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93644Y1 -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 Google Patents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644Y1
KR200393644Y1 KR20-2005-0015250U KR20050015250U KR200393644Y1 KR 200393644 Y1 KR200393644 Y1 KR 200393644Y1 KR 20050015250 U KR20050015250 U KR 20050015250U KR 200393644 Y1 KR200393644 Y1 KR 200393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water
hot air
grill
air ballo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운관
Original Assignee
여운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운관 filed Critical 여운관
Priority to KR20-2005-0015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6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64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찜 냄비 겸용 직화 구이냄비에 관한 것으로 냄비내부 물 저장부에 물을 넣어 사용하면 열기구에 얹어진 냄비의 바닥으로부터 직접화기와 함께 스팀이 발생하여 냄비 내부 취사물을 요리할 수 있도록 하고, 냄비내부 물 저장부에 물을 넣지 않고 사용하면 열기구에 얹어진 냄비의 바닥으로부터 직접화기가 냄비 안으로 인입되어 냄비의 내부 취사물에 직접 열을 가하여 구이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인의 선 출원한 실용신안 접수 번호 제 1-1-2005-5057273-75의 구성을 개량 보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냄비 몸통의 내부 바닥 가장자리 및 가장자리에서 냄비 내부 바닥 중심부 쪽으로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향지게 적당한 크기로 절곡하여 오목하게 물 저정부를 형성시키며, 또한 냄비 바닥면에는 열기구로부터 인입되는 열기가 통할 수 있도록 바닥면 보다 높게 돌출 시켜 물 넘침 방지 턱을 구비한 위로 볼록하게 가공한 개구부를 냄비의 바닥면의 중심부로부터 다수의 열로 형성하며, 냄비 몸통 내부에는 상부에 석쇠를 안착할수 있는 돌출부를 형성시킨다. 냄비의 내부에는 석쇠를 설치되며, 상기냄비는 법랑형태의 냄비를 사용하는 것으로 냄비 하나로 찜 요리와 구이 요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냄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Steamed and Barbecue combined pot}
본 고안은 찜 냄비 겸용 직화 구이냄비에 관한 것으로 냄비내부 물 저장부에 물을 넣어 사용하면 열기구에 얹어진 냄비의 바닥으로부터 직접화기와 함께 스팀이 발생하여 냄비 내부 취사물을 요리할 수 있도록 하고, 냄비내부 물 저장부에 물을 넣지 않고 사용하면 열기구에 얹어진 냄비의 바닥으로부터 직접화기가 냄비 안으로 인입되어 냄비의 내부 취사물에 직접 열을 가하여 구이요리를 할 수 있도록 냄비 하나로 찜 요리와 구이 요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냄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등록된 특허 제330622호 직화구이팬은 냄비의 몸통의 내부 저면에다 석쇠를 내장한 상주변에 외향지게 절곡한 직화 유입 턱을 형성하고 직화 유입공을 천공한 상부변에 배기공이 천공된 몸통에 있어서, 몸통 상주변을 하향지게 길게 절곡 보열벽을 구성하고 상단에 결합턱을 형성하여 투명 강화유리뚜껑이 복개하도록 한 직화구이팬 뚜껑과 몸통이 결합된 내면에다 석쇠를 내장한 몸통의 상단외변을 하향지게 길게 절곡하여 열 통로인 보열벽을 구성한 몸통에 있어서 직화가 내면으로 잘 유입되어 가열하도록 몸통 상부변에 배기공이 천공되게 한 하변에다 내향지게 약간 절곡하여 직화유입턱을 형성된 상면에 직화 유입공을 여러 개 천공하고 몸통 상단에 결합턱을 형성하여 뚜껑을 복개하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직화 냄비는 열기구에서 발생하는 열이 냄비의 측벽을 따라 올라가 측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내부로 열기가 유입되므로 열의 낭비가 심하여 열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에 등록된 실용신안 제 373970 호 직화 냄비는 냄비의 바닥 면에는 열기구로부터 인입되는 열기가 통할 수 있도록 코닝가공을 한 개구부를 형성하여 냄비의 내부에는 겅그레를 설치하고 냄비 뚜껑을 덮게 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직화 냄비는 냄비 바닥면에 코닝 가공한 개구부를 형성 시켰기 때문에 냄비 안에 물을 부으면 개구부를 통하여 물이 냄비 바깥으로 빠져나가 물을 담을 수 없어 물을 가열하여 찜을 하는 요리는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냄비 하나로 찜 요리와 구이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냄비 몸통의 내부 바닥면 가장자리 및 가장자리에서 냄비 내부 바닥면 중심부 쪽으로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향지게 적당한 크기로 절곡하여 오목하게 물 저정부를 형성시키며, 또한 냄비 바닥면에는 열기구로부터 인입되는 열기가 통할 수 있도록 바닥면 보다 높게 돌출 시켜 물 넘침 방지턱을 구비한 위로 볼록하게 가공한 개구부를 냄비의 바닥면의 중심부로부터 다수의 열로 형성한다. 위로 볼록하게 가공한 개구부는 음식물 조리시 위에서 떨어지는 물을 바닥으로 잘 흘러내리게 하며, 돌출시켜 형성시킨 물 넘침방지턱은 떨어진 물이 개구부를 통하여 냄비 바깥으로 흘러 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냄비 내부에는 상부에 석쇠를 안착할수 있는 돌출부를 형성시킨다. 냄비의 내부에는 오목 모양을 한 석쇠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냄비(10)안에 물을 담을 수 있도록 냄비(10)의 내부 바닥면 가장자리 물 보관부(11) 및 가장자리 물 보관부(11)와 연결된 중심부 쪽 물 보관부(11a)를 오목하게 절곡 형성하고, 가장자리 물 보관부(11)와 연결된 중심부 쪽 물 보관부(11a)는 열원이 작은 경우에 물이 끓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시킨 것이다.
냄비(10)의 바닥면에는 열기구로부터 인입되는 열기가 통할 수 있도록 바닥면(14)보다 돌출시켜 물 넘침방지턱(13)을 구비한 위로 볼록하게 가공한 개구부(12)를 형성한다, 위로 볼록하게 가공한 개구부(12)는 음식물 조리시 위에서 떨어지는 물을 바닥으로 잘 흘러내리며, 돌출시켜 형성시킨 물 넘침방지턱은 떨어진 물이 개구부(12)를 통하여 냄비 바깥으로 흘러 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냄비(10)내부 상부에 돌출부(14)를 형성시켜 찜요리를 할때 석쇠(20)가 돌출부(14)위에 안착 할 수 있도록 형성시킨다. 냄비의 내부에는 오목부(21)를 형성한 석쇠(20)를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냄비(10)안에 물을 담을 수 있는 물 보관부(11,11a)를 형성하고, 냄비(10)의 바닥면에는 열기구로부터 인입되는 열기가 통할 수 있도록 바닥면(14)보다 돌출시켜 물 넘침방지턱(13)을 구비한 위로 볼록하게 가공한 개구부(12)를 형성하고, 냄비(10)외부에는 냄비(10)내부의 물 저장부(11,11a)로 물을 주입 할 수 있는 물 주입구(14)를 형성시키고 냄비(10)의 내부에는 석쇠(20)를 설치하고 뚜껑을 안착하는 구성이다. 냄비(10)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법랑형태의 냄비(10)를 사용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냄비(10)의 작동에 대해 기술하면 첫째로 구이를 하려면 도2와 같이 냄비(10)내부에 석쇠(20)를 설치하고 그 위에 굽고자하는 고구마등 취사물을 얹은 후 뚜껑(30)을 덮고 밑에서 열기구에 의해 열을 가하게되면 열기구에서 발산되는 열은 냄비(10)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12)를 통해 직접 냄비(10)의 내부로 열을 가하게 되어 내부의 취사물이 익게 된다.
둘째 찜을 하려면 도3과 같이 냄비(10)내부 상부 돌출부(14)에 석쇠20)를 안착시켜 그 위에 찜하고자하는 하는 만두, 호빵등 취사물을 얹은 후 뚜껑(30)을 덮고 냄비(10)안 물 보관부(11.11a)에 물을 가득 주입 후 열기구에 의해 열을 가하게 되면 열기구에서 발산되는 열은 냄비 하부에 형성된 물 물관부(11,11a)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발생하여 내부의 음식물을 익게 하며 동시에 개구부(12)를 통해 직접 냄비(10)의 내부로 열을 가하게 되어 내부 냄새를 억제하면서 취사물이 익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냄비 하나로 찜 요리도 할 수 있고, 구이 요리도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며 또한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3은 본 도 1의 AA의 다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냄비 몸통 11,11a : 물 저장부
12 : 개구부 13 : 물넘침방지턱
14 : 돌출부 20 : 석쇠
21 : 오목부 30 : 뚜껑

Claims (1)

  1. 냄비(10)안에 물을 담을 수 있도록 냄비(10)의 내부 바닥면 가장자리 물 보관부(11) 및 가장자리 물 보관부(11)와 연결된 중심부 쪽 물 보관부(11a)를 오목하게 절곡 형성하며, 냄비(10)의 바닥면에는 열기구로부터 인입되는 열기가 통할 수 있도록 바닥면(14)보다 돌출시켜 물 넘침방지턱(13)을 구비한 위로 볼록하게 가공한 개구부(12)를 형성하며, 냄비(10)내부 상부에는 석쇠(20)를 안착시킬 수 있는 돌출부(14)를 형성하며, 냄비 내부에는 오목부(21)를 형성시킨 석쇠(2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찜 겸용 구이 냄비.
KR20-2005-0015250U 2005-05-30 2005-05-30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Expired - Fee Related KR200393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250U KR200393644Y1 (ko) 2005-05-30 2005-05-30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250U KR200393644Y1 (ko) 2005-05-30 2005-05-30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644Y1 true KR200393644Y1 (ko) 2005-08-24

Family

ID=4369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250U Expired - Fee Related KR200393644Y1 (ko) 2005-05-30 2005-05-30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64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588B1 (ko) 2006-02-23 2007-03-12 정우실업(주) 직화구이용 조리용기
KR200471229Y1 (ko) 2012-05-02 2014-02-10 윤근수 찜겸용 구이팬 직화용기
KR200475796Y1 (ko) * 2013-12-13 2015-01-05 박천욱 직열구이냄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588B1 (ko) 2006-02-23 2007-03-12 정우실업(주) 직화구이용 조리용기
KR200471229Y1 (ko) 2012-05-02 2014-02-10 윤근수 찜겸용 구이팬 직화용기
KR200475796Y1 (ko) * 2013-12-13 2015-01-05 박천욱 직열구이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KR200471229Y1 (ko) 찜겸용 구이팬 직화용기
JP2017522947A (ja) 調理器具
CN214631738U (zh) 一种具有煎烤功能的翻盖式空气炸锅
KR200467826Y1 (ko) 프라이팬 커버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JP2025516412A (ja) 家庭用調理器具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100893326B1 (ko) 조리용기용 뚜껑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200459604Y1 (ko) 찜통형 직화 조리기구
KR20130098513A (ko) 다용도 조리기구
JP5630762B2 (ja) 調理容器およびその蓋
KR101227248B1 (ko) 다용도 압력 조리장치
CN221285478U (zh) 一种多功能食物烹饪器具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CN211299569U (zh) 一种受热均匀的蒸格及其电饭锅
KR101131541B1 (ko) 직화 조리기
KR20110092771A (ko) 직화 오븐
KR20110082343A (ko) 덮개용기를 구비한 직화오븐
KR20110027891A (ko) 무연 가스 구이기
KR100590687B1 (ko) 직화가열식 조리용기
KR20230001259U (ko) 다기능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53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5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7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