 안트라피리미딘류, 디케토피롤로피롤류 및 카르바졸류 등을 분산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안료의 추가예는 W. Herbst 및 K. Hunger의 전공논문인 "Industrial Organic Pigments", 1997, Wiley-VCH, ISBN: 3-527-28836-8에서 찾아볼 수 있다.
추가로, 무기 안료와 그밖의 고형물, 예컨대 알루미늄, 산화 아연(III), 산화 크롬(III), 이산화 티타늄, 이산화 지르코늄, 산화 아연, 황화 아연, 인산 아연, 황화 몰리브덴, 황화 카드뮴, 카본 블랙, 그라피트(graphite), 비스무트 바나데이트, 철 크로메이트, 철 몰리브데이트, 루타일(rutile), 칼슘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히드록사이드, 유리 섬유 또는 실리케이트 등을 분산시킬 수 있다.
분산될 고형물 또는 안료에 의하여 단량체 B가 선택되며, 이러한 선택은 하나에서 열까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단량체 A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이는 액상 또는 고상 매체와 맞추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량체 A의 극성과 바인더, 수지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극성 및 사용된 용매의 극성과도 맞추는 것이 유리하다.
제조예
중합체의 제조:
표 1 및 표 2에는 제조된 중합체, 그 양과 미터링 속도를 요약되어 있다.
ATRP에 의하여 구배 중합체P1 ~ P15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
교반기, 온도계, 환류 응축기와 질소 주입 튜브(inlet tube)가 장착된 유리 플라스크에서 25 ml의 PMA(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에 용해된 단량체 1 및 2, 벤젠 설포클로라이드 BSCI, 2,2'-비스피리딘 1 g과 구리 파우더 400 mg을 N2분위기 하에서 100 ℃로 가열하였다. 반응이 개시되었을 때, PMA x g에 용해된 단량체 3을 일정한 미터링 속도 x로 적가하였다. 단량체 3의 공급이 끝나고 이어서 5 분 동안 반응시킨 후, 공기를 투입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PMA 100 g으로 반응혼합물을 희석시킨 다음, 실리카 겔로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증류시켜 휘발성 구성물을 제거하였다. 비교의 기준으로 삼기 위하여 폴리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실행하여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ATRP에 의하여 AB 블록 공중합체P16 ~ P20을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
교반기, 온도계, 환류 응축기와 질소 주입 튜브가 장착된 유리 플라스크에서25 ml의 PMA에 용해된 단량체 1, BSCI 3.3 ml, 2,2'-비스피리딘 1 g과 구리 파우더 400 mg을 N2분위기 하에서 100 ℃로 가열하였다.1H-NMR 분광기(spectroscopy)로 적어도 98 % 이상 전환되었음을 측정한 후, PMA 123 g에 용해된 단량체 3을 1 분에 걸쳐 가하고, 98 % 이상의 전환율로 중합시켰다. 공기를 투입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PMA 100 g으로 반응혼합물을 희석시킨 후, 실리카 겔로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증류시켜 휘발성 구성물을 제거하였다. 비교의 기준으로 삼기 위하여 폴리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행하여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불규칙 공중합체P21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환류 응축기와 질소 주입 튜브가 장착된 유리 플라스크에 N2분위기 하, 135 ℃에서 PMA 148 g을 도입하고 단량체 1, 단량체 3과 Trigonox C 3.4 g의 혼합물을 0.6 ml/분의 미터링 속도로 적가하였다. 첨가가 끝나고 135 ℃에서 추가로 2 시간 방치한 후, 증류시켜 휘발성 구성물을 제거하였다. 비교의 기준으로 삼기 위하여 폴리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행하여 수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분산제의 제조:
제조된 분산제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중합체P1 ~ P7, P16P21로부터 분산제D1 ~ D9의 제조:
중합체 P1, P2, P5 ~ 7, P16 및 P21 각각 168 g, P3 158 g 또는 P4 180 g을150 g의 PMA 150 g 및 150 g의 부틸글리콜(BG)에 용해된 벤질 클로라이드 52 g과 100 ℃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그 생성물을 PMA와 부틸글리콜의 1 : 1 혼합물로 희석시켜 고형분 함량이 40 %가 되도록 하였다.
중합체P1, P2, P15, P16P20으로부터 분산제D10 ~ D14의 제조:
중합체P를 PMA로 희석시켜 고형분 함량이 40 %가 되도록 하였다.
중합체P8, P9P17로부터 분산제D15 ~ D17의 제조:
중합체P를 중합체 내의 t-부틸기의 수에 대하여 5 몰배 과잉의 32 % 세기 염산 수용액과 200 ml의 디옥산으로 90 ℃에서 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중합체를 물에 침전시키고 건조시킨 다음, 물과 부틸글리콜의 1 : 1 혼합물로 희석시켜 16 g의 트리에탄올아민을 고형분 함량 40 %가 되도록 하였다.
중합체P10, P11P18로부터 분산제D18 ~ D20의 제조:
중합체P를 250 g의 PMA에 용해된 55 g의 4-니트로벤조산과 1 g의 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 이오다이드와 110 ℃에서 8 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고형분 함량이 40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중합체P12 ~ P14P19로부터 분산제D21 ~ D24의 제조:
P14의 경우 33 g의 폴리인산 또는 66 g의 폴리인산을 50 ℃에서 부분적으로 200 g의 PMA에 용해된 중합체P에 가하고, 이들 화합물을 80 ℃에서 3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용액을 고형분 함량이 40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분산제로 제조된 페인트:
거품 시험의 성능:
40 g의 페인트를 Pendraulik사에서 구입한 용해기(dissolver)를 이용하여 1895 rpm에서 1 분간 발포시킨(foam) 다음, 즉시 따라내었다. 건조 후, 다음과 같은 등급으로 거품을 평가하였다:
1 ~ 5 (1 = 거품 무; 5 = 많은 거품)
광택성(gloss)과 불투명도(haze)는 Byk Gardner에서 구입한 "haze-gloss" 측정 기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투명도(transparency)와 얼룩(specks) 형성은 눈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평가는 1 ~ 5의 등급으로 이루어졌다 (1 = 얼룩 무 또는 투명함; 5 = 많은 얼룩 또는 투명하지 않음)
D1 ~ D9, D13 및 D14:Gas black FW 200, 산성 카본 블랙 타입, 제조사: Degussa
밀링 페이스트:
Dynapol H703 (자일렌 내 65 %)49.00 g
분산제D14.00 g
안료 8.00 g
부틸 아세테이트29.00 g
100.00 g
분산: 40 ℃, 10000 rpm에서 60 분, Dispermat CV
메이크업 원료:
Dynapol H703 (자일렌 내 65 %)34.70 g
CAB 381-242.60 g
(2:1의 부틸 아세테이트/자일렌 내 15 %)
Maprenal MF 65020.90 g
(이소-부탄올 내 55 %)
BYK 3061.80 g
100.00 g
메이크업:
밀링 페이스트13.20 g
메이크업 원료36.30 g
부틸 아세테이트50.00 g
100.00 g
10 분 동안 흔든다(shaking).
건조: 실온에서 10 분간 건조후, 140 ℃에서 30 분간 건조
페인트 필름의 평가:
광택성 R20(gloss R20) 불투명도(haze) 투명도(transparency) 겔 얼룩(gel specks) 거품(foam)
D1 26 465 5 2
D2 93 39 2 5
D3 90 42 1 3-4
D4 88 29 1 3-4
D5 88 24 1 3-4
D6 102 32 2 3-4
D7 89 29 1 3-4
D8 86 34 1 3-4
D9 87 35 2 3-4
D13 47 349 1 4
D14 90 34 1 3
D10 ~ D12: Irgazine DPPredBO, 제조사: Ciba Specalty Chemicals
밀링 페이스트:
Paraloid DM 5530.00 g
(1:1의 자일렌/PMA 내 60 %)
PMA16.40 g
분산제D20.60 g
안료33.00 g
100.00 g
분산: 40 ℃, 10000 rpm에서 45 분, Dispermat CV
메이크업 원료:
Polymac 57-5776 (PMA 내 85 %)61.00 g
Cymel 30317.40 g
PMA 8.10 g
부탄올 2.80 g
2-부탄온 2.60 g
자일렌 4.60 g
Byk Cat 4503.50 g
100.00 g
메이크업:
30.3 g의 페이스트와 69.3 g의 메이크업 원료;
10 분 동안 흔든다.
건조: 실온에서 10 분간 건조후, 140 ℃에서 30 분간 건조
페인트 필름의 평가:
광택성 R20 불투명도 투명도* 얼룩 거품
D10 31 318 3
D11 46 285 3
D12 37 311 3
*투명도를 측정할 수 없는 불투명(opaque) 안료
D15D16: Sicotransred L2817, 제조사: BASF
밀링 페이스트:
PEG 20016.00 g
증류 H2O38.10 g
분산제 D15.00 g
Byk 024 0.40 g
Byk 019 0.50 g
안료30.30 g
100.00 g
분산: 40 ℃, 10000 rpm에서 45 분, Dispermat CV
메이크업 원료:
Neocryl XK 97 (물 내 42.5 %)95.00 g
암모니아 (pH 9로 조정)
부틸디글리콜 2.30 g
Acrysol RM 8 0.50 g
Borchigel L 75 N 1.00 g
(물 내 50 %)
Byk 028 1.00 g
Byk 3460.20 g
100.00 g
메이크업:
26.30 g의 페이스트와 73.70 g의 바니시(varnish);
10 분 동안 흔든다.
건조: 실온에서 건조
페인트 필름의 평가:
광택성 R20 불투명도 투명도* 얼룩 거품 높이
D15 6 246 4 1.5 cm
D16 13 207 4 1.0 cm
*물 20 g 내에 페인트 3 g을 넣고 흔든다; 1 시간 경과후 거품 높이를 평가.
D18 ~ D20: Printex 200, 염기성 카본 블랙 타입, 제조사: Degussa
밀링 페이스트:
Dynapol H703 (자일렌 내 65 %)49.00 g
분산제 D14.00 g
안료 8.00 g
부틸 아세테이트29.00 g
100.00 g
분산: 40 ℃, 10000 rpm에서 60 분, Dispermat CV
메이크업 원료:
Dynapol H703 (자일렌 내 65 %)34.70 g
CAB 381-2 42.60 g
(2:1의 부틸 아세테이트/자일렌 내 15 %)
Maprenal MF 65020.90 g
(2-부탄올 내 55 %)
BYK 3061.80 g
100.00 g
메이크업:
밀링 페이스트13.20 g
메이크업 원료36.30 g
부틸 아세테이트50.50 g
100.00 g
10 분 동안 흔든다.
건조: 실온에서 10 분간 건조후, 140 ℃에서 30 분간 건조
페인트 필름의 평가:
광택성 R20 불투명도 투명도 얼룩 거품
D18 34 453 4 5*
D19 45 402 4 1*
D20 50 390 4 1*
*밀링 페이스트의 거품 평가
D21 ~ D24: Sicotransred L2817, 제조사: BASF
밀링 페이스트:
Paraloid DM 5533.00 g
(1:1의 자일렌/PMA 내 60 %)
PMA18.25 g
분산제D18.75 g
안료30.00 g
100.00 g
분산: 40 ℃, 10000 rpm에서 45 분, Dispermat CV
메이크업 원료:
Polymac 57-577661.00 g
(PMA 내 85 %)
Cymel 30317.40 g
PMA 8.10 g
부탄올 2.80 g
2-부탄온 2.60 g
자일렌 4.60 g
Byk Cat 4503.50 g
100.00 g
메이크업:
12 g의 페이스트와 88 g의 바니시;
10 분 동안 흔든다.
건조: 실온에서 10 분간 건조후, 140 ℃에서 30 분간 건조
페인트 필름의 평가:
광택성 R20 불투명도 투명도 얼룩 거품
D21 29 535 5 5
D22 85 97 2 1
D23 89 65 2 1
D24 88 70 2 1
Dynapol H703: 포화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Degussa
Maprenal MF 650:멜라민 수지, 바인더, Vianova
Paraloid DM 55: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바인더, Rohm and Haas
Polymac 57-5776:폴리에스테르, 바인더, McWhorter
Neocryl XK-97: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바인더, Neo-Resins
Byk Cat 450:촉매, Byk-Chemie
Byk 019:소포제(defoamer), Byk-Chemie
Byk 024:소포제, Byk-Chemie
Byk-028:소포제, Byk-Chemie
Byk 306:레벨링 첨가제(levelling additive), Byk-Chemie
Byk 346:실리콘 계면활성제, Byk-Chemie
Acrysol RM 8:증점제(thickener), Rohm and Haas
Borchigel L75N:증점제, Borchers
Cymel 303:멜라민 수지, 바인더, Cytec
PEG:폴리에틸렌 글리콜
CAB:셀롤로스 아세토부티레이트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우수한 분산액, 특히 거품을 적게 생기게 하는 성질의 분산액, 특히 코팅 조성물에서 작은 얼룩(speck)을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광택성(gloss)이 높고, 투명도(transparency)가 우수하며, 클라우딩(clouding) 성향이 적은 분산액을 제공한다.

Claims (18)

  1. a) 단량체(I)을 반응 하에서 단량체(II)로 연속 공급하거나, 또는
    b) 반응 베슬로 단량체(I)과 단량체(II)를 서로 다른 속도로 연속 공급함으로써,
    (이 때 단량체(I) 또는 단량체(II) 중 어느 하나가 분산될 고형물과 있는 그대로의 구배 공중합체 상태에서 또는 추가 화학 반응을 한 후의 구배 공중합체 상태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구배 공중합체 기 내로 도입되고, 나머지 단량체가 액상 또는 고상 분산 매체와 혼화가능한 구배 공중합체 기 내로 도입되고,
    한편으로 단량체(I) 또는 단량체(I)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한편으로 단량체(II) 또는 단량체(II)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 중 어느 하나가 소수성 성질을 띠고, 이들 각각의 나머지 단량체 또는 이들 각각의 나머지 단량체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이 친수성 성질을 띠고, 소수성 및 친수성 성질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친수성 성질은 용해도 매개변수(solubility parameter)가 22 J1/2/cm3/2이상일 때 존재하며, 소수성 성질은 용해도 매개변수가 22 J1/2/cm3/2미만일 때 존재한다.
    용어 "단량체(I)"과 "단량체(II)"는 한편으로 단량체(I)의 혼합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단량체(II)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중합체 사슬을 따라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전이하는 성질을 갖고 비중합성 단일 작용성 개시제를 이용하는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의 리빙 제어 중합(living controlled polymerization)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구배 공중합체의 분산제로서의 용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빙 제어 중합이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인 용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빙 제어 중합이 기 이동 중합(group transfer polymerization)인 용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빙 제어 중합이 RAFT 중합인 용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빙 제어 중합이 1,1-디페닐에텐으로 수행되는 용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빙 제어 중합이 니트록실 화합물(NMP)로 수행되는 용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빙 제어 중합이 유기코발트 착물로 수행되는 용도.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 Mn이 2,000 내지 20,000 g/mol인 용도.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산될 고형물과 상호작용하는 단량체가 아민 작용부가 산 사용으로 염 형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알킬화제와 반응하여 4 급 암모늄기를 형성하는 아미노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류 및 1-[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이미다졸이디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용도.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인더와 일반 코팅 보조물의 존재 하에 유기 용매 및/또는 물 내에 고형물을 분산시키기 위한 용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이 안료 및/또는 충전재인 용도.
  12.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인더,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 및/또는 물, 안료 및/또는 충전재, 분산제 및 바람직하다면, 추가로 일반 보조물이 함께 분산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산될 상기 고형물이 구배공중합체로 코팅되는 용도.
  14. a) 단량체(I)을 반응 하에서 단량체(II)로 연속 공급하거나, 또는
    b) 반응 베슬로 단량체(I)과 단량체(II)를 서로 다른 속도로 연속 공급함으로써,
    (이 때 단량체(I) 또는 단량체(II) 중 어느 하나가 분산될 고형물과 있는 그대로의 구배 공중합체 상태에서 또는 추가 화학 반응을 한 후의 구배 공중합체 상태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구배 공중합체 기 내로 도입되고, 나머지 단량체가 액상 또는 고상 분산 매체와 혼화가능한 구배 공중합체 기 내로 도입되고,
    한편으로 단량체(I) 또는 단량체(I)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한편으로 단량체(II) 또는 단량체(II)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 중 어느 하나가 소수성 성질을 띠고, 이들 각각의 나머지 단량체 또는 이들 각각의 나머지 단량체의 추가 화학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이 친수성 성질을 띠고, 소수성 및 친수성 성질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친수성 성질은 용해도 매개변수(solubility parameter)가 22 J1/2/cm3/2이상일 때 존재하며, 소수성 성질은 용해도 매개변수가 22 J1/2/cm3/2미만일 때 존재한다.
    용어 "단량체(I)"과 "단량체(II)"는 한편으로 단량체(I)의 혼합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단량체(II)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중합체 사슬을 따라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전이하는 성질을 갖고 비중합성 단일 작용성 개시제를 이용하는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의 리빙 제어 중합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구배 공중합체를 분산제로서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 페이스트 및/또는 몰딩 화합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 Mn이 2,000 내지 20,000 g/mol인 코팅 조성물, 페이스트 및/또는 몰딩 화합물.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바인더와 일반 코팅 보조물의 존재 하에 하나 이상의 고형물, 유기 용매 및/또는 물을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 페이스트 및/또는 몰딩 화합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이 안료 및/또는 충전재인 코팅 조성물, 페이스트 및/또는 몰딩 화합물.
  18.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이 구배 공중합체로 코팅되는 코팅 조성물, 페이스트 및/또는 몰딩 화합물.
KR1020030054423A 2002-08-07 2003-08-06 안료와 그밖의 고형물을 처리하는 분산제로서 구배공중합체의 용도 Expired - Fee Related KR100984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36133A DE10236133A1 (de) 2002-08-07 2002-08-07 Verwendung von Gradientencopolymeren als Dispergiermittel zur Behandlung von Pigmenten und Feststoffen
DE10236133.9 2002-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311A true KR20040014311A (ko) 2004-02-14
KR100984561B1 KR100984561B1 (ko) 2010-10-01

Family

ID=3077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4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4561B1 (ko) 2002-08-07 2003-08-06 안료와 그밖의 고형물을 처리하는 분산제로서 구배공중합체의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40143035A1 (ko)
EP (1) EP1416019B1 (ko)
JP (1) JP4938210B2 (ko)
KR (1) KR100984561B1 (ko)
CN (1) CN1310975C (ko)
AT (1) ATE295871T1 (ko)
CA (1) CA2435516A1 (ko)
DE (2) DE10236133A1 (ko)
ES (1) ES2240896T3 (ko)
TW (1) TW59279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2171A (ko) 2013-08-22 2015-03-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325A (ja) * 2003-05-19 2005-01-06 Canon Inc ポリマー、それを含有するポリマー含有組成物、インク組成物、該インク組成物を用いたインク付与方法および装置
DE102004041536A1 (de) * 2004-08-27 2006-03-02 Merck Patent Gmbh Verwendung von statistischen Copolymeren
FR2880024B1 (fr) * 2004-12-23 2007-02-02 Arkema Sa Utilisation de copolymeres a gradient de composition comme stabilisants dans la polymerisation radiculaire en emulsion
BRPI0606305A2 (pt) * 2005-01-11 2009-06-16 Ciba Sc Holding Inc processo para preparação de um polìmero ou copolìmero modificado, bem como uso concentrado de pigmento e composição compreendendo o polìmero ou copolìmero assim obtido
JP2006199728A (ja) * 2005-01-18 2006-08-03 Kaneka Corp ラジカル重合体の製造方法
DE102005023728A1 (de) * 2005-05-23 2006-11-30 Basf Coatings Ag Lackschichtbildendes Korrosionsschutzmittel und Verfahren zu dessen stromfreier Applikation
US7960470B2 (en) 2005-08-03 2011-06-14 The Inctec Inc.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composition and polymer composition
TW200730547A (en) 2006-01-03 2007-08-16 Byk Chemie Gmbh Copolymers comprising three segments of different ion density,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and use thereof
KR101433230B1 (ko) 2006-07-11 2014-08-22 시바 홀딩 인크 컬러 필터 조성물
DE102006048144A1 (de) 2006-10-10 2008-04-17 Byk-Chemie Gmbh Netz- und Dispergiermittel basierend auf Mischungen von strukturierten Copolymeren
DE102006053291A1 (de) * 2006-11-13 2008-05-15 Basf Coatings Ag Lackschichtbildendes Korrosionsschutzmittel mit guter Haftung und Verfahren zu dessen stromfreier Applikation
DE102006055106C5 (de) 2006-11-14 2018-08-23 Byk-Chemie Gmbh Dispergierverfahren
WO2008079677A2 (en) * 2006-12-20 2008-07-03 Arkema Inc. Polymer encapsulation and/or binding
DE102006062441A1 (de) 2006-12-27 2008-07-03 Byk-Chemie Gmbh Modifizierte Kammcopolymere
DE102007012406A1 (de) * 2007-03-15 2008-09-18 Basf Coatings Ag Verfahren zur Korrosionsschutzausrüstung metallischer Substrate
DE102007039535A1 (de) 2007-08-21 2009-02-26 Evonik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entablockcopolymeren mit OH-funktionalisierten Blöcken auf (Meth)acrylatbasis
DE102008007713A1 (de) 2008-02-04 2009-08-06 Byk-Chemie Gmbh Netz- und Dispergiermittel
US20110223529A1 (en) 2008-07-28 2011-09-15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Aqueous pigment dispersion and applications thereof
FR2935000B1 (fr) * 2008-08-12 2011-07-01 Arkema France Procede de synthese de copolymeres amphiphiles a gradient de compositon et solubles en milieu alcalin
DE102008045296A1 (de) 2008-09-02 2010-03-04 Byk-Chemie Gmbh Monocarbonsäureester enthaltendes Dispergiermedium für Feststoffpräparationen
DE102009040068A1 (de) 2008-11-24 2010-05-27 Byk-Chemie Gmbh Zusammensetzungen umfassend Glycidylether-Copolymere
DE102009015470A1 (de) 2008-12-12 2010-06-17 Byk-Chem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allnanopartikeln und auf diese Weise erhaltene Metallnanopartikel und ihre Verwendung
DE102009007632A1 (de) 2009-02-05 2010-08-12 Basf Coatings Ag Beschichtungsmittel für korrosionsstabile Lackierungen
ES2423054T3 (es) * 2009-03-25 2013-09-17 Byk-Chemie Gmbh Composición que comprende mezclas estables de polioles
EP2499206A1 (en) 2009-11-11 2012-09-19 BYK-Chemie GmbH Coating composition
JP5690355B2 (ja) 2009-12-22 2015-03-25 ビック−ケミ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安定なポリオール混合物を含む組成物
US9556299B2 (en) 2011-06-22 2017-01-31 Byk-Chemie Gmbh Surface-active comb copolymers
EP2771445B1 (en) * 2011-10-25 2018-12-12 Henkel AG & Co. KGaA Use of comb or block copolymers as soil antiredeposition agents and soil release agents in laundry processes
DE102012009181B4 (de) 2012-05-10 2018-11-08 ADLER-Werk Lackfabrik Johann Berghofer GmbH & Co. KG Transparente Mikrokapseln,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EP2852631B1 (en) 2012-07-06 2019-11-20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Method for producing a nanocomposite dispersion comprising composite particles of inorganic nanoparticles and organic polymers
EP2719270A1 (de) 2012-10-11 2014-04-16 BYK-Chemie GmbH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KR20140057836A (ko) * 2012-11-05 2014-05-1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03205202A (zh) * 2013-04-03 2013-07-17 中山职业技术学院 一种表面张力梯度性变化的梯度功能涂料及其制备方法
EP3013874B1 (de) 2013-06-24 2016-12-14 BYK-Chemie GmbH Haftungs-verstärkendes additiv und dieses enthaltend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DE112015000622B4 (de) * 2014-02-03 2023-09-28 Du Pont China Ltd. Zusammensetzungen zum Hochgeschwindigkeitsdrucken leitfähiger Materialien für elektrische Schaltungsanwendungen und diese betreffende Verfahren
US20150240103A1 (en) * 2014-02-25 2015-08-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ions for high speed printing of conductive materials for electronic circuitry type application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JP6059677B2 (ja) * 2014-03-31 2017-01-11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顔料分散液、これに用いるa−bブロックコポリマーの製造方法、樹脂処理顔料及び顔料分散液の製造方法
JP2017525795A (ja) 2014-06-24 2017-09-07 ベーイプシロンカー ヘミ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ター ハフトゥング 潜在的増粘傾向を有するポリウレタン二成分又は多成分系
JP6423459B2 (ja) * 2014-06-24 2018-11-14 ベーイプシロンカー ヘミ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ター ハフトゥング 潜在的増粘傾向を有する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系
EP3161058B1 (de) 2014-06-24 2017-11-22 BYK-Chemie GmbH Acrylat-systeme mit latenter verdickungsneigung
US10392494B2 (en) 2014-06-24 2019-08-27 Byk-Chemie Gmbh Latent thickeners, rheology control kit and multi-component systems
WO2015197647A1 (de) 2014-06-24 2015-12-30 Byk-Chemie Gmbh Epoxidharz-epoxidhärter-systeme mit latenter verdickungsneigung
US11220602B2 (en) 2015-08-20 2022-01-11 Basf Se Universal pigment preparations for point-of-sale use
JP7198085B2 (ja) * 2015-09-24 2022-12-28 シーカ テクノロジー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勾配構造を有するコポリマー
WO2018127375A1 (en) 2017-01-03 2018-07-12 Byk-Chemie Gmbh (meth)acrylic copolymers as rheological additives in drilling fluids and drilling fluids comprising such copolymers
CN109422845A (zh) * 2017-08-28 2019-03-05 北京师范大学 一种新型梯度共聚物的制备方法及得到的新型梯度共聚物
WO2019092036A1 (de) * 2017-11-07 2019-05-16 Clariant Plastics & Coatings Ltd Dispergiermittel für pigmente in nicht wässrigen farbmittelpräparationen
US11130879B2 (en) 2017-12-28 2021-09-28 Axalta Coating Systems Ip Co., Llc Dispersants, coating compositions including dispersant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20200407576A1 (en) 2018-03-15 2020-12-31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Storage-stable pigmented formulations containing isocyanate groups and use thereof
CN112105680A (zh) 2018-05-11 2020-12-18 株式会社三养社 固体分散体、其制备方法、使用其的扩链聚氨酯和包含其的环氧树脂组合物
WO2020173846A1 (de) 2019-02-28 2020-09-03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Lagerstabile pigmentierte isocyanatgruppen-haltige formulierungen mit isocyanatgruppen-haltigem anreibeharz und deren verwendung
CN113980486B (zh) * 2021-11-18 2023-10-20 浙江理工大学 一种无皂化学交联型共聚物纳米粒子包覆有机颜料杂化胶乳的制备方法
EP4183842A1 (de) 2021-11-23 2023-05-24 Ewald Dörken Ag Pigmentpaste und ihre verwendung
CN115353788B (zh) * 2022-09-26 2023-07-21 杭州海维特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汽车内饰膜的抗病毒肌肤触感光油及其制备方法
EP4484503A1 (de) 2023-06-27 2025-01-01 Ewald Dörken Ag Wässrige stabilisatorzusammensetzung und ihre verwendung
EP4545612A1 (de) 2023-10-26 2025-04-30 Ewald Dörken Ag Pigmentpaste und ihre verwendung
CN119490666A (zh) * 2024-12-17 2025-02-21 辽宁轻工职业学院 一种绘画用水基颜料分散剂的制备方法及分散剂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3548A (en) * 1995-03-31 1998-06-09 Carnegie-Mellon University (Co)polymers and a novel polymerization process based on atom (or group)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U7393796A (en) * 1995-10-06 1997-04-28 Fmc Corporation Cable driven conveyor system
US5807937A (en) * 1995-11-15 1998-09-15 Carnegie Mellon University Processes based on atom (or group)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nd novel (co) polymers having useful structures and properties
FR2744125B1 (fr) * 1996-01-30 1998-06-05 Peintures Jefco Copolymeres greffes, leur procede de fabrication, les compositions les contenant et leur utilisation pour la preparation de dispersions pigmentaires en milieu aqueux et/ou organique
US6057406A (en) * 1998-08-03 2000-05-02 The 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 Functionally gradient polymeric materials
US6403745B1 (en) * 1999-11-30 2002-06-11 Rohmax Additives Gmbh Gradient copolymers, as well as a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US6306209B1 (en) * 1999-12-16 2001-10-23 Ppg Industries Ohio, Inc. Pigment dispersions containing dispersants having pendent hydrophobic polymeric segments prepared by controlled radical polymerization
US6590049B1 (en) * 1999-12-16 2003-07-08 Ppg Industries Ohio, Inc. Multi-functional initiators for atom transfer radical (Co)polymerization
US6462125B1 (en) * 1999-12-16 2002-10-08 Ppg Industries Ohio, Inc. Pigment dispersions containing dispersants prepared by controlled radical polymerization having hydrophilic and hydrophobic segments
US6294014B1 (en) * 1999-12-16 2001-09-25 Ppg Industries Ohio, Inc. Pigment dispersions containing dispersants prepared by controlled radical polymerization and having pendent hydrophilic polymeric segments
DE10052646A1 (de) * 2000-10-24 2002-05-16 Boettcher Henrik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unktionspolymeren sowie Schichten aus Funktionspolymeren auf Festkörperoberflächen über "lebende"/kontrollierte radikalische Polymerisation
CN1159344C (zh) * 2000-12-22 2004-07-28 北京燕山石油化工公司研究院 一种制备梯度共聚物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2171A (ko) 2013-08-22 2015-03-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16019B1 (de) 2005-05-18
JP4938210B2 (ja) 2012-05-23
KR100984561B1 (ko) 2010-10-01
DE10236133A1 (de) 2004-02-26
ES2240896T3 (es) 2005-10-16
CA2435516A1 (en) 2004-02-07
EP1416019A1 (de) 2004-05-06
ATE295871T1 (de) 2005-06-15
CN1495204A (zh) 2004-05-12
TW592794B (en) 2004-06-21
JP2004066235A (ja) 2004-03-04
CN1310975C (zh) 2007-04-18
US20040143035A1 (en) 2004-07-22
TW200402323A (en) 2004-02-16
DE50300553D1 (de)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561B1 (ko) 안료와 그밖의 고형물을 처리하는 분산제로서 구배공중합체의 용도
KR101299232B1 (ko) 이온 밀도가 상이한 3개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EP2091984B1 (de) Netz- und dispergiermittel basierend auf mischungen von strukturierten copolymeren
EP3502196B1 (en) Aqueous dispersion of polymer particles, microspheres, and polyethylene wax
US8367762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glycidyl ether copolymers
US20080293874A1 (en) Polymers for the Dispersion of Pigments and Fillers
WO2008080581A1 (de) Polymermischung umfassend ein kammcopolymeres
EP2405997A2 (en) Vinyl polymer wetting and dispersing agents
US8501880B2 (en) Polymers obtainable from oxetane based macromonomer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as additives in coating agents and plastics
KR20110056511A (ko) 수용성 및 용매 가용성인 비이온성 첨가제
KR20120018364A (ko) 말단 불포화형, 옥세탄계 마크로모노머, 및 그의 제조방법
US8349981B2 (en) Anionic additives soluble in water and in solvents
WO2024231339A1 (en) Process for preparing block copolymer
MXPA01005950A (en) Pigment composition containing atrp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5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8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