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6258Y1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258Y1
KR200386258Y1 KR20-2005-0006254U KR20050006254U KR200386258Y1 KR 200386258 Y1 KR200386258 Y1 KR 200386258Y1 KR 20050006254 U KR20050006254 U KR 20050006254U KR 200386258 Y1 KR200386258 Y1 KR 200386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ire
body portion
partition membrane
accommod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소연
Original Assignee
정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소연 filed Critical 정소연
Priority to KR20-2005-0006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2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25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12Puncture pre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60C5/2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having multiple separate inflatable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지면과 접촉되며, 그 종단면 형상이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며, 그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막과, 상기 분할막에 의해서 분할된 몸체내측부와 몸체외측부 및 상기 몸체외측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그 내부에는 공기가 들어있는 복수개의 공기주머니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내측부에는 공기가 주입되며, 상기 분할막은 그 중앙부위에서 상기 몸체부의 직경방향을 향하여 불룩하게 돌출된 돌출부를 가져서, 상기 몸체내측부는 상기 몸체부의 횡단면을 절단하였을 때 좌우대칭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첨예한 물체에 의해 상기 공기주머니가 찔리더라도 상기 공기주머니 중 해당하는 극히 일부가 파손될 뿐 한꺼번에 다수의 공기주머니 전체가 파손되거나 제2, 3의 파손으로 확장되는 일이 없어짐으로, 타이어 내 전체공기가 펑크 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타이어의 최대결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상기 분할막에 의해 복수개의 공기주머니가 수용되는 부분과 공기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나누어져 타이어의 교환이 가능하며, 상기 분할막에 볼록한 돌출부분이 있으므로 해서 타이어 전체에 골고루 공기압이 미치도록 하며, 또한 분할막이 대칭형으로 구성되어 타이어의 균형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이어{Tyre}
본 고안은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나 오토바이 자전거 등의 주행 시나 정지 중에 못이나 기타의 예리한 물체에 의해 타이어가 찔리더라도 타이어 전체가 펑크 나는 것을 방지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타이어가 장착된다. 이러한 타이어에는 튜브내장형 타이어와 튜브레스형 타이어로 대별된다.
그러나, 종래의 튜브내장형 타이어와 튜브레스형 타이어는 내부 공기실이 하나로 되어 있어, 운행 중 타이어가 못이나 기타의 예리한 물체에 의해 손상을 입게 되면 짧은 시간에 타이어 내의 대부분의 공기가 유출되어 차량의 조향을 불가능 하게 만들어 대형 사고의 원인이 되는가 하면, 사회에 불만 있는 사람들이 고이적으로 순식간에 여러 대의 자동차를 연쇄적으로 펑크 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 타이어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트레드부 내면을 받쳐주는 금속판과 비드부 쪽에서 휠의 원주면에 지지되는 금속판간의 압축성 코일스프링을 장착하여 스프링의 탄력으로 타이어를 지지하도록 한 것이 고안된 적이 있으나, 이런 타이어는 내장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무거워서 연료의 낭비가 크고 주행 중 소음이 많이 발생하여 실제 적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타이어 내부에 작은 복수개의 튜브를 장착하여 그 중 한 개가 손상되더라도 다른 튜브의 공기압으로 타이어를 지지하는 형태는 공기압의 완전 손실을 방지하여 단거리 주행은 가능하나 계속적인 주행은 불가능하고 튜브간에 균일하게 공기를 채우기가 어려워 이 역시 채택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그물망처럼 구성된 복수개의 막에 의해 분리된 각각의 공간에 공기가 주입되는 타이어도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타이어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타이어가 장착되는 휠과 타이어를 분리해야 하지만 타이어가 자체가 팽팽한 상태이므로 타이어를 휠로부터 분리할 수가 없어서 타이어의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주행 중에나 정지 중에 외부에서 못 등의 예리한 물체에 의해 상기 타이어가 찔리더라도 상기 공기주머니 중 어느 일부분만이 파손됨으로써 타이어 전체의 공기압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적으며, 타이어 전체가 펑크 나는 것 혹은 펑크로 인하여 타이어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없는 것을 예방하여 안전 운행을 보장하며, 타이어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는 타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는 지면과 접촉되며, 그 종단면 형상이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며, 그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막과, 상기 분할막에 의해서 분할된 몸체내측부와 몸체외측부 및 상기 몸체외측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그 내부에는 공기가 들어있는 복수개의 공기주머니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내측부에는 공기가 주입되며, 상기 분할막은 그 중앙부위에서 상기 몸체부의 직경방향을 향하여 불룩하게 돌출된 돌출부를 가져서, 상기 몸체내측부는 상기 몸체부의 횡단면을 절단하였을 때 좌우대칭형으로 구비되며, 외부에서 첨예한 물체에 의해 상기 공기주머니가 찔리더라도 상기 공기주머니 중 어느 일부 개수만 파손됨으로써 타이어 전체가 펑크 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분할막에 의해 복수개의 공기주머니가 수용되는 부분과 공기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나누어져 타이어의 교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의 상기 공기주머니는, 둥근 원형 구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몸체부(10)와, 분할막(20)과, 공기주머니(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부(10)는 지면과 접촉되며, 그 종단면 형상이 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몸체부(10)는 자동차 엔진 등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분할막(20)은 타이어(100)의 교체 혹은 후술하는 손상된 공기주머니(50)를 교체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10) 내부의 일정 공간을 분할한다.
그리고, 상기 분할막(20)은 그 중앙부위에서 상기 몸체부(10)의 직경방향을 항하여 불룩하게 돌출된 돌출부(60)를 가진다. 그러므로, 상기 몸체내측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횡단면을 절단하였을 때 좌우대칭형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주행 중의 타이어의 균형을 이룰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분할막(20)에 의해서 분할되어 몸체내측부(30)와 몸체외측부(40)로 분할된다.
상기 공기주머니(50)는 상기 몸체외측부(4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그 내부에는 공기가 들어있으며, 그 크기는 충분히 작게 구성되며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주머니(50)는 둥근 구의 형상을 가지며, 복수개가 구비됨으로써 마치 벌집 형상처럼 복수개의 공기주머니(50)가 조밀하게 상기 몸체외측부(40) 내에 내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할막(20)에 의해 분할된 상기 몸체내측부(30)의 내부공간에는 공기가 주입된다. 물론 상기 몸체부(10)의 교환이나 손상된 공기주머니(5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분할막(20)에 의해 분할된 상기 몸체내측부(30)의 내부공간에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켜 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외부에서 첨예한 물체에 의해 상기 몸체부가 찔리더라도 상기 공기주머니(50) 중 해당하는 극히 일부가 파손될 뿐 한꺼번에 다수의 공기주머니(50) 전체가 파손되거나 제2, 3의 파손으로 확장되는 일이 없어짐으로, 타이어(100) 내 전체공기가 펑크 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타이어의 최대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분할막(20)에 의해 공기주머니(50)가 수용되는 부분과 공기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나누어져 타이어(100)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자동차가 주행 중에 못 등의 예리한 물건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10)가 찔리더라도 상기 공기주머니(50) 중에서 그 예리한 물건과 접촉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공기주머니(50) 만이 파손이 되므로, 타이어(100) 전체의 공기압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안전 운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가 정지 중에 못 등의 예리한 물건에 의해 찔리더라도 동일하게 안전 운행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타이어(100)를 계속해서 사용하다가, 상기 타이어(100)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상기 분할막(20)에 의해 분할된 상기 몸체내측부(3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킨다.
즉, 상기 몸체부(10)의 내부는 분할막(20)에 의해서 상기 공기주머니(50)들이 수용되는 몸체외측부(40)와 단순히 공기가 수용되는 몸체내측부(30)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상기 몸체내측부(30)의 공기를 제거한다. 이 때, 상기 몸체내측부(30)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유출시키는 것은 공기출입구(70)를 통해서 행해지게 된다. 상기 공기출입구(70)의 통상 타이어의 휠(80)로부터 돌출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상기 타이어(100)의 전체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 즉, 상기 분할막(20)에 의해서 분할된 상기 몸체내측부(30)의 공간만큼 그 전체 부피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타이어(100)가 완전히 팽팽한 상태가 되지 않으므로, 자동차 바퀴의 휠로부터 타이어(100)를 분리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타이어(100)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60)에 의해 상기 분할막(20)이 좌우대칭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타이어(100)의 균형이 유지된다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에 의하면, 자동차가 주행 중에나 정지 중에 외부에서 못 등의 예리한 물체에 의해 상기 타이어가 찔리더라도 상기 공기주머니 중 어느 한 부분만 파손됨으로써 타이어 전체가 펑크 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 운행을 보장하며, 분할막에 의해 공기주머니가 수용되는 부분과 공기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나누어져 타이어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며, 분할막에 볼록한 돌출부분이 있으므로 해서 타이어 전체에 골고루 공기압이 미치도록 하며, 분할막이 대칭형으로 구비되어 타이어의 균형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부 20. 분할막
30. 몸체내측부 40. 몸체외측부
50. 공기주머니 60. 돌출부

Claims (2)

  1. 지면과 접촉되며, 그 종단면 형상이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며, 그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막;
    상기 분할막에 의해서 분할된 몸체내측부와 몸체외측부; 및
    상기 몸체외측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그 내부에는 공기가 들어있는 복수개의 공기주머니;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내측부에는 공기가 주입되며,
    상기 분할막은 그 중앙부위에서 상기 몸체부의 직경방향을 향하여 불룩하게 돌출된 돌출부를 가져서, 상기 몸체내측부는 상기 몸체부의 횡단면을 절단하였을 때 좌우대칭형으로 구비되며,
    외부에서 첨예한 물체에 의해 상기 공기주머니가 찔리더라도 상기 공기주머니 중 어느 일부 개수만 파손됨으로써 타이어 전체가 펑크 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분할막에 의해 복수개의 공기주머니가 수용되는 부분과 공기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나누어져 타이어의 교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머니는,
    둥근 원형 구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KR20-2005-0006254U 2005-03-08 2005-03-08 타이어 Expired - Fee Related KR200386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254U KR200386258Y1 (ko) 2005-03-08 2005-03-08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254U KR200386258Y1 (ko) 2005-03-08 2005-03-08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258Y1 true KR200386258Y1 (ko) 2005-06-08

Family

ID=4368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25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86258Y1 (ko) 2005-03-08 2005-03-08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2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001B1 (ko) 에어리스 타이어
US20120325383A1 (en) Acoustical core for absorbing noise within a tire interior cavity
US9365081B2 (en) Pneumatic tire security system employing internal high pressure air bag
CN216184253U (zh) 车辆及其嵌入气囊式爆胎续行车轮
JP2008308125A (ja) 安全タイヤ
KR100908554B1 (ko) 내·외부 타이어를 갖는 차륜
KR200386258Y1 (ko) 타이어
KR101834926B1 (ko) 공기입 타이어의 사이드월 인서트
KR200370544Y1 (ko) 타이어
RU2380238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лужащее опорой для шины в случае выпуска воздуха из нее, и шина в сборе с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JP2000313215A (ja) タイヤ充填用空気内蔵ホイール(エアーインホイール)
KR101840012B1 (ko) 자동차 바퀴
US6843287B2 (en) Tire/wheel assembly and run-flat support member
KR20230044822A (ko) 공기입 타이어
JP2010030467A (ja) 安全タイヤ用隔膜、安全タイヤ及び安全タイヤとリムとの組立体
JP5087289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及びランフラットタイヤとリムとの組立体
JP5139431B2 (ja) 安全タイヤ
KR20040053778A (ko) 휠과 튜브리스 타이어 조립체
KR20100128391A (ko) 타이어 펑크 방지 장치
KR101269338B1 (ko) 안전 타이어
KR20070035621A (ko) 타이어
KR102361672B1 (ko) 주행 소음 저감을 위한 흡음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어셈블리
KR200192803Y1 (ko) 타이어용 안전튜브
RU2526791C2 (ru) Многообъемная безопасная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KR200192785Y1 (ko) 차량 타이어용 안전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30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5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