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7093Y1 - 방열기의 배관구조 - Google Patents

방열기의 배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093Y1
KR200387093Y1 KR20-2005-0008530U KR20050008530U KR200387093Y1 KR 200387093 Y1 KR200387093 Y1 KR 200387093Y1 KR 20050008530 U KR20050008530 U KR 20050008530U KR 200387093 Y1 KR200387093 Y1 KR 200387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ipe
branch pipe
water inlet
radi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아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아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아이피
Priority to KR20-2005-0008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0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09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02Means for connecting central heating radiators to circulation pipes
    • F24D19/0056Supplies from the central heating system
    • F24D19/0065Supplies from the central heating system coming out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97Casings or frame structures for hydraul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85Pip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열기의 배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온수 유입구가 구비된 하측 분기관과 온수 배출구가 구비된 상측 분기관 사이에 방열핀이 형성된 다수개의 방열관이 개재되도록 구성된 방열기의 배관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측 분기관과 상측 분기관에 구비된 각각의 온수 유입구와 온수 배출구가 벽면에 매입된 연결구를 갖는 함체에 연결관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연결구에 온수 유입파이프가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함체에 커버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일러에서 공급된 열을 발산시켜 실내를 난방함과 동시에 온수 유입구 및 온수 토출구가 벽면에 매립된 연결구를 갖는 함체에 연결관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주위 미관을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고, 아울러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열기의 배관구조{PIPING STRUCTURE OF RADIATOR}
본 발명은 방열기의 배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일러에서 공급된 열을 발산시켜 실내를 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방열기(放熱器)의 온수 유입구 및 온수 토출구가 벽면에 매립된 연결구를 갖는 함체에 연결관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주위 미관을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고, 아울러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열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보일러에서 공급된 증기 또는 고온의 온수가 방열관의 내부를 순환할 때 무수한 핀들에 의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열이 실내에 발산되어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열기(H)는 도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상,하측 분기관(10)(20)들 사이에 수직으로 접속된 방열관(30)들의 외부에 무수한 핀(32)들이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하측 분기관(20)을 통해 유입된 보일러의 난방수가 방열관(30)을 통해 상측 분기관(10)으로 순환되면서 방열관(30)에 장착된 무수한 핀(32)들에 의하여 열 교환이 이루어져 난방수의 열기가 실내에 발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측 분기관(20)은 바닥 슬라브(S)를 관통하여 그 하부의 벽면에 앵클(40) 및 크램프(42)로 고정된 온수 유입관(44)을 통해 공급 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측 분기관(10)의 일측에는 밸브(52)를 갖는 온수 배출관(50)이 바닥 슬라브(S)를 관통하여 미도시한 보일러로 순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일러에 의하여 가열된 온수가 온수 유입관(44) 및 하측 분기관(20)을 통해 방열기(H)로 유입되어지고, 유입되어진 온수가 방열관(30)을 흐르는 과정에서 그 외측에 구비된 핀(32)에 의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된 온수는 다시 그 상부에 있는 상측 분기관(10) 및 밸브(52) 그리고 온수 배출관(50)을 통해 연속하여 순환됨으로써, 실내를 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하측 분기관(20)과 상측 분기관(10)에 결합된 각각의 온수 유입관(44)과 온수 배출관(50)이 관통된 바닥 슬라브(S)에 삽입된 형태로 노출 되어 있음으로써, 주위 미관을 저해함과 동시에 설치 공간을 많이 확보해야 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가 제안되었으나, 이 역시 방열기(H)의 하부에 설치된 관계로 인하여 방열기의 높이가 높아져 설치 공간을 많이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과 아울러 주위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동일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보일러에서 공급된 열을 발산시켜 실내를 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방열기의 온수 유입구 및 온수 토출구가 벽면에 매립된 연결구를 갖는 함체에 연결관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주위 미관을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고, 아울러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열기의 배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온수 유입구가 구비된 하측 분기관과 온수 배출구가 구비된 상측 분기관 사이에 방열핀이 형성된 다수개의 방열관이 개재되도록 구성된 방열기의 배관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측 분기관(20)과 상측 분기관(10)에 구비된 각각의 온수 유입구(22)와 온수 배출구(12)가 벽면에 매입된 연결구(62)를 갖는 함체(60)에 연결관(64)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연결구(26)에 온수 유입파이프(66)가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함체(600에 커버(68)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64)는 굽힘이 자유로운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 파이프(66)는 이중격벽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기의 배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방열기의 배관구조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분기관(10)과 하측 분기관(20) 및 방열관(30) 그리고 함체(6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측 분기관(10)은 일측에 온수 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는 상기 방열관(30)의 상단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 분기관(20)은 일측에 온수 유입구(22)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는 방열관(30)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열관(30)은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외부에 수 많은 방열핀(32)이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 분기관(20)과 상측 분기관(10)에 구비된 각각의 온수 유입구(22)와 온수 배출구(12)가 벽면에 매입된 연결구(62)를 갖는 함체(60)에 연결관(64)으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64)는 굽힘이 자유로운 것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구(62)에 온수 유입파이프(66)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함체(60)에 커버(68)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온수 유입파이프(66)는 이중격벽을 갖도록 구성하여 열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방열기(H)는 먼저, 벽면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이중격벽을 갖는 온수 유입파이프(66)가 바닥 슬라브(S) 및 벽면에 매립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그 단부에 함체(60)가 같이 매립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방열기(H)를 시공할 경우, 함체(60)의 내부로 노출된 온수 유입파이프(66)에 연결구(62)를 체결한 후 상,하측 분기관(10)(20)에 결합된 각각의 온수 배출구(12)와 온수 유입구(22)를 연결구(62)에 결합시키되, 그 사이에 커버(68)가 개재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설치가 마무리된다.
따라서, 온수 유입파이프(66) 및 연결구(62) 그리고 온수 유입구(22)를 통해 하측 분기관(20)으로 유입된 보일러의 난방수가 방열관(30)을 통해 상측 분기관(10)으로 순환되면서 방열관(30)에 장착된 무수한 핀(32)들에 의하여 열 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실내를 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보일러에서 공급된 열을 발산시켜 실내를 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방열기의 온수 유입구 및 온수 토출구가 벽면에 매립된 연결구를 갖는 함체에 연결관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주위 미관을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고, 아울러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열기의 배관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다른 방열기의 배관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열기의 배관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방열기의 배관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방열기의 배관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열기의 다른 설치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상측 분기관 12:온수 배출구
20:하측 분기관 22:온수 유입구
60:함체 62:연결구
64:연결관 66:유입 파이프
68:커버

Claims (3)

  1. 온수 유입구가 구비된 하측 분기관과 온수 배출구가 구비된 상측 분기관 사이에 방열핀이 형성된 다수개의 방열관이 개재되도록 구성된 방열기의 배관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측 분기관(20)과 상측 분기관(10)에 구비된 각각의 온수 유입구(22)와 온수 배출구(12)가 벽면에 매입된 연결구(62)를 갖는 함체(60)에 연결관(64)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연결구(26)에 온수 유입파이프(66)가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함체(60)에 커버(68)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기의 배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64)는 굽힘이 자유로운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기의 배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파이프(66)는 이중격벽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기의 배관구조.
KR20-2005-0008530U 2005-03-29 2005-03-29 방열기의 배관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387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530U KR200387093Y1 (ko) 2005-03-29 2005-03-29 방열기의 배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530U KR200387093Y1 (ko) 2005-03-29 2005-03-29 방열기의 배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093Y1 true KR200387093Y1 (ko) 2005-06-17

Family

ID=43688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530U Expired - Fee Related KR200387093Y1 (ko) 2005-03-29 2005-03-29 방열기의 배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0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330B1 (ko) * 2015-10-21 2016-12-22 이재희 온수패널을 이용한 벽면설치형 찜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330B1 (ko) * 2015-10-21 2016-12-22 이재희 온수패널을 이용한 벽면설치형 찜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7824B (en) Chipset cooling device of video graphic adapter card
RU2541434C2 (ru) Внутренний блок кондиционера воздуха
KR200387093Y1 (ko) 방열기의 배관구조
RU2127854C1 (ru) Секционный радиатор
US20060090883A1 (en) Liquid-cooled heat radiator kit
TW200907225A (en) Light emitting diode (LED) road lamp
CN115265229A (zh) 鼠笼状框架式散热器
CN210200494U (zh) 一种应用在变压器上的水冷散热组件
CN108302608A (zh) 一种增强侧面取暖效果的取暖器
KR102090693B1 (ko) 냉온 매트용 냉온수 공급장치
KR200271539Y1 (ko) 온돌 난방 시공용 패널 및 그 패널을 이용한 온돌 난방구조
JP5952790B2 (ja) 冷暖房用パネル及び冷暖房装置
CN218066022U (zh) 散热器的骨架结构
CN204177239U (zh) 弧形散热模块
JP2002162050A (ja) 温水暖房装置の放熱器
CN205124221U (zh) 一种地球仪式水冷散热器
KR20030037896A (ko) 온돌 난방 시공용 패널 및 그 패널을 이용한 온돌난방구조
CN103703324A (zh) 组合式水暖散热器及其片体
TWI735074B (zh) Lts散熱器及具有該lts散熱器的電子設備
JPS5872888A (ja) 放熱器
CN207584869U (zh) 一种拼装式卫浴散热器
JPH04282857A (ja) ヒートパイプ式放熱器
KR200376365Y1 (ko) 방열기
JP2009257661A (ja) 温水暖房装置
KR100618517B1 (ko) 수평순환이 가능한 히트파이프식 온돌난방용 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32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3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8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5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