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93998Y1 -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998Y1
KR200393998Y1 KR20-2005-0016161U KR20050016161U KR200393998Y1 KR 200393998 Y1 KR200393998 Y1 KR 200393998Y1 KR 20050016161 U KR20050016161 U KR 20050016161U KR 200393998 Y1 KR200393998 Y1 KR 200393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pivot support
support member
piv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선
Original Assignee
임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선 filed Critical 임창선
Priority to KR20-2005-0016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9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99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향상시키면서 도어의 개폐작용을 지원하기 위한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로서 스프링식/유압식 도어클로저가 적용되며 필요한 경우 보조도어패널과 보조도어프레임을 사용하여 필요한 길이로 확장 설치가 가능한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는 도어의 양측단에는 전면에 반구형상이 형성된 제 1 및 제 2도어단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의 전면에도 반구형상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외면에는 그 도어의 외면에 체결된 고정부재에 의해 이면이 삽착되는 장식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 1도어회전측에 설치되는 상기 도어단착부재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설되는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에는 상기 도어의 개폐회동을 위한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가 내설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도어장치{DOOR APPRATUS}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과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이나 가옥의 현관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과 도어의 사이에 개재되는 도어회동지지부재가 외부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스프링식/유압식 도어클로저를 채용하여 도어의 원활한 개폐작용이 가능하면서 전체적으로 입체적인 심미감이 향상되도록 설계된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건물이나 가옥의 현관에는 벽면에 고정된 도어프레임에 대해 도어가 개폐되는 구조의 도어장치가 설치된다.
그 도어장치에서 도어프레임은 도어의 양측에 제공되는 수직방향의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과 도어의 상측과 하측에 제공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이 포함되고,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중 어느 하나와 도어의 사이에는 해당하는 도어프레임에 대해 도어가 개폐 회동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도어힌지가 설치된다.
종래의 도어힌지는 대개 도어프레임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도어프레임고정편과, 도어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도어고정편 및, 도어프레임고정편과 도어고정편의 회동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한 도어힌지는 실제 도어프레임과 도어의 사이에 개재되면 외부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도어장치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고려하면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더구나, 그러한 도어힌지는 단순히 도어의 개폐작용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도어의 원활한 개폐라든지 자동적인 도어닫힘작용은 실현되지 않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도어클로저를 별도로 설치해야만 된다.
또, 도어의 양측에 대응하게 설치되는 수직방향의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은 대개 일정한 형상(즉,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도어의 외면(즉, 표면)에도 다양한 패턴이 형성되기는 하지만 그러한 패턴도 대개는 평면적이기 때문에 도어프레임과 도어를 연계하여 보면 전체적으로 입체적인 형상감은 높지 않은 상태이다.
더구나, 종래의 도어장치는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이 벽면에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출입구를 정의하는 벽면을 도어장치의 폭에 맞도록 형성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전면에서 보면 도어장치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심미감이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어의 양측단과 그 도어의 양측에 배치되는 수직방향의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에 반구형상을 부여함과 더불어 도어의 외면에도 입체적인 장식부재를 부여하여 전체적으로 심미감이 향상되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의 외측에 보조적인 고정커버패널의 연장설치가 가능한 도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도어프레임에 대해 도어의 회전측이 지지되고 제 2도어프레임에 대해 상기 도어의 개폐측이 대응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연설된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양측단에는 전면에 반구형상이 형성된 제 1 및 제 2도어단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의 전면에도 반구형상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외면에는 고정스크류에 의해 이면이 삽착되는 장식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 1도어회전측에 설치되는 상기 도어단착부재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설되는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에는 상기 도어의 개폐회동을 위한 제 1 및 네 2도어회동지지부재가 내설되어 구성된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도어의 회전측에 설치된 제 1도어단착부재에는 전면이 반구형상으로 돌출되고 내면에는 회동방지요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가 형성되고, 그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의 상측과 하측에는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는 각기 도어의 회동에 연동하는 회동부와, 그 회동부에 비회전형태로 분리되어 결합되면서 그 상측에 형성된 다각형의 상부/하부 프레임결합돌부를 갖춘 회동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는 상기 상부/하부 프레임결합돌부가 프레임결합편의 프레임결합돌부수납공에 연계되어 각 프레임결합편을 매개해서 상기 상부/하부프레임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도어회동지지부재는 스프링식 도어클로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는 유압식 도어클로저로 구성된다.
또, 상기 제 1도어프레임에는 상기 제 1도어단착부재와의 사이를 은폐하기 위한 차폐판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의 외측에 형성된 요홈에는 보조도어패널의 일단이 결합되고, 그 보조도어패널의 타단에는 보조도어프레임이 결합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어(10)의 양측단에는 전면이 반구형으로 설계된 제 1 및 제 2의 도어단착부재(12,14)가 취부되고, 그 도어(10)의 외표면에는 일정한 간격마다 입체적인 장식부재(16)가 제공되는 바, 본 고안에서 상기 장식부재(16)는 중앙의 반구형상부와 그 양측의 각형상부로 형성되지만, 그러한 장식부재(16)의 형상은 단지 예시적일 뿐이고 해당하는 도어(10)에 의존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도 된다.
상기 도어(10)의 양측에는 그 도어(10)의 양측에 제공된 도어단착부재(12,14)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20a,20b)이 배치되고, 그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20a,20b)의 전면은 상기 도어단착부재(12,14)와 유사하게 반구형으로 설계된다.
또, 상기 도어(10)의 상측에는 상부프레임(22)이 제공되고, 그 도어(10)의 하부에는 하부프레임(24)이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제 1도어단착부재(12)는 일측에 상기 도어(10)의 측면이 삽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삽착편(5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삽착편(50)에 의한 상기 도어(10)의 보다 견고한 삽착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그 도어삽착편(5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도어(10)의 일측면이 안착 접면되는 도어안착면(52)을 통해 소정위치마다 다수의 스크류가 체결되어 상기 도어(10)의 일측면이 해당하는 제 1도어단착부재(12)에 결합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도어단착부재(12)에는 전면의 절반부분(즉, 반구형상부분)이 전면으로 노출되는 원통형상의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54)가 형성되고, 그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54)에는 제 1의 도어회동지지부재(56)가 안착된다.
상기 제 1도어회동지지부재(56)는 그 하부에 정의되어 상기 도어(10)의 회동에 연동하는 회동부(56a)와, 그 회동부(56a)상에 비회전형태로 분리되어 결합되면서 그 상측에 형성된 다각형의 상부프레임결합돌부(56c)를 갖춘 회동지지부(56b)를 갖추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도어회동지지부재(56)는 도어의 자동적인 닫힘작용을 위해 도어클로저의 기능이 부가되면 바람직하고, 그 도어클로저의 예로서는 특허 제10-284872호에 개시된 스프링식 도어클로저가 상정될 수 있다.
그러한 도어클로저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 1도어회동지지부재(56)의 회동부(56a)의 외주에는 일정한 간격마다 회동방지돌기(56d; 도 4 참조)가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54)의 내면에도 상기 회동방지돌기(56a)가 수납되는 회동방지요홈(54a; 도 4 참조)이 형성된다.
또, 상기 제 1도어회동지지부재(56)에서 상기 회동지지부(56b)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프레임결합돌부(56c)에는 상부프레임결합편(58)에 형성된 프레임결합돌부수납공(58a)이 연계되고, 그 상부프레임결합편(58)은 상기 상부프레임(22)의 적정한 위치에 스크류고정된다.
상기 상부프레임(22)은 상기 도어(10)의 내면이 수용되도록 대체로 '??'-자 단면으로 형성되면서 그 상부프레임(22)의 하방향 연설면에는 상기 도어(10)와의 사이에서 외기의 유입을 방지함과 더불어 소음의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예컨대 실리콘재질이나 고무재질 또는 연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상부밀폐부재(60)가 장착된다.
그와 더불어서 상기 제 1도어단착부재(12)의 타측면(즉, 상기 제 1도어프레임(20a))과 인접한 면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제 1도어프레임(20a)과의 사이에서 외부공기의 차단 및 소음의 차단을 위해 예컨대 실리콘이라든지 고무 또는 연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차폐부재(62; 도 4 참조)가 설치된다.
또, 상기 제 2도어단착부재(14)에도 상기 도어(10)의 타측이 삽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삽착편(70)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도어삽착편(70)에 의한 상기 도어(10)의 보다 견고한 삽착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그 도어삽착편(7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도어(10)의 타측면이 안착 접면되는 도어안착면(72)을 통해 소정위치마다 다수의 스크류가 체결되어 상기 도어(10)의 타측면이 해당하는 제 2도어단착부재(14)에 결합되도록 해도 된다.
유리하게, 상기 제 2도어단착부재(14)에서 반구형 전면에 대향되는 후면(74)에는 상기 도어(10)를 닫는 경우의 완충작용과 닫혀진 상태에서의 외기 유입을 방지함과 더불어 소음의 차폐를 위해 실리콘/고무/연성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도어측 차폐부재(76)가 설치된다.
상기 제 1도어프레임(20a)의 전면은 상기 제 1도어단착부재(12)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면(80)은 상기 제 1도어단착부재(12)의 측면(즉, 도어안착면(52))에 접면되어 유지되며, 그 타측면에는 벽면 또는 전체적인 도어장치의 연결을 위한 고정커버패널의 결합을 위한 요홈(8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도어프레임(20a)의 일측면(80)의 측면 전방에는 상기 도어(10)의 개방시 상기 제 1도어단착부재(12)와의 사이를 커버링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차폐판(80a; 도 4 참조)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도어프레임(20b)에 따르면, 그 전면도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일측면(90)은 상기 제 2도어단착부재(14)의 상기 후면(74)에 접면되어 상기 도어(10)의 닫힘위치를 유지시키는 일종의 지지면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 그 제 2도어프레임(20b)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 1도어프레임(20a)에 형성된 요홈(82)과 유사한 형태의 요홈(92)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프레임(24)의 경우에도 상기 도어(10)의 내면이 수용되도록 대체로 '」'-자 단면으로 형성되면서 그 하부프레임(24)의 상방향 연설면에는 상기 도어(10)와의 사이에서 외기의 유입을 방지함과 더불어 소음의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예컨대 실리콘재질이나 고무재질 또는 연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하부밀폐부재(24a)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도어단착부재(12)에 형성된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54)의 하단에는 상기 제 1의 도어회동지지부재(56)와 연동하는 제 2의 도어회동지지부재(100)가 안착되는 바, 그 제 2의 도어회동지지부재(100)는 상기 제 1도어회동지지부재(56)와 유사하게 도면상 그 상부에 정의되어 상기 도어(10)의 회동에 연동하는 회동부(100a)와, 그 회동부(100a)의 하측에 결합되면서 그 하단에 형성된 다각형의 하부프레임결합돌부(100c)를 갖춘 회동지지부(100b)를 갖추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100)의 경우에도 상기 제 1도어회동지지부재(56)와 연동하여 상기 도어(10)의 원활한 열림작용 및 자동적인 닫힘작용을 위해 도어클로저의 기능이 부가되면 바람직하고, 그 도어클로저의 예로서는 상기한 특허 제10-284872호에 개시된 유압식 도어클로저가 상정될 수 있다.
그러한 도어클로저의 기능을 위해 상기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100)의 회동부(100a)의 외주에도 일정한 간격마다 회동방지돌기(100d)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54)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회동방지요홈(54a)에 대응하게 된다.
또, 상기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100)에서 상기 회동지지부(100b)의 상단에 형성된 하부프레임결합돌부(100c)에는 하부프레임결합편(102)에 형성된 프레임결합돌부수납공(102a)이 연계되고, 그 하부프레임결합편(102)은 상기 하부프레임(24)의 적정한 위치에 스크류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0)의 외면에 형성된 장식부재(16)는 그 장식부재(16)가 형성될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의 고정부재(예컨대 스크류)(도 5a와 도 5b에서 16a 참조)를 미리 고정시키고나서, 상기 도어(10)의 어느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장식부재(16)를 밀어 넣게 되고, 그 장식부재(16)의 양단은 상기 제 1 및 제 2도어단착부재(12,14)의 각 도어삽착편(50,70)내에 고정되도록 마감함으로써 설치되는 바, 그 장식부재(16)의 설치는 상기한 방법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고안의 도어장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조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0)를 열게 되면 상기 제 1도어단착부재(12)의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54)의 내면에 안착된 상기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56,100)의 지원하에 상기 도어(10)가 열려지게 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56.100)의 각 회동부(56a,100a)의 외주에 형성된 회동지지돌기(56d,100d)가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54)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회동방지요홈(54a)에 수용된 상태이고, 그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56,100)의 회동지지부(56b,100b)상에 노출된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결합돌부(56c,100c)는 대응하는 상부 및 하부프레임결합편(58,102)의 프레임결합돌부수납공(58a,102a)에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결합편(58,100)은 상기 상부프레임(22)과 상기 하부프레임(24)에 대응적으로 스크류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10)를 어느 일방향으로 선회시켜 열게 되면(도 6 참조)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결합편(58,100)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56,100)의 각 상부 및 하부프레임결합돌부(56c,100c)가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결합편(58,100)을 매개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22,24)에 대한 회전축으로서 작용하여 상기 도어(10)가 열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56,100)의 각 회동방지돌기(56d,100d)가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54)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회동방지요홈(54a)에 수용된 상태이기 때문에, 예컨대 상기 제 1도어회동지지부재(56)에 스프링식 도어클로저기능이 부가되고 상기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100)에 유압식 도어클로저기능이 부가되면 상기한 과정에 의해 상기 도어(10)가 열리는 경우 상기 스프링식 도어클로저로서의 상기 제 1도어회동지지부재(56)에는 탄성력이 축적됨과 더불어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로서의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100)에는 유압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100)를 형성하는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유압레벨을 적절하게 설정해주면 상기 도어(10)가 열려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10)가 열리는 작용 중이거나 열려진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 1도어단착부재(12)와 상기 제 1도어프레임(20a)의 사이가 그 제 1도어프레임(20a)에 형성된 차폐판(80a; 도 4)에 의해 커버링된다.
반면에, 상기 열려진 도어(10)가 닫혀지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 1도어회동지지부재(56)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도어(10)가 자동적으로 닫혀지게 되는 바, 그 도어(10)의 닫힘 속도는 상기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100)를 형성하는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유압작용에 의해 원활하게 제어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고안의 도어장치에서는 상기 도어(10)의 개폐를 위한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56,100)가 외부적으로 노출되지 않음과 더불어 그 도어(10)의 양측단에 부가된 제 1 및 제 2도어단착부재(12,14)의 전면과 그 제 1 및 제 2도어단착부재(12,14)의 외측에 배치된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20a,20b)의 전면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입체적인 심미감이 강화된다.
또, 상기 도어(10)의 외측에도 입체적으로 장식부재(16)가 부가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10)에 대한 심미감도 향상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도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평단도면이다.
즉,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도어프레임(20a,20b)의 각 측면에 형성된 요홈(82;92)에 대응하여 보조도어패널(120a;120b)이 필요한 길이로 고정형성되고, 각 보조도어패널(120a,120b)의 타측에는 보조도어프레임(122a,122b)이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상부프레임(22)과 하부프레임(24)도 상기 양측의 보조도어프레임(122a,122b)의 종단에 이르는 길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변형예에서는 상기 도어(10)에 대한 개폐작용은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그 도어(10)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20a,20b)의 외측에는 고정적인 보조도어패널(120a,120b)과 보조도어프레임(122a,122b)이 추가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심미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도어프레임(122a,122b)의 전면에도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구조가 설계되면 더욱 향상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양단에 부착된 제 1 및 제 2도어단착부재의 전면에 반구형으로 돌출된 구조를 형상화함과 더불어 그 제 1 및 제 2도어단착부재에 대응하는 수직방향의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의 전면에도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구조를 형상화해줌에 따라 전체적인 심미감이 향상된다.
또, 상기 도어의 외표면에는 간단히 장착되는 장식부재도 부가됨에 따라 도어의 외표면에 대한 미적으로 다양한 형상도 간단하게 부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의 외측에는 종래에 비해 도어와 유사한 형상의 보조도어패널과 보조도어프레임을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도어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가 외부적으로 은폐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그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에 대해서는 스프링식/유압식 도어클로저의 적용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도어의 원활한 개폐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양측에 결합되는 수직방향의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과 도어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제 1도어프레임에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기능의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가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 제 1도어회동지지부재를 대표적으로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5a와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외면에 장식되는 장식부재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도어장치에서 도어의 개방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도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 12: 제 1도어단착부재,
14: 제 2도어단착부재, 16: 장식부재,
20a,20b: 제 1, 제 2도어프레임, 22: 상부프레임,
24: 하부프레임, 54: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
56: 제 1도어회동지지부재, 58: 상부프레임결합편,
80a: 차폐판, 100: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
102: 하부프레임결합편, 120a,120b: 보조도어패널,
122a,22b: 보조도어프레임.

Claims (6)

  1. 제 1도어프레임에 대해 도어의 회전측이 지지되고 제 2도어프레임에 대해 상기 도어의 개폐측이 대응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연설된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양측단에는 전면에 반구형상이 형성된 제 1 및 제 2도어단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의 전면에도 반구형상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외면에는 그 외면에 체결된 고정부재에 이면이 삽착되는 장식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 1도어회전측에 설치되는 상기 도어단착부재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설되는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에는 상기 도어의 개폐회동을 위한 제 1 및 네 2도어회동지지부재가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회전측에 설치된 제 1도어단착부재에는 전면이 반구형상으로 돌출되고 내면에는 회동방지요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가 형성되고, 그 도어회동지지부재수납구의 상측과 하측에는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는 각기 도어의 회동에 연동하는 회동부와, 그 회동부에 비회전형태로 분리되어 결합되면서 그 상측에 형성된 다각형의 상부/하부 프레임결합돌부를 갖춘 회동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는 상기 상부/하부 프레임결합돌부가 프레임결합편의 프레임결합돌부수납공에 연계되어 각 프레임결합편을 매개해서 상기 상부/하부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도어회동지지부재는 스프링식 도어클로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도어회동지지부재는 유압식 도어클로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도어프레임에는 상기 제 1도어단착부재와의 사이를 은폐하기 위한 차폐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도어프레임의 외측에 형성된 요홈에는 보조도어패널의 일단이 결합되고, 그 보조도어패널의 타단에는 보조도어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도어의 외면에 체결된 고정부재에 이면이 결합되고, 그 장식부재의 양단은 상기 제 1 및 제 2도어단착부재의 도어결합편에 의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KR20-2005-0016161U 2005-06-07 2005-06-07 도어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393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161U KR200393998Y1 (ko) 2005-06-07 2005-06-07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161U KR200393998Y1 (ko) 2005-06-07 2005-06-07 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998Y1 true KR200393998Y1 (ko) 2005-08-25

Family

ID=43695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161U Expired - Fee Related KR200393998Y1 (ko) 2005-06-07 2005-06-07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9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6489C2 (ru) Дверной блок
KR20170057942A (ko) 창호 설치용 유리 난간대
US20070151164A1 (en) Continuous hinge for swing door
HU222755B1 (hu) Támasztószerkezet árnyékolószerkezetekhez, tetőablak, valamint árnyékolószerkezet ilyen tetőablakhoz
US20210340798A1 (en) Compact sliding door system with soft-close and locking functionality
KR101896298B1 (ko) 조립이 용이한 슬림형 슬라이드 도어의 내측 결합식 손잡이 구조
KR200393998Y1 (ko) 도어장치
KR200438164Y1 (ko) 도어 개폐 유지장치
KR102405052B1 (ko) 스프링 캠 댐핑장치가 구비된 조립 및 분해용이한 도어힌지장치
US12146365B2 (en) Door-ready molding
KR102263452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미닫이도어를 갖는 수납장
KR101392231B1 (ko) 힌지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의 설치방법
KR20090118351A (ko) 유리도어 결합용 힌지 프레임을 갖는 샤워부스
KR102113880B1 (ko) 손가락 끼임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KR200380544Y1 (ko) 외부은폐형 힌지가 결합된 도어장치
KR200368284Y1 (ko) 문닫힘 방지용 경첩
KR100532267B1 (ko)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KR100989796B1 (ko) 도어스토퍼
KR200287926Y1 (ko)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KR102025185B1 (ko) 연동 도어 장착용 도어 수직 프레임
KR200394727Y1 (ko) 폐 합성수지 폼을 이용한 방화문
KR101392233B1 (ko) 클린룸용 도어조립체
KR200398165Y1 (ko) 블라인드 유리를 구비한 칸막이
KR100597936B1 (ko) 중하중 창문개폐용 연결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60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6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7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