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10223A - 카트리지 및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및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0223A
KR20040010223A KR1020030048657A KR20030048657A KR20040010223A KR 20040010223 A KR20040010223 A KR 20040010223A KR 1020030048657 A KR1020030048657 A KR 1020030048657A KR 20030048657 A KR20030048657 A KR 20030048657A KR 20040010223 A KR20040010223 A KR 20040010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cartridge
ink
sensor
cond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사우치노보루
고스기야스히코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09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42590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09468A external-priority patent/JP4259058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0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22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83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using vibration or ultra-sons for ink level indication

Landscapes

  • Ink Jet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종래의 인쇄용 기록 재료를 수용한 카트리지에서는, 기록 재료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지만, 검출의 신뢰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10)에 잉크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17)를 마련하여, 프린터(20)의 제어 장치(22)로부터 무선에 의해, 카트리지(10) 측에 검출 지시와 검출 조건을 송신한다. 카트리지(10)는 이 지시를 받아, 센서 제어부(19)에 의해서, 센서(17)를 지시된 검출 조건으로 구동하여, 진동시킨다. 센서(17)는 잉크 수용실(16)에 설정된 공진실(18)에 면하여 마련되기 때문에, 그 진동의 주파수는 공진실(18)의 공진 주파수에 의해 규제된다. 공진 주파수는 공진실(18) 내의 잉크 유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면, 공진실(18) 내의 잉크 유무, 나아가서는, 잉크 카트리지(10)에 있어서의 잉크 잔량을 알 수 있다. 이 때, 병행하여 검출 조건을 카트리지 측으로부터 출력하여, 지시된 검출 조건으로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검출의 정확을 기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및 인쇄 장치{CARTRIDGE AND PRINT APPARATUS}
본 발명은 인쇄에 이용하는 기록 재료를 수용한 수용실을 구비한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센서를 내장한 카트리지와 이 카트리지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프린터와 같이 잉크를 용지로 토출하여 기록하는 인쇄 장치(프린터)나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인쇄 장치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에서는, 잉크나 토너 등의 기록 재료를 수용한 수용실을 구비하고 있다. 기록 재료의 잔량 관리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는, 중요한 기술로 되어 있고, 사용량을 인쇄 장치 측에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카운트하여 관리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카트리지에 센서를 마련하여, 직접 계측하고자 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47146호 공보 참조).
센서로는, 각종 형태가 고려되지만, 검출하고자 하는 기록 재료가 도전성 잉크이면, 전기적인 저항값에 의해 잉크 잔량을 계측하여도 좋고, 수용실 내에 마련한 공진실에 압전 소자 등의 전왜 소자(電歪素子)를 마련하여, 전왜 소자의 공진 주파수를 계측함으로써, 공진실 내의 기록 재료 유무를 계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잉크 등의 기록 재료의 온도, 점도, 습도, 입도, 색상, 잔량, 압력 등을 계측하는 것도 고려되고, 이 경우에는, 각각의 물리적 성질에 맞춰서, 전용 센서를 이용하면 좋다. 예컨대, 온도이면 서미스터(thermistor)나 열전쌍, 압력이면 압력 센서 등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센서를 마련한 카트리지에는, 센서에 의한 검출 조건이 고정적이며, 검출 신뢰성을 충분히 높일 수 없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수용실 내의 기록 재료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를 마련하고 있는 경우, 기록 재료의 조성을 변경하면, 최적의 검출 조건이 변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종래의 카트리지에서는, 이런 경우, 검출용 회로 구성을 변경하지 않으면, 검출 신뢰성을 충분히 보증할 수 없었다. 그렇다고 해서, 그 때마다 회로 구성을 조정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고비용을 초래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카트리지에서는, 검출 결과가, 예컨대, 잉크 유무와 같이 2치적인 것인 경우, 검출 회로가 고장이어도, 어느 한 쪽의 신호를 계속해서 출력하면, 고장인 것을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 때문에, 검출 결과의 신뢰성을 충분히 평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지적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센서를 구비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검출 조건의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또한 검출 결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장치는, 인쇄에 이용하는 기록 재료를 수용한 수용실을 구비하여, 인쇄 장치에 탑재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 내의 상기 기록 재료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와, 해당 센서에 의한 검출 조건에 대해서, 외부로부터의 지정을 접수하는 조건 접수 수단과, 상기 지정된 조건으로 상기 검출을 행하는 검출 수단과, 해당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는, 수용실 내의 기록 재료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외부로부터 이 센서에 의한 검출 조건을 지정 받으면, 그 지정된 조건으로 검출을 행한다. 그 후에, 검출 결과를 출력한다. 따라서, 수용실 내의 기록 재료의 상태를 검출할 때, 고정적인 검출 조건으로 검출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검출에 적합한 조건을 지정 받아 검출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수단을, 검출 결과와 함께, 지정된 검출 조건에 대응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단으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러한 카트리지는, 검출 결과가 검출 조건에 대응한 데이터(검출 조건 그 자체를 포함함)와 함께 출력되기 때문에, 카트리지에 대하여 검출 지시를 행한 측으로부터, 검출 결과의 신뢰성에 대해서 검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카트리지의 기록 재료로는, 잉크젯 프린터 등에 이용하는 소정 색의 잉크나, 복사기, 팩스 또는 레이저 프린터용 토너 등을 상정할 수가 있다.
또한, 센서로는, 수용실 내의 기록 재료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나, 기록 재료의 잔량을 검출하는 것에도 이용 가능하다. 물론, 기록 재료의 온도, 점도, 습도, 입도, 색상, 잔량,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출력 수단으로는, 검출 결과를 무선 통신에 의해 출력하는 수단으로 할 수 있다. 무선 통신으로 하면, 카트리지 설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센서로서, 기록 재료의 상태에 의해 공진 상태가 변화되는 압전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압전 소자에, 여기용 펄스를 인가한 후에, 여기용 펄스에 따라 작동하는 압전 소자의 진동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압전 소자의 공진 상태로부터 기록 재료의 상태를 검출할 수가 있다. 여기서, 공진 상태란, 압전 소자의 공진 주파수로서 파악할 수가 있다. 공진 주파수는 압전 소자의 1 이상의 진동에 필요한 시간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압전 소자를 이용한 센서를 내장한 카트리지에서는, 검출 조건은 압전 소자의 진동에 필요한 시간을 계측하는 진동수의 지정으로서 구체화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는 지정된 진동수에 필요한 시간을 검출하고, 또한, 계측에 이용한 진동에 관한 데이터를, 검출한 시간과 함께 출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검출에 이용하는 진동수는 계측을 개시하는 진동 위치와, 계측을 종료하는 진동 위치로 지정할 수 있다. 진동에 관한 데이터는 지정한 진동의 개시와 종료의 위치에 근거해서, 예컨대, 그 동안에 필요한 시간으로서 결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카트리지로는, 수용실 내에 수용된 기록 재료의 상태에 대응한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카트리지에서는, 검출 조건의 지정 등은 무선 통신으로 행할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카트리지에,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또, 검출 결과도, 무선에 의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수단에는, 통신을 행하기 위한 루프 형상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신을 행할 때에는, 이 안테나에 기전력이 유기된다. 그래서, 이 기전력을 이용하여, 카트리지 내로의 급전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카트리지 내에, 배터리 등을 구비할 필요 없이,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트리지를 이용한 인쇄 장치의 발명은, 인쇄에 이용하는 기록 재료를 수용한 수용실을 구비한 카트리지가 탑재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는, 상기 수용실 내의 상기 기록 재료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와, 해당 센서에 의한 검출 조건에 대해서, 외부로부터의 지정을 접수하는 조건 접수 수단과, 상기 지정된 조건으로 상기 검출을 행하는 검출 수단과, 해당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이 구비되고, 또한, 당해 인쇄 장치에는, 상기 검출 조건을 지정하는 조건 지정 수단과, 상기 카트리지의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 결과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해당 검출 결과에 대해서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인쇄 장치에서는, 카트리지는 인쇄 장치로부터 지정된 검출 조건으로 기록 재료의 상태를 검출하고, 그 다음에, 검출 결과를 출력한다. 따라서, 수용실 내의 기록 재료의 상태를 검출할 때, 고정적인 검출 조건으로 검출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검출에 적합한 조건의 지정을 인쇄 장치로부터 받아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어, 인쇄 장치로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출력 수단으로서, 상기 검출 결과와 함께, 상기 지정된 검출 조건에 대응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을, 당해 인쇄 장치의 상기 입력 수단으로서, 상기 카트리지의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 결과와 함께, 상기 데이터를 입력하는 구성을, 또한, 당해 인쇄 장치의 상기 판단 수단으로서, 해당 입력된 상기 데이터와 상기 조건 지정 수단이 지정한 검출 조건을 비교하여, 양자가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검출 결과를 유효로 하여, 상기 기록 재료의 상태에 관련된 소정 처리를 행하는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인쇄 장치에서는, 인쇄 장치 측에서는, 카트리지로부터 수취한 검출 조건에 대응한 데이터를 스스로가 지정한 검출 조건과 비교하여,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검출 결과를 유효로 하여, 기록 재료의 상태에 관련된 소정 처리를 행한다. 소정 처리란, 예컨대, 기록 재료 유무를 검출한 경우에는, 기록 재료 잔량의 연산이고, 그 연산식의 교정(캘리브레이션)이나, 각종 처리를 상정할 수가 있다. 역으로, 양자를 비교하여 대응하지 않은 경우에는, 검출 결과를 무효로 하거나, 사용자에 대하여, 검출 결과를 유효하다고 취급할 수 없는 것을 경고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도 유용하다.
또한, 인쇄에 이용하는 기록 재료를 수용한 수용실을 구비한 카트리지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을 파악할 수도 있다. 이 제 1 방법은 상기 카트리지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실 내의 상기 기록 재료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한 검출 조건에 대하여,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지정하고, 해당 지정된 검출 조건에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에서 행해지는 상기 센서를 이용한 검출 결과를, 지정을 행한 외부로 출력하는 카트리지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의 교환 방법에 따르면, 센서의 검출 조건에 대해서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이것을 지정하고, 카트리지 측으로부터는, 검출 결과를 출력한다. 이 검출 결과를 수취하는 측은, 스스로가 지정한 검출 조건으로 이루어진 검출 결과를 수취할 수 있다.
또한, 인쇄에 이용하는 기록 재료를 수용한 수용실을 구비한 카트리지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 2 방법은, 상기 카트리지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실 내의 상기기록 재료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한 검출 조건에 대해서,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지정하고, 해당 지정된 검출 조건에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에서 행해지는 상기 센서를 사용한 검출 결과를, 상기 지정된 검출 조건에 대응한 데이터와 함께,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출력하고, 해당 출력된 데이터와 상기 지정된 검출 조건과의 대응을 검증하여, 상기 검출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요지로 하고있다.
이러한 정보의 교환 방법에 따르면, 센서의 검출 조건에 대해서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이것을 지정하고, 카트리지 측으로부터는, 검출 결과와 함께, 이 검출 조건에 대응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검출 결과와 데이터를 수취하는 쪽에서는, 데이터와 지정한 검출 조건과의 대응을 검증함으로써, 검출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따라서, 카트리지와의 사이에서의 정보 교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카트리지(1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카트리지 측과 프린터 측의 처리를 관련지어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잉크 유무의 검출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프린터(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5는 실시예의 프린터(200)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222)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실시예의 검출 기억 모듈(121)의 외관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111)에의 검출 기억 모듈(121)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검출 기억 모듈(12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카트리지(210)에 탑재된 잉크 카트리지(111~116)와 송수신부(230)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검출 기억 모듈(121)에 있어서의 EEPROM(166)의 내부에 기억된 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검출 기억 모듈(121)에 있어서의 처리 개요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제 3 순서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13은 구동 지시 DRIV에 의해 실제로 압전 소자(153)에 인가되는 전압과 압전 소자(153)의 진동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4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검출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잉크 카트리지12 : 통신 제어부
14 : 메모리15 : 메모리 제어부
16 : 잉크 수용실17 : 센서
18 : 공진실19 : 센서 제어부
20 : 프린터22 : 제어 장치
24 : 압반(壓盤)25 : 인자 헤드
30 : 송수신 장치111∼116 : 잉크 카트리지
121∼126 : 검출 기억 모듈131 : 기판
133 : 안테나135 : 전용 IC 칩
137 : 센서 모듈139 : 배선 패턴
141 : 접착층151 : 공진실
153 : 압전 소자161 : RF 회로
162 : 전원부163 : 데이터 해석부
165 : EEPROM 제어부166 : EEPROM
168 : 검출 제어부170 : 구동 제어부
172 : 앰프174 : 비교기
175 : 발진기176 : 카운터
178 : 출력부200 : 잉크젯 프린터
203 : 급지 유닛210 : 캐리지
211 : 인자 헤드221 : 반송용 벨트
222 : 제어 장치223 : 스테핑 모터
224 : 가이드225 : 압반
229 : 풀리(pulley)230 : 송수신부
231 : RF 변환부233 : 루프 안테나
240 : 종이 반송용 모터241 : 기어 트레인
242 : 인코더245 : 조작 패널
247 : 각종 스위치(잉크 카트리지 교환 버튼)
248 : LED251 : CPU
252 : ROM253 : RAM
254 : PIO255 : 타이머
256 : 구동 버퍼257 : 버스
258 : 발진기259 : 분배 출력기
AC : 응답 신호ACK : 응답 신호
ACM : 액티브 모드AMC : 액티브 모드 명령
CLR : 클리어 신호COMP : 구형파 신호
DC : 지시DN : 검출 조건
DRIV : 구동 지시DRIV : 구동 신호
PC : 컴퓨터R1 : 저항기
R2 : 저항기RAA : 기입 판독 가능 영역
ROA : 판독 전용 영역SET : 설정 신호
T : 용지Tr1 : 트랜지스터
Tr2 : 트랜지스터Vref : 비교 전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잉크 카트리지(10)와, 이 잉크 카트리지(10)를 탑재하는 프린터(20)의 송수신 장치(30)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압반(24)에 의해 반송되는 용지 T에, 인자 헤드(25)로부터 잉크를 토출하여 인자를 실행하는 프린터(20)의 내부 구성 등에 있어서는 생략하지만, 프린터(20) 내의 제어 장치(22)에서는, 인쇄에 이용한 잉크량 등의 데이터를 연산하여 두고, 이것을 송수신 장치(30)를 거쳐서 잉크카트리지(10) 측으로 송신하고 있다. 잉크 카트리지(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무선 통신에 의하지만, 유선이라도 지장은 없다. 무선 통신 방식은,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유도 방식으로 했지만, 다른 방식도 채용 가능하다.
잉크 카트리지(10)에는,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12), 메모리(14)에의 데이터의 기입 판독을 실행하는 메모리 제어부(15), 압전 소자를 이용한 센서(17), 이 센서(17)의 구동과 센서(17)를 이용한 잉크 잔량의 검출을 실행하는 센서 제어부(19)를 구비한다. 센서(17)를 이용한 잉크 잔량의 검출은 다음 순서로 행해진다. 센서(17)는 잉크 수용실(16)에 설정된 공진실(18)에 장착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전극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면, 압전 소자인 센서(17)는, 왜곡, 변형된다. 이 상태로부터, 압전 소자에 남아있던 전하를 방전하면, 왜곡 에너지는 해방되어, 소자는 자유 진동한다. 센서(17)는 공진실(18)에 닿도록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 자유 진동의 주파수는, 공진실(18)의 공진 주파수에 의해 규제된다. 공진실(18)의 공진 주파수는 공진실 내에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와,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면, 공진실(18) 내의 잉크 유무, 나아가서는, 잉크 카트리지(10)에 있어서의 잉크 잔량을 알 수 있다.
도 2는 센서 제어부(19)가 실행하는 처리를, 프린터(20) 측의 제어 장치(22)의 처리와 대응시켜 모식적으로 기재한 흐름도이다. 센서 제어부(19)는 실제로는 게이트 어레이 등을 이용한 회로에 의해 실현되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그 처리 내용을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잉크 잔량의 검출은 프린터(20)의 제어 장치(22)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해서 행해진다(단계 S5). 이 때, 제어 장치(22)는 잉크 잔량의 검출 지시뿐만 아니라, 검출 조건(자세하게는 후술)도 지정한다. 카트리지(10)에서는, 통신 제어부(12)를 거쳐서, 잉크 잔량의 검출 지시 및 검출 조건의 지정을 수취한다(단계 S10).
검출 조건의 지정을 수취한 센서 제어부(19)는, 검출 조건으로서, 계측 개시의 펄스와 종료의 계측 펄스 수의 설정을 실행한다(단계 S11). 상술한 바와 같이, 검출은 공진 주파수에 의해 실행하지만, 이 계측을 실행하는 센서(17)의 진동으로서 몇 번 째 펄스를 개시 펄스로 하고, 그로부터 어느 펄스에 걸쳐 계측을 실행하는가라고 하는 지정에 있다. 이 예에서는, 개시 펄스로서는 제 1 펄스가, 계측 펄스 수로서는, 4 펄스가 지정된다. 물론, 개시 펄스와 종료 펄스를 지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그 경우에는, 종료 펄스로서는 제 5 펄스가 지정되는 것으로 된다). 공진에 의한 센서(17)의 진동과, 계측의 개시 펄스, 계측 펄스 수, 종료 펄스의 관계 등을, 도 3에 모식적으로 도시했다.
검출 조건의 설정이 완료되면, 다음에, 센서 제어부(19)는 구동 펄스를 센서(17)로 출력한다(단계 S12). 이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압전 소자인 센서(17)는 진동을 여기시켜, 전압의 인가가 소진된 후에는, 공진실(18)의 상태에 따라서 변화하는 공진 주파수로 공진한다. 그래서, 센서 제어부(19)는 검출 조건으로서 설정된 개시 펄스를 검출할 때까지 대기하고(단계 S13), 개시 펄스를 검출하면(도 3, 타이밍 t1), 시간 카운트를 개시한다(단계 S14).
그 후, 센서 제어부(19)는 종료 펄스를 검출할 때까지 대기하고(단계 S15), 미리 설정된 펄스 수(실시예에서는 4 펄스)를 검출하면, 시간 카운트를 종료하여,카운트값을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6). 이 때, 검출이 종료한 위치(도 3, 타이밍 t2)의 펄스 수도 함께 출력한다. 검출 종료한 위치의 펄스 수란, 개시 펄스(본 예에서는 공진의 제 1 펄스)에, 계측에 필요한 펄스 수(본 예에서는 4 펄스)를 더한 값이고,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 5 펄스이다.
센서 제어부(19)가, 카운트값과 검출 펄스 수를, 통신 제어부(12)를 거쳐서 출력하면, 프린터(20)의 제어 장치(22)는 이 검출 결과를 수취하고(단계 S20), 카운트값과 함께 수취한 펄스 수를 조사하여, 미리 지정한 검출 조건과 합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0). 이 예에서는, 카트리지(10) 측의 센서 제어부(19)로부터 수취하는 것은, 종료 펄스의 위치에 대응한 펄스 수이므로, 제어 장치(22)는 스스로가 실행한 검출 조건의 지정(단계 S5)으로부터 종료 펄스의 위치를 요구하고, 이것과 수취한 펄스 수를 비교하여, 검출 조건이 합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물론, 개시 펄스와 종료 펄스를 지정하여, 검출 결과와 함께, 검출에 필요한 펄스 수를 수취하고, 이것을 검증하도록 하여도 지장은 없다.
검출 조건이 합치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면, 검출은 정상으로 행하여진 (단계 S40)다고 판단하고, 센서(17)에 의한 잉크 잔량의 검출 결과를, 그 후의 처리에 이용한다. 예컨대, 검출 결과가 공진실(18)에도 이미 잉크가 없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으면, 프린터(20)의 제어 장치(22)는 잉크 잔량이 공진실(18)의 레벨을 하회했다고 해서, 그 후의 잉크 잔량 관리에 이용하는 것이다. 한편, 검출 조건이 합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검출에는 에러가 있었다고 판단하여(단계 S50), 이 검출 결과를 그 후의 처리에는 이용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10)에서는, 수용실(16) 내의 잉크의 상태(여기서는 잉크 유무)를 검출할 수 있고, 또한 그 검출을 카트리지(10) 외부의 프린터(20)의 제어 장치(22) 측에서 지정된 조건으로 실행한다. 이 때문에, 검출 조건이 고정적인 것으로 되지 않고, 상황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수용실(16)에 수용하는 잉크의 조성을 변경한 것으로, 검출의 최적 조건이 변한 경우 등이라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10)와 프린터(20) 측의 데이터 교환은 무선 통신에 의해 행해지고 있고, 인쇄를 위해 이동하는 카트리지(10)와의 사이에서, 접점의 접촉 불량 등의 우려가 없고, 안정하게 데이터 교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지정된 검출 조건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검출 결과와 함께 출력하여, 검출 조건을 지정한 측(제어 장치(22))에서 검증을 실행하고 있으므로, 데이터 통신의 신뢰성도 포함시켜, 검출 전체에 대해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은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한 것이다. 도 4는 이 프린터(200)의 동작에 관여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5는 프린터(200)의 제어 장치(222)를 중심으로, 그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프린터(200)는 급지 유닛(203)으로부터 급지되어 압반(225)에 의해서 반송되는 용지 T에, 인자 헤드(211~216)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용지 T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압반(225)은 종이 반송용 모터(240)로부터 기어 트레인(241)을 거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이 압반의 회전각도는 인코더(242)에 의해 검출된다. 인자 헤드(211~216)는 용지 T의 폭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카트리지(210)에 설치된다. 이 카트리지(210)는 스테핑 모터(223)에 의해 구동되는 반송용 벨트(221)에 결합되어 있다. 반송용 벨트(221)는 무단 벨트이며, 스테핑 모터(223)와, 그 반대 측에 마련된 풀리(229)와의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따라서, 스테핑 모터(223)가 회전하면, 캐리지(210)는 반송용 벨트(221)의 이동에 따라, 반송용의 가이드(224)를 따라서 왕복 운동한다.
다음에, 카트리지(210)에 탑재된 6색의 잉크 카트리지(111~116)에 대하여 설명한다. 6색의 잉크 카트리지(111~116)는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며, 그 내부의 수용실에 수용되는 잉크의 조성, 즉 색이 다르다. 잉크 카트리지(111~116)에는, 각각 흑색 잉크 K, 시안색 잉크 C, 마젠타색 잉크 M, 황색 잉크 Y, 밝은 시안색 잉크 LC, 밝은 마젠타색 잉크 LM가 수용되어 있다. 밝은 시안색 잉크 LC, 밝은 마젠타색 잉크 LM은, 각각, 시안색 잉크 C, 마젠타색 잉크 M보다, 그 염료 농도에 있어서, 1/4 정도로 조정된 엷은 색의 잉크이다. 이들 카트리지(111~116)에는, 후에 자세히 그 구성을 설명하는 검출 기억 모듈(121~126)이 부착되어 있다. 이 검출 기억 모듈(121~126)은, 무선 통신에 의해, 프린터(200) 측의 제어 장치(222)와 데이터의 교환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는, 검출 기억 모듈(121~126)은 잉크 카트리지(111~116)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의 검출 기억 모듈(121~126)과 무선에 의한 데이터 교환을 실행하기 위해서, 프린터(200)에는, 통신용 송수신부(230)가 마련된다. 송수신부(230)는 다른 전자 부품, 예컨대, 종이 반송용 모터(240), 스테핑 모터(223), 인코더(242) 등과함께, 제어 장치(222)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222)에는, 이 외에, 프린터(200)의 전면에 준비된 조작 패널(245)의 각종 스위치(247)나, LED(248)도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22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200)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CPU(251),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ROM(252), 데이터의 일시 보존에 이용되는 RAM(253), 외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PIO(254), 시간을 관리하기 위한 타이머(255), 인자 헤드(211~216)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동 버퍼(256) 등을 구비하고, 이들을 버스(257)로 상호 접속하고 있다. 제어 장치(222)에는, 이들 회로 소자 외에, 발진기(258)나 분배 출력기(259) 등도 마련된다. 분배 출력기(259)는 발진기(258)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를, 여섯 개의 인자 헤드(211~216)의 커먼 단자에 분배하는 것이다. 인자 헤드(211~216)는 그 온·오프(잉크를 토출함·하지 않음)의 데이터를, 구동 버퍼(256) 측에서 수취하고, 분배 출력기(259)로부터 구동 펄스를 수취한 시점에서, 구동 버퍼(256) 측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에 따라, 잉크를 대응하는 노즐로부터 토출한다.
제어 장치(222)의 PIO(254)에는, 이미 설명한 스테핑 모터(223), 종이 반송용 모터(240), 인코더(242), 송수신부(230), 조작 패널(245)과 같이, 인쇄해야 할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200)로 출력하는 컴퓨터 PC도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인쇄 시에는, 컴퓨터 PC에서 인쇄해야 할 화상이 특정되어, 그 래스터라이즈(rasterize), 색 변환, 하프트닝 등의 처리가 행해진 데이터가 프린터(200)로 출력된다. 프린터(200)는 캐리지(210)의 이동 위치를 스테핑모터(223)의 구동량에 의해 검출하면서, 종이 반송 위치를 인코더(242)로부터의 데이터로 확인하고, 이들에 맞춰, 컴퓨터 PC로부터 수취한 데이터를, 인자 헤드(211~216)의 노즐로부터 토출해야 할 잉크의 온·오프의 데이터로 전개하여, 구동 버퍼(256) 및 분배 출력기(259)를 구동한다.
제어 장치(222)는 PIO(254)에 접속된 송수신부(230)를 거쳐, 카트리지(111~116)에 탑재된 검출 기억 모듈(121~126)과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송수신부(230)에는, PIO(254)로부터의 신호를 소정 주파수의 교류 신호로 변환하는 RF 변환부(231)와, RF 변환부(231)로부터의 교류 신호를 받는 루프 안테나(233)가 마련된다. 루프 안테나(233)에 교류 신호를 인가하면, 그 근방에 마찬가지의 안테나를 배치하면, 전자 유도에 의해, 다른쪽의 안테나에 전기 신호가 여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에 의한 통신 거리가 프린터 내부의 거리로 한정되기 때문에, 전자 유도를 이용한 무선 통신 수법을 채용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에 이용하는 안테나는 송수신 측에서 각각 하나씩 준비하여, 송신도 수신도, 동일한 안테나를 이용하고 있지만, 송신용 안테나와 수신용 안테나를, 적어도 한쪽에서는 분리하여 전용 안테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측의 작동 전력은 통신에 사용하고 있는 안테나간의 전자 유도를 이용하여 취득하고 있지만, 전력 취득용 안테나를 개별적으로 마련하는 것도 지장은 없다.
다음에, 잉크 카트리지(111) 측의 검출 기억 모듈(12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검출 기억 모듈(121~126)의 외관을 정면 및 측면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잉크 카트리지(111~116)에 탑재된 검출 기억 모듈(121~126)은 내부에 기억된 ID 번호를 제외하고 모두 동일하므로, 검출 기억 모듈(121)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이 검출 기억 모듈(121)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얇은 필름상의 기판(131)에 금속의 박막 패턴으로서 형성된 안테나(133)와, 후술하는 각종 기능을 내장하는 전용 IC 칩(135)과, 잉크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 모듈(137)과, 이들을 접속하는 배선 패턴(13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이 검출 기억 모듈(121)을 잉크 카트리지(111)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출 기억 모듈(121)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층(141)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11)의 측면에 장착된다. 이 때, 기판(131)의 이면에 마련된 센서 모듈(137)은 카트리지(111)의 측면에 마련된 개구(143)에 끼워 맞춰진다. 센서 모듈(137)의 내부에는, 공진실(15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진실(151)의 한쪽 벽에 센서로서 작용하는 압전 소자(153)가 부착되어 있다.
검출 기억 모듈(121)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검출 기억 모듈(12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검출 기억 모듈(121)은 전용 IC 칩(135) 내에, RF 회로(161), 전원부(162), 데이터 해석부(163), EEPROM 제어부(165), EEPROM(166), 검출 제어부(168), 구동 제어부(170), 앰프(172), 비교기(174), 발진기(175), 카운터(176), 출력부(178), 두 개의 트랜지스터 Tr1, Tr2, 저항기 R1, R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RF 회로(161)는 안테나(133)에 전자 유도에 의해 발생한 교류 신호를 검파하여 입력하는 회로이며, 검파에 의해 취출한 전력 성분을 전원부(162)로, 신호 성분을 데이터 해석부(163)로 출력한다. 또한, 후술하는 출력부(178)로부터의 신호를 수취하고, 이것을 변조하여 교류 신호로 하고, 안테나(133)를 통해, 프린터(200) 측의 송수신부(230)로 송신하는 기능도 갖는다. 전원부(162)는 RF 회로(161)로부터 수취한 전력 성분을 이용하고, 이것을 안정화하여, 전용 IC 칩(135) 내부의 전원 및 센서 모듈(137)의 전원으로서 출력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111~116)에는, 건전지 등의 전원은 탑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송수신부(230)로부터 신호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이 어느 정도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원부(162)에 의해 생성된 안정화 전원을 축적하는 콘덴서 등의 전하 축적 소자를 마련하는 것도 유용하다. 전하 축적 소자는 전원부(162)의 전단에 마련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데이터 해석부(163)는 RF 회로(161)로부터 수취한 신호 성분을 해석하고, 넓게는 명령과 데이터를 취출하는 회로이다. 데이터 해석부(163)는, 해석한 결과에 근거해서, EEPROM(166)과의 데이터 교환을 실행할지, 센서 모듈(137)과의 데이터 교환을 실행할지를 제어하고 있다. 데이터 해석부(163)는 데이터를 해석한 결과에 따라, EEPROM(166)과의 데이터 교환이나 센서 모듈(137)과의 데이터 교환 등을 실행하지만, 그 때문에, 교환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잉크 카트리지를 식별하는 처리 등도 실행할 필요가 생긴다. 데이터 해석부(163)는 이들의 처리도 실행한다. 그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도 9(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210)에 탑재된 각 잉크 카트리지가, 송수신부(230)에 대하여 어떤 위치에 있는 지라는 정보와, 각 잉크 카트리지에 기억된 ID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의 식별을 실행하고 있다. 도 9(a)는 각 잉크 카트리지(111~116) 및 이것에 장착된 검출 기억 모듈(121~126)과, 송수신부(230)와의 위치 관계를, 경시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9(b)는 또한 잉크 카트리지와 송수신부(230)와의 관계를 양자의 폭의 관점에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잉크 카트리지를 식별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제어 장치(222)는 캐리지(210)를 송수신부(230)가 존재하는 쪽으로 반송한다. 캐리지(210)가 송수신부(230)와 대향하는 위치는 인자 범위 외에 설치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검출 기억 모듈(121~126)은 잉크 카트리지(111~116)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카트리지(210)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최대 두 개의 검출 기억 모듈이 송수신부(230)와의 송신 가능 범위로 들어가는 것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 데이터 해석부(163)는 송수신부(230)를 거쳐, 제어 장치(222)로부터의 요구를 받아, 잉크 카트리지의 인식 처리나 메모리에의 액세스 또는 센서 모듈(137)과의 교환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처리의 상세는, 이후에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데이터를 수수하는 잉크 카트리지의 특정을 끝낸 후, 실제로 EEPROM(166)과 데이터의 교환을 실행하는 경우, 데이터 해석부(163)는 기입 판독을 실행하는 어드레스, 기입 판독 중 어느 것을 실행할지의 지정 및 데이터의 기입의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EEPROM 제어부(165)로 건네 준다. 이들의 지정이나 데이터를 수취한 EEPROM 제어부(165)는 EEPROM(166)에 대해 어드레스와 기입 판독의 지정을 출력하여,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EEPROM(166)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과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EEPROM(166) 내부의 데이터 구성을 도 10에 도시했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EPROM(166)의 내부는 크게 두 개로 분리되어 있고, 메모리 공간의 전반은 잉크 잔량 등의 데이터가 기입 판독되는 사용자 메모리 및 분류 코드가 기억되는 기입 판독 가능 영역 RAA이다. 또한, 메모리 공간의 후반은 잉크 카트리지를 특정하기 위한 ID 정보가 기입된 판독 전용 영역 ROA이다.
판독 전용 영역 ROA에 대한 기입은 EEPROM(166)을 구비한 검출 기억 모듈(121~126)이 잉크 카트리지(111~116)에 부착되기 전, 예컨대, 검출 기억 모듈이 제조되는 과정이나, 잉크 카트리지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프린터(200)의 본체 측에서는, 기입 판독 가능 영역 RAA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데이터의 판독 및 기입의 쌍방을 실행할 수 있지만, 판독 전용 영역 ROA에 대해서는, 데이터의 판독은 실행할 수 있지만, 데이터의 기입은 실행할 수가 없다.
기입 판독 가능 영역 RAA의 사용자 메모리에는, 각 잉크 카트리지(111~116)의 잉크 잔량 정보 등을 기입하기 위해서 사용되어 있고, 잉크 잔량 정보를 프린터(200) 본체 측에서 판독하여, 잔량이 미소하게 되었을 때에 사용자에 대하여 경고를 내는 것과 같은 처리를 이용할 수 있다. 분류 코드의 기억 영역에는, 잉크 카트리지의 종류 등을 구별하기 위한 다양한 코드가 기억되어 있고, 사용자가 독자적으로 이들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판독 전용 영역 ROA에 기억된 ID 정보는 검출 기억 모듈이 부착되는 잉크 카트리지에 관한 제조 정보 등이다. ID 정보로는,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11~116)가 제조된 년, 월, 일, 시, 분, 초, 장소에 대하여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4∼8비트 정도 크기의 영역에 기입되어 있고, 전체로 40비트 내지 70비트 정도의 메모리 영역을 점유하고 있다. 프린터(200)의 전원 투입 직후 등에, 프린터(200)의 제어 장치(222)는 검출 기억 모듈(121~126)로부터 각 잉크 카트리지(111~116)의 제조 정보를 포함하는 ID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예컨대, 잉크 카트리지의 유효 기한이 경과하거나 얼마 남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에 대하여 경고를 내는 것 등이 가능하다.
또, 검출 기억 모듈(121)의 EEPROM(166)에는, 상기한 정보 이외의 정보가 적절하게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EEPROM(166)은 전체를 재기록 가능 영역으로 하여도 좋다. 그 경우, 상술한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 정보 등의 ID 정보 등은 EEPROM(166)을 NAND 형 플래시 ROM 등 전기적으로 기입 판독 가능한 메모리를 채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EEPROM(166)으로서는, 시리얼 형태의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센서 모듈(137)과 교환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해석부(163)는 우선 카운터(176)를 클리어하고, 또한 검출 조건을 제어 장치(222)로부터 수취하여, 이것을 검출 제어부(168)에 설정한다. 검출 제어부(168)는 이 설정을 받아, 센서 모듈(137)의 압전 소자(153)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의 몇 번 째(개시 펄스라는)부터 몇 번의 펄스에 걸쳐 계측을 실행할지의 설정을 실행한다. 다음에, 데이터 해석부(163)는 구동 제어부(170)에 구동 신호의 출력을 지령한다. 구동제어부(170)는, 이 지령을 받아, 구동 신호를 트랜지스터 Tr1, Tr2로 출력하여, 압전 소자(153)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그 결과, 압전 소자(153)에 생긴 공진을, 앰프(172)에 의해 증폭하고, 또한 비교기(174)에 입력하여, 구형의 펄스 신호로 변환한다. 비교기(174)는 앰프(172)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소정의 비교 전압 Vref와 비교하고, 그 대소에 근거해서 구형파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비교기(174)로부터의 신호를 받은 검출 제어부(168)는 미리 설정된 개시 펄스로부터 지정된 펄스 수의 기간, 카운터(176)의 SET 단자를 액티브로 하여 카운터(176)를 작동시킨다. 카운터(176)는 SET 단자가 액티브로 되어 있는 동안, 발진기(175)로부터의 펄스를 카운트하여, 카운트가 종료된 값을, 출력부(178)로 출력한다. 출력부(178)는 검출 제어부(168)로부터 검출에 이용한 조건값을 수취하고 있고, 카운터(176)로부터의 카운트값과 이 검출 조건값을, RF 회로(161)를 거쳐, 제어 장치(222) 측으로 출력한다. 검출 조건값이란, 본 실시예에서는, 개시 펄스 수로 계측에 이용한 펄스 수를 부가한 값, 즉 계측의 종료 펄스의 위치에 대응한 펄스 수(본 실시예에서는, 제 5 펄스)이다. 물론, 개시 펄스 및 계측 기간을 나타내는 펄스 수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출력부(178)는 데이터 해석부(163)에 내장시켜도 좋다.
다음에, 프린터(200)의 제어 장치(222)가 검출 기억 모듈(121~126)의 데이터 해석부(163)와 함께 실행하는 잉크 카트리지(111)의 식별 처리나 메모리 액세스의 처리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프린터(200) 측에 마련된 제어 장치(222)와 각 잉크 카트리지(111~116)에 마련된 검출 기억 모듈(121~126)이 송수신부(230)를 거친 통신을 행하면서 실행하는 처리의 개요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프린터(200)의 제어 장치(222)와 검출 기억 모듈(121~126)의 데이터 해석부(163)와는, 송수신부(230)를 거쳐서 통신을 실행하면서, ID 정보 판독 처리(제 1 순서), 및 ID 정보 이외의 판독 처리나 잉크 잔량 정보의 기입 처리 등인 메모리 액세스 처리(제 2 순서), 또한 센서 모듈(137)과의 데이터의 수수(제 3 순서) 등의 각 단계를 실행한다.
프린터(200)에서는, 전원 투입 시, 전원 온 상태 중에 사용자가 잉크 카트리지(111~116) 중 어느 것인가를 교환했을 때, 전회의 통신 처리를 실행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했을 때 등에, 그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 정보를 읽어 내거나, 잉크 잔량을 EEPROM(166)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하거나, 판독하는 처리 등을 실행한다. 이들 처리는 통상의 인쇄 처리와는 다르고, 송수신부(230)를 거쳐서, 검출 기억 모듈(121~126)과의 통신을 수반하는 처리이다.
이 때, 검출 기억 모듈(121~126)과의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서, 잉크 카트리지(111~116)를 수용하는 캐리지(210)는 통상의 인쇄 실행 시의 위치 또는 우측 비인자 영역으로부터 떨어져, 송수신부(230)가 존재하는 좌측 비인자 영역으로 이동된다. 캐리지(210)가 이 좌측 비인자 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에 따라, 송수신부(230)의 근방에 도달한 검출 기억 모듈에서는, 송수신부(230)의 루프 안테나(233)로부터의 교류 신호를, 안테나(133)를 거쳐서 수취한다. 전원부(162)는 이 교류 신호로부터 전력을 취득하여, 안정화한 전원 전압을 내부의 각 제어부, 회로 소자에 공급한다. 이 결과, 검출 기억 모듈의 각 제어부, 회로 소자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송수신부(230)와 각 검출 기억 모듈(121~126)의 통신을 수반하는 처리 루틴이 시작되면, 우선, 프린터(200) 측의 제어 장치(222)에서, 전원 온 상태의 요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0). 즉, 잉크젯 프린터(200)에 전원이 투입되고, 그 작동이 개시된 직후인지 여부의 판정을 실행한다. 전원 온 상태 요구가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100 : Yes), 제 1 순서, 즉 검출 기억 모듈(121~126)로부터의 ID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를 개시한다(단계 S104 이하).
제어 장치(222)는 전원 온 상태 요구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100 : No), 프린터(200)가 통상의 인쇄 처리를 실행 중이라고 판단하고, 다음에 잉크 카트리지(111~116)의 교환 시 요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2). 잉크 카트리지(111~116)의 교환 시 요구는, 예컨대, 프린터(200)의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상태로 사용자가 조작 패널(245) 상의 잉크 카트리지 교환 버튼(247)을 누르는 것에 의해 생긴다. 이 때, 프린터(200)는 통상의 인쇄 처리 모드를 중단하여 잉크 카트리지(111~116) 중 어느 것인가의 교환을 실행하지만, 교환 시 요구 자체는 잉크 카트리지(111~116)의 교환 후에 발생한다.
제어 장치(222)는 잉크 카트리지(111~116)의 교환 시 요구가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102 : Yes), 제 1 순서, 즉 교환된 잉크 카트리지에 설정된 기억 소자로부터의 ID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를 개시한다(단계 S104). 한편, 잉크 카트리지(111~116) 교환 시 요구가 발생하지 않는다(단계 S102 : No)고 판정한 경우에는, 전원 투입 시 등에 각 검출 기억 모듈(121~126)의 ID 정보를 이미 정상(正常)으로 판독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다음에 액세스 대상에 대하여 판단하는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50). 액세스의 대상은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에서는, EEPROM(166)과 센서 모듈(137)이 존재한다. 그래서, 메모리에의 액세스가 지시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150 : 메모리), 상술한 제 2 순서, 즉 검출 기억 모듈(121~126)과의 메모리 액세스 처리를 개시한다(단계 S200). 한편, 액세스 대상이 센서 모듈(137)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150 : 센서), 센서 모듈(137)로부터 검출 결과를 판독하는 제 3 순서를 실행한다.
다음에 제 1 내지 제 3 순서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순서는, 제어 장치(222)가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원 온 상태 요구나 잉크 카트리지 교환 시 요구를 검출한 경우에 실행된다. 제 1 순서에서는, 우선 검출 기억 모듈(121~126)로부터의 ID 정보를 판독하고(단계 S104), 다음에, 앤티컬리전(anti-collision)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06). 앤티컬리전 처리란, 아직 각 검출 기억 모듈(121~126)로부터 각각의 ID 정보를 취득하지 않는 경우에, 각 소자로부터 ID 정보 판독 처리를 실행할 때에 혼신(混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이다. 이 앤티컬리전 처리가 도중에서 실패한 경우에는, 두 번째 시작으로부터 앤티컬리전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본 실시예의 경우, 송수신부(230)는 항상 복수의 검출 기억 모듈(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검출 기억 모듈)과 통신이 가능하고, 또한 통신을 개시한 시점에서는, 카트리지(210)에 탑재되어 있는 잉크 카트리지(111~116)에 장착된 검출 기억 모듈(121~126)의 ID 정보를, 제어 장치(222)는 모르기 때문에, 혼신을 방지하는 앤티컬리전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앤티컬리전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지만, 기본적으로는, ID 정보의 일부를 송수신부(230)로부터 출력하고, ID 정보의 일부가 일치하는 검출 기억 모듈만이 응답하여, 다른 검출 기억 모듈은 슬립 모드로 들어 감으로써 통신 가능 범위에 존재하는 잉크 카트리지의 검출 기억 모듈의 ID 정보를 특정하여, 일치하는 검출 기억 모듈과의 통신을 확립한다.
앤티컬리전 처리가 종료한 경우, 제어 장치(222)는 데이터 해석부(163)를 거쳐, 각 검출 기억 모듈(121~126)로부터 ID 정보를 판독하는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08). ID 정보를 판독하는 이 처리가 종료한 경우, 즉시 처리 루틴을 종료하는 경우와, 연속해서 제 2 순서를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제 2 순서를 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순서를 개시하는 경우, 제어 장치(222)는 메모리 액세스를 개시하는 것으로 하고(단계 S200), 계속하여 액티브 모드 명령을, 각 검출 기억 모듈(121~126)을 향해 발행한다(단계 S202). 액티브 모드 명령이란, 각 검출 기억 모듈(121~126)에 대하여 각각의 ID 정보를 수반시켜 발행하는 명령이며, 각 검출 기억 모듈(121~126)의 데이터 해석부(163)는 수신한 ID 정보를 대조하여 자신의 ID 정보와 일치한 경우에만, 액세스 준비 완료의 응답 신호 ACK를 제어 장치(222)로 송신한다.
제어 장치(222)는 검출 기억 모듈(121~126)로부터 액티브 모드 명령에 대한 응답 신호 ACK를 얻으면, 각 검출 기억 모듈(121~126)에 대한 메모리 액세스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204). 이 메모리 액세스 처리는 EEPROM(166)에의 데이터의 기입이든지, 또는 EEPROM(166)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의 처리이다. 어느 경우도, EEPROM 제어부(165) 측에서는, 제어 장치(222)가 지정한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수반해서 액세스가 행해진다. EEPROM 제어부(165)는 이 어드레스와 기입 판독 중 어느 하나의 지시에 따라, EEPROM(166)의 해당하는 어드레스를 기입 판독한다. EEPROM(166)에의 메모리 액세스가 완료하면, EEPROM 제어부(165)는 액세스 완료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 ACK와 액세스한 어드레스를, 데이터 해석부(163)를 거쳐서 제어 장치(222)로 송신한다. 이상에서 제 2 순서는 완료하고, 각 검출 기억 모듈(121~126)에 대한 잉크 잔량 정보의 기입 등이 종료한다.
다음에, 제 3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 순서에서는, 센서 모듈(137)에의 액세스를 개시하고(단계 S300), 메모리 액세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먼저 액티브 모드 명령 AMC의 발행을 실행한다(단계 S302). 액티브 모드 명령을 수취한 잉크 카트리지(111~116) 중 액티브 모드 명령에 수반된 ID 정보가 일치한 카트리지는 응답 신호 AC 모양을 반송하고, 그 후의 처리를 접수하는 상태로 이행한다. 이 모양을 도 12의 타이밍도에 도시했다. 도 12의 최상단 DAT는 제어 장치(222) 측과 검출 기억 모듈(121) 측과의 데이터의 교환을 도시한다. 또한, 액티브 모드 ACM은 이것이 하이 레벨로 반전하면, 그 검출 기억 모듈(121)이 액티브 모드로 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액티브 모드 명령을 출력하여, 어느 하나에 검출 기억 모듈을 액티브로 하면, 제어 장치(222)는 다음에 검출 조건 DN의 지정을, 그 잉크 카트리지로 송신한다(단계 S304). 검출 조건 DN을 지정하는 데이터가 수취되고, 응답 신호 ACK가 되돌아오면, 제어 장치(222)는 다음에 검출 지시 DC를 출력한다(단계 S306). 또, 검출 지시 DC는 검출 조건의 지정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검출 지시 DC가 이루어지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해석부(163)는 카운터(176)에 대한 클리어 신호 CLR를 출력하여, 카운터(176)를 값 0으로 리셋한다. 다음에, 데이터 해석부(163)는 구동 제어부(170)에 구동 지시 DRIV를 출력한다. 이 구동 지시 DRIV를 받아, 구동 제어부(170)는 트랜지스터 Tr1, Tr2를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지시 DRIV는 충전용 트랜지스터 Tr1을 온 상태로 해서 압전 소자(153)에 전압을 인가하고, 소정 시간 후에 이 트랜지스터 Tr1을 오프 상태로 하며, 방전용 트랜지스터 Tr2를 온 상태로 하여, 소정 시간 후에 이 트랜지스터 Tr2를 온 상태로 한다고 하는 사이클을 2회 실행하는 신호이다. 압전 소자(153)에 인가되는 전압은 전원부(162)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이며, 그 충전 구배는, 저항기 R1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또한, 압전 소자(153)에 축적된 전하는 트랜지스터 Tr2를 거쳐서 방전되지만, 이 방전 구배는 저항기 R2에 의해 제한된다. 트랜지스터 Tr1, Tr2의 온·오프 간격은 압전 소자(153)에 생기는 진동 주파수가, 센서 모듈(137) 내의 공진실(151)의 공진 주파수에 가깝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동 제어부(170)에 의한 충전과 방전이 행해지는 결과, 압전 소자(153)는 공진실(151)의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고, 압전 소자(153)의 전극에는 이 진동에 의한 전압이 발생한다. 이 진동은 기본적으로는 공진실(151)의 성질로부터 결정되는 공진 주파수로 된다. 공진실(151)의 성질이란, 여기서는, 공진실(151) 내의 잉크의 충만(充滿)의 정도이다. 공진실(151) 내에 잉크가 충만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서는, 공진 주파수는 약 90KHz이며, 공진실(151) 내의 잉크가 인쇄와 함께 소비되어 비어 있게 된 경우로써, 약 110KHz였다. 물론, 이와 같은 공진 주파수는 공진실(151)의 크기나 내벽의 성질(발수성(撥水性) 등)에 의해서 변화한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의 형태마다 측정해 두면 좋다. 또, 잉크 카트리지에 잉크를 충전하기 전(공진실(151) 내는 빔)의 공진 주파수와, 일단 충전된 잉크가 소비되어 공진실(151) 내가 비어 있게 된 경우의 공진 주파수는 다르다. 이것은 잉크가 소비되더라도 공진실(151) 내주면 등에는 잉크가 부착되어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압전 소자(153)의 진동 주파수로부터 공진실(151) 내의 잉크 잔량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그 검출 조건은 상당한 제약을 받는 경우가 있다.
압전 소자(15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가 전압에 의한 강제 진동을 근거로 해서, 공진실(151)의 공진 주파수에 따른 주파수로 진동한다. 이러한 진동을 앰프(172)에 의해 증폭해서, 비교기(174)에 입력하여, 비교 전압 Vref와 비교한다. 이 결과, 비교기(174)는 압전 소자(153)의 진동수의 구형파 신호 COMP를 출력한다(도 12 참조). 검출 제어부(168)는 이 구형파 신호 COMP를 입력하고, 이것과 미리 지정 받은 검출 조건(개시 펄스와 계측에 이용한 펄스 수)으로부터, 카운터(176)를 동작시키는 기간을 지정하는 설정 신호 SET를 생성한다. 도 12에 도시한 예에서는, 개시 펄스는 제 1 번째의 펄스, 계측을 실행하는 기간은 4 펄스 분량이기 때문에, 검출 기간 SET는 제 1 번째의 펄스의 상승으로부터 제 5 번째의 펄스의 상승까지, 즉 구형파 신호 COMP에서 4 펄스 분량이라는 것으로 된다.
이 신호 SET가 출력되고 있는 동안, 카운터(176)는 발진기(175)가 출력하는 높은 주파수의 펄스를 이용하여 이것을 카운트한다. 공진 주파수가 다르면, 네 개 분량의 펄스 시간은 다르기 때문에, 종료 펄스를 검출하여 검출 제어부(168)가 출력하는 설정 신호 SET가 반전할 때까지 카운터(176)가 카운트업한 카운트값 CNT는 공진 주파수에 의해서 다른 것으로 된다. 이 카운트값 CNT는 출력부(178)를 거쳐서, 프린터(200)의 제어 장치(222)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카운트값 CNT뿐만 아니라, 검출 조건에 대응하여 데이터도 출력부(178)를 거쳐 제어 장치(222) 측으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료 펄스의 번호(여기서는 제 5 펄스)를 출력하고 있다. 물론, 지정된 검출 조건 그 자체, 즉 개시 펄스의 번호(여기서는 제 1 펄스)와, 측정에 이용한 펄스 수(여기서는 4 펄스 분량)를 출력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제어 장치(222)는 검출 결과인 카운트값 CNT과, 검출 조건(개시 펄스의 번호와 측정 펄스 수)을 수취하고, 이 카운트값 CNT에 근거해서, 잉크 잔량을 판정한다. 실제로는, 공진실(151)에 잉크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을 실행하는 것으로 된다. 카운트값 CNT가 미리 정한 판정값보다 크면 잉크가 있다고 판단하고, 판정값 이하라면 잉크가 없다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 결과, 프린터(200)의 제어 장치(222)는 인자 헤드(211~216)로부터 토출되는 잉크 방울의 수를 소프트웨어로 카운트하여, 잉크 소비량을 관리하고 있지만, 그 관리의 값과 현실의 잉크 카트리지(111~116) 내의 검출 기억 모듈(121~126)로부터 얻어진 공진실(151) 내의잉크 유무의 정보를 이용하여, 잉크 카트리지(111~116) 내의 잉크의 현재량을 정확히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잉크 토출량을 카운트하여 잉크 잔량을 관리하는 경우, 인자 헤드(211~216)로부터 한번에 토출되는 잉크량은 그 노즐 직경의 가공 상의 편차나, 잉크의 점성의 편차, 사용 시의 잉크 온도 등에 의해, 잉크 잔량의 계산값은 현실의 잔량과 조금씩 어긋난다. 검출 기억 모듈(121~126)은, 잉크 카트리지(111~116)에 있어서, 잉크가 약 1/2 소비된 경우에 공진실(151) 내의 잉크가 비어 있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검출 기억 모듈(121~126)부터의 잉크 유무에 관한 판단이, 잉크 있음으로부터 잉크 없음으로 바뀐 시점을 검출하여, 이 시점에서, 소프트웨어로 카운트하여 온 잉크 소비량을 교정하면, 잉크 소비량을 정확히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교정은 단지 잉크 소비량을, 검출 기억 모듈(121~126)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1/2로 리셋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그때까지 소프트웨어의 카운트 정도를 보정하는 것과 같은 수법으로 행하여도 좋다. 그 결과, 잉크 카트리지(111~116)에 있어서의 잉크 종료(카트리지 내의 잉크가 완전히 없어지는 타이밍)을 정확히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잉크 종료에 의한 교환을 지시한 잉크 카트리지 내에 미사용 잉크가 소정량 남아있어, 자원을 낭비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잉크 종료의 검출 전에 잉크 카트리지 내의 잉크가 없어지게 되어, 소위 공타(空打)를 하여, 인자 헤드(211~216)가 손상을 입는 경우도 생기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프린터(200)에서는, 검출 결과인 카운트값 CNT뿐만 아니라, 검출 조건에 관련한 값(종료 펄스 수)을 검출 기억 모듈(121~126)로부터 제어 장치(222)로 돌려보내기 때문에, 제어 장치(222)는 자기가 지정한 검출 조건으로 정확하게 검출이 행해지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제어 장치(222)가 지정한 검출 조건으로 검출이 행해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검출 결과인 카운트값 CNT는 신뢰할 수가 없으므로, 이것을 이용한 잉크 유무의 판정이나, 나아가서는 그 판단에 따르는 잉크 소비량의 교정 등도 실행하지 않는다. 또는, 실행하는 경우에도, 한정적으로 이용하거나, 사용자에 대하여 경고를 하고 나서, 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검출 조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의 검출 기억 모듈이 고장이라고 간주하여, 사용자에게 잉크 카트리지의 교환 등의 경고를 병행해서 실행하여도 좋다.
제어 장치(222)는 자기가 지정한 검출 조건으로 정확하게 검출이 행해지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처리에 대하여, 도 14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어 장치(222)는 검출 기억 모듈(121~126)에 있어서의 잉크 유무의 검출 조건 D1과 검출 지시 D2를 잉크 카트리지(111~116)로 출력한 후(단계 S400), 잉크 카트리지(111~116) 측에서, 검출 결과의 응답이 있는 것을 기다린다(단계 S410). 응답이 있으면, 잉크 카트리지의 검출 기억 모듈(121~126)로부터, 검출 결과(카운트값 CNT)와 검출 조건에 대응한 데이터 DT를 무선 통신을 거쳐서 판독한다(단계 S420).
다음에 판독한 데이터 DT와 지시한 검출 조건 D1을 동조화하는 처리를 행하여(단계 S430), 양자가 일치하고 있으면, 검출 결과를 유효하다고 간주하고(단계S440), 소프트웨어 카운터에 의한 잉크 잔량의 연산에, 검출 결과를 반영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450). 구체적으로는, 센서 모듈(137)을 이용하여 행해진 계측 결과인 카운트값 CNT를 소정값과 비교하여(단계 S451), 카운트값 CNT 쪽이 작으면 플래그 Fn에 값 1을, 카운트값 CNT 쪽이 크면 플래그 Fn에 값 0을, 각각 설정한다(단계 S452, 454). 그 후, 카운트값 CNT가 소정값보다 작게 된 경우에만, 전회에 설정된 플래그 Fn-1과 이번에 설정된 플래그의 값 Fn이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하고(단계 S455), 불일치의 경우에는, 플래그가 값 0으로부터 값 1로 변경된 직후이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111)에 있어서의 잉크 잔량이 거의 1/2로 된 시점이라고 판정하고, 제어 장치(222)에서 행해지고 있는 잉크 잔량의 연산에 이용한다. 즉, 소프트웨어에 의해 관리해 온 잉크 잔량 IRQ를, 상기한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1/2로 설정하는 것이다(단계 S458).
따라서, 소프트웨어에 의한 잉크 잔량의 연산에 오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센서 모듈(137)을 이용한 잉크 잔량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이것을 수정할 수 있다. 또, 센서를 이용한 잉크 잔량의 검출 결과를 참조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한 잉크 잔량의 연산식의 보정 계수 등을 미세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판독한 데이터 D 제도 지시한 검출 조건 D1이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 S430), 검출 결과를 유효하다고 간주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단계 S460), 그 후의 잉크 잔량의 관리를 소프트웨어 카운터에만 맡긴다(단계 S470). 또한, 잉크 카트리지(111~116)의 검출 기억 모듈(121~126)에 어떠한 불량이 발생되어 있다고 생각되므로, 사용자에 대하여, 「잉크 카트리지에 장해가 발생하고 있을가능성이 있습니다」 등의 경고를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경고는 프린터(200)에 설정된 조작 패널(245) 상의 LED(248)를 점멸시킴으로써 실행하여도 좋고, 액정 모니터 등을 탑재하여, 여기에 표시하여도 좋다. 또는, 음성 합성 등을 이용하여, 스피커로부터 음성에 의해 경고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프린터(200)에 대하여 인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컴퓨터와의 사이가 쌍 방향성의 인터페이스에서 접속되어 있으면, 프린터(200)로부터 컴퓨터에 데이터를 출력하고, 컴퓨터 측으로, 상기한 표시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의 처리 종료 후, 「종료」로 빠져, 본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잉크 카트리지(111~116)에 탑재된 검출 기억 모듈(121~126)의 동작을 확인하면서, 프린터(200)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 내의 잉크의 상태에 따른 처리(여기서는 잉크 잔량의 연산 처리)를 다르게 할 수 있다. 검출 기억 모듈(121~126)이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잉크 잔량이 1/2로 된 시점에서 소프트웨어 카운터의 잉크 잔량의 연산값을 교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222)가 지정한 검출 조건으로 검출이 행해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검출 결과인 카운트값 CNT는 신뢰할 수가 없으므로, 이것을 이용한 잉크 유무의 판정이나, 나아가서는 그 판단에 따르는 잉크 소비량의 교정 등도 실행하지 않는다. 또는, 실행하는 경우에도, 한정적으로 이용하거나, 사용자에 대해 경고를 내고 나서, 교정한다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검출 조건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의 검출 기억 모듈이 고장이라고 간주하여, 사용자에게 잉크 카트리지의 교환 등의 경고를 병행해서 실행하여도 좋다.
이상, 잉크 카트리지(111~116)에 마련된 검출 기억 모듈(121~126)과 송수신부와의 제 1 순서 통신 처리 내지 제 3 순서, 또한 검출 기억 모듈(121~126)에 있어서의 검출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한 후에 제어 장치(222)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들 처리는 제어 장치(222)가 각 검출 기억 모듈(121~126)과 통신하면서 실현된다. 이러한 통신 처리는 좌단의 검출 기억 모듈(121)로부터 우단의 검출 기억 모듈(126)로 순차적으로 하나씩 행해진다. 그 때, 카트리지(210)는 잉크 카트리지의 폭 하나 분량 씩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정지했을 때, 각 잉크 카트리지의 검출 기억 모듈과의 통신 처리가 행해진다. 물론, 본 실시예의 송수신부(230)와 같이, 그 폭이 잉크 카트리지의 거의 두 개 분량에 대향하는 크기인 경우에는, 잉크 카트리지 두 개 분량씩 합계 3회 이동·정지하여, 각 위치에서 검출 기억 모듈 두 개씩과 통신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면, 카트리지(210)의 이동·위치 결정 동작이 적게 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제어 장치(222)는 앤티컬리전의 처리를 실행하고 있으므로, 복수 개의 잉크 카트리지의 교환이 혼신되는 경우는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더욱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검출 기억 모듈(121)은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 카트리지뿐만 아니라, 토너 카트리지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검출 기억 모듈(121)은 카트리지의 저면이나 상면에 마련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상면에 마련한 경우에는, 송수신부(230)의 배치 자유도가 높고, 전체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또, 검출 기억 모듈(121)을 잉크 카트리지(111)의 상면에 마련하는 경우에도, 잉크 수용실이 문턱 쪽을 설정하면, 잉크 종료 부근이나, 잉크 소비량이 1/2인 근처 등, 잉크 유무를 검출하는 잉크 잔량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잉크 유무의 검출은 잉크 소비량이 약 1/2로 되는 근처에 실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잉크 종료의 근방에 실행하여도 좋고, 잉크 소비량이 더 적은 시점(잉크 잔량이 많은 시점)에 실행하여도 좋다. 또한, 외부로부터 지정되는 검출 조건은, 본 실시예에서는, 압전 소자(153)를 이용했기 때문에, 그 개시 펄스나 종료 펄스, 또는 검출 기간에 해당하는 펄스 수 등에 관련이 있는 조건으로서 설정했지만, 검출을 실행하는 타이밍(시각이나 인터벌, 전원 투입 시 등), 검출 회수 등 여러 가지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조건에 대하여 카트리지 측이 응답하는 데이터로서는, 조건 일부를 그대로 이용하여도 좋고, 미리 결정된 대응에 의한 코드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 검출 조건에 대응한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도 지장은 없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잉크 유무의 검출은, 하드웨어 논리에 의해 실현하고 있지만, CPU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카운터(176)가 카운트한 값을 제어 장치(222) 측에 송신하는 구성 대신에, 잉크 유무의 판단 자체를 검출 기억 모듈(121) 측에서 행하여, 잉크 유무의 판정 결과만을 제어 장치(222) 측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9)

  1. 인쇄에 이용하는 기록 재료를 수용한 수용실을 구비하고, 인쇄 장치에 탑재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 내의 상기 기록 재료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와,
    해당 센서에 의한 검출 조건에 대해서, 외부로부터의 지정을 접수하는 조건 접수 수단과,
    상기 지정된 조건에서 상기 검출을 행하는 검출 수단과,
    해당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
    을 구비한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검출 결과와 함께, 상기 지정된 검출 조건에 대응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단인 카트리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재료는, 소정 색의 잉크인 카트리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재료는, 복사기, 팩스 또는 레이저 프린터용 토너인 카트리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수용실 내의 상기 기록 재료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인 카트리지.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기록 재료의 온도, 점도, 습도, 입도, 색상, 잔량, 압력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것인 카트리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검출 결과를 무선 통신에 의해 출력하는 수단인 카트리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기록 재료의 상태에 의해 공진 상태가 변화되는 압전 소자이며,
    상기 검출 수단은, 해당 압전 소자에, 여기용 펄스를 인가한 후에, 해당 여기용 펄스에 따라 작동하는 상기 압전 소자의 진동을 검출하는 수단인 카트리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압전 소자의 공진 주파수를, 해당 압전 소자의 1 이상의 진동에 필요한 시간으로서 검출하는 수단인 카트리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접수 수단은, 상기 압전 소자의 진동에 필요한 시간을 계측하는 진동수의 지정을 접수하는 수단이며,
    상기 검출 수단은, 해당 지정된 진동수에 필요한 시간을 검출하고, 또한 해당 계측에 이용된 진동에 관한 데이터를, 해당 계측된 시간과 함께 출력하는 수단인 카트리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접수 수단이 접수하는 진동수는, 계측을 개시하는 진동 위치와, 계측을 종료하는 진동 위치에 의해 지정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진동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측정된 진동의 개시와 종료의 위치에 따라서 결정하는 카트리지.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 내에 수용된 상기 기록 재료의 상태에 대응한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카트리지.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와 무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검출 조건의 지정을, 해당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접수하는 카트리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수단은, 상기 통신을 행하기 위한 루프 형상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해당 안테나에 유기되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카트리지 내로의 급전을 행하는 전원 수단을 구비한 카트리지.
  15. 인쇄에 이용하는 기록 재료를 수용한 수용실을 구비한 카트리지가 탑재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는,
    상기 수용실 내의 상기 기록 재료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와,
    해당 센서에 의한 검출 조건에 대해서, 외부로부터의 지정을 접수하는 조건 접수 수단과,
    싱기 지정된 조건에서 상기 검출을 행하는 검출수단과,
    해당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
    이 구비되고,
    또한, 당해 인쇄 장치에는,
    상기 검출 조건을 지정하는 조건 지정 수단과,
    상기 카트리지의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 결과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해당 검출 결과에 대해서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한 인쇄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검출 결과와 함께, 상기 지정된 검출 조건에 대응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단이며,
    당해 인쇄 장치의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 결과와 함께, 상기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이며,
    당해 인쇄 장치의 상기 판단 수단은, 해당 입력된 상기 데이터와 상기 조건 지정 수단이 지정한 검출 조건을 비교하여, 양자가 해당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검출 결과를 유효로 하여, 상기 기록 재료의 상태에 관련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수단인
    인쇄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입력된 상기 데이터와 상기 조건 지정 수단이 지정한 검출 조건을 비교하여, 양자가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인쇄 장치.
  18. 인쇄에 이용하는 기록 재료를 수용한 수용실을 구비한 카트리지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실 내의 상기 기록 재료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한 검출 조건에 대해서,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지정하고,
    해당 지정된 검출 조건에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에 있어서 행해지는 상기 센서를 이용한 검출 결과를, 지정을 행한 외부에 출력하는,
    카트리지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19. 인쇄에 이용하는 기록 재료를 수용한 수용실을 구비한 카트리지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실 내의 상기 기록 재료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한 검출 조건에 대해서,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지정하고,
    해당 지정된 검출 조건에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에 있어서 행해지는 상기 센서를 이용한 검출 결과를, 상기 지정된 검출 조건에 대응한 데이터와 함께,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에 출력하고,
    해당 출력된 데이터와 상기 지정된 검출 조건과의 대응을 검증하여, 상기 검출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카트리지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20030048657A 2002-07-18 2003-07-16 카트리지 및 인쇄 장치 Ceased KR200400102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09496A JP4259059B2 (ja) 2002-07-18 2002-07-18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装置
JPJP-P-2002-00209496 2002-07-18
JPJP-P-2002-00209468 2002-07-18
JP2002209468A JP4259058B2 (ja) 2002-07-18 2002-07-18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223A true KR20040010223A (ko) 2004-01-31

Family

ID=2978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657A Ceased KR20040010223A (ko) 2002-07-18 2003-07-16 카트리지 및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994415B2 (ko)
EP (2) EP1382449B1 (ko)
KR (1) KR20040010223A (ko)
CN (1) CN1286650C (ko)
AT (2) ATE355975T1 (ko)
DE (2) DE60324616D1 (ko)
ES (1) ES2282549T3 (ko)
SG (3) SG115552A1 (ko)
TW (1) TWI22112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512B1 (ko) * 2005-11-10 2007-02-20 삼성전기주식회사 잉크 충전정도 테스트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1463B2 (en) * 2002-08-12 2007-04-10 Seiko Epson Corporation Container for printing material and detector used for container
US9508046B2 (en) * 2003-07-22 2016-11-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web content to a printing device
JP2005313542A (ja) * 2004-04-30 2005-11-10 Canon Inc 液体タンクおよび液体吐出記録装置
JP2005343036A (ja) 2004-06-03 2005-12-15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の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該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を備えた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5343037A (ja) * 2004-06-03 2005-12-15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の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該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を備えた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20060015827A1 (en) * 2004-07-13 2006-01-19 Christa Ferguson Method of implementing a screen saver on a peripheral LCD
MX2007006388A (es) * 2004-11-30 2007-06-20 Panduit Corp Sistema y metodo de etiquetado basado en el mercado.
US7461909B2 (en) * 2004-12-13 2008-12-09 Seiko Epson Corporation Mounting structure of liquid sensor and liquid container
CN100453324C (zh) * 2005-01-31 2009-01-21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印刷装置、以及印刷材料状态的检测方法
GB2424710A (en) * 2005-03-31 2006-10-04 Seiko Epson Corp Ink jet cartridge with a ink sensor with means to ensure that the parts of the sensor are assembled in the correct alignment.
US7444864B2 (en) * 2005-03-31 2008-11-04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detecting device, liquid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detecting device
TW200700243A (en) * 2005-03-31 2007-01-01 Seiko Epson Corp Liquid container and circuit board for liquid container
US7665819B2 (en) * 2005-04-21 2010-02-23 Tonerhea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printer cartridge tester
KR100694154B1 (ko) * 2005-10-04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레벨 검지장치
US7770794B2 (en) 2005-12-15 2010-08-10 Marvell International Technology Ltd.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a movable system and another system
JP4720500B2 (ja) * 2005-12-28 2011-07-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検出機能を備えた容器
DE102006003054B4 (de) 2006-01-20 2014-10-02 Phoenix Contact Gmbh Verfahren, Flüssigkeitsversorgungseinheit und Messvorrichtung für eine Füllstandsanzeige
JP4640221B2 (ja) * 2006-03-10 2011-03-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プリンタ
JP4661643B2 (ja) 2006-03-13 2011-03-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機器
JP4661642B2 (ja) * 2006-03-13 2011-03-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機器
BRPI0712378A2 (pt) 2006-06-06 2012-07-10 Lock Vision Ltd sistema de direção com potência auxiliar hidráulica travável
JP4179357B2 (ja) * 2006-07-28 2008-1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GB2445048A (en) * 2006-12-22 2008-06-25 Dynamic Cassette Int Printing system, cartridge and method avoiding the use of a piezoelectric cartridge sensor
DE102007032004A1 (de) * 2007-07-09 2009-01-15 Manroland Ag Verfahren zum Ansteuern einer Inkjet-Druckeinrichtung
JP5287518B2 (ja) * 2008-06-13 2013-09-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5274120B2 (ja) * 2008-06-20 2013-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記録装置、インク残量検知システムおよびインク残量検知方法
JP5577615B2 (ja) * 2009-04-01 2014-08-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消費システム、液体消費装置、液体供給ユニット、および、液体供給ユニットに収容された液体の残量を管理する方法
US8364859B2 (en) * 2010-02-22 2013-01-29 Seiko Epson Corporation Storage device, board, liquid container and system
JP2011170740A (ja) * 2010-02-22 2011-09-01 Seiko Epson Corp 記憶装置、基板、液体容器、ホスト装置及びシステム
US8564799B2 (en) * 2010-03-10 2013-10-22 Xerox Corporation Print quality validation of print jobs using bitmapped image
US9510289B1 (en) * 2015-11-05 2016-11-29 Silicon Laboratories, Inc. In system calibration of wake up timer
KR20180083690A (ko) * 2017-01-13 2018-07-23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스크린 세이버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스크린 세이버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JP6737228B2 (ja) * 2017-04-27 2020-08-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19078848A1 (en) * 2017-10-18 2019-04-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SCILLATING A PRINTING TROLLEY ASSEMBLY
EP3652666B1 (en) 2018-01-30 2022-08-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erification by replaceable printer components
EP3933566A4 (en) * 2019-02-28 2022-10-12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CN111324316A (zh) * 2020-02-04 2020-06-23 北京猿力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打印机控制方法及装置
US20220223997A1 (en) * 2021-01-13 2022-07-14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User-Installable Wireless Communications Module
CN113650421B (zh) * 2021-08-19 2022-09-06 珠海极海半导体有限公司 打印装置、芯片、基于打印机的防破解方法
CN115107374B (zh) * 2022-07-26 2023-12-19 沧州铭洋自动化技术有限公司 瓦楞纸板数字印刷机智能吸墨系统
TWI815730B (zh) * 2022-11-16 2023-09-11 樹德科技大學 道路繪圖裝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9738A (en) * 1985-04-12 1987-01-27 Eastman Kodak Company Ink level detection system for ink jet printing apparatus
JP2518840B2 (ja) * 1987-04-03 1996-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残量検知装置および記録装置
JPH02196663A (ja) * 1989-01-26 1990-08-03 Fuji Xerox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におけるインク粘度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SE9302870L (sv) * 1993-09-06 1994-10-10 Allgon Ab Antennkopplingsanordning
DE69519692T2 (de) * 1994-02-23 2001-04-26 Hewlett-Packard Co., Palo Alto Verfahren zur Optimierung der Wirkungsweise eines Druckers
JP3216856B2 (ja) * 1994-05-19 2001-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インク残量表示方法
JPH08164615A (ja) * 1994-12-15 1996-06-25 Canon Inc インク残量検出装置、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S2182952T3 (es) * 1995-06-19 2003-03-16 Canon Kk Aparato de impresion y aparato facsimil que lo utiliza.
JP3265163B2 (ja) * 1995-10-02 2002-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9141892A (ja) 1995-11-20 1997-06-03 Toyo Ink Mfg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および装置
JPH09254405A (ja) * 1996-03-22 1997-09-30 Canon Inc 記録装置及びその記録装置を用いたファクシミリ装置
US6044694A (en) * 1996-08-28 2000-04-04 Videojet Systems International, Inc. Resonator sensors employing piezoelectric benders for fluid property sensing
US6036296A (en) 1996-10-31 2000-03-14 Hewlett-Packard Company Fluid level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volume of fluid in a container
JPH10164668A (ja) * 1996-11-29 1998-06-19 Canon Inc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装置並びにデータ通信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10305590A (ja) * 1997-05-08 1998-1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ク残量検知センサ
US6227643B1 (en) * 1997-05-20 2001-05-08 Encad, Inc. Intelligent printer components and printing system
DE19906826B4 (de) 1998-09-01 2005-01-27 Hewlett-Packard Co. (N.D.Ges.D.Staates Delaware), Palo Alto Auf Druck basierender Tintenpegeldetektor und Verfahren zum Erfassen eines Tintenpegels
US6312106B1 (en) * 1999-04-20 2001-11-06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a replaceable consumable and a printing device
JP2000263806A (ja) 1999-03-18 2000-09-26 Copyer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325354B1 (en) 1999-04-07 2001-12-04 Hewlett-Packard Company Magnetically-actuated fluid control valve
US7383727B2 (en) 1999-05-20 2008-06-10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tainer having a liquid consumption detecting device therein
JP2001147146A (ja) 1999-05-20 2001-05-29 Seiko Epson Corp 液体容器および液体消費検出装置
US6938976B2 (en) 1999-06-16 2005-09-06 Eastman Kodak Company Printer and method therefor adapted to sense data uniquely associated with a consumable loaded into the printer
JP4106156B2 (ja) * 1999-07-07 2008-06-25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孔版印刷装置
EP1114726A4 (en) * 1999-07-14 2003-01-02 Seiko Epson Corp INK CARTRIDGE, INK-JET PRINTER AND METHOD FOR REPLACING THE INK CARTRIDGE
JP2001315321A (ja) 2000-05-11 2001-11-13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式印刷方法及び印刷装置
US6793305B2 (en) * 2000-05-18 2004-09-21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onsumption of ink
US7137679B2 (en) * 2000-05-18 2006-11-21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onsumption detecting method,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PT1164021E (pt) 2000-06-15 2006-08-31 Seiko Epson Corp Processo de carregamento de liquidos, recipiente de liquidos e respectivo processo de fabrico
US6685296B2 (en) 2000-06-16 2004-02-03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DE60119225T2 (de) * 2000-06-29 2007-02-01 Sony Corp.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Druckerdiagnose und rechnerlesbares Aufzeichungsmedium mit Druckerdiagnosefunktionsprogramm
JP2002137414A (ja) * 2000-10-31 2002-05-14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残量検出方法
JP4023145B2 (ja) * 2000-12-05 2007-1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6975120B2 (en) * 2001-04-21 2005-12-13 Amini Bijan K Measurement of subterranean lithology using electromagnetic energy
US20030128245A1 (en) * 2002-01-10 2003-07-10 Walker Ray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a printer portion and a replaceable printing compon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512B1 (ko) * 2005-11-10 2007-02-20 삼성전기주식회사 잉크 충전정도 테스트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67421B2 (en) 2007-09-11
HK1060332A1 (en) 2004-08-06
EP1382449A1 (en) 2004-01-21
ATE355975T1 (de) 2007-03-15
ATE413278T1 (de) 2008-11-15
TWI221124B (en) 2004-09-21
CN1286650C (zh) 2006-11-29
US20050264597A1 (en) 2005-12-01
EP1382449A8 (en) 2004-03-31
EP1382449B1 (en) 2007-03-07
EP1769924B1 (en) 2008-11-05
US20040051752A1 (en) 2004-03-18
CN1478658A (zh) 2004-03-03
TW200401717A (en) 2004-02-01
DE60312262D1 (de) 2007-04-19
DE60312262T2 (de) 2007-11-22
EP1769924A2 (en) 2007-04-04
US6994415B2 (en) 2006-02-07
SG147311A1 (en) 2008-11-28
EP1769924A3 (en) 2007-07-25
SG147312A1 (en) 2008-11-28
DE60324616D1 (de) 2008-12-18
ES2282549T3 (es) 2007-10-16
SG115552A1 (en) 2005-10-28
EP1382449A3 (en) 200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0223A (ko) 카트리지 및 인쇄 장치
JP4175065B2 (ja) カートリッジ、印刷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と情報をやり取りする方法
US6984012B2 (en) Cartridge and recording apparatus
JP4259058B2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装置
JP4259059B2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装置
JP4730391B2 (ja) カートリッジ、印刷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と情報をやり取りする方法
JP4488095B2 (ja) Icチップおよび印刷装置
JP2009190408A (ja) カートリッジ
HK1060332B (en) Cartridge and printing apparatus
HK1061998B (en) Cartridge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nd from cartridge
HK1060718A (en) Cartridge and recor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3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7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