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95244Y1 - 오수받이 조립체 - Google Patents

오수받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244Y1
KR200395244Y1 KR20-2005-0018892U KR20050018892U KR200395244Y1 KR 200395244 Y1 KR200395244 Y1 KR 200395244Y1 KR 20050018892 U KR20050018892 U KR 20050018892U KR 200395244 Y1 KR200395244 Y1 KR 200395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water
inlet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윤
Original Assignee
(주)미라이후손관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라이후손관거 filed Critical (주)미라이후손관거
Priority to KR20-2005-0018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2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24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4Odour seals having U-shaped tr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수받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취 효과가 우수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입수관 및 배수관을 연결할 수 있는 오수받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오수받이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입수구와 배수구를 갖는 오수받이 조립체에 있어서, 벽에 다수의 수관부를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오수받이와 ; 상기 오수받이의 수관부에 설치되어 입수관과 배수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수관부에 일부가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을 수관부에 고정시키는 연결너트로 구성된 이음관 조립체와 ; 상기 오수받이 내부의 수관부 중 입수측 수관부에 삽입 설치되어 오수받이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와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취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오수받이 조립체{A sewage tool assembly}
본 고안은 오수받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입수구를 구비하고 있어 많은 배수관을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의 연결 방향의 조절이 용이하고 하수구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수받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다수의 입수구를 형성하여 주방, 화장실 및 각 배수관을 연결할 수 있으며, 각 배수관에 연결되는 입수구에 방취 수단을 설치하여 하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관이 연결되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오수받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다수의 부싱으로 구성된 이경부싱 조립체를 수관부에 선택적으로 설치함으로서 어떠한 지름을 갖는 입수관도 연결시킬 수 있는 오수받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오수받이는 지중에 설치되어 우수 또는 가정내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외부의 집수조로 보내기 전에 중간 정화조 역할을 하도록 한 것으로 원형이나 사각함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정에서 오수나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관이 여러개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오수받이는 배수관 즉, 오수받이로 오수나 폐수가 입수되는 입수관이 연결되는 방향은 물론 오수받이에 집수된 오, 폐수가 배출되는 배수관을 연결하는 방향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입수관이나 배수관의 연결시 관을 굽혀 오수받이에 형성된 입수구나 내수구에 연결하여야 하였다.
이렇게 굽혀지게 연결된 관을 통과하는 관에는 찌꺼기를 포함하는 오, 폐수가 흐르며 이러한 찌꺼기는 굽혀진 부분을 통과하지 못하고 관의 내부를 막아 배출되는 오, 폐수가 역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정상적으로 오, 폐수가 배출된다 하더라도 배출되는 오, 폐수가 흐르는 하수관을 통과하는 부패한 오, 폐수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배수관을 따라 가정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입수관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이경부싱 조립체를 사용함으로서 입수측 수관부에 다양의 지름을 갖는 관을 연결할 수 있게 한 오수받이 조립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오수가 오수받이로 입수되는 것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되 입수관을 통하여 악취가 역류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는 오수받이 조립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입수구와 배수구를 갖는 오수받이 조립체에 있어서, 벽에 다수의 수관부를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오수받이와 ; 상기 오수받이의 수관부에 설치되어 입수관과 배수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수관부에 일부가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을 수관부에 고정시키는 연결너트로 구성된 이음관 조립체와 ; 상기 오수받이 내부의 수관부 중 입수측 수관부에 삽입 설치되어 오수받이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와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취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조립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의 일예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의에 이경부싱 조립체를 사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에 설치되는 방취구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한 방취구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에 설치되는 방취구의 하나인 유트랩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유트랩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에 설치되는 관연결구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관연결구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에 설치되는 방취구의 하나인 P트랩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는 통체형상의 오수받이(100)와 방취 수단(500, 400, 600) 및 연결 수단(200, 700, 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수받이(100)는 도 1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내지는 원형 통체로서 바닥은 막혀 있고 바닥을 제외한 각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관부(110, 12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수관부(110, 120)들은 후술하는 관이나 연결 수단이 고정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통상적으로 하수관으로 원형 관이 사용됨으로 원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수관부(110, 120)들 중 오수받이(100)로부터 오수가 배출되는 즉, 하수관과 연결되는 수관부(120)는 다른 수관부(110)들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이 수관부에 연결되는 배수관(20)은 상기 수관부(120)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됨으로서 오수받이(100)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의 흐름방향을 역류하지 않게 한다.
상기 수관부들(110, 120)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음관 조립체(200)를 설치함으로서 입수관(10)이나 출수관(2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였다.
상기 이음관 조립체(200)는 상기 수관부(110, 120)의 내부나 외부에 일측 단부가 끼워지고 본딩 접합되는 이음관(210)과, 상기 이음관(210)에 입수관(10) 또는 배수관(20)을 고정시키는 연결너트(220)와, 상기 연결너트(220)의 조임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이음관(210)과 입수관(10) 또는 출수관(20) 사이에 압착되어 입수관(10) 또는 출수관(20)이 이음관(2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하는 패킹(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관부(110, 120)의 내부 즉, 오수받이(100)의 내부를 향한 부분에는 방취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방취 수단은 도 5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방취 수단인 방취구(500)를 설명한다.
상기 방취구(5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관의 일측 단부에 개폐판(520)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취구(500)를 구성하는 원형 통체인 관 본체(5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단부를 경사지게 절단하여 구성되며, 이 경사지게 형성된 단부에 개폐판(520)을 힌지 가능하게 설치하여 개폐판(520)의 하단이 상방으로 열릴 수 있게 하였다.
즉, 개폐판(520)은 관 본체의 수직 단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수압에 의해 그 하단이 밀려 개방되고 오수가 관 본체(5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며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된 개폐판(520)을 갖는 방취구(5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오, 폐수가 유입되는 부분의 지름보다 배출되는 부분의 지름이 작게 형성함으로서 유입된 오, 폐수가 작은 지름의 공간을 지나며 유속이 증가되게 하여 방취구(500)의 내부에 이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방취구(5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520)이 오수받이(100)의 중앙을 향하도록 입수관(10)이 연결되는 수관부(110)의 내부에 연결된다.
다음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방취 수단의 하나인 유트랩(4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유트랩(400)은 상부트랩(420)과 하부트랩(4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트랩(420)은 "ㄱ"형상으로 굽혀진 통체 형상으로 상기 오수받이(100)에 형성된 수관부(110)의 내측 단부에 삽입되는 입수홀(421)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수홀(421)과 수직을 이루게 형성된 출수홀(4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입수홀(421)과 출수홀(422)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부트랩(420)의 출수홀(422)이 형성된 단부에는 하부트랩(410)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트랩(410)은 상기 상부트랩(420)에 하향으로 형성된 출수홀(422)에 연결되는 입수홀(412)과 상기 입수홀(412)과 역방향으로 형성된 출수홀(411)이 형성된 통체 형상이다.
즉, 상기 하부트랩(410)은 통체의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여 입수홀(412)과 출수홀(411)이 모두 상방으로 향하게 형성되어 유입되는 오수 중 일부가 통체의 내부에 고인상태가 되어 하수관 또는 오수받이 내부의 악취가 입수관(1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와 같이 오수받이(100)의 내부에 방취구(500)나 유트랩(400)을 설치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수관(10)과 수관부(110) 사이에 P트랩(600)을 설치하여 오수의 일부가 바닥에 고여 오수받이나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가 입수관(10)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P트랩(600)은 도 3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수받이(100)의 수관부(110)와 수평을 이루는 연결부(612)와 상기 연결부(612)와 수직을 이루는 입수부(611) 및 상기 입수부(611)와 연결부(612)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여 구획하여 입수부로 유입된 오, 폐수의 유로가 상기 연결부(612)의 저면보다 낮게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입수부(611)와 연결부(612) 사이에 형성된 격벽의 아래에는 저수부(613)가 형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입수부(611)로 유입된 오, 폐수가 고여 오수받이로부터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저수부(613)의 하단에는 저수부(613)에 고인 오, 폐수 중에 포함된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한 저수부 마개(6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입수부(611)에는 "T"형 관을 설치하여 두 개의 입수관(10)의 연결시킬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유트랩(400)이나 방취구(500) 또는 P트랩(600)들의 오수받이(100) 수관부(110)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고무링홈(511)을 더 형성하고 상기 고무링홈(511)에 탄성이 우수한 고무링을 설치한 상태에서 수관부(110)에 억지 끼움하여 설치함으로서 이후 이들이 파손되었을 때 용이하게 분리하고 교체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수관부(110, 120)의 바깥쪽 단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 연결구(70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연결구(700)는 오수받이(100)에 연결되는 입수관(10) 또는 배수관(20)의 방향이 수관부(110, 120)와 대향되지 않을 때 입수관(10) 또는 배수관(20)을 굽히지 않고 연결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체 형상으로 일측 단부에 구형으로 공간이 형성된 구형 케이스(710)와, 중앙을 관통하여 입수관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형 케이스(7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좌우로 회전될 수 있는 구형 관홀더(9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형 케이스(710)는 원형 관의 일측 단부에 관체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소정의 공간을 갖는 반구체로서 그 내부에는 상기한 구형 관홀더(72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구형 관홀더(720)는 구의 중심을 관통하여 관이 삽입 고정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그 외경이 상기 구형 케이스(71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구형 케이스(710)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즉, 구형 관홀더(720)가 구형 케이스(710)의 내부에서 방향을 바꾸어 회전함으로서 구형 관홀더(720)에 고정된 입수관(10)이나 배수관(20)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수받이 조립체의 오수받이(100)의 하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서 이 개방된 부분을 폐쇄시키기 위한 받침대(300)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대(300)는 상부면에 유로홈이 형성되는데 이 유로홈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12)을 향한 부분이 낮게 형성하여 오, 폐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오수받이(100)에 형성된 각각의 수관부들(110)에 하나 이상의 이경부싱 조립체(800)를 설치하여 수관부(110)에 삽입되는 관의 외경을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즉, 각각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다수의 부싱을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하여 각 수관부(110)에 끼워지는 입수관(10)의 외경을 달리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는 오수받이의 벽면에 다수의 입수구가 형성되어 다수의 입수관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되, 가변 연결구를 이용하여 입수관을 연결시킬 수 있게 구성됨으로 조립되는 입수관을 굽히지 않고 연결시킬 수 있어 입수관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수가 오수받이의 내부의 입수구측에 입수관을 통해 입수되는 오수뿐만 아니라 오부받이의 내부 또는 이와 연결된 하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취 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입수관을 통하여 악취가 역류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의 일예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의에 이경부싱 조립체를 사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에 설치되는 방취구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한 방취구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에 설치되는 방취구의 하나인 유트랩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유트랩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에 설치되는 관연결구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관연결구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받이 조립체에 설치되는 방취구의 하나인 P트랩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입수관 20 : 배수관
100 : 오수받이 110, 120 : 수관부
200 : 이음관 조립체 210 : 이음관 220 : 연결너트
300 : 받침대 400 : 유트랩 410 : 하부트랩
411, 422 : 출수홀 412, 421 : 입수홀 420 : 상부트랩
500 : 방취구 510 : 관 본체 511 : 패킹홈
520 : 개폐판 600 : P트랩 610 : 트랩본체
611 : 입수부 612 : 연결부 613 : 저수부
620 : 저수부 마개 700 : 가변 연결구
710 : 구형 케이스 711 : 확개부 720 : 관홀더
730 : 외부 패킹 740 : 내부 패킹 800 : 이경부싱 조립체

Claims (7)

  1. 하나 이상의 입수구와 배수구를 갖는 오수받이 조립체에 있어서,
    벽에 다수의 수관부를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오수받이와 ;
    상기 오수받이의 수관부에 설치되어 입수관과 배수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수관부에 일측 단부가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타측단부에는 입수관 또는 출수관이 삽입 고정되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을 수관부에 고정시키는 연결너트와, 상기 연결너트의 조임에 의해 압축되어 이음관과 입수관 또는 출수관 사이에 압착되는 패킹으로 구성된 이음관 조립체와 ;
    상기 오수받이 내부의 수관부 중 입수측 수관부에 삽입 설치되어 오수받이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와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취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받이의 수관부들 중 입수측 수관부의 외부를 향한 단부에는 연결되는 입수관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연결구가 더 설치되며, 상기 가변 연결구는
    관체 형상으로 일측 단부에 구형으로 공간이 형성된 구형 케이스와 ;
    중앙을 관통하여 입수관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형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좌우로 회전될 수 있는 구형 관홀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취구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일측 단부가 경사지게 잘려진 형상으로 입수측은 큰지름을 갖고 출수측은 작은 지름을 갖는 관 본체와 ;
    상기 관 본체의 경사진 단부에 설치되데 상부가 힌지 고정되어 오수의 흐름에 의해 하부가 개방되도록 설치된 개폐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조립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취구는 "ㄱ"형상으로 굽혀진 통체 형상으로 상기 오수받이에 형성된 수관부의 내측 단부에 삽입되는 입수홀과, 상기 입수홀과 수직을 이루게 형성된 출수홀을 갖는 상부트랩과 ;
    상기 상부트랩의 출수홀에 연결되는 입수홀과, 상기 입수홀과 역방향으로 형성된 출수홀이 형성된 하부트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조립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받이의 수관부들 중 입수측 수관부의 외부를 향한 단부에는 연결되는 입수관을 통해 흐르는 오수가 고이는 집수부가 형성된 상기 P트랩이 더 설치되며,
    상기 P트랩은 상기 오수받이의 수관부와 수평을 이루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의 사이에 격벽에 의해 구분되고 격벽의 하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상방으로 연장된 입수부(611)와, 상기 입수부와 연결부(612) 사이의 하부에 형성되어 오, 폐수가 고이는 저수부(613)로 구성된 트랩본체와 ;
    상기 트랩본체의 저수부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저수부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조립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받이의 입수측 수관부에는 그 내부에 삽입되는 관의 지름을 달리하여 관을 설치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다수의 부싱으로 이루어진 이경부싱 조립체가 설택적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트랩의 입수부에는 "T"형 관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조립체.
KR20-2005-0018892U 2005-06-29 2005-06-29 오수받이 조립체 Ceased KR200395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892U KR200395244Y1 (ko) 2005-06-29 2005-06-29 오수받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892U KR200395244Y1 (ko) 2005-06-29 2005-06-29 오수받이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148A Division KR100552492B1 (ko) 2005-06-29 2005-06-29 오수받이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244Y1 true KR200395244Y1 (ko) 2005-09-07

Family

ID=4369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892U Ceased KR200395244Y1 (ko) 2005-06-29 2005-06-29 오수받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2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478B1 (ko) 2007-10-30 2010-04-30 두리화학 주식회사 시공이 용이한 우수 및 오수 공공물받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478B1 (ko) 2007-10-30 2010-04-30 두리화학 주식회사 시공이 용이한 우수 및 오수 공공물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8235B (zh) 废水出口
AU2008243269B1 (en) Plumbing Fitting
KR100645885B1 (ko) 역류방지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하수구 배수전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AU2002100710B4 (en) Greywater diversion vessell assembly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100784857B1 (ko) 유티 오수받이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395244Y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101226910B1 (ko) 악취 방지 기능이 구비된 오수받이
KR101296212B1 (ko) 역류방지구를 구비한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100947986B1 (ko) 다용도 조립식 오수받이 맨홀
KR100707720B1 (ko) 인버트와 트랩이 일체로 형성된 오수받이의 본체구조
JP4833789B2 (ja) 排水ヘッダとそれを用いた排水装置
KR100742723B1 (ko) 다기능 소형맨홀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20110045600A (ko) 배수트랩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WO2002092926A1 (en) Drain-outlet structure
KR200249076Y1 (ko) 방취용 배수트랩
KR20180106024A (ko) 배수트랩 구조체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100538411B1 (ko) 오수받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9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6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