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96026Y1 - 왕겨 저장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왕겨 저장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026Y1
KR200396026Y1 KR20-2005-0009020U KR20050009020U KR200396026Y1 KR 200396026 Y1 KR200396026 Y1 KR 200396026Y1 KR 20050009020 U KR20050009020 U KR 20050009020U KR 200396026 Y1 KR200396026 Y1 KR 200396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ff
storage
tank
shipping
bucke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강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강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강판
Priority to KR20-2005-0009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0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0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6Arrangements in forage silos
    • A01F25/20Unloading arrangements
    • A01F25/2009Top unloading units for tower silo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36Devices for emptying from th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2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환경친화적이면서 도정(搗精)능력 증가에 따른 대처 및 사후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저장된 왕겨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이 우수한 왕겨 저장배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왕겨 저장배출 장치는 왕겨가 저장되는 원통형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의 상부를 덮는 저장탱크 지붕과, 저장탱크의 하부를 마감하는 제 1, 제 2 저장호퍼를 갖는 왕겨 저장수단; 왕겨 저장수단 내에 저장된 왕겨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 1, 제 2 저장호퍼의 내측 하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면서 일단은 저장탱크의 외부로 연장되는 통상의 제 1,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과, 저장탱크의 외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하부가 제 1,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을 따라 안내된 왕겨를 공급받아 안내하는 제 1, 제 2 버킷 엘리베이터을 갖는 왕겨 배출수단; 및 왕겨 배출수단으로부터 왕겨를 공급받아 일시적으로 보관한 후 적재차량에 왕겨를 공급하는 출하탱크를 갖는 왕겨 출하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왕겨 저장배출 장치{Device for storing and removing chaff}
본 고안은 사일로를 이용한 왕겨 저장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친화적이면서 도정(搗精)능력 증가에 따른 대처 및 사후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저장된 왕겨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이 우수한 왕겨 저장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서 수확한 벼와 같은 곡물류는 미곡종합처리장에서 기계장치 등을 이용하여 벼를 찧어 현미와 왕겨를 분리시킨 후 현미는 도정공정을 통하여 포장한 후 소비자에게 공급되고, 분리된 왕겨는 별도의 저장시설에 저장된다.
왕겨를 저장하는 종래 저장시설로는 미곡종합처리장(RPC; rice processing complex)에 일체로 설치되는 RPC건물형과, 옥외사각 철재형이 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전술한 RPC건물형 저장시설은 H빔, C형강과 샌드위치판넬 및 우레탄판넬로 시설되기 때문에 기온변화와 판넬의 이완수축과 왕겨압송 팬에 의한 왕겨실 압력증가와 왕겨 누적량에 의한 압력발생으로 판넬 이완수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붕과 벽부 마감이 용이하지 않아 틈새가 발생하고 틈새부분으로 집진분진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옥외사각 철재형 저장시설은 철재로 제작되어 기밀성과 구조면에서는 우수하지만 일반철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식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겨울철에는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여 저장 중인 왕겨가 부식됨과 아울러 배출게이트 동작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환경친화적이면서 도정(搗精)능력 증가에 따른 대처 및 사후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저장된 왕겨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이 우수한 왕겨 저장배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왕겨가 저장되는 원통형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의 상부를 덮는 저장탱크 지붕과, 저장탱크의 하부를 마감하는 제 1 저장호퍼 및 제 2 저장호퍼를 갖는 왕겨 저장수단;
왕겨 저장수단 내에 저장된 왕겨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 1 저장호퍼 및 제 2 저장호퍼의 내측 하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면서 일단은 저장탱크의 외부로 연장되는 통상의 제 1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 및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과, 저장탱크의 외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하부가 제 1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 및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을 따라 안내된 왕겨를 공급받아 안내하는 제 1 버킷 엘리베이터 및 제 2 버킷 엘리베이터을 갖는 왕겨 배출수단; 및
왕겨 배출수단으로부터 왕겨를 공급받아 일시적으로 보관한 후 적재차량에 왕겨를 공급하는 출하탱크를 갖는 왕겨 출하수단을 포함하는 왕겨 저장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환경친화적이면서 도정(搗精)능력 증가에 따른 대처 및 사후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저장된 왕겨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이 우수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왕겨 저장배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왕겨 저장배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장탱크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왕겨 저장배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왕겨 저장배출 장치(100)는 왕겨(C)가 저장되는 왕겨 저장수단(110)과, 왕겨 저장수단(110) 내에 저장된 왕겨(C)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왕겨 배출수단(130)과, 왕겨 배출수단(130)으로부터 왕겨(C)를 공급받아 일시적으로 보관한 후 적재차량(A)에 왕겨(C)를 공급하는 왕겨 출하수단(150)을 포함한다.
왕겨 저장수단(110)은 통상의 사이로(silo) 형상을 가지며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아연도금강판으로 제작된다. 왕겨 저장수단(110)은 원통형 저장탱크(112)와, 저장탱크(112)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저장탱크 지붕(114)과, 저장탱크(112)의 개방된 하부를 마감하는 제 1 저장호퍼(116a) 및 제 2 저장호퍼(116b)를 구비한다.
저장탱크 지붕(114)의 중앙부분에는 통상의 왕겨사이클론(S)에서 안내되는 왕겨(C)가 투입되는 왕겨 투입구(118)가 형성된다. 왕겨 투입구(118)의 아래쪽에는 왕겨 분사판(120)이 저장탱크 지붕(114)의 내부에 매달리게 배치된다. 왕겨 분사판(120)은 왕겨 투입구(118)로 투입되는 왕겨(C)를 저장탱크(112) 내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왕겨 투입구(118)의 일측으로는 점검구(122)가 형성되고, 점검구(122)는 점검구맨홀(124)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한편, 제 1 저장호퍼(116a) 및 제 2 저장호퍼(116b)는 저장탱크(112)의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는데, 제 1 저장호퍼(116a) 및 제 2 저장호퍼(116b)의 각각의 경사면 상에는 왕겨 배출구(126)가 형성된다. 왕겨 배출구(126)는 저장탱크(112)에 저장된 왕겨(C)를 흡입 적재하는 적재차량(A)에서 연장되는 흡입호스(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왕겨 배출수단(130)은 통상의 제 1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132a) 및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132b)과, 제 1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132a) 및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132b)과 연결되는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34a) 및 제 2 버킷 엘리베이터(134b)를 구비한다.
제 1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132a) 및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132b)은 각각 제 1 저장호퍼(116a) 및 제 2 저장호퍼(116b)에 내측 하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면서 일단은 저장탱크(112)의 외부로 연장되는데, 저장탱크(112) 외부로 연장된 제 1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132a) 및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132b)의 일단 연장부의 일측에는 제 1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132a) 및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132b)을 구동시키는 제 1 체인기계실(136a) 및 제 2 체인기계실(136b)이 배치되고, 제 1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132a) 및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132b)의 연장부에는 제 1 왕겨배출이송관(138a) 및 제 2 왕겨배출이송관(138b)이 배치된다.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34a) 및 제 2 버킷 엘리베이터(134b)는 저장탱크()의 외부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34a) 및 제 2 버킷 엘리베이터(134b)의 하부는 제 1 왕겨배출이송관(138a) 및 제 2 왕겨배출이송관(138b)과 연결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34a) 및 제 2 버킷 엘리베이터(134b)의 상부 일측에는 마찬가지로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34a) 및 제 2 버킷 엘리베이터(134b)를 구동시키는 제 1 버킷기계실(140a) 및 제 2 버킷기계실(140b)이 배치된다.
한편, 왕겨 출하수단(150)은 프레임(152)과, 프레임(152)의 상부에 배치되는 출하탱크(154)를 구비한다. 프레임(152)은 지면에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데, 이러한 프레임(152)은 적재차량(A)이 출입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진다.
출하탱크(154)는 개방된 상부를 덮는 출하탱크 지붕(156)과, 출하탱크(154)의 개방된 하부를 마감하는 출하호퍼(158)를 구비한다. 출하탱크 지붕(156)의 중앙부분에는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34a) 및 제 2 버킷 엘리베이터(134b)의 상부와 연결되어 왕겨(C)를 출하탱크(154) 내로 공급하는 제 1 왕겨 공급이송관(160a) 및 제 2 왕겨 공급이송관(160b)이 형성된다. 한편, 출하호퍼(158)는 출하탱크(154)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좁아지게 연장되는데, 출하호퍼(158)의 하부에는 출하탱크(154)에 보관된 왕겨(C)를 적재차량(A)의 적재함으로 배출되게 하는 통상의 출하게이트(162)가 배치된다. 출하게이트(162)는 출하탱크(154)의 하부에서 수평하게 슬라이딩되면서출하게이트(162)를 개폐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왕겨 저장배출 장치(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산지에서 수확한 벼를 미곡종합처리장에서 기계장치 등을 이용하여 벼를 찧어 현미와 왕겨를 분리시킨다. 이때, 분리된 왕겨(C)는 통상이 왕겨투입라인을 통해 왕겨사이클론(S)으로 안내된다. 왕겨사이클론(S)으로 안내된 왕겨(C)는 다시 저장탱크 지붕(114)에 형성된 왕겨 투입구(118)를 통하여 저장탱크(112) 내로 투입된다. 이때, 저장탱크(112) 내로 투입된 왕겨(C)는 왕겨 분사판(120)에 의해서 저장탱크(112) 내로 분산되면서 제 1 저장호퍼(116a) 및 제 2 저장호퍼(116b)는 물론 저장탱크(112) 내에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왕겨(C)를 적재차량(A) 측으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왕겨 배출수단(130)의 제 1,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132a, 132b)과, 제 1, 제 2 버킷 엘리베이터(134a, 134b)를 구동시킨다. 제 1,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132a, 132b) 및 제 1, 제 2 버킷 엘리베이터(134a, 134b)가 구동되면, 제 1 저장호퍼(116a) 및 제 2 저장호퍼(116b)의 왕겨(C)를 제 1,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132a, 132b)을 따라서 저장탱크(112) 외부로 이송되고, 저장탱크(112) 외부로 이송된 왕겨(C)는 제 1, 제 2 왕겨 배출이송관(138a, 138b)을 통해 제 1, 제 2 버킷 엘리베이터(134a, 134b)의 하부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왕겨(C)가 제 1, 제 2 버킷 엘리베이터(134a, 134b)의 하부로 안내되면, 제 1, 제 2 버킷 엘리베이터(134a, 134b)는 왕겨(C)를 제 1, 제 2 버킷 엘리베이터(134a, 134b)의 상부로 안내하고, 제 1, 제 2 버킷 엘리베이터(134a, 134b)의 상부로 안내된 왕겨(C)는 제 1, 제 2 왕겨 공급이송관(160a, 160b)을 통해 출하탱크(154) 내로 이송되어 보관된다.
출하탱크(154) 내의 왕겨(C)를 출하하기 위해서 프레임(152)의 사이로 적재차량(A)을 주차시킨 상태 하에서 출하게이트(162)를 개방하여 적재차량(A)의 적재함에 왕겨(C)를 적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일로를 이용한 왕겨 저장배출 장치(100)는 왕겨 저장수단(110), 왕겨 배출수단(130) 및 왕겨 출하수단(150)을 구비함으로써, 저장된 왕겨(C)를 적재차량(A)에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어 적업효율성이 우수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왕겨 저장수단(110)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사이로(silo)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도정(搗精)능력 증가에 맞추어 대처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왕겨 저장배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장탱크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왕겨 저장배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왕겨 저장배출 장치 110 : 왕겨 저장수단
112 : 저장탱크 114 : 저장탱크 지붕
116a : 제 1 저장호퍼 116b : 제 2 저장호퍼
118 : 왕겨 투입구 120 : 왕겨 분사판
122 : 점검구 124 : 점검구맨홀
126 : 왕겨 배출구 130 : 왕겨 배출수단
132a : 제 1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 132b: 제 1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
134a : 제 1 버킷 엘리베이터 134b : 제 2 버킷 엘리베이터
150 : 왕겨 출하수단 152 : 프레임
154 : 출하탱크 158 : 출하호퍼

Claims (6)

  1. 왕겨가 저장되는 원통형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를 덮는 저장탱크 지붕과,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를 마감하는 제 1 저장호퍼 및 제 2 저장호퍼를 갖는 왕겨 저장수단;
    상기 왕겨 저장수단 내에 저장된 상기 왕겨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저장호퍼 및 상기 제 2 저장호퍼의 내측 하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면서 일단은 상기 저장탱크의 외부로 연장되는 통상의 제 1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 및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과, 상기 저장탱크의 외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하부가 상기 제 1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 및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을 따라 안내된 상기 왕겨를 공급받아 안내하는 제 1 버킷 엘리베이터 및 제 2 버킷 엘리베이터을 갖는 왕겨 배출수단; 및
    상기 왕겨 배출수단으로부터 상기 왕겨를 공급받아 일시적으로 보관한 후 적재차량에 상기 왕겨를 공급하는 출하탱크를 갖는 왕겨 출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 저장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지붕의 중앙부분에는 통상의 왕겨사이클론에서 안내되는 상기 왕겨가 투입되는 왕겨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왕겨 투입구의 아래쪽에는 상기 저장탱크 내로 상기 왕겨를 분산시키는 왕겨 분사판이 배치되며, 상기 왕겨 투입구의 일측으로는 점검구 및 상기 점검구를 개폐하는 점검구맨홀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 저장배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호퍼 및 상기 제 2 저장호퍼는 상기 저장탱크의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저장호퍼 및 상기 제 2 저장호퍼의 각각의 경사면 상에는 왕겨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 저장배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 및 상기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 일단 연장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 및 상기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을 구동시키는 제 1 체인기계실 및 제 2 체인기계실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 및 상기 제 2 플로우 컨베이어 체인의 연장부에는 상기 왕겨를 상기 제 1 버킷 엘리베이터 및 상기 제 2 버킷 엘리베이터 측으로 안내하는 제 1 왕겨배출이송관 및 제 2 왕겨배출이송관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버킷 엘리베이터 및 상기 제 2 버킷 엘리베이터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 1 버킷 엘리베이터 및 상기 제 2 버킷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키는 제 1 버킷기계실 및 제 2 버킷기계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 저장배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출하탱크는 개방된 상부를 덮는 출하탱크 지붕과, 상기 출하탱크의 개방된 하부를 마감하는 출하호퍼를 구비하고, 상기 출하탱크 지붕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제 1 버킷 엘리베이터 및 상기 제 2 버킷 엘리베이터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왕겨를 상기 출하탱크 내로 공급하는 제 1 왕겨 공급이송관 및 제 2 왕겨 공급이송관이 형성되며, 상기 출하호퍼의 하부에는 상기 출하탱크에 보관된 상기 왕겨를 배출되게 하는 출하게이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 저장배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탱크는 지면에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왕겨를 적재하는 적재차량이 출입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 저장배출 장치.
KR20-2005-0009020U 2005-04-01 2005-04-01 왕겨 저장배출 장치 KR200396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020U KR200396026Y1 (ko) 2005-04-01 2005-04-01 왕겨 저장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020U KR200396026Y1 (ko) 2005-04-01 2005-04-01 왕겨 저장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026Y1 true KR200396026Y1 (ko) 2005-09-16

Family

ID=4369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020U KR200396026Y1 (ko) 2005-04-01 2005-04-01 왕겨 저장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0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842A2 (en) * 2009-02-13 2010-08-19 The Gsi Group, Llc Grain bin for temporary storage of grai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842A2 (en) * 2009-02-13 2010-08-19 The Gsi Group, Llc Grain bin for temporary storage of grain
WO2010093842A3 (en) * 2009-02-13 2010-12-02 The Gsi Group, Llc Grain bin for temporary storage of grain
US8670863B2 (en) 2009-02-13 2014-03-11 The Gsi Group, Llc Grain bin for temporary storage of gr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8286A (en) Bulk cement transport apparatus
CN1946607B (zh) 内设利用管道的自动压载系统的船舶
US9428330B2 (en) Interlocking container
EP2032426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charge of bulk material from a ship
US20080073895A1 (en) Portable storage apparatus for granular material
US20050193937A1 (en) Multi-mode ship for transporting vehicles
JP5814461B2 (ja) 揚荷装置
KR200396026Y1 (ko) 왕겨 저장배출 장치
CN212048826U (zh) 一种散货集装箱
CN102596705A (zh) 准备散装干货船的方法
EP2615025A1 (en) Polymer-pellet transport ship, polymer-pellet transport barge,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same
KR20090095804A (ko) 언로더 호퍼
GB2101534A (en) Transporting coal slurry by ship.
CN217125760U (zh) 一种集装箱及集装箱组合
JP2007314186A (ja) 穀物貯溜タンク
JP6056034B2 (ja) 揚荷装置
CN216425503U (zh) 一种卸料输送系统
CN221295437U (zh) 一种带螺旋输送的污泥料仓
CN204549038U (zh) 一种新型集装箱
CN209939947U (zh) 煤粉无尘装车机
GB2098138A (en) Slurry carrying ship with drainage devices
US2035199A (en) Means for handling sand
KR100526308B1 (ko) 곡물저장고의 곡물배출구조
CN208764337U (zh) 一种便于捅料的翻板阀
JP6484211B2 (ja) 揚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4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4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60228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1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508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