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99147Y1 -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147Y1
KR200399147Y1 KR20-2005-0023285U KR20050023285U KR200399147Y1 KR 200399147 Y1 KR200399147 Y1 KR 200399147Y1 KR 20050023285 U KR20050023285 U KR 20050023285U KR 200399147 Y1 KR200399147 Y1 KR 200399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hain
processing system
coupled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운
Original Assignee
서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성운 filed Critical 서성운
Priority to KR20-2005-0023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1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14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0Pile receivers adjustable for different article siz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2Squaring-up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30Chains
    • B65H2404/31Chains with auxiliary handling means
    • B65H2404/315Details of arrangement of the auxiliary handling means on the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4Side, i.e. portion parallel to the feeding / delivering direction
    • B65H2405/1144Side, i.e. portion parallel to the feeding / delivering direction exten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Bags, sachets and pouc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6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of one face only with moving tapes, bands, or chains
    • B65H29/1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of one face only with moving tapes, bands, or chain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는, 배출된 백을 지지·수납하는 다이부; 및 상기 다이부의 양측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된 백을 정렬시키는 무빙 유니트;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Apparatus to align rolling film produced by package processing system}
본 고안은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 형태로 롤러에 감긴 섬유, 종이, 비닐 등의 롤원단을 절단하면서 접착시키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으로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백(bag) 제품을 자동 정렬할 수 있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원단 중 포장용 필름은 포장용 비닐백, 일회용 포장백, 롤링백, 헤드 포리백 등과 같은 필름원단을 사이드 실링, 이면 실링, 삼면 실링, M방 실링, 자동밴드 실링, 수축필름 실링, OPP 반접 및 풀 가공, 헤드 가공, 롤컷팅 등의 방법으로 가공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롤원단 가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배출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롤원단 가공 시스템(200)은 원단롤러(122)에 감긴 원단을 주행경로를 통해 주행시키는 공급유니트(120), 상기 공급유니트(120)로부터 공급된 원단을 소정 길이만큼 저장하기 위한 저장유니트(130), 상기 저장유니트(130)에 위치된 상기 원단을 소정 길이만큼 인출시키는 인출유니트(140), 상기 인출유니트(140)로부터 인출된 원단을 절단하는 절단/접착유니트(150), 및 절단된 원단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니트(160)를 구비한다. 여기서, 다양한 데이터 값이 입력되어 상기 유니트들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니트(110)를 더 구비한다. 이때, 가공된 원단(이하 백이라 칭함)이 배출유니트(160)를 통해 배출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66)가 설치된 강철판에 백이 쌓이게 된다.
통상,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200)에 의해 가공된 백이 배출되는 곳에 위치된다. 종래의 정렬장치는 백이 배출되는 배출유니트(160)에 설치되어 백을 수납한다. 가공기에 설치되는 백을 수납·지지하는 강철판과 상기 강철판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트레이(166)에 백이 배출되어지면 작업자는 수작업으로 백을 일일이 정렬시키는 작업방식을 해왔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13033호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백이 배출되어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작업방식은 작업시간이 길어져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백이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으며, 떨어진 백에 이물질이 묻는 경우 이를 폐기함으로써 자원이 낭비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백을 정렬시켜 작업 속도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백이 배출되어 이송될 때 백의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는, 배출된 백을 지지·수납하는 다이부; 및 상기 다이부의 양측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된 백을 정렬시키는 무빙 유니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빙 유니트는 한 쌍의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는 소정간격으로 왕복이동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측 롤러에 체인 결합된 하측 롤러를 구비하며, 백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으로 이송되어지는 상기 백을 양측면에서 정렬시키는 정렬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백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체인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텐션수단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상측 롤러 및 상기 하측 롤러는 상기 프레임의 양단 내측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체인으로 결합된 컨베이어 벨트; 상기 체인과 체인의 고리부에 결합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공이 형성된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에 형성된 결합공에 형합되어 백을 받쳐주는 지지봉;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프래임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상측 롤러 및 하측 롤러는 기어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회전축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선택적으로 상기 고리부의 간격으로 위치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봉은 선택적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텐션수단은, 상기 하측 롤러와 연결된 회전축에 설치되는 베이스 브래킷; 상기 베이스 브래킷의 단부와 결합되는 텐션아암; 상기 텐션아암을 소정 범위만큼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제3 연결부재; 및 상기 텐션아암의 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롤러 및 하측 롤러에 걸쳐진 상기 체인이 상기 텐션아암이 회동함으로써 상기 체인의 장력이 유지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백이 상기 이동수단으로 이송되면 상기 백의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백을 중심쪽으로 밀어 정렬시키는 정렬기; 및 상기 정렬장치와 결합되어 백의 사이즈에 따라 선택적으로 위치를 조절하는 레버;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수단의 회전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칸막이; 및 상기 칸막이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칸막이의 수 만큼 연결공이 형성된 제3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백이 이동될 때 상기 백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 롤러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종동 스프로킷; 및 상기 프레임 하단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종동 스프로킷과 체인 결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스프로킷;을 더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이동수단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수단을 좌·우측으로 양분시키는 플레이트;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 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100)는 배출된 백(미도시)을 지지·수납하는 다이부(1), 및 배출된 백을 정렬시키는 무빙유니트(5)를 구비한다.
상기 다이부(1)는 백이 배출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백을 지지·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빙유니트(5)는 선택적으로 고정·이동되는 제1 플레이트(2)와, 제2 플레이트(3)를 구비한다. 다이부(1)의 양측 상단에 제1 플레이트(2) 및 제 2 플레이트(3)는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플레이트(2)와 제2 플레이트(3) 중 적어도 하나는 왕복운동을 한다. 제1 플레이트(2)가 소정 간격으로 운동되면 제2 플레이트(3)는 고정된다. 이 때, 백이 배출되면 제1 플레이트(2)는 제2 플레이트(3)로 백을 밀게된다. 밀어진 백은 제2 플레이트(3)에 백이 지지되어 백을 일렬로 정렬시키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플레이트(3)가 소정 간격으로 운동되면 제1 플레이트(2)가 고정되어 백을 지지한다. 또한, 제1 플레이트(2) 및 제2 플레이트(3)는 동시에 운동될 수 있다.
무빙유니트(5)의 동작원리는 모터를 이용하여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수단, 에어 실린더를 이용한 수단 등 수 많은 방법을 포함하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정렬수단(도 8 참조)을 일 실시예로 후술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측면의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측면의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100')는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백(미도시)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0)과, 상기 이동수단(20)으로 이송되어지는 백을 정렬하는 정렬수단(30)과, 상기 이동수단(20)으로 이동되는 백을 지지하는 지지부(40), 및 상기 이동수단(20)에 구비되는 하측 롤러(22b)와 설치되어 체인(23)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텐션수단(50)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수단(20)은 프레임(10)에 설치되며, 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21)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에 설치된 체인(23)과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25), 및 제1 연결부재(25)에 형성된 결합공(26)과 형합되어 백의 일시적인 저장 및 가이드하는 지지봉(27)을 구비한다.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21)는 후술할 플레이트(70)에 의해 좌·우로 구분되어 진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1)는 백을 이동시키기 위한 몸체의 역할로서, 프레임(10)에 소정 각도를 가지며 설치되고, 프레임(10)의 양단 내측에 상측 롤러(22a)와 하측 롤러(22b)가 구비되고, 체인(23)은 이 롤러(22a)(22b)들과 결합된다.
상기 상측 롤러(22a) 및 하측 롤러(22b)는 기어형상을 가지며 프레임(10)의 양단 내측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측 롤러(22a) 및 하측 롤러(22b)는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프레임(10)의 양측면에 형성된 회전축(28a)(28b)(29a)(29b)과 결합된다. 체인(23)은 상기 롤러(22a)(22b)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체인(23)은 복수개의 고리부(24)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인(23)은 제1 체인, 제2 체인 및 제3 체인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결부재(25)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일정 간격으로 결합공(26)이 형성된다. 제1 연결부재(25)는 상기 제1 체인(23)의 고리부(24)와 제2 체인(23)의 고리부(24)에 결합된다. 제1 연결부재(25)는 고리부(24)의 갯수만큼 결합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27)은 제1 연결부재(25)에 형성된 결합공(26)과 형합된다. 상기 결합공(26)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지지봉(27)은 이송되어진 백을 지지하며 소정의 수량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봉(27)은 결합공(26)의 갯수만큼 결합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단, 지지봉(27)은 백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위치와 갯수가 필요하며, 상황에 따라 위치와 갯수가 변화하므로 당업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바뀌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프레임(10)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20)의 컨베이어 벨트(21)와 결합되어 롤러(22a)(22b)를 회전시키는 모터(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모터(60)와 결합되는 구동 스프로킷(61)과, 상측 롤러(22a)의 회전축(28a)(28b) 중 하나와 결합되는 종동 스프로킷(62)이 더 포함된다. 구동 스프로킷(61) 및 종동 스프로킷(62)의 외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제3 체인(23)에 의해 결합된다. 모터(60)에 결합된 구동 스프로킷(61)은 제3 체인(23)을 통해 종동 스프로킷(62)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종동 스프로킷(62)과 연결된 회전축(28b)(임의로 28b로 정한다)이 회전함으로써 상측 롤러(22a)가 회전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측면의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측면의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의 정렬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정렬수단(30)은 프레임(10)의 상측에 위치되어, 백(미도시)이 컨베이어 벨트(21)에 이송되면 상기 백의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백을 중심쪽으로 밀어 정렬시키는 정렬기(31), 및 상기 정렬기(31)와 결합되어 정렬기(31)의 위치를 조절하는 레버(36)를 구비한다.
상기 정렬기(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작동되거나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정렬기(31)의 하단에 설치되는 정렬대(32)와, 상기 정렬기(31)의 내부에 정렬대(32)와 연결되는 지지판(33), 상기 지지판(33)을 진동시키는 진동부(34), 및 상기 진동부(34)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지지판(33)을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35)가 구비된다. 상기 진동부(34)는 에어실린더 및 솔레노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진동부재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그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수많은 진동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레버(36)는 프레임(10)의 상부 외측면에 설치되고 결합봉(37)이 형성되어 상기 정렬기(31)와 각각 결합된다. 레버(36)는 백의 사이즈에 따라 정렬기(31)를 선택적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봉(37)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레버(36)를 회전시키면 정렬기(31)가 슬라이딩되어 위치가 변화된다.
한편, 플레이트(70)는 프레임(10)의 상단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이동수단(20)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중심에 설치된다. 즉, 컨베이어 벨트(21)의 회전방향으로 설치되며, 컨베이어 벨트(21)를 좌·우측으로 양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렬기(31)가 백을 플레이트(70)쪽으로 밀어주면 그 중심측에 플레이트(70)가 설치되어 지지함으로써 정렬된다.
상기 정렬기(31)는 선택적으로 소정 간격, 소정 속도를 조절 할 수 있다. 정렬기(31)가 가동되면 정렬기(31)는 백의 측부와 접촉되어 백을 플레이트(70)로 밀어줌으로써 백이 일렬로 정리된다.
상기 지지부(40)는 이동수단(20)의 회전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칸막이(41)와, 상기 칸막이(41)와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42), 및 상기 제2 연결부재(42)에는 칸막이(41)와 결합되는 연결공(43)이 형성된다.
상기 칸막이(41)는 이동수단(20)에 의해 이동되는 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칸막이(41)의 일단은 만곡된 형상으로 상기 상측 롤러(22a)의 상단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42)는 칸막이(4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프레임(10)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결공(43)은 제2 연결부재(42)에 일정 간격 형성되어 칸막이(41)의 갯수만큼 형성된다.
상기 텐션수단(50)은 상기 하측 롤러(22b)와 연결된 회전축(29a)(29b)에 설치되는 베이스 브래킷(51)과, 상기 베이스 브래킷(51)의 단부와 결합되는 텐션아암(52)과, 텐션아암(52)을 소정 범위만큼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제3 연결부재(53), 및 텐션아암(52)의 단부에 설치되어 소정 범위만큼 회동시키는 손잡이부(54)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브래킷(51)은 회전축(29a)(29b)과 결합되어 프레임(10)에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텐션아암(52)에는 제3 연결부재(53)에 의해 소정 범위만큼 회동되도록 볼트가 형합된다. 상기 손잡이부(54)는 텐션아암(52)의 단부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위치를 조정하며 제1 체인(23) 및 제2 체인(23)의 장력을 유지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프레임(10)은 상단과 하단으로 나뉘어 형성되고 결합되어 일체가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선택적으로 이동·고정된다.
프레임(10)에 소정 각도를 가지며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21)는 컨트롤유니트(미도시)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또한, 프레임(10)의 하단에 모터(60)를 설치하여 구동 스프로킷(61)을 결합하고, 상측 롤러(22a)의 회전축(28a)(28b)에 구동 스프로킷(61)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종동 스프로킷(62)을 설치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레임(10)의 내부에 센서가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21)를 제어할 수 있다. 상측 롤러(22a)와 하측 롤러(22b)는 체인(23) 결합되어 회전된다. 이때, 체인(23)의 고리부(24)와 결합된 제1 연결부재(25)의 지지봉(27)에 가공된 백이 이송되어 진다. 지지봉(27)은 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선택적으로 위치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봉(27)으로 이송되는 백은 프레임(10)의 상단에 위치한 정렬기(31)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21)의 중심쪽으로 모이게 된다. 한편, 컨베이어 벨트(21)의 중심부에 회전방향으로 플레이트(7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70)는 컨베이어 벨트(21)를 좌·우로 양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렬기(31)에 의해 중심으로 모아지는 백은 플레이트(70)에 의해 지지되어 정렬되게 된다. 이때, 백의 사이즈에 따라 정렬기(31)는 레버(36)에 의해 선택적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정렬된 백은 회전방향으로 이동되는데 백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칸막이(41)가 설치된다. 한편, 백이 일정량을 초과하여 컨베이어 벨트(21)에 쌓이면 체인(23)이 늘어질 수 있으므로 체인(23)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하측 롤러(22b)에 텐션수단(50)을 구비한다. 이동수단(20)을 통해 이동되어진 백은 작업자에 의해 처리되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백의 사이즈에 상관없이 정렬시킴으로써 작업속도가 향상되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둘째, 백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백을 버리거나 다시 제작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셋째, 정렬장치는 이동이 가능함으로 여러 기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롤원단 가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배출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측면의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측면의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측면의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측면의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의 정렬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이부 2 : 제1 플레이트 3 : 제2 플레이트
5 : 무빙 유니트 10 : 프레임 20 : 이동수단
21 : 컨베이어 벨트 22a : 상측 롤러 22b : 하측 롤러
23 : 체인 24 : 고리부 25 : 제1 연결부재
26 : 결합공 27 : 지지봉 28a,28b : 회전축(상측롤러)
29a,29b : 회전축(하측롤러) 30: 정렬수단
31 : 정렬기 32 : 정렬대 33 : 지지판
34 : 진동부 35 : 탄성부재 36 : 레버
40 : 지지부 41 : 칸막이 42 : 제2 연결부재
43 : 연결공 50 : 텐션수단 51 : 베이스 브래킷
52 : 텐션아암 53 : 제3 연결부재 54 : 손잡이부
60 : 모터 61 : 구동 스프로킷 62 : 종동 스프로킷
70 : 플레이트 100,100' :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Claims (13)

  1. 배출된 백을 지지·수납하는 다이부; 및
    상기 다이부의 양측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된 백을 정렬시키는 무빙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유니트는 한 쌍의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는 소정간격으로 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3.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측 롤러에 체인 결합된 하측 롤러를 구비하며, 백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으로 이송되어지는 상기 백을 양측면에서 정렬시키는 정렬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백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텐션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상측 롤러 및 상기 하측 롤러는 상기 프레임의 양단 내측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체인으로 결합된 컨베이어 벨트;
    상기 체인과 체인의 고리부에 결합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공이 형성된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에 형성된 결합공에 형합되어 백을 받쳐주는 지지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래임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상측 롤러 및 하측 롤러는 기어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회전축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재는 선택적으로 상기 고리부의 간격으로 위치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선택적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수단은,
    상기 하측 롤러와 연결된 회전축에 설치되는 베이스 브래킷;
    상기 베이스 브래킷의 단부와 결합되는 텐션아암;
    상기 텐션아암을 소정 범위만큼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제3 연결부재; 및
    상기 텐션아암의 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롤러 및 하측 롤러에 걸쳐진 상기 체인이 상기 텐션아암이 회동함으로써 상기 체인의 장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백이 상기 이동수단으로 이송되면 상기 백의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백을 중심쪽으로 밀어 정렬시키는 정렬기; 및
    상기 정렬장치와 결합되어 백의 사이즈에 따라 선택적으로 위치를 조절하는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수단의 회전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칸막이; 및
    상기 칸막이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칸막이의 수 만큼 연결공이 형성된 제3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백이 이동될 때 상기 백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롤러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종동 스프로킷; 및
    상기 프레임 하단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종동 스프로킷과 체인 결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스프로킷;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13. 제 3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수단을 좌·우측으로 양분시키는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KR20-2005-0023285U 2005-08-11 2005-08-11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399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285U KR200399147Y1 (ko) 2005-08-11 2005-08-11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285U KR200399147Y1 (ko) 2005-08-11 2005-08-11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147Y1 true KR200399147Y1 (ko) 2005-10-19

Family

ID=4370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285U Expired - Lifetime KR200399147Y1 (ko) 2005-08-11 2005-08-11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1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50839A1 (en) Sealing mechanism for a form-fill-seal packaging machine
ITBO20060194A1 (it) Apparato per formare un flusso continuo e cadenzato di gruppi di rotoli di carta ed altri prodotti opportunamente orientati, inizialmente singoli o preconfezionati, verso una macchina operatrice continua e ad alta produzione, quale una insaccatrice
JP3887223B2 (ja) 加工機への平坦要素の供給及び放出装置
JPH0577913A (ja) モータ駆動のキヤリアボールを備えるテーブル
KR20150016285A (ko) 식품생지 신장장치 및 식품생지 신장방법
CN103569402A (zh) 一种自动往复推料装置
US6655111B2 (en) Bag mouth opening device for continuously conveyed bags
JPH11321188A (ja) モジュ―ル式自動封筒挿入機械
JPH01242318A (ja) 鋳型からコンベヤベルト上へ抜き出された製品の位置決め装置
KR200399147Y1 (ko) 롤원단 가공 시스템의 백 정렬장치
KR100199354B1 (ko) 연속적인 이동웹을 정지위치의 스테이션에서 처리하기위한이송기구
JPH0790930B2 (ja) シート供給装置
KR102517315B1 (ko) 포대 이송장치
HRP960586A2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valved bags to a filling machine
JPH04223967A (ja) シートを横取りしかつ一時的に集積する装置
EP3464140B1 (en) Pile preparation unit
KR200362787Y1 (ko) 종이재 원단 이송장치
US3754705A (en) Double cam driven feed roll
CN114940284A (zh) 一种电机支架翻转输送装置
US3843116A (en) Apparatus for the adjustment of paper sheets
JPH0516020A (ja) 切断機におけるワーク搬送装置
JP2003175557A (ja) 厚紙シートを加工する機械のための供給装置
JP7417979B2 (ja) 送り装置
JPH04173624A (ja) 材料給送装置
JP3623019B2 (ja) シート状製品積み重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81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8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0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6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