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10820A -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0820A
KR20040010820A KR1020040001793A KR20040001793A KR20040010820A KR 20040010820 A KR20040010820 A KR 20040010820A KR 1020040001793 A KR1020040001793 A KR 1020040001793A KR 20040001793 A KR20040001793 A KR 20040001793A KR 20040010820 A KR20040010820 A KR 20040010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natural material
pest repellent
natur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경
박은주
박유민
박민경
이순주
송훈호
Original Assignee
박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천경 filed Critical 박천경
Priority to KR1020040001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0820A/ko
Publication of KR20040010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8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01N25/28Microcapsules or nano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충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종이ㆍ왕겨ㆍ볏짚ㆍ보릿대ㆍ톱밥ㆍ나뭇잎ㆍ건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천연재료에, 해충기피제는 나노 또는 마이크로캡슐형 고형분 기준 함량이 천연재료 전체 중량%의 1∼80%중량, 바람직하게는 2∼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의 비율로 혼합 또는 살포되어 해충기피물질이 천연재료에 함유되게 조성하고, 상기 조성물을 건조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A vermin controlling composition with natural substances}
본 발명은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질병을 매개하는 유해곤충( 이하, 해충 )인 모기 등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기 위한 해충 방지효과가 있는 해충기피제를 천연재료에 함유한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축에 모기로 인해 옮겨지는 질병은 개에게 발생하는 개 심장사상충의 감염증과 돼지, 말, 소 등의 포유동물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감염을 일으키는 게타바이러스 감염증, 주로 소에게 발생하는 소 유행열(BEF), 아까바네병, 이바라기병, 츄잔병, 지상사상층과, 닭이나 오리 등의 조류에 발생하는 뉴캣슬병 등의 주된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해충에 대한 일반적인 대비책으로는 기존의 스프레이식 살충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향을 피우는 방식, 전자가열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왔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 중 살충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환경을 파괴하는 요인을 내재하고 있어 이미 선진국에서는 그 사용을 억제하고 있으며, 향을 피우는 방식은 화재의 위험 요소를 안고 있거나 전자 모기향의 경우는 항상 전원이 필요 하는 등 사용상의 문제가 따르며, 이로 인해 가축에게 적용하는데 효율성이 떨어져 해충을 방충 또는 기피효과가 미약하여 해충으로부터 노출된 가축은 상기와 같은 질병이 발생하여 가축의 건강이 심화되고 있어서 축산업분야에 막대한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인체 및 가축에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물질로서 각종질병을 매개하는 모기 등에 대한 해충 기피효과가 나타나는 물질을 종이, 왕겨, 볏짚, 보릿대, 톱밥, 나뭇잎, 건초 등의 천연재료에 함유하여 조성함으로서, 그 조성물을 가축의 사육공간에 설치되어 해충으로부터 가축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은 천연재료와, 이에 해충기피효과가 나타나는 해충기피제가 함유된다. 상기 해충기피제는 나노 또는 마이크로캡슐형 고형분 기준 함량이 천연재료 전체 중량%의 1∼80%중량, 바람직하게는 2∼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의 비율로 함유된다. 또한 상기 해충기피제는 천연재료에 혼합 또는 살포하여 해충기피물질이 천연재료에 함유되게 조성하고, 상기 조성물을 건조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의 구현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현상의 특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은 게재된 특별한 세부사항에 적용되는데 한정되지 않는다. 게재된 특수 구현 예와 관련한 제한이 의도되지 않거나 추론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게재되어 있을지라도, 다양한 변형과 변화는 그 기술의 하나임이 분명하며, 그 결과는 본 발명의 영역 내에서 나타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묘사를 목적으로 할 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게재된 상기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의 정의를 사용할 것이다.
“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 )에서 '가축( 家畜 , domestic animal ) '이란 인류가 야생동물을 순치(馴致) · 개량한 것으로 사람의 보호 밑에서 자유로이 번식하는 인류생활에 유용한 동물 및 조류를 일컫는다. " 여기서 유용한 것이란 젖ㆍ고기ㆍ알ㆍ털ㆍ피혁ㆍ깃털 등의 축산물을 생산하는 것과 힘을 사역에 이용하는 것 이외에, 모습과 행동이나 소리를 감상하기 위한 애완동물도 포함하며 포유류로는; 말ㆍ당나귀ㆍ소ㆍ물소ㆍ면양ㆍ염소ㆍ낙타ㆍ순록ㆍ돼지ㆍ개ㆍ고양이ㆍ토끼 등이 있으며, 조류로는; 닭ㆍ칠면조ㆍ거위ㆍ집오리ㆍ화조ㆍ집비둘기ㆍ메추리 등이 있다.
“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 )에서 '해충( 害蟲 , injurious insect )' 이란 일반적으로 인간 및 가축의 생활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해를 주는 곤충으로서 모기나 파리 등을 일컫는다. "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천연재료 및 해충기피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천연재료는 자연계에서 얻을 수 있는 왕겨ㆍ볏짚ㆍ보릿대ㆍ톱밥ㆍ나뭇잎ㆍ건초와 나무껍질 등을 이용하여 가공된 통상적인 종이 등이다. 이들 천연재료는 단독 또는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종이는 본 발명의 용도가 가축에게 사용되는 특성상 상업에 이용되었던 인쇄물, 포장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재활용되지 않은 통상 재질이 종이로 각종 인쇄물로 쓰이는 상질지(아트지 ·모조지 등) ·중질지 ·하급지·신문용지·갱지와 이 밖에 종이상자에 사용되는 지기·마닐라지·크라프트지 등의 각종 용지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상업에 이용되었던 인쇄물과 포장지 중에서 비닐이나 수지 등으로 코팅되어 해충기피제를 혼합 또는 살포 등의 방법으로 함유하기가 힘들거나, 세균의 감염 및 인쇄물에 독성이 있어서 축산업분야에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천연재료는 상기 종이ㆍ왕겨ㆍ볏짚ㆍ보릿대ㆍ톱밥ㆍ나뭇잎ㆍ건초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이 방해되지 않은 천연재료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사용되는 종이ㆍ왕겨ㆍ볏짚ㆍ보릿대ㆍ톱밥ㆍ나뭇잎ㆍ건초 등의 천연재료들은 일반적인 살균처리 방법 예를들면; 고온, 고주파, 적외선 등의 방법으로 살균 처리하여 건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성물 제조 시 세균의 살균 목적으로 살균제를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살균제는 본 발명의 목적이 방해되지 않게 첨가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해충기피제는 인간을 해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살충제의 대체약제로 새로운 개념으로 개발된 천연의 물질을 해충방제로 활용하는 것으로서, 인체에 대한 곤충매개질병을 방지 할 수 있고 환경오염 등의 부작용이 없어 주목받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해충기피제가 갖추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건으로는 인체 및 가축에 무해할 것, 효과가 장기간 지속될 것,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없을 것, 불쾌한 냄새가 없을 것,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피부전면에 처리하지 않아도 효과가 있을 것 등이다. 따라서 "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 )에서 ' 해충기피제 '란인체 또는 가축에게 각종 질병을 매개하는 유해해충으로서 파리·모기 등과 같은 곤충을 박멸, 접근방해, 활동성을 저해하여 힘을 쓰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거나 도망가게 하는 방충 및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질 또는 이들의 화합물 "을 일컫는다.
상기 요건에 맞는 물질로, 인체에 각종 질병 등을 매개하는 모기를 쫓는 풀로 알려진 구문초(PELAR GONIUN CITROSA) 잎에서 추출한 시트로넬라( Citronella ) 정유는 미국 환경청(EPA)에서 유/무해 규제 대상이 아닌 무독성 물질로 분류될 만큼 인체에 해가 없고, 부작용이 없을뿐더러 어린이들에게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시트로넬라는 모기 쫓는 효과 외에도 근육 경련 완화, 지성 피부, 피부 불순물제거, 방부 소독, 수렴 기분을 상쾌하고 맑게 하기도하며 고양이가 창가의 화분에 가까이 가지 못하는 하는 효과까지 지니고 있다.
또한 유칼립투스(Eucalyptus)에서 유래한 해충기피제(PMD)는 중국에서 레몬 유칼립투스 식물에서 추출한 오일은, 디이이티(N,N-diethyl-m-toluamide. DEET)만큼 효과가 탁월한 것은 아니지만 모기가 접근하지 못하게 하거나 도망가게 하고, 힘을 쓰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뛰어나고 진드기, 파리, 모기붙이에도 효과적이며, 기침을 가라앉히고 항바이러스효과, 기관지염, 천식, 가래, 독감 등에도 효과적인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지금까지 보고되어진 해충기피성 식물은 냄유(neem oil), 란타나 카마라(Lantana camara), 아르테미시아 불가리스(Artemisia vulgaris), 로즈, 제라늄, 라벤다 등에서 추출한 정유와 대한민국 공개번호 특 제 2003-0083631호에서는 회향열매로부터 추출한 회향유(fennel oil), 펜촌((+)-fenchone), 및 옥타데세 노익산((E)-9-octadecenoic acid) 공지되어 있다. 또한 테르펜, 페놀, 알칼로이드 등( Harborne, J. B. 1993. Introduction to Ecological Biochemistry, 4th Ed. Academic Press, New York) 의 식물이 이차대사산물로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로서 인체에 대한 독성이 낮고 기존살충제와 마찬가지로 처리방법이 간단하며 해충기피 목적 등 제한된 해충에 유효하면서 천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Jacobson, M. and Crosby, D. G. 1971. Naturally Occurring Insecticides. Marcel Decker, New York ; Elliot, M. 1977. Synthetic pyrethroids, pp. 1-28, in M. Eliott(ed.). Synthetic Pyrethroids. ACS Symp. No. 42,Amer. Chem. Soc., San Francisco, C.A ; Hedin, P. A. 1982.J. Agric. Food Chem. 30: 201-215 ; Arnason, J. T., Philogene, B. J., and Morand, P. 1989. ACS Symp. Ser. No. 387,Amer. Chem. Soc., Wachington, D.C., 1989 ; Isman, M. B. 1995.Rev. Pestic. Toxicol.3:1-20.), 살충제의 대체약제로서 인식되어 졌다.
상기와 같이 인체 및 가축에 무해하며 해충기피제로서 효과가 뛰어난 천연물질( 또는, 천연약제 )를 나노 또는 마이크로단위의 작은 입자 내에 함유하여 캡슐 화함으로써, 캡슐은 조밀하고 일정한 분포를 갖는 고분자 물질로서 캡슐의 벽에 의하여 해충기피제인 내부물질이 보호될 뿐만 아니라, 캡슐의 벽을 이루는 물질의 재질 및 두께 등을 변화시킴으로서 캡슐 내부의 천연약제가 외부로 방출되는 시기ㆍ장소ㆍ방출속도 등을 자유로이 조절 가능한 특징을 살릴 수 있어서, 장기간 지속적인 해충기피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제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노캡슐이란 작은 입자나 액체 방울을 막으로 완전히 감싸는 공정으로서 직경이 수 nm에서 수백 nm 정도의 크기의 고분자로 된 용기에 어떤 물질을 삽입하는 것을 말한다. 입자 크기를 기준으로 나노입자와 마이크로입자라고 분류하는데, 10 ∼ 1000 nm 크기의 범주에 속하는 입자를 '나노입자'라 하며, 1 ∼ 1000 ㎛의 크기의 입자를 통상 '마이크로 입자'라 한다. 상기 마이크로입자 즉, 마이크로캡슐은 크기가 나노입자 보다 캡슐이 파괴가 잘되며 물질의 과다방출로 인하여 방출속도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데 반하여, 나노캡슐은 상대적으로 입자크기가 작아서 상기 문제점이 극복될 뿐 아니라 내벽의 고분자물질이 양자 화된 분자로서, 벌크 (bulk)물질의 특성에 비해 물성이 크게 개선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특허 제 2003-0067354 호 " 천연향을 담지한 나노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 "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나노캡슐에 관한 기술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해충기피제를 나노캡슐 화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천연 향을 담지 한 나노캡슐은 상용화 준비 단계에 있으며, 또한 캡슐형 해충기피제로서 마이크로캡슐은 상용화되어 섬유, 생활용품 분야 등에도 이들 물질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해충기피제는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초지동 반월공단 소재, 폴리크롬(Polychrom)사의 마이크로캡슐형 해충기피제가 모기 등의 해충을 기피효과 및 퇴치하기 위한 용도로 개발된 제품들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캡슐형 해충기피제들은 예시적으로 나열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충기피제는 종이, 왕겨, 볏짚, 보릿대, 톱밥, 나뭇잎, 건초 등의 천연재료에 함유하여 조성함으로서 해충기피제의 특성이 나타나는 물질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는 상용화된 여러 해충기피제들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거나, 필요에 따라 제조를 의뢰하여 구입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의 캡슐형 해충기피제 성분 중 하나 이상 또는 캡슐 화하지 않은 비 캡슐형 해충기피제 성분 중 하나 이상을 본 발명에 함유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해충기피제는 나노 또는 마이크로캡슐형 고형분 기준 함량이 천연재료 전체 중량%의 1∼80%중량, 바람직하게는 2∼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범위 내에서 가축 즉 동물 및 조류별의 사육량 및 사육공간의 범위, 해충의 분포범위, 조성물제형이나 형태에 따라 해충기피제의 성분들이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 해충기피제의 바람직한 함량에는 함량이 너무 많아 조성물 제형이 가축에게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거나,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을 정도의 적은 함량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시사하기도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인체 및 가축에게 안정성이 입증된 살충제와 집먼지진드기, 좀 등의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방충 마이크로캡슐( HunterBall 예;폴리크롬 사의 제품), 용제( 알콜 등) 등을 본 발명의 목적이 방해되지 않게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하여 각 재료들을 단독 또는 하나 이상의 재료에 해충기피제를 혼합하거나 살포 등의 방법 및 건조과정을 거쳐 바람직하게 조성함으로써, 해충으로부터 가축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우수한 방충 및 기피 효과가 나타나는 본 발명의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이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혼합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방법들 즉, 혼합기에 재료를 배합하여 혼합물이 잘 섞어질 수 있도록 혼합하거나 수공으로 혼합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또한 살포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방법들 예를 들면, 분무기나 콤퓨레셔 등이 구비된 스프레이 건 등으로 살포하거나 전용 살포기 및 혼합기에 의한 살포 및 혼합하는 방법 등 본 발명을 바람직하게 구현하는 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된다.
상기 건조하는 방법으로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에는 제한되지 않고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적외선이나 고주파를 사용하는 건조기, 터널 건조기, 온열 및 온풍건조기 및 자연건조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실험 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이들 실시 예에서의 해충기피제 함량은 특별히 단정하지 않는 한, 이의 성분이 배합되는 시스템 전체에 대한 중량%이다.
실시예: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의 제조
표 1은 각 재료의 크기 및 길이가 10㎝이하의 재료를 사용하였으며, 제형1~ 제형4에서 표 1에 나타낸 조성비율로 각 재료 및 해충기피제를 혼합용기에 혼합하되 수공으로 호미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혼합물이 균일하게 잘 섞어지도록 혼합하고, 일반적인 두꺼운 비닐지 위에 골고루 올려놓고 통풍이 잘 되며, 햇볕이 들지 않는 실내공간의 20℃이상에서 자연 건조하여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 예에서 해충기피제는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초지동 반월공단 소재, 폴리크롬사의 마이크로캡슐형으로 시트로넬라 성분외 다수의 해충기피효과가 있는 물질이 혼합된 제품을 사용하였다.
구분 재료 및 중량(%) 해충기피제(%)
제형 1 왕겨( 95 ) - - - 5
제형 2 톱밥( 90 ) - - - 10
제형 3 왕겨( 20 ) 건초( 30 ) 신문지조각( 30 ) 20
제형 4 건초( 10 ) 볏짚( 20 ) 상수리나뭇잎( 20 ) 보릿대( 20 ) 30
실험예: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의 해충기피효과에 대한 평가
표 2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모기 등의 해충이 가장 많이 활동하는 7월 중순부터 9월말까지 약 2.5개월 동안 가축의 사육공간 즉, 축사에 설치하여 표 2의 대상군이 사육되는 장소에 해충의 분포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평가된것을 나타내는 실험평가이다.
이때, 조성물은 대상군이 활동하는 범위 내에서 축사 내부의 환경이 건조하거나, 또는 습도가 65~90℉ 정도의 바닥에 3~10㎝정도의 두께로 깔아 대상물이 직접 밟거나 조성물 위에 잠을 자는 등 활동에 아무런 제약 없이 자연상태를 유지하였다.
또한 대상군이 사육되는 공간은 일반적인 축사나 하우스 형태의 밀폐성이 떨어진 장소로서, 해충으로부터 무방비 상태이며 특히 모기의 활동이 극심한 밤에는 방충제 등의 사용 없이 대상군을 사육하는 데 문제가 심각한 곳으로 생각되는 곳이다.
구 분 제형1 제형2 제형3 제형4
대상군 돼지
대상군의 수 약 500 마리 20마리 19마리 7마리
사육공간의 형태 하우스 축사 축사 축사
해충의 분포상태 거의없다 거의없다 거의없다 거의없다
상기 표3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한 실험 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축사(사육공간) 내에 평가대상군이 수가 많아 가축의 체온으로 축사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가축의 활동성이 많아 조성물을 밝거나 그 위에 잠을 자는 등 조성물과의 신체적 접촉성이 많게 되면 해충기피제를 보호하는 캡슐 즉 피복이 파열되면서 해충기피제의 물질이 방출되어 모기의 접근을 방해하거나, 설사를 일으켜 죽게 하거나, 활동성을 저해하여 힘을 쓰지 못하게 하거나, 도망가게 하는 효과가 나타나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이 설치된 대상군이 있는 근처는 모기의 수가 전혀 없거나 거의 감소한 상태를 보였고, 반면에 조성물과의 거리의 차이가 많은 곳으로 해충기피제가 미치지 못하는 위치에서는 대상군에게 접근을 시도하려고 모기가 밀집되어 있음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물론, 가축의 주위에 있는 소수의 모기도 해충기피제로 인해 활동성이 매우 약하여 가축에게 유해를 하기가 힘든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은 모기 등의 해충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는 방충 및 기피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또한, 상기 실험기간 중 조성물의 교환시기 및 횟수는 대상군에 따라 다르지만 가축의 오물( 대변, 오줌 )로 조성물이 변질된 부분 만 3~15일 간격으로 1회 이상 교체하였다. 또한 해충기피물질이 소진된 조성물을 소진되지 않은 다른 조성물로 교체하였는데 해충기피제의 함량이 적은 조성물 제형 1은 제형2~4에 비해 교체되는 횟수가 빨라 가축이 오물(대변, 오줌)이 자주 떨어지는 부분은 제형 1과 같은 해충기피제의 함량이 적은 조성물을 사용하고, 오물이 없는 부분은 해충기피제의 함량이 많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라고 사려된다.
또한,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은 실험도중 조성물과 신체적 접촉에도 실험대상군의 특이한 피부자극 피부 발작 등의 부작용이 소견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실험 후에도 문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처럼 상술된 본 발명의 기술로 완성된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에 의한 해충기피실험에서, 상기에서 평가된 바와 같이 해충기피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해충기피효과가 보다 우수하고, 마이크로캡슐형 해충기피제는 가축의 신체적 접촉성이 많은 곳, 가축의 체온이 전달될 수 있는 곳 등에서 바람직하게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그 해충 기피성에 대한 효과적 수명이 장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해충에 대한 기피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재료가 종이ㆍ왕겨ㆍ볏짚ㆍ보릿대ㆍ톱밥ㆍ나뭇잎ㆍ건초 등의 환경친화 적인 천연재료로서 평소에 가축이 자연스럽게 접촉하는 재료이므로, 그 재료에 해충기피제를 함유함으로서 가축에게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어서 해충으로부터 가축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수단으로 축산업분야에 유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은 종이ㆍ왕겨ㆍ볏짚ㆍ보릿대ㆍ톱밥ㆍ나뭇잎ㆍ건초 등의 천연재료에 해충기피제를 함유함으로 서, 가축의 사육공간의 바닥 등에 깔라 놓는 등 설치가 쉽고, 해충기피물질이 방출하여 자연스럽고 지속적으로 가축에 유해한 해충을 방충 또는 기피하는 효과가 나타나므로 해충으로부터 가축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축의 사육공간에 사용되었던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 조성물은 식물용 퇴비로 사용됨으로 조성물에 남아 있던 해충기피제물질이 방출로 해충들이 덜 꾀일 수가 있어서 작물(식물)에게 유용하고, 이에 따라 작물은 해충으로부터 발생되는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4)

  1. 해충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천연재료와, 상기 천연재료에 해충기피제를 혼합 또는 살포하여 해충기피물질이 천연재료에 함유되게 조성하고, 상기 조성물을 건조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해충기피제는 나노 또는 마이크로캡슐형 고형분 기준 함량이 천연재료 전체 중량%의 1∼80%중량의 비율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천연재료가 종이ㆍ왕겨ㆍ볏짚ㆍ보릿대ㆍ톱밥ㆍ나뭇잎ㆍ건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
  4. 제 1항과 2항에 있어서,
    해충기피제로서 성분이 시트로넬라오일· 유칼립투스오일· 냄유· 란타나 카마라· 아르테미시아 불가리스· 로즈· 제라늄· 라벤다· 회향유· 펜촌· 옥타데세 노익산 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
KR1020040001793A 2004-01-10 2004-01-10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 KR20040010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793A KR20040010820A (ko) 2004-01-10 2004-01-10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793A KR20040010820A (ko) 2004-01-10 2004-01-10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820A true KR20040010820A (ko) 2004-01-31

Family

ID=3731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793A KR20040010820A (ko) 2004-01-10 2004-01-10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082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314B1 (ko) * 2005-03-18 2010-07-2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식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해충방제용 조성물
KR101273925B1 (ko) * 2011-03-31 2013-06-14 김봉상 친환경 기능성 살충 조성물
KR101348879B1 (ko) * 2011-10-27 2014-01-07 푸른공간 주식회사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KR101489655B1 (ko) * 2013-01-23 2015-02-04 주식회사 에이유 식품포장용 친환경 저탄소 바이오매스 소재를 활용한 서방성 다층방충필름
KR101888809B1 (ko) * 2018-05-24 2018-08-14 이지형 천연 살충 조성물
KR102374312B1 (ko) * 2021-07-07 2022-03-14 남경민 친환경 뱀 기피제
KR20230067310A (ko) 2021-11-09 2023-05-16 구원혁 은행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기피제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140A (ko) * 1983-07-06 1985-03-16 최병섭 살충제를 혼합한 고형유기물 제조방법
JPH06116111A (ja) * 1991-06-28 1994-04-26 Nippon Getsutou Kk 農業用殺菌剤
US5518736A (en) * 1994-06-27 1996-05-21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Method of preparing natural-oil-containing emulsions and microcapsules and its uses
KR20010018588A (ko) * 1999-08-20 2001-03-05 최원식 천연 모기 기피제
KR20020091968A (ko) * 2001-06-01 2002-12-11 주식회사 마이크로폴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해충기피용 패취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83631A (ko) * 2003-09-05 2003-10-30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모기 기피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140A (ko) * 1983-07-06 1985-03-16 최병섭 살충제를 혼합한 고형유기물 제조방법
JPH06116111A (ja) * 1991-06-28 1994-04-26 Nippon Getsutou Kk 農業用殺菌剤
US5518736A (en) * 1994-06-27 1996-05-21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Method of preparing natural-oil-containing emulsions and microcapsules and its uses
KR20010018588A (ko) * 1999-08-20 2001-03-05 최원식 천연 모기 기피제
KR20020091968A (ko) * 2001-06-01 2002-12-11 주식회사 마이크로폴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해충기피용 패취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83631A (ko) * 2003-09-05 2003-10-30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모기 기피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314B1 (ko) * 2005-03-18 2010-07-2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식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해충방제용 조성물
KR101273925B1 (ko) * 2011-03-31 2013-06-14 김봉상 친환경 기능성 살충 조성물
KR101348879B1 (ko) * 2011-10-27 2014-01-07 푸른공간 주식회사 방충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수목용 방제방법
KR101489655B1 (ko) * 2013-01-23 2015-02-04 주식회사 에이유 식품포장용 친환경 저탄소 바이오매스 소재를 활용한 서방성 다층방충필름
KR101888809B1 (ko) * 2018-05-24 2018-08-14 이지형 천연 살충 조성물
KR102374312B1 (ko) * 2021-07-07 2022-03-14 남경민 친환경 뱀 기피제
KR20230067310A (ko) 2021-11-09 2023-05-16 구원혁 은행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기피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2348B2 (en) Combination animal repellents
US2015021618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 attraction and repulsion of insects
US20170251655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apturing, killing or repelling bed bugs
US9066522B2 (en) Insect and disease control
US20140352630A1 (en) Combination animal repellents
KR20160079371A (ko) 동물 기피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3285568B1 (en) Use of l-felinine to attract cats to eliminate in a litter box
AU2019231662B2 (en) Insect repellent and insecticide
KR20040010820A (ko) 해충기피제가 함유된 천연재료조성물
KR101288334B1 (ko)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US20220087247A1 (en) Mouse repellents,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uch
JP3459402B2 (ja) 動物用忌避剤
US20180084781A1 (en) Solid-adsorbed ureas
WO2008105645A1 (es) Composiciones de acaricidas de extractos de semillas para el control de acaros en textiles. botánica y/o agricultura enfocados al sector salud
WO2022045112A1 (ja) 害虫に対する忌避・殺虫剤およびこの製造方法、機能性物品
KR20240139369A (ko) 친환경 유해동물 기피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9980054662A (ko) 바퀴벌레 유인독이제용 마이크로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519515A (zh) 一种驱鼠和除臭味的熏香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WO2024176257A1 (en) Animal repellent chemical composition
EP080689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mmonia, arthropod infestation and reducing animal stress in confined room animal husbandry
US20040166134A1 (en) Animal repellent containing a combination of extract of clove oil and mustard
JP2005336096A (ja) 鳥類忌避剤
KR19980054661A (ko) 수소이온농도인지 분해성 바퀴벌레 유인독이제용 살충성 마이크로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10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11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