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00241A - 내열성 방진고무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열성 방진고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0241A
KR20040000241A KR1020020035434A KR20020035434A KR20040000241A KR 20040000241 A KR20040000241 A KR 20040000241A KR 1020020035434 A KR1020020035434 A KR 1020020035434A KR 20020035434 A KR20020035434 A KR 20020035434A KR 20040000241 A KR20040000241 A KR 20040000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ubber
heat
rubb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5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0241A/ko
Publication of KR20040000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24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6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08K5/372Sulfides, e.g. R-(S)x-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C08K5/4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with oxygen or nitrogen in the ring
    • C08K5/47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성 방진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제된 천연고무 47 ~ 53 중량%와 이소프렌 고무 47 ~ 53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재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FEF 카본블랙 13 ~ 21 중량부, 실리카 14 ~ 16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차량 엔진이나 트렌스미션 마운팅용으로 적합한 내열성 방진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열성 방진고무 조성물{A heat-resistance rubber composition for against dust}
본 발명은 내열성 방진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엔진이나 트렌스미션 마운팅용으로 적합한 내열성 방진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차량 엔진이나 트렌스미션 마운팅용으로 사용되어 온 방진고무로는 주로 천연고무를 주성분으로 하여 여기에 MAF(Medium Abrasion Furnace) 카본블랙 및 FEF(Fast Extrusion Furnace)카본블랙, 가공유, 활성화제, 노화방지제 및 가황 촉진제 등을 첨가하여서 이루어 지는 고무 조성물을 사용해 왔다.
일반적으로 차량 엔진이나 트렌스미션 마운팅용 방진고무는 엔진 룸 내의 고온 조건 하에서 엔진 및 트랜스미션의 무게를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기계적 특성, 즉 인장강도나 신율보다는 우수한 내열 내구성과 장기간 동안 초기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크리프( Creep ) 성능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진고무 조성물을 차량 엔진이나 트렌스 미션 마운팅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열 내구성이나 크리프량 등의 성능을 개선시킬필요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천연고무와 함께 합성 천연고무인 이소프렌 고무를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여기에다 내열성 보강제인 실리카( SiO2 )를 첨가하므로서 종래의 방진 고무에 비해 내열 내구성이나 크리프( Creep )량이 월등히 개선된 새로운 방진고무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방진고무 조성물에 비해 내열 내구성 및 크리프량이 크게 개선되어 있어서 특히 차량 엔진이나 트랜스 미션 마운팅용 으로 적합한 내열성 방진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정제된 천연고무 47 ~ 53 중량%와 이소프렌 고무 47 ~ 53 중량%로 이루어진 기재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FEF( Fast Extrusion Furnace )카본블랙 13 ~ 21 중량부, 실리카 14 ~ 1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방진고무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내열성 방진고무 조성물은 정제된 천연고무와 합성 천연고무인 이소프렌 고무를 주성분으로 한다. 정제된 천연고무는 단백질 등 불순물이 제거된 것으로서, 특히 내열성 향상에 도움을 주고, 합성 천연고무인 이소프렌 고무는 천연고무보다 가공성은 약간 떨어지나 내수성 및 내노화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다.
천연고무와 이소프렌 고무의 조성 비율은 서로 동일한 함량이 되도록 하되, 천연고무 47 ∼ 53 중량%와 이소프렌 고무 47 ∼ 53 중량%가 되도록 한다. 이때, 천연고무의 함량이 47 중량% 미만이면 고무조성물의 기계적 성질이 떨어지고, 53 중량%를 초과하면, 내노화성이 떨어진다. 또한, 이소프렌 고무의 함량이 47 중량% 미만이면 내노화성이 떨어지고, 53 중량%를 초과하면 기계적 성질이 떨어진다.
내열성 향상을 위한 보강제인 실리카(SiO2)의 함량은 주성분인 기재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4 ∼ 16 중량부가 되도록 한다. 이때, 실리카의 함량이 14 중량부 미만이면 내열성이 떨어지고, 16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온 내구력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 실리카는 NIPPON SILICA INDUSTIRAL CO., LTD.의 NIPSIL E-200A를 사용할 수 있다.
카본블랙의 경우, 종래에는 MAF(Medium Abrasion Furnace) 카본블랙과 FEF( Fast Extrusion Furnace ) 카본블랙을 같이 사용해 왔으나 본 발명에서는 매끄러움이 좋고, 내부발열이 적으며 열전도성이 우수한 FEF 카본블랙 만을 사용한다. FEF 카본블랙의 함량은 고무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3 ~ 21 중량부가 되도록 한다. 이때, 카본블랙의 함량에 따라 고무 조성물의 경도가 조절되는데, 상기 함량이 기준량 미만이면, 경도가 낮아 정적 특성이 낮아지므로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고, 반대로 기준량을 초과하면 고경도가 되어 정적 특성이 너무 높아져 승차감 및 감쇄성이 약해진다.
FEF 카본블랙의 함량에 따른 경도의 변화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방진고무 조성물이 엔진 마운팅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FEF 카본블랙의 함량이 19 ∼ 21 중량부가 되도록 하고, 트렌스 미션 마운팅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13 ∼ 15 중량부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방진고무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도 가공유, 산화아연, 활성화제, 노화방지제, 황 및 가황 촉진제 등의 각종 보조 첨가제를 포함한다. 가공유( Process Oil )는 배합할 때 분산을 좋게 하고, 신장률을 높이며, 열 흐름을 좋게 한다. 또한 갈라짐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서 고무 조성물의 가공성이 좋아진다. 가용유의 함량은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 4.2 중량부가 적당한데, 4.0 중량부 미만이면, 가공성이 좋지 않고, 4. 2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산화아연( ZnO )은 가황속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하며,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 5.3 중량부 정도가 적당하다. 5.0 중량부 미만이면, 가황속도 활성화가 약해지고, 5.3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황속도의 활성화가 지나치게 커져서 스코치(Scoch)가 발생되어 고무성질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활성화제로는 스테아린산( Stearic acid )을 사용하는데 그 함량은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 2.2 중량부가 좋다. 2.0 중량부 미만이면, 가황속도 활성화가 약해지고, 2.2 중량부를 초과하이면, 가황속도가 지나치게활성화되어 스코치( Scoch )가 발생되어 고무성질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내열 노화방지제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1.2 중량부가 포함 되도록 한다. 1.0 중량부 미만이면 내열성이 약해지고, 1.2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온 내구력이 약해진다. 오존방지제는 내열성, 내굴곡성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3C(N-Phenyl-N'-isoprophy-p-phenylenedianine)를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8 ∼ 2.0 중량부를 사용한다. 이때, 1.8 중량부 미만이면 내오존성이 약해지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산화성이 약화된다. 노화방지제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8 ∼ 2.0 중량부 를 사용한다. 이때, 1.8 중량부 미만이면 내노화성이 약해지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황반응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무성분의 가교 형태를 기존의 CV( Conventional Vulcanization )시스템에서 SEMI-EV( Efficient Vulcanization ) 시스템으로 변경하였다. 일반적으로 천연고무의 가황 시스템은 폴리설파이드( Polysulfide )가교가 이루어지는 고황-저가황 촉진제 가황계( Conventional curing system )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황 시스템은 역 가황( Reversion )이 쉽게 일어날 뿐만 아니라, 내노화성도 약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역가황을 적게하고 내노화성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디설파이드( Disulfide )가교가 생기는 Semi-EV( Efficient Vulcanization ) 가황시스템(curing system)을 사용하여 황의 양을 줄임으로서 내열성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에서 황의 함량은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7 ∼ 1.8 중량부가 좋으며, 1.8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열내구력이 저하되고, 1.7 중량부 미만이면, 상온내구력이 현저히 저하된다. 가황촉진제로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티아졸계의 2-머캅토벤조티아졸(MBT, 2-Mercaptobenzothiazole) 0.2 ∼ 0.3 중량부, 디벤조티아질 디설파이드(MBTS, Dibenzothiazyl Disulfide) 1.0 ∼ 1.3 중량부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함량이 기준 이하이면, 안정성이 떨어지며, 기준 이상이면, 가황이 빨라져서 스코치가 발생되어 고무성질이 불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 2
다음 표 1 과 같은 성분 및 조성비율로 이루어진 방진고무 조성물을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여 엔진 마운팅용 부재를 제조하고, 실시예 2의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여 트렌스미션 마운팅용 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2
다음 표 2 와 같은 성분 및 조성비율로 이루어진 방진고무 조성물을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 1의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여 엔진 마운팅용 부재를 제조하고, 비교예 2의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여 트렌스미션 마운팅용 부재를 제조 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차량 엔진 및 트렌스미션 마운팅용 부재에 대하여 각각 다음과 같이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3의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내열성의 척도인 노화 후 인장강도 및 신율 변화율은 10 ~ 20%, 압축영구 줄음율은 10 ~ 40%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표4의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내열 내구성 및 크리프량이 크게 개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진고무 조성물은 종래의 조성물에 비해 내열 내구성 및 크리프량이 크게 개선되어 있어서, 특히 차량 엔진이나 트랜스 미션 마운팅용 방진고무로 매우 적합하다.

Claims (1)

  1. 정제된 천연고무 47 ∼ 53 중량%와 이소프렌 고무 47 ∼ 53 중량%로 구성되는 기재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FEF 카본블랙 13 ∼ 21 중량부, 실리카 14 ∼ 13 중량부, 가공유 4.0 ∼ 4.2 중량부, 산화아연 5.0 ∼ 5.2 중량부, 스테아린산 2.0 ∼ 2.2 중량부, 내열 노화방지제 1.0 ∼ 1.2 중량부, 오존 노화방지제 1.8 ∼ 2.0 중량부, 노화방지제 1.8 ∼ 2.0중량부, 황 1.7 ∼ 1.8중량부, 2 - 머캅토벤조티아졸 0.2 ∼ 0.3 중량부, 디벤조티아질 디설파이드1.0 ∼ 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방진고무 조성물.
KR1020020035434A 2002-06-24 2002-06-24 내열성 방진고무 조성물 KR20040000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434A KR20040000241A (ko) 2002-06-24 2002-06-24 내열성 방진고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434A KR20040000241A (ko) 2002-06-24 2002-06-24 내열성 방진고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241A true KR20040000241A (ko) 2004-01-03

Family

ID=3731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434A KR20040000241A (ko) 2002-06-24 2002-06-24 내열성 방진고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024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423A (ko) * 2002-10-14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방진 고무 조성물
KR100854538B1 (ko) 2007-08-31 2008-08-26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쇽업소버의 씰링부재용 고무 조성물
KR20190056601A (ko) 2017-11-17 2019-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강성 엔진 마운트용 고무 조성물
CN115785673A (zh) * 2022-12-01 2023-03-14 浙江创城高分子材料有限公司 天然橡胶组合物及防尘罩橡胶制品
KR20230123084A (ko) 2022-02-15 2023-08-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로내구성이 향상된 모터 마운트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마운트용 고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4571A (ko) * 1992-12-31 1994-07-18 전성원 자동차 방진용 고무조성물
JPH0741603A (ja) * 1993-07-30 1995-02-10 Sumitomo Rubber Ind Ltd シリカ配合高減衰ゴム組成物
JPH0770369A (ja) * 1993-08-09 1995-03-14 Goodyear Tire & Rubber Co:The シリカ強化トレッドを有するタイヤ
JPH07126437A (ja) * 1993-10-29 1995-05-16 Toyo Tire & Rubber Co Ltd 高減衰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免震構造体
JP2001206938A (ja) * 2000-01-25 2001-07-31 Mitsubishi Rayon Co Ltd 酸性基を有する可溶性導電性ポリマー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4571A (ko) * 1992-12-31 1994-07-18 전성원 자동차 방진용 고무조성물
JPH0741603A (ja) * 1993-07-30 1995-02-10 Sumitomo Rubber Ind Ltd シリカ配合高減衰ゴム組成物
JPH0770369A (ja) * 1993-08-09 1995-03-14 Goodyear Tire & Rubber Co:The シリカ強化トレッドを有するタイヤ
JPH07126437A (ja) * 1993-10-29 1995-05-16 Toyo Tire & Rubber Co Ltd 高減衰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免震構造体
JP2001206938A (ja) * 2000-01-25 2001-07-31 Mitsubishi Rayon Co Ltd 酸性基を有する可溶性導電性ポリマー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423A (ko) * 2002-10-14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방진 고무 조성물
KR100854538B1 (ko) 2007-08-31 2008-08-26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쇽업소버의 씰링부재용 고무 조성물
KR20190056601A (ko) 2017-11-17 2019-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강성 엔진 마운트용 고무 조성물
KR20230123084A (ko) 2022-02-15 2023-08-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로내구성이 향상된 모터 마운트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마운트용 고무
CN115785673A (zh) * 2022-12-01 2023-03-14 浙江创城高分子材料有限公司 天然橡胶组合物及防尘罩橡胶制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7717A4 (en) FLUORINATED TRIALLYL ISOCYANURATES, VULCANIZABLE ELASTOMERIC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ISOCYANURATES, AND VULCANIZATION PROCESS
KR20040000241A (ko) 내열성 방진고무 조성물
JP6408905B2 (ja) 防振ゴム組成物
EP1541627A1 (en) Vibration damping rubber composition
JP2006199792A (ja) 防振ゴム用ゴム組成物及び防振ゴム
KR101693637B1 (ko) 고내열 이음 방지 스태빌라이저 바 부시 조성물
KR100802811B1 (ko) 스테빌라이저 바 부시용 고무 조성물
WO2011149198A9 (en) Silicone vibration damping rubber composition
JPH10324779A (ja) タイヤサイドウォール用ゴム組成物
KR101509772B1 (ko) 아연분말 충전 웨더스트립 및 글래스런 조성물
KR101776413B1 (ko) 나노 산화 아연 충전 웨더스트립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JP2009007422A (ja) ゴム組成物およびタイヤ
JPH07268148A (ja) 耐熱防振ゴム用ゴム組成物
JP4344200B2 (ja) タイヤ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タイヤトレッドゴムに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KR102153181B1 (ko) 내열성이 향상된 자동차의 서스펜션 부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서스펜션 부시용 고무
KR20040033423A (ko) 내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방진 고무 조성물
JPH0953070A (ja) ゴム用老化防止剤及び組成物
KR100590976B1 (ko) 내열성과 내노화성이 향상된 엔진 마운트 고무 조성물
JP2979700B2 (ja) 防振ゴム用ゴム組成物
KR100410220B1 (ko) 엔진마운트용 고무조성물 ⅰ
CN114957959B (zh) 一种氯醚橡胶组合物及其应用
KR20000031714A (ko) 방진고무 조성물
KR100407859B1 (ko) 내열노화성을 향상시킨 타이어 험프스트립용 고무조성물
JPH08269238A (ja) 防振ゴム組成物及びその組成物を用いた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樹脂・防振ゴム複合体
JP2000017109A (ja) 防振ゴム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1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8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