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09107A -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107A
KR20040009107A KR1020020042940A KR20020042940A KR20040009107A KR 20040009107 A KR20040009107 A KR 20040009107A KR 1020020042940 A KR1020020042940 A KR 1020020042940A KR 20020042940 A KR20020042940 A KR 20020042940A KR 20040009107 A KR20040009107 A KR 20040009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mobile terminal
message
receiver
s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찬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2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9107A/ko
Publication of KR20040009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107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송신자 이동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이 발생되면 해당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 후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도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부터 저장된 단문 메시지의 열람이 요청되면 저장된 해당 단문 메시지를 읽어들여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수신자는 자신에게 발송된 단문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열람/수신할 수 있고, 송신자는 자신이 원하는 수신자에게 단문 메시지가 제대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HORT MESSAGE SERVICE SYSTEM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IN}
본 발명은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신자로부터 전송 요청된 단문 메시지를 저장한 후 수신자에게 송신자 정보가 포함된 알림 메시지만을 통보하며 수신자에 의하여 열람이 요청될 때에 저장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가입자들이 서비스 영역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음성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상호간의 의사 전달 또는 생활 정보를 문자로 제공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서비스 사업자들은 간단한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이용하여 뉴스정보, 날씨 정보, 스포츠 정보, 증권 정보, 환율 정보, 교통 정보 등을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란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통화 유무에 관계없이 짧은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를 말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가입자 상호간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형태를 살펴보면,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105 바이트(Byte) 정도의 단문 메시지를 다른 이동 전화 가입자에게 송신 요청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서 해당하는 수신자의 이동 단말기로 송신 요청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술은 송신자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일방적으로 수신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였다. 즉 수신자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모든 단문 메시지 송신 요청에 대하여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였다.
따라서, 수신자는 경우에 따라서 잘못 발송된 단문 메시지 또는 원하지 않는 광고성 단문 메시지까지 모두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아울러, 단말기에 저장된 단문 메시지를 제때에 삭제하지 못하여 저장공간이 가득 찬 경우에는 원하지 않는 단문 메시지로 인하여 필요로 하는 단문 메시지를 제때에 수신할 수 없었다.
또한, 송신자는 자신이 원하는 수신자에게 단문 메시지가 제대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송신자로부터 전송 요청된 단문 메시지를 저장한 후 수신자에게 송신자 정보가 포함된 알림 메시지만을 통보하며 수신자에 의하여 열람이 요청될 때에 저장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열람 알림 메시지를 송신자에게 전송하도록 한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견지로서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은, 송신자 이동 단말기 및 수신자 이동 단말기와 무선을 통해 통신하고 기지국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이동 교환 센터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와, 상기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달하며,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상기 송신자 이동 단말기 또는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달하는 상기 이동 교환 센터와, 상기 송신자 이동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 후 저장공간에 저장하며, 단문 메시지 도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의 열람이 요청되면 상기 저장된 해당 단문 메시지를 읽어들여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송신자 이동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이 발생되면 해당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 후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저장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도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저장된 단문 메시지의 열람이 요청되면 상기 저장된 해당 단문 메시지를 읽어들여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113 : 이동 단말기 121, 123 : 기지국
130 : 기지국 제어장치 140 : 기지국 관리장치
150 : 이동 교환 센터 155 : 홈 위치 등록기
160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165 : 데이터 메시지 스토리지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의 블록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11)(113)(Mobile Station; MS), 기지국(121)(123)(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 기지국 제어장치(130)(Base Station Controller; BSC), 기지국 관리장치(140)(Base Station Manager; BSM), 이동 교환 센터(150)(Mobile Switching Center; MSC), 홈위치 등록기(155)(Home Location Register; HLR),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데이터 메시지 스토리지(165)(Data Message Storage; DMS)로 구성된다.
이동 단말기(111)(113)는 사람이 소지하고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임의의 기지국(121)(123)의 범위 내에 있고, 이동 단말기(111)(113)의 정보는 기지국(121)(123)과 이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장치(130)를 거쳐 이동 교환 센터(150)에 전송되며, 이동 교환 센터(15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기지국(121)(123) 및 기지국 제어장치(130)를 거쳐 이동 단말기(111)(113)로 전송된다.
기지국(121)(123)은 이동 단말기(111)(113)를 기지국 제어장치(130)에 접속시키며, 디지털 채널 장치(Digital Channel Unit; DCU), 시간/주파수 제어 장치(Timing/Frequency Control Unit; TCU), 무선주파수 장치(Radio Frequency Unit; RFU), 및 위치정보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기지국(121)(123)은 이동 단말기(111)(113)와 무선을 통해 통신하고, 기지국 제어장치(130)와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장치(130)는 기지국(121)(123)을 이동 교환 센터(150)에 접속시켜 기지국(121)(123)간의 연결을 조정하며, 다수의 기지국(121)(123)을 지원하고, 기지국(121)(123)과 이동 교환 센터(150)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한다.
이동 교환 센터(150)는 이동전화 가입자가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 호를 연결하며, 기지국 제어장치(130)와 접속하여 이동 단말기(111)(113)의 통화설정 및 해제 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 처리 및 부가서비스의 관련된 각종 기능을 수행하며, 다른 망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한다.
홈 위치 등록기(155)는 이동 단말기(111)(113)와 가입자의 영구적인 정보, 위치정보, 및 부가서비스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며, 이동 교환 센터(150)와 상호 작용하여 호 처리 및 부가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수행하고 서비스를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는 이동 단말기(111)(113)의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 후 데이터 메시지 스토리지(165)에 저장하며, 송신자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도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수신자의 이동 단말기(111)(113)로 전송한다.
아울러,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는 수신자의 이동 단말기(111)(113)가 접속되면 기 저장된 단문 메시지 목록을 생성하여 제공하며, 수신자의 이동 단말기(111)(113)에 의해 목록이 선택되면 데이터 메시지 스토리지(165)에 저장된 해당 단문 메시지를 수신자의 이동 단말기(111)(113)로 전송하고, 열람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자의 이동 단말기(111)(113)로 전송한다.
데이터 메시지 스토리지(165)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에 의해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송신자 및 수신자 정보와 함께 저장하며, 저장된 단문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삭제된다.
보통 하나의 서비스망에는 다수의 홈 위치 등록기(155)가 존재할 수 있고, 하나의 홈 위치 등록기(155)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동 교환 센터(150)가 접속될 수 있으며, 하나의 이동 교환 센터(150)에는 여러 개의 기지국 제어장치(130)가 접속될 수 있으며, 하나의 기지국 제어장치(130)에는 여러 개의 기지국(121)(123)이 접속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서 각 구성요소는 여타의 구성요소와 상호 작용하여 파생적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미설명 기능은 이하에 기재될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의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부여된 각 구성요소의 명칭(예: 데이터 메시지 스토리지)은 기능성을 상징할 수 있도록 일회적으로 부여된 것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 의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111)가 단문 메시지의 송신자이며 이동 단말기(113)가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111)로부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이 발생되면 이는 통상의 단문 메시지 전송 경로와 동일하게 이동 교환 센터(150)로 전달된다(S202).
이동 교환 센터(150)는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로부터 송신자 단말기 정보와 수신자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며, 송/수신자 단말기 정보와 단문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로 전달한다(S204).
여기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111)로부터의 단문 메시지전송 요청에 따라 인증 센터에서 이동 단말기(111)가 서비스 사용이 유효한 사용자인지를 파악한 이후에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는 송/수신자 단말기 정보와 단문 메시지를 데이터 메시지 스토리지(165)에 저장하며, 송신자 단말기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도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교환 센터(150)로 회신한다(S206∼S208).
이동 교환 센터(150)는 이동 단말기(111)로부터 메시지 전송 요청된 이동 단말기(113)로의 메시지 전송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13)의 위치를 확인하여 줄 것을 홈 위치 등록기(155)에 요청한다.
홈 위치 등록기(155)는 가입자 정보 DB를 검색하여 해당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읽어들이며, 이동 교환 센터(150)로부터의 가입자 위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가입자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이동 교환 센터(150)는 단계 S208에서 전달받은 송신자 단말기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도착 알림 메시지를 홈 위치 등록기(155)로부터 전달받은 가입자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이동 단말기(113)로 전송한다(S210).
그러면, 이동 단말기(113)의 가입자는 송신자 단말기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도착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후에 도착된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고자하면 별도 약정된 특수번호를 다이얼링하거나 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무선 데이터망 등을 통해 이동 교환 센터(150)에 접속하여야 한다(S212).
이동 교환 센터(150)는 이동 단말기(113)가 접속되면 접속자 정보를 추출한 후에 해당 접속자의 단문 메시지 목록 요청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160)로 전달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는 데이터 메시지 스토리지(165)를 검색하여 이동 단말기(113)가 수신자 정보로 포함된 단문 메시지 목록을 생성하여 이동 교환 센터(150)로 회신한다(S214).
이동 교환 센터(150)는 홈 위치 등록기(155)를 통해 이동 단말기(113)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 후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에서 생성된 단문 메시지 목록을 이동 단말기(113)로 전송한다(S216).
이후, 이동 단말기(113)의 가입자는 단문 메시지 목록을 확인한 후에 특정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고자하면 해당 메시지를 선택하여 저장된 단문 메시지의 열람을 요청하여야 한다(S218).
이동 교환 센터(150)는 이동 단말기(113)가 선택한 메시지의 목록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로 전달하여 저장된 단문 메시지의 열람을 요청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는 데이터 메시지 스토리지(165)로부터 선택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단문 메시지를 읽어들여 이동 교환 센터(150)로 회신한다(S220).
이때,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는 해당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13)가 열람하였다는 것을 이동 단말기(111)에 통보하기 위하여 열람한 단문 메시지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열람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교환 센터(150)로 전송한다.
이동 교환 센터(150)는 홈 위치 등록기(155)를 통해 이동 단말기(113)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 후에 이동 단말기(113)에 의하여 열람 요청된 단문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13)로 전송한다. 아울러 홈 위치 등록기(155)에 최초 송신자인 이동 단말기(111)의 현재 위치 정보를 요청하며, 회신 받은 현재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에서 생성된 열람 알림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11)로 전송한다(S222).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13)의 가입자는 전송 받은 단문 메시지를 확인한 후에 미리 약정된 특수버튼을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해당 단문 메시지에 대한 삭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S228).
이동 단말기(113)로부터 단문 메시지의 삭제 처리가 요청되면 이동 교환 센터(150)는 해당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로 전달하며, 단문 메시지 삭제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는 데이터 메시지 스토리지(165)에 저장된 해당 단문 메시지를 삭제 처리한다(S230).
이때,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는 해당 메시지에 대한 삭제 처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교환 센터(150)로 전송하며, 이동 교환 센터(150)는 홈 위치 등록기(155)를 통해 이동 단말기(113)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 후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6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삭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234).
상기의 모든 신호 전달 과정이 종료되면 이동 단말기(113)와 이동 교환 센터(150)와의 접속이 해제된다.
한편, 단계 S212에서 이동 단말기(113)에 의하여 이동 교환 센터(150)로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단계 S228에서 이동 단말기(113)에 의하여 열람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삭제 요청이 발생되지 않으면 이동 교환 센터(150)는 단문 메시지의 저장 시간을 카운트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경우에 이동 단말기(113)와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18에서 이동 단말기(113)가 단문 메시지 목록을 선택하지 않으면 이동 교환 센터(150)는 접속 시간을 카운트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경우에 이동 단말기(113)와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신자로부터 전송 요청된 단문 메시지를 저장한 후 수신자에게 송신자 정보가 포함된 알림 메시지만을 통보하며 수신자에 의하여 열람이 요청될 때에 저장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열람 알림 메시지를 송신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수신자는 자신에게 발송된 단문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열람/수신할 수 있으며, 송신자는 자신이 원하는 수신자에게 단문 메시지가 제대로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송신자 이동 단말기 및 수신자 이동 단말기와 무선을 통해 통신하고 기지국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이동 교환 센터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와,
    상기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달하며,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상기 송신자 이동 단말기 또는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달하는 상기 이동 교환 센터와,
    상기 송신자 이동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 후 저장공간에 저장하며, 단문 메시지 도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의 열람이 요청되면 상기 저장된 해당 단문 메시지를 읽어들여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포함하는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 센터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로부터 송신자 단말기 정보와 수신자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송/수신자 단말기 정보가 포함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도착 알림 메시지에 상기 송신자 단말기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단문 메시지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이동 교환 센터를 통해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상기 목록 중 특정 메시지가 선택되어 열람이 요청되면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선택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단문 메시지를 읽어들여 상기 이동 교환 센터를 통해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에 대한 열람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것을 특징으로 한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열람 알림 메시지에 상기 열람한 단문 메시지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 센터는,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단문 메시지에 대한 삭제 처리가 요청되면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해당 단문 메시지를 삭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삭제 처리된 해당 메시지에 대한 삭제 처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9. 송신자 이동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이 발생되면 해당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 후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저장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도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저장된 단문 메시지의 열람이 요청되면 상기 저장된 해당 단문 메시지를 읽어들여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로부터 송신자 단말기 정보와 수신자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제 11 단계와, 상기 송/수신자 단말기 정보가 포함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 후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제 1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도착 알림 메시지에 상기 송신자 단말기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단문 메시지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1 단계와,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상기 목록 중 특정 메시지가 선택되어 열람이 요청되면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선택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단문 메시지를 읽어들여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에 대한 열람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는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람 알림 메시지는 상기 열람한 단문 메시지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단문 메시지에 대한 삭제 처리가 요청되면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해당 단문 메시지를 삭제 처리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 삭제 처리된 해당 메시지에 대한 삭제 처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셀룰러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20020042940A 2002-07-22 2002-07-22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09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940A KR20040009107A (ko) 2002-07-22 2002-07-22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940A KR20040009107A (ko) 2002-07-22 2002-07-22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107A true KR20040009107A (ko) 2004-01-31

Family

ID=3731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940A KR20040009107A (ko) 2002-07-22 2002-07-22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91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761B1 (ko) * 2002-10-11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KR100722470B1 (ko) * 2005-11-01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스엠에스 발신자 알람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9438A1 (en) * 1996-10-29 1998-05-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handling of multimedia messag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WO2001033782A1 (en) * 1999-11-05 2001-05-10 Nokia Corporation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KR20010046161A (ko) * 1999-11-10 2001-06-05 조정남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107260A (ko) * 2000-05-26 2001-12-07 김석범 메시지 전송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9438A1 (en) * 1996-10-29 1998-05-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handling of multimedia messag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WO2001033782A1 (en) * 1999-11-05 2001-05-10 Nokia Corporation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KR20010046161A (ko) * 1999-11-10 2001-06-05 조정남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107260A (ko) * 2000-05-26 2001-12-07 김석범 메시지 전송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761B1 (ko) * 2002-10-11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KR100722470B1 (ko) * 2005-11-01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스엠에스 발신자 알람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158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5098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rating short message from origination point
EP1219125B1 (en) Transmission of a short message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120302268A1 (en)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message distributor
KR20030000491A (ko) 단문메시지 전달방법
KR100629144B1 (ko) Sms 기반의 개인정보 관리 방법
KR20040009107A (ko)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9538B1 (ko) 콜센터와 연동되어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0718790B1 (ko) Cdma망에서 wcdma 단문 메시지(sms)를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02151B1 (ko)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668640B1 (ko) 주문형 정보서비스를 위한 전송메시지 최소화 방법
KR20040039659A (ko) Sms를 이용한 은행번호표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51021B1 (ko) 착신 이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27762B1 (ko) 광대역 코드분할다중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단문메시지(sms)를 장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23288B1 (ko)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01163B1 (ko) 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KR100603442B1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KR100897049B1 (ko) 이동 단말의 영상 통화 가능 여부 통보 방법
KR19980045006A (ko)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서비스 센터의 응용 서비스 수단 및 그 제어 방법
EP1616443B1 (en) Communication method for mobile services
KR101016269B1 (ko) 해외 로밍 메시징 서비스에서 주번호와 부번호를 이용하여발신 및 착신을 처리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73671A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회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
JP2010154278A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制御装置及びショートメッセージ制御方法
KR20070073106A (ko) 리모컨 서비스를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20040069628A (ko) Sms를 이용한 전자 메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2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8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