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4820Y1 - 가구용 보조 수납함 - Google Patents

가구용 보조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820Y1
KR200384820Y1 KR20-2005-0005116U KR20050005116U KR200384820Y1 KR 200384820 Y1 KR200384820 Y1 KR 200384820Y1 KR 20050005116 U KR20050005116 U KR 20050005116U KR 200384820 Y1 KR200384820 Y1 KR 200384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storage box
plate
front plat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남용
박필서
Original Assignee
오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남용 filed Critical 오남용
Priority to KR20-2005-0005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8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8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75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repositionable partition wall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를 포함한 가구의 일측에 장착되는 가구용 보조 수납함으로서,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양측면에 기립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부를 가지고 물품의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본체와; 상기 수납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되, 상기 수납본체의 종단면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수납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본체 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더와; 상기 전면판에 마련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수납본체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다른 용도로는 활용되지 못하고 단지 해당 위치에서 벽체로서 배치되어 있는 영역들에 장착되어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보조 수납함을 가구용 보조 수납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구용 보조 수납함{Sub-shelf for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용 보조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용도로는 활용되지 못하고 단지 해당 위치에서 벽체로서 배치되어 있는 영역들에 장착되어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보조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가구란 실내에 배치하여 일상생활에 쓰이는 도구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서 통상적으로는 옷장, 테이블 등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포함하여 벽난로와 같이 건물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있다. 좁게는 실내용 수납장과 휴식용 집기 등을 주로 가리키지만, 넓게는 시계, 거울, 벽걸이, 벽난로 등과 같이 실내를 돋보이게 하는 가구설비와 커튼, 쿠션 등의 직물제품도 가구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가구의 분류 중, 주방용 가구의 대표적인 것으로 싱크대라는 것이 있다. 싱크대는 그 상면에 설거지를 할 수 있는 개수대가 갖춰지며, 개수대의 주변으로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판이 마련된다. 일측에는 가스렌지 등을 올려놓는 수단이 마련되기도 한다. 이러한 싱크대는 주방의 일측벽에 배치되는데, 주로 하부와 상부로 나뉘어 시공된다. 이들 싱크대에는 각종 주방용 기구를 포함하여 각종 비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수납공간들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근자에 들어 건설되는 빌라나 아파트의 주방을 보면 종전과는 달리 싱크대가 하나의 인테리어 소품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싱크대는 기성품의 가구로서 주방에 설치되기도 하고 주방의 크기에 맞춰 맞춤 제작되기도 한다.
어떠한 경우일지라도 싱크대의 하부영역에는 소위, 걸레받이라는 것이 일체로 시공된다. 원래, 걸레받이란 장판지 등을 벽면의 하부영역에 덧대어 걸레질할 때 벽의 굽도리가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나, 현재에 이르러 장롱이나 특히 싱크대 등의 하부영역에 활용되어 먼지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싱크대 밑으로 들어가 쌓이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 걸레받이는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된 직사각형의 판때기를 해당 위치에 기립하게 배치하여 상호 고정함으로써 시공된다.
그런데, 장롱이나 옷장 등과 같은 일반 가구를 비롯하여 싱크대 등에 마련된 걸레받이 영역은 단지 해당 위치에서 이물질의 이동을 차단하는 기능 외에는 아무런 기능을 하지 못한다. 이는 비단 걸레받이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수납공간이 마련되지 않은 가구의 다른 영역에도 해당한다.
따라서 위와 같이 다른 용도로는 활용되지 못하고 단지 해당 위치에서 벽체로서 배치되어 있는 영역들에 별도의 수납함을 더 둔다면, 벽체로서 이물질을 차단하는 본연의 기능 외에도 또 다른 수납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음에 틀림이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른 용도로는 활용되지 못하고 단지 해당 위치에서 벽체로서 배치되어 있는 영역들에 장착되어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보조 수납함을 가구용 보조 수납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싱크대를 포함한 가구의 일측에 장착되는 가구용 보조 수납함으로서,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양측면에 기립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부를 가지고 물품의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본체와; 상기 수납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되, 상기 수납본체의 종단면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수납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본체 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더와; 상기 전면판에 마련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수납본체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보조 수납함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측판부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디바이더의 착탈을 위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한 쌍의 측판부를 잇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관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부세하면서 상기 관통공의 해당위치에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홀더와; 상기 한 쌍의 탄성홀더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마련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전면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판의 하단은 지면에 대해 소정높이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는 상기 휠을 향해 절곡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절곡지지부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수납본체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본체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면판은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단부에서 절곡형성된 절곡부에 의해 보조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 중 어느 하나에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보조 수납함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가구용 보조 수납함의 확대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3의 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보조 수납함(10)은 일예로서 싱크대(1)에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싱크대(1)의 상면에는 설거지를 할 수 있는 개수대(2)가 마련되어 있으며, 개수대(2)의 일측으로 음식을 조리하거나 물건을 떠받치는 지지판(4)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싱크대(1)의 전면에는 냄비나 프라이팬 등의 각종 주방용 기구를 종류별로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수납도어(6)들이 구비되어 있다.
싱크대(1)의 하부에는 먼지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싱크대(1) 밑으로 들어가 쌓이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소위, 걸레받이(8)가 마련되어 있다. 걸레받이(8)는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된 직사각형의 긴 판때기로서 싱크대(1)의 전면 하부영역을 포함하여 측면 하부영역에도 시공된다.
이러한 걸레받이(8) 영역에,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보조 수납함(10)이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것처럼 걸레받이(8)는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시공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수납함(10)이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서 걸레받이(8)를 천공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3을 포함하여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보조 수납함(10)은, 크게 물품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본체(12)와, 수납본체(12)의 전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17) 및 후면판(18)과, 수납본체(12)의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휠(19)과, 수납본체(12) 내의 공간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분할)하는 복수의 디바이더(20)를 갖는다.
수납본체(12)는 통상적인 서랍형태를 갖는다. 그 위치에 따라 저판부(13)와, 저판부(13)의 양측면에 소정높이 기립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부(14)로 이루어져 있다. 강도를 유지하는 한편 부식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수납본체(12)는 녹이 슬지 않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한 바, 목재나 플라스틱, 혹은 스테인레스 스틸(SUS)로써 수납본체(12)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저판부(13)와 측판부(14)는 상호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판(17)은 수납본체(12)의 전면에 배치되어 수납본체(12)의 전면을 형성한다. 이 때, 전면판(17)의 면적은 수납본체(12)의 종단면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즉, 수납본체(12)의 저판부(13)와 한 쌍의 측판부(14)를 잇는 가상의 평면에 비해 전면판(17)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수납함(10)이 싱크대(1)의 하부에 장착되어 배치될 경우, 외부에서는 전면판(17)만이 보이게 됨으로써 그 미관이 수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전면판(17)의 판면에는 복수개의 통공(17a)이 형성되어 있다. 통공(17a)으로 인해 본 수납함(10) 내에 보관된 물품들이 습기에 노출되는 것이 저지된다. 그러나 도시된 것과는 달리 전면판(17)에 통공(17a)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면판(17)은 전술한 수납본체(12)와 마찬가지의 재질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판(17)이 금속재질로 형성된다면 수납본체(12)에 용접 및 볼트결합될 수 있고, 목재나 플라스틱 재지로 형성된다면 후크결합이나 리벳, 볼트결합 등의 방법으로써 수납본체(12)에 결합될 수 있다.
전면판(17)의 상측에는 전면판(17)의 제조시 일체로 절취 절곡하여 형성된 손잡이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손잡이부(17b)를 전면판(17)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깔끔한 디자인을 선보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손잡이부(17b) 역시, 별도의 물건으로써 전면판(17)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전면판(17)은 수납본체(12)의 종단면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전면판(17)의 하단은 지면에 거의 인접하게 배치된다. 즉,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이르도록 배치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판(17)의 하단에 휠(19)을 향해 일정한 폭만큼 절곡시킨 절곡지지부(17c)를 더 형성하고 있다. 손잡이부(17b)와 마찬가지로 절곡지지부(17c) 역시 전면판(17)의 제조시 일체로 제조된다. 절곡지지부(17c)는 전면판(17) 영역이 앞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후면판(18)은 수납본체(12)의 후면에 배치되어 수납본체(12)의 후면을 형성한다. 전면판(17)과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 후면판(18)에는 별도의 통공(17a)을 형성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후면판(18) 역시 전면판(17)과 마찬가지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면 수납본체(12)에 용접 및 볼트결합될 수 있고, 목재나 플라스틱 재지로 형성된다면 후크결합이나 리벳, 볼트결합 등의 방법으로써 수납본체(12)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수납본체(12)를 이루는 한 쌍의 측판부(14)의 단부를 절곡하여 절곡부(14a)를 형성한 후, 후면판(18)이 절곡부(14a)에 의해 보조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휠(19)은 본 수납함(10)을 싱크대(1)의 하부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납함(10) 내에 무거운 물품이 수납될 경우, 본 수납함(10)을 들지 않더라도 자유자재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수납본체(12)의 저판부(13) 하부에 마련된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휠(19)은 저판부(13)에서 사각구도 배치된다.
한편, 통상의 서랍구조에서는 그 내부가 단일의 공간을 형성하는데 반해, 본 수납함(10)의 수납본체(12) 내에는 별도의 디바이더(20)가 더 장착되어 수납본체(12) 내의 공간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이를 위해, 수납본체(12)의 한 쌍의 측판부(14)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2개의 디바이더(20)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공(15)이 높이방향으로 복수열로 배치되어 있다.
디바이더(20)는 한 쌍의 측판부(14)를 잇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관상의 몸체부(20a)와, 몸체부(20a)의 양단에 마련되고 몸체부(20a)의 양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부세하면서 관통공(15)의 해당위치에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홀더(20b)와, 한 쌍의 탄성홀더(20b)와 몸체부(20a) 사이에 마련되는 스프링부재(20c)를 갖는다. 몸체부(20a)의 내부에는 스프링부재(20c)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20d)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도 3과 같이, 디바이더(20)의 양단에 마련된 한 쌍의 탄성홀더(20b)를 몸체부(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가압한 후, 한 쌍의 측판부(14)에 형성된 관통공(15)의 해당 위치에 끼운다. 그런 다음, 가했던 힘을 풀면, 스프링부재(20c)에 의해 탄성홀더(20b)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면서 해당 위치의 관통공(15) 내에 삽입됨으로써 수납본체(12) 내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게 된다.
만일, 도 5와 같이, 디바이더(120)를 판상체로 구성하더라도 수납본체(12)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뿐만 아니라 전면판(17)과 후면만 모두에 통공(17a)을 형성하여 전면판(17)과 후면판(18)을 잇도록 디바이더(20,120)를 장착하더라도 충분히 수납본체(12)의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에서 관통공(15)은 높이방향으로 2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납함(10)을 시공하려 한다면, 우선 싱크대(1) 등의 걸레받이(8) 영역에 수납함(10)이 인출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홀을 형성한다. 그리고는 이 홀에 수납함(10)을 배치함으로써 보조 도구함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게 된다. 만일, 하나의 수납함(10) 내부 공간을 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려 한다면, 도 3 및 도 5와 같은 종류의 디바이더(20,120)를 통해서 수납본체(12) 내의 공간을 구획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른 용도로는 활용되지 못하고 단지 해당 위치에서 벽체로서 배치되어 있는 영역들에 장착되어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수납함(10)을 싱크대(1)의 걸레받이(8) 영역에 설치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싱크대(1)의 다른 영역에도 충분히 장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수납함(10)은 도시된 싱크대(1) 외에도 장롱이나 옷장과 같은 일반 가구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른 용도로는 활용되지 못하고 단지 해당 위치에서 벽체로서 배치되어 있는 영역들에 장착되어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보조 수납함을 가구용 보조 수납함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보조 수납함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가구용 보조 수납함의 확대도,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3의 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보조 수납함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싱크대 8 : 걸레받이
10 : 수납함 12 : 수납본체
13 : 저판부 14 : 측판부
15 : 관통공 17 : 전면판
17b : 손잡이부 18 : 후면판
19 : 휠 20,120 : 디바이더

Claims (7)

  1. 싱크대를 포함한 가구의 일측에 장착되는 가구용 보조 수납함으로서,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양측면에 기립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부를 가지고 물품의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본체와;
    상기 수납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되, 상기 수납본체의 종단면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수납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본체 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더와;
    상기 전면판에 마련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수납본체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보조 수납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판부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디바이더의 착탈을 위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보조 수납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한 쌍의 측판부를 잇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관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부세하면서 상기 관통공의 해당위치에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홀더와;
    상기 한 쌍의 탄성홀더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마련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보조 수납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전면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보조 수납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하단은 지면에 대해 소정높이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는 상기 휠을 향해 절곡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절곡지지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보조 수납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본체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면판은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단부에서 절곡형성된 절곡부에 의해 보조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보조 수납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 중 어느 하나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보조 수납함.
KR20-2005-0005116U 2005-02-25 2005-02-25 가구용 보조 수납함 KR200384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116U KR200384820Y1 (ko) 2005-02-25 2005-02-25 가구용 보조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116U KR200384820Y1 (ko) 2005-02-25 2005-02-25 가구용 보조 수납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820Y1 true KR200384820Y1 (ko) 2005-05-19

Family

ID=4368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116U KR200384820Y1 (ko) 2005-02-25 2005-02-25 가구용 보조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8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557B1 (ko) 2010-03-26 2012-10-04 김근성 가구용 수납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557B1 (ko) 2010-03-26 2012-10-04 김근성 가구용 수납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6209B2 (en) Modular system
JP5071116B2 (ja) 引出し構造および収納家具
KR200384820Y1 (ko) 가구용 보조 수납함
JP2010148788A (ja) フライパンラック
KR20160044182A (ko) 주방용 다용도 서랍
KR200452483Y1 (ko) 콤비네이션 가구세트
KR101187557B1 (ko) 가구용 수납함
US10342334B1 (en) Upper-shelf assembly
JP4642259B2 (ja) 引出し構造
KR200454654Y1 (ko) 바스킷서랍을 갖는 테이블냉장고
US20060076305A1 (en) Wall-hanging cabinet
JP3250710U (ja) 棚板自由取り換え可能な背高棚家具
JP5264877B2 (ja) 収納庫
KR101635584B1 (ko) 주방용품용 부품 모듈
JP3011056U (ja) 組立式収納セット
KR960001279Y1 (ko) 일용품 캐비넷
KR200363200Y1 (ko) 김치 냉장고에 적합한 선반
KR20190002787U (ko) 싱크대용 조립식 선반
KR200366528Y1 (ko) 가구용 프레임
JP4943252B2 (ja) デスク装置
JP7118792B2 (ja) 収納庫
KR20180002521U (ko) 싱크대 수납장용 인출식 선반
JP3656216B2 (ja) 整理棚
KR20230143366A (ko) 실내의 공간 활용을 위한 수납장
US20150359333A1 (en) Sloped bin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2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2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6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4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